KR102447699B1 - 캠핑용 스토브 - Google Patents

캠핑용 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699B1
KR102447699B1 KR1020210046684A KR20210046684A KR102447699B1 KR 102447699 B1 KR102447699 B1 KR 102447699B1 KR 1020210046684 A KR1020210046684 A KR 1020210046684A KR 20210046684 A KR20210046684 A KR 20210046684A KR 102447699 B1 KR102447699 B1 KR 10244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leg
space
ignition spa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김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호 filed Critical 김주호
Priority to KR1020210046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4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with internal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6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캠핑용 스토브에 있어서,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캠핑용 스토브 일 수 있다.

Description

캠핑용 스토브{Camping stove}
본 발명은 캠핑용 스토브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스토브로 이용하거나, 음식물 조리에 사용하는 등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캠핑용 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생활 수준의 향상과 주5일 근무 환경 등으로, 여가 활동의 패턴이 매우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주말 연휴 등을 이용하여 가족, 친구 등과 함께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급속히 증가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캠핑 장비들의 수요 급증 및 시장의 저변 확대가 이루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장의 조건 성숙으로 인하여 캠핑 장비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캠핑을 즐기기에 매우 유용한 수많은 새로운 캠핑 장비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동절기에 캠핑을 즐기기에는, 난방 장치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난방 장치는, 난로 또는 온풍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의 난로나 온풍기의 경우 대다수가 전기, 가스, 연탄, 기름 중의 어느 하나를 연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난방 장치의 연료로 전기, 가스, 연탄, 기름을 사용할 경우에는, 연료의 수급과 보관 등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연료 자체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연소 시, 연료의 소모량이 상당하여 난방 비용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주변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천연 연료로 제조되는 팰릿(pellet)을 사용하는 난방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팰릿은, 식물이나 나무를 톱밥과 같은 작은 입자 형태로 분쇄, 건조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 작고 일정한 크기로 압축하여 작은 알갱이 모양으로 성형 한 연료이다.
종래의 팰릿 난로는 설치와 해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Y1) 제20-0481636호에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팰릿이 연소되며 열을 발생시키는 난로를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게 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된 소형 배터리를 이용하여 전기가 없는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한 캠핑용 팰릿 난로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으며, 팰릿이 연소되며 가열된 온수를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온수매트를 구비한 텐트에 전달함으로써 난로 외부 뿐만 아니라 텐트 내부의 바닥 난방도 가능한 캠핑용 팰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캠핑용 팰릿 난로는, 텐트에 온수매트를 구비해야 하며, 소형 배터리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캠핑용 팰릿 난로는, 텐트의 난방을 위해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온수매트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외부에서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문제점과, 팰릿을 연소시키며 발생되는 열이 대부분 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되어, 열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화공간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 만을 이용하여 텐트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는 캠핑용 스토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는,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에 의하면,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 만을 이용하여 텐트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열을 보다 효율적이며, 다양하게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및 부분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는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와 이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상부몸체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결부와 높이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는,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기 발화공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몸체부 상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중공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 하측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중공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할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에 삽입되는 관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부는, 상기 발화공간과 이격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로 상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부는, 상기 하부몸체부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와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부는 곡률을 형성하여, 상기 발화공간의 열 및 연기를 상기 연결부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본체부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본체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다리연장부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의 이웃하는 다리연장부와 연결되어 상호 지지되도록, 연장 지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는, 상기 다리몸체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는, 지면과 맞닿는 일측에 지면과 평행하되,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여, 체결부재가 상기 홈을 통하여 지면과 결합되어, 상기 다리연장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평면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개략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의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1을 기준으로 x방향은, 몸체부(10)의 길이 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몸체부(10)의 폭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z 방향은, 몸체부(10)의 높이방향을 의미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x방향을 길이방향, y방향을 폭방향, z방향을 높이방향이라 함)
도1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캠핑용 스토브(1)는,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발화공간(S1)을 형성하는, 몸체부;(10) 상기 몸체부(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다리부;(60) 및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몸체부(10)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50)를 포함 할 수 있다.
연료는, 숯이나 장작 또는 팰릿 등 가연성이 있는 고체 연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발화공간(S1)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부;(30) 상기 하부몸체부(30)와 이격되어 내부공간(S2)을 형성하는 상부몸체부;(20) 및 상기 하부몸체부(30)와 상기 상부몸체부(20)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리부(60)는, 상기 하부몸체부(30)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으며 상기 몸체부(1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하부몸체부(30)보다 높이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몸체부(30)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0)에 의해 상기 상부몸체부(20)와 상기 하부몸체부(30)는 높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화공간(S1)은, 상기 하부몸체부(30) 내부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연료가 투입되어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S2)은, 상기 상부몸체부(20) 내부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되어, 연료의 연소로 인해 발생된 열 및 연기가 이동되는 공간 일 수 있으며, 후술 될 배출부(50)와 연통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부(3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하부몸체부(30) 상측에 상기 상부몸체부(20)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화로(미 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상기 발화공간(S1)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물을 끓이거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서는, 상기 화로(미 도시)에 화로덮개(37)가 덮혀진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사용자는, 상기 화로덮개(37)를 개방하여 물을 끓이거나, 음식을 조리하는 등, 사용 목적에 맞게 상기 화로(미 도시)의 사이즈에 맞는 불판(미 도시)이나, 그릴(미 도시)등을 구비하여 상기 화로(미 도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상부몸체부(2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1에서
볼 수 있듯이, 돌출 형성되며, 연통(51)과 결합되어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6에서는,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상부몸체부(20)상에 돌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상부몸체부(20)상에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발화공간(S1)에서 형성된 열 및 연기가 배출부에 삽입된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 되는 구성도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연결부(40)와 높이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지 않도록 폭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열 및 연기가, 상기 연결부(40)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몸체부(20)의 내부공간(S2)으로 이동 될 시, 상기 열 및 연기의 대다수가 배출부(50)를 통하여 곧바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 아닌, 상기 열 및 연기의 대다수가 상기 내부공간(S2)으로 이동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열 및 연기의 대다수가 상기 내부공간(S2)에서 충분히 순환되게 하여, 상기 열 및 연기의 대다수가 상기 상부몸체부(20)로의 열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는, 상기 하부몸체부(30)의 상기 발화공간(S1)으로부터 상기 연결부(40)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40)로부터 상기 상부몸체부(20)의 상기 내부공간(S2)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부공간(S2)으로부터 상기 배출부(50)로 이동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 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하부몸체부(30)의 발화공간(S1)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 및 연기는, 상기 발화공간(S1)과 연통된 상기 연결부(40)로 이동 되며, 상기 연결부(40)와 상기 배출부(50)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폭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0)로 이동된 열 및 연기가, 상기 상부몸체부(20)의 내부공간(S2)으로 이동되며,상기 내부공간(S2)으로 이동된 열 및 연기는, 상기 내부공간(S2)을 순환한 후, 상기 내부공간(S2)과 연통된 상기 배출부(50)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하부몸체부(30)의 상면과 상기 연결부(40)의 측면, 상기 상부몸체부(20)의 하면이 형성하는 'ㄷ'자공간(S6)을 활용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하부몸체부(30)의 발화공간(S1)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 및 연기는, 상기 발화공간(S1)과 연통된 상기 연결부(40)로 이동 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0)와 상기 배출부(50)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폭방향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로 이동된 열 및 연기가, 상기 상부몸체부(20)의 내부공간(S2)으로 이동되어 순환되면서, 상기 상부몸체부(20)로 열을 전달 할 수 있다.
즉, 상기 열 및 연기는, 상기 하부몸체부(30)와 상기 연결부(40) 및 상기 상부몸체부(20)의 내부공간(S2)으로 열을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ㄷ'자공간(S6)은, 상기 상부몸체부(20)의 하면과 상기 연결부(40)의 측면과 상기 하부몸체부(30)의 상면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캠핑용 스토브(1)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화로(미 도시)뿐만 아니라, 상기 'ㄷ'자공간(S6)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ㄷ'자공간(S6)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상기 상부몸체부(20)의 하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고, 상기 연결부(40)의 측면으로부터 열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하부몸체부(30)의 상면으로부터 열을 전달 받을 수 있어서, 음식물에 고온의 열이 모든 방향으로 골고루 전달되어, 음식물이 골고루 익혀질 수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발화공간(S1)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결부(40)는, 도 7 에서 볼 수 있듯이,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하부몸체부(30) 상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중공(S8)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41) 및 상기 상부몸체부(20) 하측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중공(S9)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연결부(41) 및 상기 제2 연결부(42)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도 7 및 도 8에서는, 상기 제1 연결부(41) 및 상기 제2 연결부(42)가 다각형으로 형성 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각형을 원통형으로 치환하는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41) 및 상기 제2 연결부(42)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41)는, 상기 제2 연결부(42)가 형성하는 상기 제2중공(S9)에 삽입되며, 상기 제1연결부(41)와 상기 제2 연결부(42)는 체결수단(미 도시)에 의해 착탈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하부몸체부(30) 상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중공(S8)을 형성하는 상기 제1연결부(41)와 상기 상부몸체부(20) 하측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중공(S9)을 형성하는 상기 제2 연결부(42)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부(41)가 상기 제2연결부(42)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중공(S9)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부(41)와 상기 제2 연결부(42)가 연결 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연결부(42)가 형성하는 제2 중공(S9)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적의 크기가 상기 제1연결부(41)의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적의 크기 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상기 제1 연결부(41)는, 상기 제2 연결부(42)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중공(S9)에 삽입 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연결부(41)와 상기 제2 연결부(42)는 체결수단(미 도시)에 의해 보다 견고히 결합되거나, 분리 될 수 있다.
체결수단(미 도시)은, 볼트 또는 피스 등 공지된 여러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연결부(42)는 상기 제1연결부(41)가 형성하는 상기 제1 중공(S8)에 삽입되어 체결수단(미 도시)에 의해 결합 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제1 중공(S8) 및 상기 제2 중공(S9)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적의 크기에 대한 설계를 통하여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의 폭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S3)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S3)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되는 관부(31)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관부(31)는 상기 발화공간(S1)과 이격되는 통로(S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몸체부(10)는, 상기 몸체부(10)에서 형성되는 상기 발화공간(S1)의 상기 폭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S3)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S3)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되는 관부(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관부(31)의 직경은, 상기 발화공간(S1)의 상기 폭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S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관부(31)는, 상기 발화공간(S1)내부에서 상기 관통홀(S3)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관부(31)의 직경이 상기 관통홀(S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같아서, 상기 관부(31)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발화공간(S1)내부로 삽입되는 구성 또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관부(31)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되되, 중공을 형성하여 상기 발화공간(S1)과 이격되는 통로(S4)를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도 1 내지 도 6에서, 관통홀(S3)의 도시를 위해,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관부(31)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상기 관통홀(S3)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10)와 상기 관부(31)는 상호 용접되어 간극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따라서, 외부 공기는 관부(31)의 통로(S4)를 지나 다시 외부로 배출될 뿐, 관부(31)의 통로(S4)에서 발화공간(S1)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관통홀(S3)은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다각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S3)의 형태와 동일하게 관부(31)의 단면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홀(S3)에 삽입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관부(31)는 상기 통로(S4)를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통로(S4)를 통하여 유입 및 유출 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관부(31)는,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상기 통로(S4)에 유입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부(31)는,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열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 공기로 전달 되어, 발화공간(S1)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고온으로 인한 화재나 안전사고를 예방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캠핑용 스토브(1)는, 상기 관부(31)와 연결되는 관연결부(32)를 구비하여, 난방의 기능도 구현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우선, 상기 관연결부(32)는, 공지된 연통 중 임의의 한 종류 일 수 있으며, 상기 관연결부(32)는, 상기 관부(31)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관연결부(33) 및 상기 관부(31)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관연결부(34)를 구비할 수있으며, 상기 관연결부(32)는, 상기 몸체부(10)에 삽입된, 상기 관부(31)의 일측과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연결부(32)의 직경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관연결부(32)는, 상기 관부(31)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 될 수도 있을 것이며, 상기 관연결부(32)는, 상기 관통홀(S3)을 외부에서 포위하며 상기 몸체부(10)와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관연결부(32)는, 상기 관통홀(S3)을 외부에서 포위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된 형태로 기술할 것이나, 상기 관연결부(32)가 상기 관통홀(S3)을 통과하여 상기 관부(31)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연결 되는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 제1관연결부(33)의 일측은, 상기 관통홀(S3)을 외부에서 포위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관부(31)의 일측과 연통되며, 상기 제1관연결부(33)의 타측은,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제1관연결부(33)를 통해 상기 관부(31)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관연결부(33)로부터 상기 관부(31)로 유입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부 공기는, 상기 관부(31)를 통과할 때,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된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열을 전달 받아, 상기 관부(31)를 통과한 외부 공기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제2관연결부(34)의 일측은, 상기 관통홀(S3)을 외부에서 포위하며,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몸체부(10)와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유출되는 상기 관부(31)의 타측과 연통되며, 상기 제2관연결부(34)의 타측은, 외부와 연통되게 하여, 상기 제2관연결부(34)는, 상기 관부(31)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관연결부(34)의 타측은, 텐트(70)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텐트(70) 내부로 유출되어, 텐트(70) 내부의 온도가 상승 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만으로 텐트(70) 내부의 난방을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부(31)는, 하부몸체부(30)가 형성하는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40)와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부(31)는, 곡률을 형성하여,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를 상기 연결부(40)로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2및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관통홀(S3)은 상기 하부몸체부(30)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부(31)는, 상기 하부몸체부 내부에서, 상기 관통홀(S3)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부(30)에서 상기 관통홀(S3)이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연결부(40)와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는 위치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홀(S3)을 상기 하부몸체부(30) 내부에서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 삽입되는 상기 관부(31)는, 상기 연결부(40)와 상기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부(31)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표면에 곡률을 가질 수 있어서, 상기 발화공간(S1)에서 발생 된 열 및 연기가 상기 연결부(40)로 이동 될 시, 상기 관부(31)의 표면의 곡률을 따라 이동 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관부(31)는 상기 열 및 연기가 상기 연결부(40)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외부 공기는, 상기 하부몸체부(30)의 측면 중,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된 측면이 아닌, 상기 연결부(40)와 연통되지 않은 측면에서 형성되는 공기유입홀(S7)로 유입되고, 상기 외부 공기는, 발화공간(S1)으로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발화공간(S1)에서 형성된 열 및 연기는, 상기 관부(31)의 표면의 곡률을 따라 상기 연결부(40)로 이동되며, 상기 연결부(40)에서 상기 내부공간(S2)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부(50)에서 외부로 배출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리부(60)는,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본체부(61)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본체부(61)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연장부(62)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리부(60)는, 상호 이격되어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다리본체부(61)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본체부(61)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연장부(62)를 더 구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62)에서 상기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폭방향의 이웃하는 다리연장부(62)와 연결되어 상호 지지되도록, 연장지지부(6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지지된다'는 것은, 다리연장부(62)와 폭방향으로 이웃하는 다른 다리연장부(62)는 상기 연장지지부(6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다리연장부(62)와 폭방향의 이웃하는 다른 다리연장부(62)가 연장지지부(63)에 의해 상호 보완적으로 지지됨을 의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62)는, 상기 다리본체부(61)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부(10)의 상기 폭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 될 수 있다.
이는,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리연장부(62)는, 상기 다리본체부(6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리본체부(61)와 힌지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를 형성하는 방법은 공지된 여러 방법 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62)는, 폭방향의 이웃하는 다른 다리연장부(62)를 연결하는 연장지지부(63)가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다리연장부(62)의 회전 방향은 폭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 일 수 있으며, 상기 연장지지부(63)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다리연장부(62)는 이웃하는 다른 다리연장부(62)와 연동되어 회전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다리연장부(62)와 이웃하는 다리연장부(62)를 연결하는 연장지지부(63)가 형성되는 방향을 폭방향으로 한정하였으나, 상기 연장지지부(6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다리연장부(62)와 이웃하는 길이 방향의 다른 다리연장부(62)가 연결되어 상호 지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다리연장부(62)와 상기 다리본체부(61)가 힌지에 의해 결합될 경우, 힌지에 의한 회전 방향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방향 일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연장부(62)는, 지면과 맞닿는 일측에 지면과 평행하되, 홈(S5)을 형성하는 돌출부(64)를 더 구비하며, 체결부재(T)가 상기 홈(S5)을 통하여 지면과 결합되어, 상기 다리연장부(6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부분 확대도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다리연장부(62)의 지면과 맞닿는 일측에는, 지면과 평행한 돌출부(64)를 구비 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64)는 홈(S5)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T)는, 상기 홈(S5)을 통과하며 지면과 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T)와 지면이 결합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64)는 위치 고정 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64)를 구비하는 상기 다리연장부(62)도 위치 고정되어 상기 캠핑용 스토브(1)가 위치 고정 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캠핑용 스토브
10: 몸체부
20: 상부몸체부, 30: 하부몸체부
31: 관부
32: 관연결부, 33: 제1관연결부, 34: 제2관연결부
37: 화로덮개
40: 연결부41: 제1연결부, 42: 제2 연결부
50: 배출부
60: 다리부
61: 다리본체부, 62: 다리연장부, 63: 연장지지부, 64: 돌출부
S1: 발화공간
S2: 내부공간
S3: 관통홀
S4: 통로
T: 체결부재
S5: 홈
S6:'ㄷ'자공간
S7: 공기유입홀
S8: 제1 중공
S9: 제2 중공
70: 텐트

Claims (10)

  1. 캠핑용 스토브에 있어서,
    내부에 연료가 연소되는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며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가 외부로 나가도록, 상기 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발화공간을 형성하는 하부몸체부;
    상기 하부몸체부와 이격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상부몸체부; 및
    상기 하부몸체부와 상기 상부몸체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몸체부는,
    상기 하부몸체부의 폭방향을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관통홀을 포위하며, 상기 발화공간에 삽입되는 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관부는,
    상기 발화공간과 이격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통로 상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며,
    상기 관부는,
    상기 연결부와 높이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관부는,
    곡률을 형성하여,
    상기 발화공간의 열 및 연기를 상기 연결부로 가이드하는,
    캠핑용 스토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상부몸체부 상에 형성되는,
    캠핑용 스토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결부와 높이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지 않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는,
    캠핑용 스토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공간에서 발생되는 열 및 연기는,
    상기 하부몸체부의 상기 발화공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상부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배출부로 이동되는,
    캠핑용 스토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몸체부 상측에서 높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중공을 형성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상부몸체부 하측에서 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2 중공을 형성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높이방향으로 오버랩되며,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2 연결부가 형성하는 상기 제2 중공에 삽입되며,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되는,
    캠핑용 스토브.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호 이격되어 연장되는 복수 개의 다리본체부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상기 다리본체부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다리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다리연장부는,
    상기 다리본체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되는,
    캠핑용 스토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연장부는, 지면과 맞닿는 일측에 지면과 평행하되, 홈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체결부재가 상기 홈을 통하여 지면과 결합되어,
    상기 다리연장부의 위치가 고정되는,
    캠핑용 스토브.
KR1020210046684A 2021-04-09 2021-04-09 캠핑용 스토브 KR10244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84A KR102447699B1 (ko) 2021-04-09 2021-04-09 캠핑용 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684A KR102447699B1 (ko) 2021-04-09 2021-04-09 캠핑용 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699B1 true KR102447699B1 (ko) 2022-09-27

Family

ID=8345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684A KR102447699B1 (ko) 2021-04-09 2021-04-09 캠핑용 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6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87A (ko) * 1999-10-09 2000-01-15 박종화 절첩식 텐트
KR200438301Y1 (ko) *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140104204A (ko) * 2013-02-20 2014-08-28 김남준 온풍기 겸용 화목 보일러 장치
KR20160060300A (ko) * 2014-11-20 2016-05-30 김창영 난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287A (ko) * 1999-10-09 2000-01-15 박종화 절첩식 텐트
KR200438301Y1 (ko) * 2006-12-21 2008-02-11 김정호 높은 가온효율을 지닌 고체연료용 난로
KR20140104204A (ko) * 2013-02-20 2014-08-28 김남준 온풍기 겸용 화목 보일러 장치
KR20160060300A (ko) * 2014-11-20 2016-05-30 김창영 난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4879A1 (en) Pellet burning fire pit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CN103528100B (zh) 野餐炉
KR101306785B1 (ko) 펠렛 히터
WO2011136629A2 (en) Solid fuel fired boiler with a gas burner for household use and gas combustion method
KR101640029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KR20050087575A (ko) 연탄겸용 화목보일러 및 그 제조방법
KR102447699B1 (ko) 캠핑용 스토브
KR101622275B1 (ko) 컨테이너 바닥에 구비되는 조립형 구들보일러
CN201412953Y (zh) 一种锅炉
KR101829683B1 (ko) 구들침대
KR20230004226A (ko) 기능성 캠핑용 화로
CN102434894B (zh) 增氧节能多燃料回风炉
KR101622270B1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KR10137931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장치
KR101290820B1 (ko) 승강식 고체연료 보일러
CN102954497B (zh) 便携式生物质炊事炉
KR20110000023A (ko) 각종연료가 사용되는 겸용보일러
CN101619860B (zh) 自动添加燃料的柴草炉灶
KR102399003B1 (ko) 휴대용 보일러
RU2289069C1 (ru) Печь для обогрева помещения
KR200475915Y1 (ko) 화목난로용 연소장치
KR101099475B1 (ko) 하향 연소식 나무 보일러
KR20090129658A (ko) 연탄 화목 및 전기 겸용 보일러
CN202328394U (zh) 双进气管燃气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