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006B1 - 풍로 구이기 - Google Patents
풍로 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006B1 KR102212006B1 KR1020190068451A KR20190068451A KR102212006B1 KR 102212006 B1 KR102212006 B1 KR 102212006B1 KR 1020190068451 A KR1020190068451 A KR 1020190068451A KR 20190068451 A KR20190068451 A KR 20190068451A KR 102212006 B1 KR102212006 B1 KR 1022120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blowing
- furnace
- chamber
- blowing chamb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로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에 구비된 화덕(20); 상기 화덕(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블로잉홀(26);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상기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26)과 연통되는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로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용기에 담긴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을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풍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구이기는 숯불을 주열원으로 하여 석쇠위에서 고기를 굽는 기계로, 석쇠에서 숯불에 의해 고기를 구울 때에는 기름이 타서 연기가 발생되고, 냄새가 사방으로 퍼지기 때문에 가정에서는 먹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서 숯불구이를 전문적으로 하는 전문식당에 가서 숯불구이 육류를 섭취하게 된다. 한편, 숯불구이기 앞에 앉아서 손님들이 직접 구워서 먹는 경우도 있지만 가능한 숯불구이를 빨리 섭취하도록 전문식당에서 숯불구이기에서 숯불로 육류를 구워서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기존에는 숯불구이기에서 숯용기에 담긴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숯 전체에 불이 고르게 붙지 못함으로 인하여 대상 육류의 구이에 있어서 빠르게 구이가 되지 못하여 여러모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의 숯불구이를 위하여 숯용기에 담긴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류가 고르게 구워지면서도 빠르게 구이가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풍로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된 화덕; 상기 화덕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블로잉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가 제공된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은 상기 화덕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과 연통되는 에어 블로잉 챔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은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된 상기 화덕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는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의 양쪽 옆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는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의 단면적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는 상기 화덕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는 상기 화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덕의 형상은 리버스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덕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에어 블로잉홀이 구비되고, 상기 화덕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배치되도록 챔버 포밍판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 포밍판에 의해 상기 화덕의 하부에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가 확보되고, 상기 화덕의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에어 블로잉홀이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 내부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챔버 포밍판은 상기 화덕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가 상기 화덕의 저면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덕은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연료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수용부에 투입되는 연료는 숯이며, 상기 연료 수용부에 투입되는 숯의 높이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보다 낮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와 연통된 팬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로 이어진 에어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덕트에 상기 팬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은 시로코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에는 드레인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드레인 덕트는 상기 화덕의 위쪽에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 덕트와 상기 화덕 사이에 투입구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덕에는 거치바아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덕에는 좌우측 위치에 각각 바아 거치홈이 구비되어, 상기 바아 거치홈에 상기 거치바아의 양단부측이 안착되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된 화덕; 상기 화덕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블로잉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 블로잉홀은 상기 화덕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과 연통되는 에어 블로잉 챔버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블로잉홀은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된 상기 화덕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는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의 양쪽 옆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는 상기 메인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화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의 단면적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의 단면적보다 더 작도록 구성되며, 상기 화덕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블로잉 가이드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로잉 가이드판은 상기 화덕의 하부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는 숯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고기를 숯불 구이할 때에 숯의 일부만 불이 붙고 나머지는 제대로 불이 붙지 못하는 경우가 없이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게 되므로, 고기를 숯불 구이할 때에 시간이 빨라지며, 숯 전체에 고르게 붙은 불에 의해 숯불 구이를 하게 되므로, 고기가 잘 익으면서도 부분적으로 타지 않고 숯불 향이 고기에 잘 베이게 되어서 고기의 풍미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에어 블로잉 챔버와 화덕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에어 블로잉 챔버와 화덕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주요부인 화덕에 조리기구인 석쇠를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화덕에 거치바아를 걸쳐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부인 에어 블로잉 챔버와 화덕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에어 블로잉 챔버와 화덕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종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일측면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주요부인 화덕에 조리기구인 석쇠를 거치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화덕에 거치바아를 걸쳐놓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풍로 구이기의 주요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일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풍로 구이기는 메인바디(10)에 화덕(20)이 구비되고, 상기 화덕(20)에는 에어 블로잉홀(26)이 구비되고, 상기 화덕(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확보된다. 본 발명에서 메인바디(10)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된다. 메인바디(10)의 외표면에는 황토층(YS)이 구비된다. 황토층(YS)은 메인바디(10)의 외표면에 일정 두께로 황토를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바디(10)에 화덕(20)이 구비된다. 메인바디(10)의 상단부에 화덕(20)이 구비된다. 화덕(20)은 리버스돔(reverse dome) 형상으로 구성된다. 리버스돔 형상이라 함은 화덕(20)이 돔형상의 용기를 뒤집어놓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덕(20)은 내부에 연료 수용부가 구비되고, 연료 수용부는 화덕(20)의 상단부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화덕(20)의 상단 개방부에 의해 연료 수용부에 연료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화덕(20)에도 황토층(YS)이 구비된다. 화덕(20)의 내표면에 일정 두께로 황토를 도포하여 화덕(20) 황토층(Y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풍로 구이기에서 사용하는 연료는 숯으로서, 상기 화덕(20) 내부의 연료 수용부에 숯을 투입하게 된다. 본 발명의 풍로 구이기는 고기를 굽기 위한 연료로서 숯을 사용하므로 풍로 숯불 구이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덕(20)에는 바아 거치홈(24)이 구비된다. 화덕(20)의 내표면에 화덕(20) 황토층(YS)이 구비되는데, 화덕(20) 황토층(YS)에 바아 거치홈(24)이 형성됨으로써 화덕(20)에 바아 거치홈(24)이 구비된 구조가 된다. 상기 화덕(20)에 좌우 한 쌍의 바아 거치홈(24)이 구비된다. 상기 바아 거치홈(24)은 화덕(20) 황토층(YS)의 상단부와 내표면으로 연통되어 있어서, 상기 바아 거치홈(24)의 위쪽에서 거치바아(40)를 내려서 거치바아(40)의 양단부측을 한 쌍의 바아 거치홈(24)에 걸쳐서 화덕(20)에 거치바아(40)를 설치할 수 있다. 화덕(20)에서 뒤쪽과 가까운 위치에 거치바아(40)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단부에 드레인 덕트(50)가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덕트(50)와 메인바디(10)의 상단부 사이에는 투입구가 확보되는데, 상기 투입구는 메인바디(10)의 앞쪽과 드레인 덕트(50)의 하단부측으로 연통되고, 상기 거치바아(40)는 투입구에서 멀리 있는 위치인 화덕(20)의 뒤쪽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드레인 덕트(50)에는 미도시된 드레인팬이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화덕(20)의 아래면에도 황토층(YS)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화덕(20)에 구비된다.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에어 블로잉홀(26)이 연통된다. 화덕(20)의 외표면에서부터 화덕(20)의 내표면에 도포된 화덕(20) 황토층(YS)까지 에어 블로잉홀(26)이 연통되어, 상기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에어 블로잉홀(26)이 연통된 구조가 된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화덕(20)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덕(20)이 리버스돔 형상이므로 에어 블로잉홀(26)은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서 화덕(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화덕(20)에는 블로잉 가이드판(27)이 구비된다. 에어 블로잉홀(26)의 주위에 배치되도록 블로잉 가이드판(27)이 구비된다. 화덕(20)의 내부에 에어 블로잉홀(26)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블로잉 가이드판(27)이 구비된다. 상기 블로잉 가이드판(27)은 화덕(20)의 하부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화덕(20)의 내부에는 에어 블로잉홀(26)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은 블로잉 가이드판(27)과 상하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블로잉 가이드판(27)과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 사이에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이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화덕(20)의 앞쪽 내부에 구비된다. 블로잉 가이드판(27)과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도 화덕(20)의 앞쪽 내부에 구비된다. 화덕(20)의 앞쪽과 마주하는 뒤쪽에 상기 거치바아(40)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바아(40)와 마주하는 화덕(20)의 앞쪽에 에어 블로잉홀(26)과 블로잉 가이드판(27)과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이 구비된 구조가 된다.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 에어가 나온다면 화덕(20)의 앞쪽 내부에서 뒤쪽 내부 방향으로 에어가 블로잉되는 것이다. 즉, 상기 투입구 근처에 있는 화덕(20)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에어를 불어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에어 블로잉홀(26)과 연통되는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구비된다.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화덕(20)의 아래쪽에 배치되도록 챔버 포밍판(32)이 구비되어, 상기 챔버 포밍판(32)에 의해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형성된다. 즉, 화덕(20)의 아래면과 챔버 포밍판(32) 사이에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메인바디(10)에 구비된 상기 화덕(20)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와 연통되는데,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는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양쪽 옆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로 구성된다. 상기 화덕(20)을 위에서 볼 때에 화덕(20)의 중심부 근처에서 화덕(20)의 앞쪽까지 일정 구역의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가 구비되고, 화덕(20)의 중심부 근처에서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좌우 양쪽에 각각 하나씩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가 구비된다.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좌우 양쪽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화덕(20)의 중심부에서 화덕(20)의 앞쪽까지 일정 구역에 확보된다. 이때,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단면적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의 단면적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덕(20)을 종단면으로 볼 때에 가운데의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화덕(20)의 아래면 사이의 거리는 좌우 양쪽의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와 화덕(20)의 아래면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으므로,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단면적이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의 단면적보다 더 작다. 상기 화덕(20)은 리버스돔 형상으로 구성되어, 화덕(20)의 중심선에서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좌우 양쪽으로 갈수록 챔버 포밍판(32)의 상면에서 화덕(20)의 아래면이 점점 더 위로 올라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좌우 양쪽에서 좌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의 바깥 측면부로 갈수록 화덕(20)의 아래면이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에서보다 더 큰 거리로 점점 더 위쪽으로 올라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상기 화덕(2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메인바디(10)와 화덕(20)의 측단면도로 볼 때에 챔버 포밍판(32)이 화덕(20)의 아래면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상기 화덕(2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챔버 포밍판(32)과 화덕(20)의 아래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26) 쪽을 갈수록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구성되어, 상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0)와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가 에어 블로잉홀(26)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좁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좌우 양쪽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화덕(20)의 위에서 볼 때에 부채꼴 챔버 형상으로 구성된다.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좌우 양쪽 측면부 사이의 거리와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의 좌우 양쪽 측면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화덕(20)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 공간부에는 에어 덕트(12)가 내장된다. 상기 에어 덕트(12)는 화덕(20)의 아래쪽에 확보된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와 연통된다. 상기 에어 덕트(12)에는 댐퍼가 구비된다. 댐퍼는 제1댐퍼(14)와 제2댐퍼(16)로 구성된다. 제1댐퍼(14)는 중심축에는 레버가 연결되고, 상기 레버는 메인바디(10)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레버를 파지하고 제1댐퍼(14)를 회전시켜서 에어 덕트(12) 내부 에어 통로를 제1댐퍼(14)에 의해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댐퍼(16)의 중심축에는 모터의 모터축이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의해 제2댐퍼(16)를 회동시켜서 제2댐퍼(16)에 의해 에어 덕트(12) 내부의 에어 통로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 덕트(12)의 내부 에어 통로 상에는 팬(18)이 설치된다. 상기 팬(18)은 시로코팬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화덕(20)에 고기를 굽기 위한 연료인 숯을 투입한다. 이때, 숯이 화덕(20)에 채워지는 높이는 화덕(20)의 에어 블로잉홀(26)보다 너 낮은 높이까지이다.
상기 화덕(20)에 숯이 적당량 채워진 상태에서 토치와 같은 점화기구에 의해 숯에 초기 점화를 한다.
상기 숯에 초기 점화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덕(20)에 구비된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서 일정 압력으로 에어를 분사시켜서 숯에 공급한다. 상기 화덕(20)의 앞쪽 내부로 연통된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서 일정 압력으로 에어를 화덕(20)의 내부로 블로잉한다. 상기 에어 덕트(12)에 설치된 팬(18)을 작동시켜서 에어 덕트(12) 내부의 에어 통로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를 통해서 상기 에어 블로잉홀(26)로 일정 압력의 에어가 블로잉되도록 한다. 상기 화덕(20)의 앞쪽 내부에서 화덕(20)의 뒤쪽 내부로 일정 압력의 에어를 블로잉한다.
그러면, 상기 화덕(20)에서 초기 점화된 숯에 에어가 공급되어서 숯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화덕(20) 앞쪽과 인접한 위치에 확보된 투입구를 통해서 석쇠와 같은 구이기구(6)에 담긴 고기(예를 들어, 삼겹살)를 화덕(20)의 점화된 숯 위로 투입하여 고기의 숯불 구이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화덕(20)의 아래면 사이의 거리가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와 화덕(20)의 아래면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게 구성되어 있어서,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에서 에어의 추진력은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에서의 에어 추진력보다 더 높으므로, 상기 가운데의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양쪽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로부터 에어 블로잉홀(26)로 나오는 에어의 량과 속도가 균일하게 되므로, 상기 화덕(20)에 채워진 숯 전체에 고르게 에어가 일정 압력으로 블로잉되므로,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숯에 불이 붙은 상태에서 고기를 숯불 구이할 때에 숯의 일부만 불이 붙고 나머지는 제대로 불이 붙지 못하는 경우가 없이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게 되므로, 고기를 숯불 구이할 때에 시간이 빨라지며, 숯 전체에 고르게 붙은 불에 의해 숯불 구이를 하게 되므로, 고기가 잘 익으면서도 부분적으로 타지 않고 숯불 향이 고기에 잘 베이게 되어서 고기의 풍미가 좋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로잉 가이드판(27)이 화덕(20)의 에어 블로잉홀(26) 위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잉홀(26)로부터 에어가 나올 때에 에어가 화덕(20)의 위로 올라가지 않고 블로잉 가이드판(27)에 의해 화덕(20)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에어가 원활하게 블로잉되므로 숯 전체에 더 고르게 불이 붙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로잉 가이드판(27)은 화덕(20)의 아래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서 분사되어 나오는 에어가 블로잉 가이드판(27)에 의해 가이드되어 에어가 아래쪽으로 더 잘 모아져서 숯에 공급되므로, 숯 전체에 고르게 불이 붙는 작용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화덕(20)에는 에어 블로잉홀(26)보다 더 아래쪽에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이 설치되어, 상기 블로잉 가이드판(27)과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에 의해 모아서 숯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에어를 블로잉하는 팬(18)의 힘이 다소 작더라도 에어를 모아서 숯에 전체로 고르게 공급하므로 상기 하부 블로잉 가이드판(28)에 의해 숯 전체에 더욱더 고르게 불이 붙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덕(20)에 구비된 바아 거치홈(24)에 거치바아(40)를 걸쳐서 설치하고 석쇠와 같은 구이기구를 거치바아(40)와 화덕(20)의 앞쪽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숯불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숯불 구이 작업이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고기의 숯불 구이가 다 이루어진 다음에는 거치바다를 화덕(20)의 바아 수용홈에서 빼내면 되므로 거치바아(40)를 화덕(20)에서 들어낼 때에도 쉽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의 상단부에는 화덕(20)을 위쪽에서 뜬 상태에서 감싸주는 드레인 덕트(50)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화덕(20)에서 고기를 숯불 구이하는 동안 연기와 같은 유해물질을 드레인 덕트(50)에서 땡겨서 배출하므로, 고기를 구이할 때에 연기 등의 유해물질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 내부의 에어 덕트(12)에는 제1댐퍼(14)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1댐퍼(14)에 의해 에어가 숯에 블로잉되는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숯의 화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제1댐퍼(14)에 연결된 레버는 메인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레버를 파지하고 제1댐퍼(14)의 개폐 정도를 보다 쉽게 조절함으로써 숯불의 화기 정도를 더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에어 덕트(12)에는 제2댐퍼(16)가 설치되고, 모터의 모터축에 제2댐퍼(16)가 연결되어 있어서, 모터의 작동에 따라서 제2댐퍼(16)가 에어 덕트(12)의 내부 에어 통로를 개폐하는 정도를 정밀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어 블로잉홀(26)을 통해서 분사는 에어의 속도와 에어량을 더욱 정밀 조절함으로써 구이 대상 육류의 구이에 필요한 숯불의 화기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된 컨트롤박스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의 모터축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제2댐퍼(16)가 에어 덕트(12) 내부의 에어 통로를 개폐하는 정도를 더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화덕(20)의 내부에는 황토층(YS)이 있어서 숯불 구이를 할 때에 황토층(YS)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나오면서 고기의 속까지 제대로 잘 익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화덕(20)의 아래에 황토층(YS)이 채워져 있어서 화덕(20)에서 숯불로 고기를 구울 때에 화덕(20)의 아래에서도 원적외선이 나오게 되어서 숯불 구이 대상 고기의 속까지 더욱더 확실하게 익을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6. 구이기구 10. 메인바디
12. 에어 덕트 14. 제1댐퍼
16. 제2댐퍼 18. 팬
20. 화덕 24. 바아 거치홈
26. 에어 블로잉홀 27. 블로잉 가이드판
28. 하우 블로잉 가이드판 30. 에어 블로잉 챔버
32. 챔버 포밍판 34.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
36.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 40. 거치바아
50. 드레인 덕트
12. 에어 덕트 14. 제1댐퍼
16. 제2댐퍼 18. 팬
20. 화덕 24. 바아 거치홈
26. 에어 블로잉홀 27. 블로잉 가이드판
28. 하우 블로잉 가이드판 30. 에어 블로잉 챔버
32. 챔버 포밍판 34.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
36.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 40. 거치바아
50. 드레인 덕트
Claims (12)
-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에 구비된 화덕(20);
상기 화덕(2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블로잉홀(2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상기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고,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26)과 연통되는 에어 블로잉 챔버(30)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은 상기 메인바디(10)에 구비된 상기 화덕(20)을 따라 일정 길이 연장된 슬롯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와 연통되며,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는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양쪽 옆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의 단면적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의 단면적보다 더 작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상기 화덕(20)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상기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는 상기 화덕(2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의 형상은 리버스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연통되도록 상기 에어 블로잉홀(26)이 구비되고, 상기 화덕(20)의 하부에는 상기 메인바디(10) 내부에 배치되도록 챔버 포밍판(32)이 구비되며, 상기 챔버 포밍판(32)에 의해 상기 화덕(20)의 하부에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가 확보되고, 상기 화덕(20)의 내외표면으로 관통된 에어 블로잉홀(26)이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 내부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포밍판(32)은 상기 화덕(20)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미들 에어 블로잉 챔버(34)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에어 블로잉 챔버(36)가 상기 화덕(20)의 저면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20)은 내부에 상부로 개방된 연료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수용부에 투입되는 연료는 숯이며, 상기 연료 수용부에 투입되는 숯의 높이는 상기 에어 블로잉홀(26)보다 낮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와 연통된 팬(18)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10)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 블로잉 챔버(30)로 이어진 에어 덕트(12)가 구비되고, 상기 에어 덕트(12)에 상기 팬(1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팬(18)은 시로코팬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 구이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451A KR102212006B1 (ko) | 2019-06-11 | 2019-06-11 | 풍로 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8451A KR102212006B1 (ko) | 2019-06-11 | 2019-06-11 | 풍로 구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1658A KR20200141658A (ko) | 2020-12-21 |
KR102212006B1 true KR102212006B1 (ko) | 2021-02-03 |
Family
ID=74090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8451A KR102212006B1 (ko) | 2019-06-11 | 2019-06-11 | 풍로 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1200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443B1 (ko) | 2007-10-11 | 2008-09-12 | 노부영 | 숯불 발화기용 분진 집진장치 |
KR200457499Y1 (ko) | 2011-02-01 | 2011-12-22 | 조재환 | 숯불착화기 |
CN205107422U (zh) * | 2015-11-10 | 2016-03-30 | 莫光涛 | 一种烧烤炉 |
CN105832180A (zh) | 2016-06-14 | 2016-08-10 | 张毅蔚 | 气流烤炉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10006520Y1 (ko) | 1989-11-20 | 1991-08-24 | 상무산업 주식회사 | 숯불구이용 풍로 |
KR19990035189U (ko) | 1999-06-04 | 1999-09-06 | 박충세 | 숯불구이기 |
KR200326405Y1 (ko) | 2003-06-05 | 2003-09-19 | 박용숙 | 숯불구이기 |
KR200440870Y1 (ko) | 2008-02-19 | 2008-07-04 | 정용준 | 다용도 숯불구이기 |
-
2019
- 2019-06-11 KR KR1020190068451A patent/KR1022120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8443B1 (ko) | 2007-10-11 | 2008-09-12 | 노부영 | 숯불 발화기용 분진 집진장치 |
KR200457499Y1 (ko) | 2011-02-01 | 2011-12-22 | 조재환 | 숯불착화기 |
CN205107422U (zh) * | 2015-11-10 | 2016-03-30 | 莫光涛 | 一种烧烤炉 |
CN105832180A (zh) | 2016-06-14 | 2016-08-10 | 张毅蔚 | 气流烤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1658A (ko) | 2020-1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79984B1 (en) | Cooking apparatus | |
US9510604B2 (en) | Outdoor cooker and smoker, and fuel combustor therefor | |
US11058255B2 (en) | Grill using flue | |
KR101812107B1 (ko) | 점화유닛이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 |
KR101852716B1 (ko) |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 |
JP2856699B2 (ja) | 加熱調理器 | |
JP6927781B2 (ja) | 両面焼きグリル | |
KR102212006B1 (ko) | 풍로 구이기 | |
KR101489691B1 (ko) |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 |
KR200432374Y1 (ko) | 훈연바베큐 구이기 | |
KR101999062B1 (ko) | 고기구이장치 | |
KR100644973B1 (ko) |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 |
KR200356403Y1 (ko) | 직화 조리기 | |
KR101828464B1 (ko) | 가스버너가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 |
JP5728455B2 (ja) | 加熱調理装置 | |
KR101185789B1 (ko) | 요리용 화덕 | |
KR200377271Y1 (ko) | 고기 구이기 | |
KR101073882B1 (ko) | 훈제식 고기 구이기 | |
KR20170024723A (ko) |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 |
KR101030379B1 (ko) | 숯불구이장치 | |
KR102591827B1 (ko) | 열효율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한 쿡스토브 | |
JP7085227B2 (ja) | ストーブ | |
KR200324762Y1 (ko) | 구이기 | |
KR200292938Y1 (ko) |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 |
KR102430782B1 (ko) | 생두 로스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