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782B1 - 생두 로스터 - Google Patents

생두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782B1
KR102430782B1 KR1020200063755A KR20200063755A KR102430782B1 KR 102430782 B1 KR102430782 B1 KR 102430782B1 KR 1020200063755 A KR1020200063755 A KR 1020200063755A KR 20200063755 A KR20200063755 A KR 20200063755A KR 102430782 B1 KR102430782 B1 KR 102430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roasting
gas
main body
gas bu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6662A (ko
Inventor
김성훈
김영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원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원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원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6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82B1/ko
Publication of KR2021014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6662A/ko
Priority to KR1020220094618A priority patent/KR102514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04Methods of roasting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버너와 숯불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생두 로스터를 제안한다. 본 발명 로스터는, 저면에 숯용기(62)가 지지될 수 있고, 상부가 열린 본체(2)와;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6)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축(46)의 회전에 같이 연동하며, 생두를 내장하는 로스팅통(30); 그리고 본체(2)의 열린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4)를 포함한다. 그리고 가스버너(50)는, 본체(2) 내부에서 로스팅통(30)의 직하부에 설치되어, 가스의 공급 및 연소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가스버너(50)는, 로스팅통(30)과 평행한 한 쌍의 선형 버너부(52,54)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2)의 일측에는 숯에 대하여 상향하는 에어플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두 로스터{Roasters for coffee beans}
본 발명은 생두를 로스팅하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화염과 숯불의 열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는 생두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생두 로스터는 가스의 연소 또는 전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생두를 로스팅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가스의 연소 또는 전기의 저항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게 되면, 생두가 고온의 열원에 직접 노출되는 것에 의하여 균일한 가열에 대한 한계가 지적될 수 있고, 열풍을 이용할 때는 생두의 향이 너무 날라가 버리는 단점도 지적될 수 있다.
여기서 숯불을 이용하여 생두를 로스팅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숯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정한 열량의 발생 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량이 부족하여 원하는 정도의 로스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화력과, 숯불의 화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가열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온도까지 상승시킨 후에는 숯불을 이용하여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는 생두 로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로스터는, 저면에 숯용기가 지지될 수 있고, 상부가 열린 본체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에 의하여 지지되고 회전축의 회전에 같이 연동하며 생두를 내장하는 로스팅통, 그리고 본체의 열린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가스에 의하여 열량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가, 본체 내부에서 로스팅통의 직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스터는, 가스버너에서 발생하는 열과 숯용기에서 발생하는 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로스팅이 가능하게 되고, 각각의 장점을 모두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가스버너는, 로스팅통과 평행한 한 쌍의 선형 버너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본체의 일측에는 숯에 대하여 상향하는 에어플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로스터에 의하면, 가스를 이용한 가스버너에 의한 가열과 숯불을 이용한 가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인 생두의 로스팅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숯불에 의한 가열시 전체적으로 고른 열전달 특성 및 숯불에 의한 특유한 향을 더 첨가할 수 있을 것임은당연하다.
그리고 숯불에 의한 가열이 신속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가스버너를 이용하면 신속하게 적정 온도에 도달할 수 있어서 신속한 가열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숯불에 의한 열량이 부족할 때 이를 충분히 보충할 수 있는 장점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버너는 적어도 가스통과 평행하고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는 선형 버너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이것만을 이용하더라도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열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 로스터의 정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로스터의 측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 로스터의 가스버너와 가열통의 평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생두 로스터는, 로스팅통(30)의 하부를 내부에 안치시킬 수 있고 상부가 열린 본체(2)와, 이러한 본체(2)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4)를 포함하고 있다. 로스팅통(30) 자체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원통형상을 가지고 다수의 구멍이 성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덮개(4)는 본체(2)의 상부를 덮음으로써, 실질적으로 로스팅통(30)의 상부를 덮어서, 로스팅을 위한 열이 효율적으로 로스팅통을 가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덮개(4)는 본체(2)를 완전하게 밀폐시키는 것은 아니고, 본체(2)와 덮개(4)의 측면 또는 전후면은 어느 정도 개방된 부분을 가지는 것도 좋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로스팅통(30)의 상부를 커버한다고 함은, 본체(2)의 열린 상부를 밀폐시키는 것은 아니고 로스팅통(30)의 상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커버함으로써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본체(2)와 덮개(4) 사이의 정면 또는 배면은 일정 부분 열린 상태로 설치되어, 로스팅하는 동안 내부의 상태를 시각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4)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H)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스팅통(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옆으로 누운 상태로 설치되고, 그 중심에는 회전축(46)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축(46)의 양단부는, 도 2의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의 전후면 상단부에 각각 성형되어 있는 지지홈(22)에 들어간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6)의 일측에는 종동기어(49)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종동기어(49)는, 모터박스(23)에 내장된 구동모터(감속기의 결합체)의 출력축과 연결된 전달기어(24)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모터박스(23) 내부의 구동모터가 동작하게 되면, 전달기어(24) 및 종동기어(49)를 통하여 회전축(46)이 회전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로스팅통(30)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6)의 양단부에는 헤드(47)가 설치되어 있어서, 지지홈(22) 내부에 들어 있는 회전축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2)의 저면에는 숯용기(62)가 내장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숯용기(62) 이외에도, 본체(2)의 저면에 직접 숯을 올려놓은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숯용기(62)라고 함은 도시한 바와 같이 별도로 숯을 담는 용기를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부에 있는 로스팅통(30)을 가열할 수 있는 숯을 지지하는 총칭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이러한 숯용기(62)에 내장되는 숯에 의하여 생두를 로스팅하는 것은 숯 자체의 발열에 의한 향기가 생두에 베이는 것은 물론이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열기를 생두 전체에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생두의 균일한 로스팅 등의 측면에서 상당한 잇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숯에 의하여 가열의 장점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이용하는 경우, 숯을 신속하게 가열 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실시례의 경우, 본체(2)의 저면을 통과한 상태에서 숫용기(62)를 향하여 화염을 분출할 수 있는 가스토치(66)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스토치(66)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것에 의하여 화염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자체는 실질적으로 널리 알려진 것이다.
이러한 가스토치(66)는 도시한 실시례에서와 같이 한 쌍과 같은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토치(66)는 판매되고 있는 부탄가스통을 설치하여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가스토치(66)는 편의상 가스를 이용하여 숫 용기(62) 내부의 숯을 가열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숯의 온도를 고온화시키기 위한 것을 의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가스토치(66)에 대한 다른 실시례로서 가스를 이용한 가열장치이면 충분하다. 가스토치(66)로 대표되는 가스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가열하기 위해서는 숯용기(62)는 화염이 통과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가스가열장치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가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이용하여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로스팅통(30) 내부의 생두를 로스팅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토치(66)로 대표되는 가스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숯을 가열하더라도 숯이 로스팅에 요구되는 고온을 발생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숯을 이용한 로스팅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신속하게 로스팅통(30)을 가열할 수 있는 가스버너(5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버너(50)는, 서로 평행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설치되는 한 쌍의 선형 버너부(52,54)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형 버너부(52,54)는 서로 평행하는 선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로스팅통(30)에 대하여 양측에서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 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선형 버너부(52,54)는 상면에 가스분출공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스버너(50)를 형성하는 선형 버너부(52,54)는 로스팅통(30)에 대하여, 양측의 대칭위치에서 균일한 화력을 로스팅통(30)으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로스팅통(30)의 하부 양측에서 가스에 의한 화력이 가해지면, 일측에서 집중되는 화력에 비하여 아주 균일하게 로스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선형 버너부(52,54)로 구성함으로써, 하방의 숯용기(62)에서 상승하는 열기에 대한 방해도 최소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은 선형 버너부(52,54)를 구비하는 가스버너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례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U형상의 가스버너(50)를 들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U형상의 가스버너(50) 자체는 일부 가스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술한 가스버너(50)에서, 상면에 성형된 가스분출공으로 나오는 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장치, 그리고 가스버너(50)의 내부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등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공지된 것을 적용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가스버너(50)는 회전축(46) 및 로스팅통(30)과 평행한 방향을 가지는 한 쌍의 선형 버너부(52,54)를 포함하는데, 이는 원통형상의 로스팅통(30)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대칭으로 배열된 한 쌍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스버너(50)에서 발생하는 화력도 가능하면 전체적으로 균일한 화력을 양측에서 공급할 수 있게 되어, 화력의 집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가스버너(50)는 실질적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숯용기(62)의 숯이 충분한 발열을 가지지 못하는 시간 동안, 또는 숯용기(62)의 숯의 화력이 다하여 충분하지 못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는 숫용기(60)의 숯의 화력을 더 보조하기 위한 송풍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의 하단부 저면에는 숯용기(62)가 안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숯용기(62)가 설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본체(2)의 양측면 또는 전후면의 어느 일측에서 내부를 향하여 에어플로를 발생시키는 송풍기(28)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28)에서 발생하는 바람은, 대부분 상승하기 때문에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체(2)의 양측면은 대부분 폐쇄된 상태이고, 덮개(4)와 본체(2) 사이의 측면 또는 전후면이 약간 열린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송풍기(28)에서 생성된 에어플로는 숯용기(62) 내부의 숯을 충분히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송풍기(28)에 의하여 숯용기(62) 내부의 숯에 의한 화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28)는 궁극적으로 숯용기(62)의 숯에 대하여 상승하는 에어플로를 형성시킴으로써 로스팅통(30)에 대한 화력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로스팅통(3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가스버너(50)와 숯용기(62) 내부의 숯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되는 로스팅통(30) 내부의 상황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로스팅통(30)의 일측에는 투시창(32)을 설치할 수 있고, 온도를 감지하여 보여주는 온도계(34)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체(2)는, 다수의 레그(64)에 의하여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숯용기(62)에 담긴 숯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기와 가스버너(50)에 의하여 생성되는 열기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로스팅통(30) 내부에 담긴 생두를 로스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스버너(50)는 로스팅통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열되는 선형 버너부를 가지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열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2 ..... 본체
4 ..... 덮개
22 ..... 지지홈
24 ..... 전달기어
23 ..... 모터박스
28 ..... 송풍기
30 ..... 로스팅통
50 ..... 가스버너
52. 54 ..... 선형 버너부
46 ..... 회전축
49 ..... 종동기어

Claims (3)

  1. 저면에 숯용기(62)가 지지될 수 있고, 상부가 열린 본체(2)와;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6)에 의하여 지지되어, 회전축(46)의 회전에 같이 연동하며, 생두를 내장하는 로스팅통(30);
    본체(2)의 열린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4); 그리고
    본체(2) 내부에서, 숯용기(62)와 로스팅통(30) 사이에 설치되어, 가스의 공급 및 연소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가스버너(50)로 구성되고;
    가스버너(50)는, 원통형상의 로스팅통(30)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로스팅통(30)의 양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배열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선형 버너부(52,54)를 포함하고;
    가스버너(50)에서 발생하는 열과 숯용기(62)에서 발생하는 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하여 로스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두 로스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에는 숯에 대하여 상향하는 에어플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생두 로스터.
KR1020200063755A 2020-05-27 2020-05-27 생두 로스터 Active KR102430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55A KR102430782B1 (ko) 2020-05-27 2020-05-27 생두 로스터
KR1020220094618A KR102514530B1 (ko) 2020-05-27 2022-07-29 생두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755A KR102430782B1 (ko) 2020-05-27 2020-05-27 생두 로스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18A Division KR102514530B1 (ko) 2020-05-27 2022-07-29 생두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6662A KR20210146662A (ko) 2021-12-06
KR102430782B1 true KR102430782B1 (ko) 2022-08-09

Family

ID=789363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755A Active KR102430782B1 (ko) 2020-05-27 2020-05-27 생두 로스터
KR1020220094618A Active KR102514530B1 (ko) 2020-05-27 2022-07-29 생두 로스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618A Active KR102514530B1 (ko) 2020-05-27 2022-07-29 생두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078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450A (ja) 2000-01-21 2001-07-31 Yokoyama Seisakusho:Kk 回転ドラム式焙煎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302Y1 (ko) * 1998-04-23 2000-08-01 문대원 곡물볶음기용 전열장치
KR101456933B1 (ko) * 2010-08-24 2014-10-31 김성진 무쇠솥 타입의 직화형 커피 로스터
KR200480882Y1 (ko) * 2014-01-27 2016-07-18 (주)에코그릴 이동식 부탄연소기용 로스팅 장치
KR101760118B1 (ko) * 2015-11-02 2017-07-20 주식회사 씨아이디컴퍼니 클로로겐산 보전을 위한 전도열 및 대류열 조절기능을 갖는 커피 로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4450A (ja) 2000-01-21 2001-07-31 Yokoyama Seisakusho:Kk 回転ドラム式焙煎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511A (ko) 2022-08-17
KR20210146662A (ko) 2021-12-06
KR102514530B1 (ko) 202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402B1 (ko) 볶음기
US8887627B1 (en) Barbecue apparatus
KR101686379B1 (ko) 휴대용 구이기
KR101721368B1 (ko) 다용도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1707043B1 (ko) 원통형 타공드럼을 이용한 육류 반숙기
KR101416823B1 (ko) 스팀을 활용한 바베큐 오븐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KR102430782B1 (ko) 생두 로스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0463276Y1 (ko) 꼬치 구이 장치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1760118B1 (ko) 클로로겐산 보전을 위한 전도열 및 대류열 조절기능을 갖는 커피 로스터
KR101484910B1 (ko) 펠릿을 이용한 구이기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101671629B1 (ko) 수직 직립형 석쇠 구이 방식의 가열조리기구
KR101802321B1 (ko) 저온 방식으로 로스팅되는 직화식 커피 로스팅 장치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101727819B1 (ko) 직화식 커피 로스팅 장치
KR200242492Y1 (ko) 할로겐램프가 설치된 구이기
KR20140013856A (ko) 가스 겸용 숯불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20140139242A (ko) 보조열원을 구비하는 커피 로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6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8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