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827B1 -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 Google Patents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827B1
KR102591827B1 KR1020230065210A KR20230065210A KR102591827B1 KR 102591827 B1 KR102591827 B1 KR 102591827B1 KR 1020230065210 A KR1020230065210 A KR 1020230065210A KR 20230065210 A KR20230065210 A KR 20230065210A KR 102591827 B1 KR102591827 B1 KR 10259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thermal power
stove
power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박다희
Original Assignee
박기주
박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주, 박다희 filed Critical 박기주
Priority to KR102023006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2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o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24B1/24Ranges with built-in masses for heat storage or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목을 연소하여 조리하기 위한 쿡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는 화목을 연소하기 위해 화목이 투입되는 스토브본체, 상기 스토브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화목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화염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형태로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부, 상기 스토브본체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연통구, 및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화력조절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력조절부와 상기 연통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화력조절부로 안내하는 화염가이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열효율을 높이고 제조단가를 낮춰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A cook stove that minimizes greenhouse gas emissions by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본 발명은 화목을 연소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쿡스토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해 가스레인지를 많이 사용하지만, 상대적으로 가스는 취급이 어렵고 가스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스를 사용하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주변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화목을 연소하여 발생하는 화염에 의해 조리한다.
그러나, 화목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지만, 화목은 열효율이 낮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목의 열효율을 높여 조리할 수 있는 스토브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60867호(2022.2.4.공고)에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로 개시된 바가 잇다.
상기한 종래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하부 둘레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외부유입공이 형성된 로어아우터; 내부가 빈 형상으로, 상기 로어아우터의 내부에 이격 배치되고, 하부 바닥면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1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1 통공이 형성된 로어이너;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지니며, 상기 로어아우터에 적층되는 어퍼아우터;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상기 로어이너에 적층되어 상기 어퍼아우터 내측에 위치하되, 상부 둘레에 유입된 상기 외부공기를 2차 연소에 사용하도록 공급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어퍼이너; 상기 로어이너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이너를 상기 로어아우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너스탠드; 및 상기 로어이너와 상기 이너스탠드 사이에 장착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통공의 개폐정도를 조절하여 화력을 제어하는 에어컨트롤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2중의 이동경로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화력조절이 가능한 분리형 이중연소 스토브는 상대적으로 작은 조리용구를 안착시킬 경우, 주변 둘레에서 화염이 분출되면서 열효율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가 없어 외부와의 열교환이 이뤄짐에 따라 열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기가 2중적으로 이동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화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목의 소화 후에는 조리용구의 열을 공급할 수 없어 조리용구가 오랜기간동안 보온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용구에서 음식물이 넘쳐 흐를 경우, 음식물이 열에 의해 눌러 붙으면서 청소가 어려워 청결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토브본체에 연통구를 형성하여 신속한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고, 연통구에 화염가이드를 설치하여 연통구로 배기되는 화염을 화력조절부로 제공하기 때문에 신속한 외기의 이동에 따른 화목의 연소성을 높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는 스토브본체의 화염을 화력집중커버에 의해 중앙으로 모아 분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조리용구의 둘레로 열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력집중커버의 둘레에 열손방지커버가 설치되어 화력집중커버를 통해 방출되는 열을 열손방지커버의 내부에 가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력집중커버의 내주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잠열재를 수용하는 잠열재수용부를 구성하여 화염에 의해 가열된 잠열재에 의해 조리용구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열재의 교체에 따라 조리용구에서 흘러내린 이물질에 의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브본체의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열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켜 보급률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는 화목을 연소하기 위해 화목이 투입되는 스토브본체, 상기 스토브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화목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화염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형태로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부, 상기 스토브본체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연통구, 및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화력조절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력조절부와 상기 연통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화력조절부로 안내하는 화염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브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화염의 열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력조절부의 상부로 조리용구가 이격되어 안착되는 용구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구안착부는 상기 화력조절부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조리용구의 중앙으로 집중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화력조절부의 둘레에서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좁아지는 형상의 화력집중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구안착부는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둘레에 열을 가둬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둘레를 둘러싸는 열손방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구안착부는 상기 화목의 소화 후에도 상기 용구안착부에 안착된 조리용구에 장시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잠열재를 수용하는 잠열재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통구를 형성하여 신속한 외기의 흐름을 형성하고, 연통구에 화염가이드를 설치하여 연통구로 이동하는 화염을 화력조절부로 제공함으로써, 화목의 연소성을 높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력조절부의 둘레에 화력집중커버가 설치되어 화력집중커버에 의해 화력을 중앙으로 집중시켜 조리용구로 공급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조리용구에도 화염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력집중커버의 둘레에 열손방지커버가 설치되어 화력집중커버를 통해 배출되는 화염을 열손방지커버의 내부에 가둬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력집중커버에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잠열재가 수용되는 잠열재수용부가 구성되어 화력집중커버로 분출되는 화염의 열에 의해 잠열재가 가열됨으로써, 화목의 소화후에도 오랜기간 조리용구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열재의 용이한 교체가 가능하여 조리용구에서 음식물이 흘러넘치는 경우, 이물질이 화력집중커버에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브본체의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되어 외부와의 열교환을 단열하기 때문에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켜 보급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화력조절부에 의해 화력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화목을 연소됨에 따른 화염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스토브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스토브본체(110)는 화목을 수용하며 수용된 화목을 태워 발생하는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스토브본체(110)는 다각 또는 원의 내부가 빈 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브본체(110)의 측면 하부에는 화목을 스토브본체(110)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111)로는 화목을 스토브본체(110)의 내부로 도입할 수도 있지만, 화목을 연소하기 위한 외기를 공급할 수도 있으며, 투입구(111)로는 화목을 연소하고 남은 재를 외부로 반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스토브본체(110)에서는 화목을 연소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화목 외에 펠릿, 조개탄 등의 가연성물질이 투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투입구(111)에는 투입구(111)를 개폐함과 동시에 개도에 따라 스토브본체(110)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도어(113)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스토브본체(110)에는 개폐도어(113)에 의해 투입구(111)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스토브본체(110)의 내부로 외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스트브본체(110)의 바닥 또는 측면 둘레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구(미도시)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스토브본체(110)의 바닥에 외기구가 관통형성될 경우, 스토브본체(110)에는 스토브본체(110)를 바닥에서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본체받침부가 하부로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스토브본체(110)에는 화목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연통구(115)가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연통구(115)는 스토브본체(110)의 상부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115)에는 스토브본체(110)가 설치되는 위치(실내 또는 실외)에 따라 연통구(115)로 배기되는 연기를 원거리로 배기하기 위한 덕트 또는 파이프 형태의 연통이 연결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화력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력조절부(120)는 스토브본체(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스토브본체(110)에서 분출되는 화염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조리용구를 가열하는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화력조절부(120)는 스토브본체(110)의 상부에 화염이 상부로 분출되는 화염분출공(121)을 형성하고, 화염분출공(121)에서 이동하는 화력조절부재(123)를 통해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화염분출공(121)은 스토브본체(110)의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례의 화력조절부재(123)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의 화염분출공(121)과 대응되는 개도조절공(124)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 화염분출공(121)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개도조절공(124)과 화염분출공(121)이 겹쳐지는 크기에 따라 화염분출공(121)의 개도를 조절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일례의 화력조절부재(123)의 측면에는 스토브본체(110)의 외부에서 화력조절부재(123)를 회전시켜 화염분출공(121)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화력조절손잡이(125)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화력조절부재(123)는 개도조절공(124)과 화염분출공(121)이 완전히 일치하는 경우에는 최대 화력을 제공하고, 개도조절공(124)과 화염분출공(121)이 서로 완전히 어긋나 화염분출공(121)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화염의 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력조절부(120)은 화목을 초기에 착화 시에는 화력조절부재(123)을 통해 화염분출공(121)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 투입구(111)로 유입되는 외기가 화력조절부(120)를 거치지 않고 바로 연통구(115)로 배기되도록 함으로써, 초기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고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연기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화목이 안정적으로 착되면, 화력조절부재(123)을 통해 화염분출공(121)을 개방하여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조리용구로 화염을 제공함으로써, 불완전 연소로 인한 연기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화력조절부(120)는 스토브본체(110)의 상부를 개방형성하고, 화력조절부(120)를 개방된 스토브본체(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스트보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화염가이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염가이드(140)는 스토브본체(110)의 내부에서 연통구(115)가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스토브본체(110)의 화염이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지 않고 바로 연통구(115)를 통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염가이드(140)는 스토브본체(110)의 내부에서 연통구(115)를 일부 가리는 형태로 설치되어 스토브본체(110)의 바닥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화염가이드(140)에 부딪히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고, 화염의 연기는 화염가이드(140)의 상단을 넘어 연통구(115)를 통해 배기되는 형태로 화염이 연통구(115)를 통해 바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화염가이드(140)는 스토브본체(110)의 연통구(115)의 하단에서 상부를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하였지만, 연통구(115)와 나란하도록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용구안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용구안착부(130)는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조리용구를 가열하도록 조리용구가 안착될 수 있다.
용구안착부(130)는 화력조절부(120)에서 조리용구를 상부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조리용구가 안착될 수 있으며, 화염의 열을 집중하거나, 열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조리용구는 음식을 가열조리하기 위해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프라이팬 또는 냄비 등일 수 있다.
용구안착부(130)는 스토브본체(11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스토브본체(110)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용구안착부(130)는 화력집중커버(131)와 열손방지커버(135)를 포함할 수 있다.
화력집중커버(131)는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을 중앙으로 집중하여 조리용구를 가열할 수 있다.
화력집중커버(131)는 화력조절부(120)의 둘레를 둘러 싸는 커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력집중커버(131)는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이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상부로 갈수록 둘레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 둘레에는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에 조리용구가 안착되면 상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화염이 외부로의 분출을 유도할 수 있는 집중커버공(132)이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화력집중커버(131)는 잠열재수용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잠열재수용부(138)는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 내주를 따라 형성되어 잠열재가 수용될 수 있으며, 잠열재수용부(138)는 화력집중커버(131)에서 분출되는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잠열재수용부(138)은 상부가 개방되어 잠열재가 노출되도록 하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 내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잠열재수용부(138)에 수용되는 잠열재(138a)는 화력집중커버(131)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의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잠열재(138a)는 가열된 열을 보유하여 화목의 소화 후에도 조리용구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오랜 기간 조리용구를 보온하여 음식물이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잠열재(138a)는 입자형태일 수 있으며, 잠열재(138a)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모래 또는 흙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잠열재(138a)는 조리용구에서 넘쳐 흐르는 음식물이 잠열재(138a)로 떨어지면서, 가열된 화력집중커버(131)에 음식물이 떨어져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열재(138a)에 음식물이 떨어지는 경우, 잠열재(138a)는 잠열재수용부(138a)에서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이 떨어져 오염된 잠열재(138a)를 제거한 후, 새로운 잠열재(138a)를 잠열재수용부(138)에 채우는 형태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잠열재수용부(138)의 내주의 상단은 잠열재수용부(138)의 외주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조리용구를 안착시 잠열재수용부(138)의 내주의 상단이 조리용구의 바닥에 밀착됨으로써, 조리용구에서 흘러내리는 음식물이 잠열재수용부(138)로 떨어지도록 안내될 수 있다.
열손방지커버(135)는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를 둘러싸 화력집중커버(131)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화염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손방지커버(135)는 열손방지커버(135)는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와의 사이에 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화력집중커버(131)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점 둘레가 넓어지는 커버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열손방지커버(135)는 열의 외부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도하지만,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에도 조리용구가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 둘레보다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 둘레가 더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 둘레보다 작은 조리용구는 화력집중커버(131)에 안착되고,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 둘레보다 큰 조리용구는 열손방지커버(135)에 안칙되는 형태로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구를 용구안착부(130)에 안착시켜 조리할 수 있다.
이때, 열손방지커버(135)의 높이와 화력집중커버(131)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열손방지커버(135)의 둘레보다 큰 조리용구를 안착시켰을 때, 열손방지커버(135)와 화력집중커버(131)의 사이에 조리용구에 의해 밀폐되어 열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 둘레에는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에 조리용구가 안착되었을 때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방지커버공(136)이 복수 개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단열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열재(150)는 스토브본체(110)에서 발생하는 화염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할 수 있다.
단열재(150)는 내연성과 단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열재(150)는 예를 들어 진흙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로 스토브본체(110)의 내주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단열재(150)는 상하가 관통된 원통형상 또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토브본체(110)의 내주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단열재(150)에는 스토브본체(110)에 형성되는 투입구(111)와 외기구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관통형되어 스토브본체(110)의 내부로 화목을 투입하거나, 외기가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통형상의 스토브본체(110)에 화목을 투입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투입구(111)에는 투입구(11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113)가 설치된다.
스토브본체(110)의 상부 둘레에는 화염의 발생에 따라 배연하는 연통구(115)가 형성되며, 연통구(115)에는 원거리로 연기를 배기하기 위한 연통이 설치될 수도 있으며, 스토브본체(110)의 내주에는 외부와 단열하기 위한 단열재(150)가 설치된다.
스토브본체(110)의 상면에는 화목의 연소에 따라 발생하는 화염의 화력을 조절하여 조리용구로 제공하는 화력조절부(120)가 구성된다.
화력조절부(120)는 화염을 분출하는 화염분출공(121)이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스토브본체(110)의 상면에 관통 형성되며, 복수 개의 화염분출공(121)에는 화염분출공(121)와 대응되는 개도조절공(124)가 형성된 화력조절부재(123)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화염분출공(12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화력조절부재(123)에는 스토브본체(110)의 외부에서 관통하여 화력조절손잡이(125)가 연결됨에 따라 스토브본체(110)의 외부에서 화력조절손잡이(125)를 통해 화력조절부재(123)를 회전시킴으로써,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스토브본체(110)의 내부에는 화목에서 발생한 화염이 화력조절부(120)를 통하지 않고 연통구(115)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화염가이드(140)가 설치되며, 화염가이드(140)는 연통구(115)와 화력조절부(120)의 사이에 판의 형태로 위치하여 화염가이드(140)에 의해 화염이 화력조절부(120)로 안내된 뒤 연통구(115)를 통해 분출되거나 배연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브본체(110)의 상부에는 조리용구가 안착되는 용구안착부(130)가 설치되며, 용구안착부(130)는 화력조절부(120)의 둘레에 화력집중커버(131)가 설치되며,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에는 열손방지커버(135)가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화력집중커버(131)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고, 화력집중커버(131)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화력집중커버(131)의 내주에는 내주를 따라서 잠열재(138a)를 수용하는 잠열재수용부(138)이 구성될 수 있으며, 잠열재수용부(138)에는 입자형태의 잠열재(138a)가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도어(113)를 통해 투입구(111)를 개방한 상태에서 화염을 발생할 화목을 투입하고 화목을 점화한다.
이때, 화목을 초기 점화할 때, 화력조절부재(123)을 통해 화염분출공(121)를 밀폐한 상태에서 화목을 점화하는 데, 화염분출공(121)이 폐쇄되면, 투입구(111)로 유입되는 외기가 모두 화력조절부(120)를 통하지 않고 신속하게 연통구(115)로 배출되어 화목의 불완전 연소에 따른 연기가 화염분출공(121)을 통해 분출되는 것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분출공(121)을 밀폐한 상태에서 화목이 안정적으로 점화된 경우, 화력조절부재(123)을 통해 화염분출공(121)을 개방한다.
화염분출공(121)이 개방되면, 스토브본체(110)에 형성된 투입구(111) 또는 외기구를 통해 스토브본체(110)의 내부로 외기가 공급되면서, 화목이 연소되고, 화목의 화염이 상승하면서, 연통구(115)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 하는 데, 연통구(115)에는 화염가이드(140)가 설치되어 화염이 화염가이드(140)에 의해 연통구(115)로 바로 진입하지 못하고, 스토브본체(110)의 상부를 거친다.
스토브본체(110)의 상부로 진입하는 화염은 화력조절부재(123)의 개도조절공(124)과 화염분출공(121)을 순차적으로 거치고, 화염분출공(121)을 통해 분출된다.
화염분출공(121)으로 화염이 분출되면, 조리용구를 용구안착부(130)에 안착시키는 데, 조리용구의 크기에 따라 화력조절부(120)의 둘레를 감싸는 화력집중커버(131)의 상부에 안착시키거나,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를 감싸는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조리용구가 용구안착부(130)에 안착되면, 화염분출공(121)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이 화력집중커버(131)에 의해 중앙으로 모이도록 안내되면서, 조리용구의 중앙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한다.
물론, 화력집중커버(131)을 통해 분출되는 화염은 화력집중커버(131)의 내주 둘레에 위치하는 잠열재수용부(138)도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잠열재가 열을 축적한다.
그리고, 화력집중커버(131)에서 분출되는 화염은 화력집중커버(131)의 집중커버공(132)을 통해 열손방지커버(135)의 사이로 넘어가고 조리용구가 열손방지커버(135)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가질 경우,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를 통해 외부로 방열된다.
여기서, 열손방지커버(135)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갖는 조리용구일 경우, 큰 둘레를 갖는 조리용구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량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때문에 열손방지커버(135)에 의해 열을 보존할 필요 없이 조리용구의 둘레를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반면, 조리용구의 둘레가 열손방지커버(135)의 둘레보다 큰 경우, 열손방지커버(135)의 상부에 조리용구가 안착되는 데, 이때, 화력집중커버(131)에 모인 화염은 집중커버공(132)을 통해 화력집중커버(131)와 열손방지커버(135)의 사이에 머무르면서 열손실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조리용구를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열손방지커버(135)와 화력집중커버(131)의 사이로 유입된 화염의 일부는 열손방지커버(135)에 형성된 방지커버공(136)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형태로 조리용구를 가열하면서 외부로 유출되는 열을 최소화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
조리용구를 통해 음식물을 조리 중에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스토브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 화력조절손잡이(125)를 화력조절부(120)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화력조절부재(123)가 화염분출공(121)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일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화력집중커버(131)로 분출되는 화염을 조절한다.
한편, 조리용구에 의해 요리가 종료되면, 투입구(111)의 개폐도어(113)를 폐쇄하고, 화력조절부(120)의 화염분출공(121)을 화력조절부재(123)를 통해 폐쇄하여 화목의 화염을 소화한다.
이때, 화목의 화염이 소화되더라도 잠열재(138a)는 화염에 의해 가열되어 화염의 열을 보유하기 때문에, 조리용구의 온도를 보호하여 장시간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염을 통해 음식물을 조리할 때, 음식물이 넘치면, 조리용구의 외면을 따라 조리용구의 바닥으로 떨어지고, 조리용구의 바닥에는 화력집중커버(131)의 내주의 상향된 끝단이 밀착되기 때문에 화력집중커버(131)의 화염이 분출하는 화력집중커버(131)의 내주로는 유입되지 않고, 잠열재수용부(138)로 떨어져 잠열재(138a)로 유입된다.
이렇게 음식물이 잠열재로 유입되면, 음식물이 스토브분체(110) 또는 용구안착부(130)에 떨어져 열에 의해 눌러 붙거나 타서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열재(138a)에 음식물이 떨어져 잠열재(138a)가 오염된 경우, 잠열재수용부(138)에서 잠열재(138a)를 제거한 후 다시 새로운 잠열재(138a)를 채우는 형태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100)는 스토브본체(110)에 연통구(115)를 형성하여 설치 위치가 실내인 경우, 연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력조절부(12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화목의 점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화목의 초기 착화 시에 화염분출구(121)을 통해 연기가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통구(115)로 이동하는 화염을 화염가이드(140)를 통해 화력조절부(120)가 위치한 방향으로 안내하여 조리용구를 가열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조리용구로 제공되는 화력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온도로 다양한 음식을 용이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조리용구가 안착되는 용구안착부(130)가 화력집중커버(131)와 열손방지커버(135)로 구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구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킴으로써, 조리 시 조리용구의 이탈로 인한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력조절부(120)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이 화력집중커버(131)에 의해 중앙으로 모여 분출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조리용구의 둘레로 화염의 유출을 최소화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력집중커버(131)의 둘레에 열손방지커버(135)가 설치되어 열손방지커버(135)의 내부에 열을 가둠으로써, 열효율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력집중커버(131)에 잠열재가 수용되는 잠열재수용부(138)이 형성되어 화염집중커버(131)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화염에 의해 잠열재(138a)를 가열하여 열을 축적함으로써, 소화 후에도 잠열재(138a)의 축적된 열에 의해 조리용기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를 넘치는 음식물이 잠열재(138a)로 떨어지고 잠열재(138a)는 쉽게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음식물의 눌러 붙음에 따른 오염발생을 최소화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열효율이 높이면서 제작비용을 감소시켜 보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110: 스토브본체 111: 투입구
113: 개폐도어 115: 연통구
120: 화력조절부 121: 화염분출공
123: 화력조절부재 124: 개도조절공
125: 화력조절손잡이 130: 용구안착부
131: 화력집중커버 132: 집중커버공
135: 열손방지커버 136: 방지커버공
138: 잠열재수용부 138a: 잠열재
140: 화염가이드 150: 단열재

Claims (6)

  1. 화목을 연소하기 위해 화목이 투입되는 스토브본체,
    상기 스토브본체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화목의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화염의 분출량을 조절하는 형태로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부,
    상기 스토브본체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연통구,
    상기 스토브본체에서 발생하는 화염이 상기 화력조절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력조절부와 상기 연통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연통구로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화력조절부로 안내하는 화염가이드, 및
    상기 화력조절부의 상부로 조리용구가 이격되어 안착되는 용구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구안착부는
    상기 화력조절부를 통해 분출되는 화염을 상기 조리용구의 중앙으로 집중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화력조절부의 둘레에서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좁아지는 형상의 화력집중커버 및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둘레에 열을 가둬 열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둘레를 둘러싸며 다양한 크기의 조리용구를 안착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둘레가 넓어지는 형상의 열손방지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화력집중커버는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상부에 상기 조리용구가 안착되면 상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화염이 외부로의 분출을 유도하도록 상기 화력집중커버의 둘레를 따라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집중커버공을 포함하고,
    상기 열손방지커버는 상기 열손방지커버의 상부에 조리용구가 안착되었을 때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열손방지커버의 둘레를 따라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방지커버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브본체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화염의 열을 단열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구안착부는
    상기 화목의 소화 후에도 상기 용구안착부에 안착된 조리용구에 장시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잠열재를 수용하는 잠열재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1020230065210A 2023-05-19 2023-05-19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10259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210A KR102591827B1 (ko) 2023-05-19 2023-05-19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210A KR102591827B1 (ko) 2023-05-19 2023-05-19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827B1 true KR102591827B1 (ko) 2023-10-23

Family

ID=88508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210A KR102591827B1 (ko) 2023-05-19 2023-05-19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8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047B1 (ko) * 1997-03-19 1999-06-15 채수린 벽난로
KR200312302Y1 (ko) * 2003-02-05 2003-05-09 김진석 흡기구를 갖는 구이기의 가열구조
KR101721369B1 (ko)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101852716B1 (ko) * 2017-03-21 2018-04-26 전희성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047B1 (ko) * 1997-03-19 1999-06-15 채수린 벽난로
KR200312302Y1 (ko) * 2003-02-05 2003-05-09 김진석 흡기구를 갖는 구이기의 가열구조
KR101721369B1 (ko) * 2016-07-08 2017-03-30 전희성 보조요리를 겸하는 구이 화덕
KR101852716B1 (ko) * 2017-03-21 2018-04-26 전희성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460B1 (en) Radiant tube broiler
US7644711B2 (en) Spark arrestor and airflow control assembly for a portable cooking or heating device
EP2941160B1 (en)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US7117866B2 (en) Multi-faceted grill
KR100645031B1 (ko) 하향식 직화 구이 장치
CA3136970C (en) Longitudinal burn pot assembly and improved air flow system
KR101634362B1 (ko) 하향 연소식 펠렛난로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2591827B1 (ko)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200169830Y1 (ko) 전기점화식 숯불구이기
JP4681021B2 (ja) 網焼き式ガスロースター
US20170251875A1 (en) Convection barbeque cooking apparatus
TW201440707A (zh) 加熱調理器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1273480B1 (ko) 이중난로
KR101634360B1 (ko) 상하향 연소식 고형난로
KR101428964B1 (ko) 직화구이기
KR100495670B1 (ko) 상업용 가스밥솥의 버너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KR20190048426A (ko) 가스 점화유닛을 가지는 숯불 로스터
KR102652988B1 (ko) 이중연소 화로
KR102294529B1 (ko) 매직 가스 로스터
KR20190001578A (ko) 화덕 겸용 난로
KR102412513B1 (ko) 자동 반복 연소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