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2938Y1 -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 Google Patents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2938Y1
KR200292938Y1 KR2020020021774U KR20020021774U KR200292938Y1 KR 200292938 Y1 KR200292938 Y1 KR 200292938Y1 KR 2020020021774 U KR2020020021774 U KR 2020020021774U KR 20020021774 U KR20020021774 U KR 20020021774U KR 200292938 Y1 KR200292938 Y1 KR 200292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moke
meat
combustion chamber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이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규 filed Critical 이승규
Priority to KR2020020021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2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2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2938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하고 구이실의 내측에 연소실과 연통되고 분사구를 갖는 훈연관을 설치하여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 내로 골고루 분사하고 그 훈연과 열로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의 바깥쪽부위와 안쪽부위가 골고루 익도록 하고 고기에 땔감의 향내음이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향을 돋구어 주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는, 내측 하부에 땔감이 연소되는 연소실(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연소실(2)과 차단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구이실(3)이 형성된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구이실(3)의 내측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연소실(2)과 연통되며 외측에 분사구(9a)가 형성되어,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薰煙)과 열을 구이실(3)로 공급하는 훈연관(9)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BARBECUE SYSTEM WITH SMOKING PIPE}
본 고안은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실과 차단된 구이실의 내측에 연소실과 연통되고 분사구가 형성된 훈연관을 설치함으로써,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薰煙)과 열을 구이실의 고기에 골고루 분사하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베큐장치는 숯이나 장작 등을 연소시킬 때 발생되는 연소열과 전기 등을 이용한 열을 이용해 고기를 굽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이는 연소실의 상부에 마련된 구이실의 고기에 직접 연소열이 작용하게 되므로, 고기의 바깥부위가 먼저 익게 되고 고기의 안쪽부위는 서서히 익게 되어 전체적으로 구이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바깥쪽부위가 타게 되어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 연소실에 직접 떨어져 타게 되므로 그을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고기에도 좋지 않은 냄새가 배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바베큐장치가 국내 실용신안 등록 014040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바베큐장치는 본체(1)에 형성되는 가열실(3) 내에 가스 연소를 도모하는 주원적외선헤드(7) 및 원적외선방사판(8)을 다수 설치하여 고기에 원적외선을 집중적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한편, 훈연기(18)에 의해 발생되는 참나무 연기가 가열실(3)내로 투입되어 훈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의 하부에는 받침대(17)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7) 내에 훈연기(18)와 가스연소장치(2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바베큐장치에 따르면, 받침대(17) 내에 설치된 가스연소장치(20)에서 화염을 발생시켜 주원적외선헤드(7)를 통해 가열실(3) 내로 원적외선과 함께 열을 방사하여 고기를 굽는다. 한편, 상기 훈연기(18)에서 생성되는 훈연은 가열실(3)의 바닥을 관통하는 연기통구(19)를 통해 가열실(3) 내로 공급되어 고기에 스며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바베큐장치의 경우, 고기가 구워지는 가열실에 열을 공급하는 가스연소장치와 상기 가열실에 훈연을 공급하기 위한 훈연기가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므로 그만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훈연을 공급하는 연기통구가 가열실의 바닥을 통해 가열실 내로 공급되므로 훈연이 가열실 내로 골고루 전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기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연기통구를 통해 훈연기 내로 유입될 염려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 바베큐장치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하고 구이실의 내측에 연소실과 연통되고 분사구를 갖는 훈연관을 설치하여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 내로 골고루 분사하고 그 훈연과 열로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의 바깥쪽부위와 안쪽부위가 골고루 익도록 하고 고기에 땔감의 향내음이 스며들도록 하여 고기의 맛과 향을 돋구어 주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위에서 나타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 : 몸체 2 : 연소실
3 : 구이실 4, 5 : 도어
6 : 투시창 7 : 차단막
8 : 단열부재 9 : 훈연관
10 : 열기관 11 : 선반
12 : 거치대 13 : 배연실
14 : 제1배연관 15 : 제2배연관
본 고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는, 내측 하부에 땔감이 연소되는연소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연소실과 차단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구이실이 형성된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구이실의 내측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연소실과 연통되며 외측에 분사구가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薰煙)과 열을 구이실로 공급하는 훈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훈연관은 구이실내 양측면과 배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훈연관은 구이실내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위에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는, 내측 하부에 연소실(2)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구이실(3)이 형성된 몸체(1)와, 몸체(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연소실(2)과 구이실(3)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4)(5)와, 연소실(2)과 구이실(3)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막(7)과, 구이실(3)의 내측에 설치되어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3)내로 공급하는 훈연관(9)과, 구이실(3)의 상부에 형성되어 구이실(3)로부터 배출되는 훈연을 모아주는배연실(13)과, 배연실(13)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훈연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연관(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 내의 하부에는 땔감이 연소되는 연소실(2)이 형성되며, 연소실(2)의 상부에는 고기가 넣어져 구워지는 구이실(3)이 각각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1)에는 단열재를 내장하여 외부와 단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소실(2)에서 연소되는 땔감으로는 참나무나 향나무 등과 같이 향내음이 좋은 목재를 장작 또는 숯의 형태로 사용하여 그 향기가 고기에 배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2)에는 별도의 가스연소장치를 구비하여 땔감이 원활하게 연소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어(4)(5)는 몸체(1)의 전면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구이실(3)과 연소실(2)을 개폐하는 것으로, 그 중 구이실(3)을 개폐하는 도어(4)에는 투시창(6)이 구비되어 구이실(3) 내의 고기가 구워지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차단막(7)은 연소실(2)과 구이실(3) 사이에 설치되어 연소실(2)에서 땔감의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구이실(3)의 고기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구이실(3)에서 고기를 구울 때 흘러내리는 기름을 모아주는 것으로, 그 상부는 양측에서 중심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흘러내리는 기름이 자연스럽게 중심부로 모인다.
여기서, 상기 차단막(7)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소통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어, 그 내부로 냉각공기를 순환시킴에 따라 연소실(2)에서 땔감의 연소시 직접 전달되는 연소열과 구이실(3)을 통해 전달되는 열로 인해차단막(7)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지하여 차단막(7)으로 흘러내리는 기름이 발화(發火)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막(7)에는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차단막(7)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차단막(7)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도록 유리섬유나 석면 등과 같은 단열부재(8)가 내장된다.
한편, 상기 차단막(7)은 연소실(2)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복수층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훈연관(9)은 그 하부가 연소실(2)에 연통된 상태로 구이실(3)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다수의 분사구(9a)가 형성되어 연소실(2)에서 땔감의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3)내로 공급해주는 것으로, 구이실(3) 내의 양측면과 배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구이실(3) 내 양측면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훈연관(9) 사이에는 그 하부가 연소실(2)과 연통되나 훈연관(9)과는 달리 그 외측에 분사구(9a)가 설치되지 않아 연소실(2)로부터 공급되는 열만 구이실(3) 내로 방사하고 훈연은 상부로 그대로 흘러보내는 열기관(10)이 각각 설치된다. 이 때, 상기 훈연관(9)과 열기관(10)은 원형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훈연관(9)중 구이실(3) 내 양측면에 설치되는 훈연관(9)과 열기관(10)의 외측에는 고기를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11)이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거치대(12)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이 거치대(12)는 그 상하부가 절곡되어 그 사이로 선반(11)의 양측이 슬라이딩되면서 삽탈된다.
상기 배연실(13)은 상기 구이실(3)의 상부에 훈연관(9)과 열기관(10)의 상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훈연관(9)을 통해 구이실(3)로 배출되지 않고 상승되는 훈연과 열기관(10)을 통해 상승되는 훈연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모아주는 것으로, 그 상부에는 배연실(13)과 연통되어 배연실(13) 내의 훈연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연관(14)과, 구이실(3)과 연통되어 구이실(3) 내의 훈연을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그 배출량을 조절하는 제2배연관(15)이 각각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제1배연관(14)에는 배출되는 훈연을 배출하기 위한 댐퍼(미도시)가 설치되어 훈연의 배출량을 조절하여 배연실(13) 내에 훈연이 잔류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구이실(3)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제2배연관(15)은 구이실(3)의 훈연량을 조절함에 따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고기에 배는 훈연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배연관(14)은 배연실(13)의 상부 앞쪽에 설치되므로 구이실(3) 내 양측면과 배면에 설치되는 훈연관(9)과 열기관(10)으로부터 상승되는 훈연이 배연실(13) 내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배출되는 훈연에 포함된 열이 구이실(3) 내로 공급되어 구이실(3) 내의 온도가 상승된다.
미설명부호 16은 몸체(1)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도어(4)를 열고 구이실(3)에서 구워진 고기를 꺼낼 때 흘러내리는 기름을 받아 모아주는 기름받이판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구이실(3)을 개폐하는 도어(4)를 개방하여 구이실(3) 내의선반(11)을 전방으로 꺼낸 다음, 선반(11)의 상부에 굽고자하는 고기를 올려놓고 선반(11)을 구이실(3) 내로 밀어 넣은 후 도어(4)를 폐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연소실(2) 내에 잘 건조시킨 참나무나 향나무 등의 장작을 집어넣고 연소시킨다.
이 때, 상기 연소실(2)에서 땔감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연소열은 차단막(7)에 의해 차단되어 구이실(3)의 고기에 직접 전달되지 않고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함께 훈연관(9)을 통해 상승한 후 각 분사구(9a)에서 구이실(3) 내로 분사되거나, 열기관(10)을 통해 구이실(3) 내로 방사된다.
이처럼, 상기 구이실(3) 내로 공급되는 훈연과 열은 구이실(3) 내를 순환하면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겉부분과 속부분이 골고루 익도록 해주며, 아울러 고기에 땔감의 고유한 향이 배도록 하여 고기의 향과 맛을 더욱 돋구어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에 따르면,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하고 구이실의 내측에 연소실과 연통되고 분사구를 갖는 훈연관을 설치하여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과 열을 구이실 내로 골고루 분사하고 그 훈연과 열로 고기를 구움으로써, 고기가 골고루 익게 되며 고기에 땔감의 향내음이 스며들어 고기의 맛과 향이 돋구어진다.

Claims (3)

  1. 내측 하부에 땔감이 연소되는 연소실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연소실과 차단되어 고기가 구워지는 구이실이 형성된 바베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이실의 내측에 설치되고 그 하부가 상기 연소실과 연통되며 외측에 분사구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시 발생되는 훈연(薰煙)과 열을 상기 구이실로 공급하는 훈연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연관은 상기 구이실내 양측면과 배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연관은 상기 구이실내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KR2020020021774U 2002-07-22 2002-07-22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KR200292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74U KR200292938Y1 (ko) 2002-07-22 2002-07-22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774U KR200292938Y1 (ko) 2002-07-22 2002-07-22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2938Y1 true KR200292938Y1 (ko) 2002-10-25

Family

ID=7307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774U KR200292938Y1 (ko) 2002-07-22 2002-07-22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293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37B1 (ko) * 2002-07-22 2005-03-24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37B1 (ko) * 2002-07-22 2005-03-24 이승규 훈제용 바베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0037B2 (en) Radiant tube broiler
US5755154A (en) Gas barbecue assembly
US20080047541A1 (en) Barbecue grill
KR101315045B1 (ko) 무연 숯불구이 장치
KR101229178B1 (ko) 훈제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100478237B1 (ko) 훈제용 바베큐장치
KR200292938Y1 (ko) 훈연관을 갖는 바베큐장치
KR200292940Y1 (ko) 훈제용 바베큐장치
KR101010425B1 (ko) 훈연고기구이기
KR101828464B1 (ko) 가스버너가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KR20010078431A (ko) 육류구이장치 및 방법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200405679Y1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KR102023865B1 (ko) 목재연료를 이용한 구이장치
JP2004232932A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102317361B1 (ko) 구이용 로스터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KR200289776Y1 (ko) 휴대용 직화구이 가스렌지
KR102314605B1 (ko) 숯불 점화 장치
KR101179272B1 (ko) 훈연기
KR100599228B1 (ko) 순간 구이기
KR200270930Y1 (ko) 바베큐 장치
KR100909282B1 (ko) 바비큐 조리장치
KR20240041049A (ko) 캠핑용 조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