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271Y1 - 고기 구이기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271Y1
KR200377271Y1 KR20-2004-0034252U KR20040034252U KR200377271Y1 KR 200377271 Y1 KR200377271 Y1 KR 200377271Y1 KR 20040034252 U KR20040034252 U KR 20040034252U KR 200377271 Y1 KR200377271 Y1 KR 200377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combustion chamber
grill
doo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2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태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채영태
김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영태, 김경수 filed Critical 채영태
Priority to KR20-2004-00342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구이기를 가마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숯과 광석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기가 타지 않고 빠른 시간내에 항상 일정한 상태로 구워져 구이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어 고기 본연의 맛과 영양분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면서 상부에는 배기구와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입공, 그리고 히터가 설치되는 연소실을 갖는 몸체와; 상기 연소실내에 설치되고 다공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전,후 개구되는 구이홈과, 이 구이홈의 양측면으로 연료가 연소되는 수납실 및 광석이 수납되는 광석수납실을 갖는 화덕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닥트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송풍부와; 상기 도어상에 설치되면서 보조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별도의 석쇠가 삽탈되는 석쇠출입부와;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각 부재들을 제어토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구이기{MEAT ROASTER}
본 고안은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구이기를 가마형태로 구성함과 동시에 숯과 광석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도록 구성함으로써 고기가 타지 않고 빠른 시간내에 항상 일정한 상태로 구워져 구이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사되어 고기 본연의 맛과 영양분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고기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또는 어류 등과 같은 고기(이하 "고기"라 함)를 굽는 고기구이기는 그 구조는 형태 또는 연료의 종류 등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기구이기의 대체적인 종래 구성은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스, 기름, 숯 등을 연료로 하여 연소되는 연소기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 연소기의 상부에는 별도의 고기구이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연소기에 의해 연소되는 열원으로 고기를 굽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고기구이기의 구성은 연소기에 발생되는 열원이 직상부에 위치되는 고기구이판을 가열하여 굽는 방식이거나 또는 석쇠형의 고기구이판에 올려진 고기를 직화열로 직접 굽는 방식임에 따라 고기를 수시로 뒤집어야 하는 등 골고루 구워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열원이 직접 닿는 부분의 고기는 지나치게 구워져 타는 반면에 타측 부분은 설익는 문제점 있었을 뿐만 아니라 고기가 굽히는 시간도 그만큼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기가 굽히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기의 기름 수분 등과 같은 유분이나 또는 찌꺼기 등이 낙화되어 연소기에 의해 재차 연소된 후 고기에 달라붙게 됨으로써 고기의 맛과 영양을 저해시키게 되거나 또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음식점 등과 같은 영업장에서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즉 고기를 신속하게 굽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번 일정하게 굽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기를 높은 화력에서 빠른 시간내에 신속하고도 골고루 구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광석을 이용하여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가하여 고기의 맛과 영양분을 최대한 향상시키도록 하는 고기 구이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숯을 이용한 가마식의 고기 구이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기 구이기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연소실을 가지면서 함체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를 갖추어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연소실 내부에는 숯을 연소시키면서도 석쇠가 수직으로 삽입체결되는 구이홈을 가지는 화덕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화덕의 내부에는 숯과 함께 게르마늄석과 같은 자연석을 수납하여 가열에 의해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사토록 구성하며, 또한, 상기 도어에는 별도의 보조도어에 의해 개폐되어 화덕의 구이홈내로 석쇠를 편리하게 삽탈가능토록 하는 삽탈수단을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보조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메인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세부 구성 및 관련부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본체(100)는 함체형상의 가마식으로 형성되면서 도어(11)에 의해 개폐되는 연소실(12)을 가지는 몸체(10)와, 몸체(10)의 연소실(12)내에 설치되어 연료를 연소시키는 화덕(20)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와 연통되면서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강제송풍토록 송풍부(30)와, 상기 도어(11)상에 설치되면서 보조도어(41)에 의해 개폐되고 별도의 석쇠가 삽탈되는 석쇠출입부(40)와, 본체(100)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각 부재들을 제어토록 하는 제어부(5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전면이 개구되는 연소실(12)을 갖추어 구성되고 바닥면에는 송풍부(30)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공(13)과 후면에는 배기구(14)가 형성된다.
연소실(12)은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면에는 도어(11)가 설치되어 개폐가능토록 구비되며 내부에는 연료를 연소시키도록 하는 화덕(20)이 설치된다.
상기 화덕(20)은 도8 및 도9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면에서 후면을 향해 석쇠가 삽입체결되는 구이홈(21)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구이홈(21)을 기준으로 구획되어 연료인 숯이 수납되는 다수의 수납실(22)이 형성된다.
즉, 각 수납실(22)은 다수의 다공판(23)으로 구획되어 그 중심부에는 구이홈(21)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구이홈(21)의 양측에는 게르마늄석, 옥석 등과 같은 자연광석(60)이 수납되는 광석수납실(24)이 각각 형성된다.
다공판(23)은 금속재질의 판체에 무수한 구멍이 천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이의 구멍등을 통하여 화기가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다른 실시예로서 철망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각 수납실(22)의 내부에는 연료인 숯을 용이하게 점화하기 위한 히터(25)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화덕(2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화덕(20)내의 온도를 감지토록 하는 감지센서(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공판(23)은 표면에 무수한 구멍이 천공되어 수납실(22), 구이홈(21), 광석수납실(24) 등을 구획하는 기능과 더불어 수납실(22)내에서 연소되는 화기를 광석수납실(24)을 거쳐 구이홈(21)내로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 히터(25)와 감지센서(26)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예컨데, 초기에 온작동되어 수납실(22)내에 수납되는 숯을 점화하면서도 감지센서(26)에 의해 일정온도, 여기서는 60℃에 도달되면 오프작동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본체(100)를 전체적으로 콘트롤 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되거나 또는 본체(100)의 외부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전기적, 기계적 장치에 의해 모든 작동을 자동으로 콘트롤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연소실(12)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부(30)는 도어(31)에 의해 개폐되는 전장실을 가지면서 그 내부에 덕트(32)가 설치되고, 이 덕트(32)는 배관(33)으로서 송풍기(34)와 연결될 뿐만 아니라 배관(33)상에는 이를 개폐토록 하는 솔레노이드 밸브(3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34)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작동되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외부에서 화덕(20)으로 공급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되면서 제어부(50)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 밸브(35)에 의해 송풍력이 제어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임에 따라 다른 실시예로서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풍기(34)등의 송풍수단을 송풍부(30)내에 설치하는 것도 공간활용 측면 등에서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 덕트(32)는 송풍부(30)내에 설치되면서 송풍기(34)와 배관(33)으로 연결되어 연소실(12)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공(13)을 통해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화덕(20) 측으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1)상에 설치되는 석쇠출입부(40)는 보조도어(41)에 의해 개폐되면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석쇠삽탈공(42)이 다수 개 설치되고, 도어(11)의 배면인 석쇠삽탈공(42)의 상,하면에는 가이드편(43)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석쇠삽탈공(42)은 고기가 올려지는 별도의 석쇠(70)를 연소실(12)내의 화덕(20)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이탈시키기 위한 구멍을 제공하는 것으로, 즉, 메인도어(11)를 개방하지 않고도 연소실(12)내의 화덕(20)으로 석쇠(70)를 넣어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6은 투시창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송풍수단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제어부(50)의 조작에 의해 송풍기(34)가 작동되면서 외부의 공기는 배관(33)과 덕트(32), 그리고 공기유입공(13)을 통하여 연소실(12)내에 설치되는 화덕(20)으로 송풍되고, 화덕(20)을 거친 공기는 연소실(12) 후방의 배기구(1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화덕(20)내의 각 수납실(22)에 연료 즉, 숯을 수납한 상태에서 역시 제어부(50)를 조작하면 히터(25)가 작동되면서 연료를 점화하게 되고, 점화된 연료는 전술한 송풍시스템에 의해 산소를 공급받아 원활하게 연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료가 연소되면서 화덕(20)내의 온도는 고온을 유지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경우 감지센서(26)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50)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35)을 온/오프 작동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공기를 차단하거나 또는 공급하여 설정된 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화덕(20)내의 온도는 대략 850℃~95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실험에 의해 가장 바람직함을 알수 있었으며, 예컨데 고기가 육류일 경우 약 900℃에서 20-30초 동안 굽는 것이 고기가 타지 않고 가장 우수한 맛을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화덕(20)의 수납실(22)내에 수납되는 연료가 연소되면서 고온을 유지함에 따라 고기를 효과적으로 구울 수가 있게 되는데, 이 경우 메인도어(11)의 전면에 형성된 보조도어(41)를 개방하여 오픈된 석쇠삽탈공(42)으로 고기가 안착된 석쇠(70)를 삽입한 후 다시 보조도어(41)를 닫는다.
상기 석쇠(70)는 석쇠삽탈공(42)을 통하여 연소실(12)내의 화덕(20)에 형성되는 구이홈(21)내로 삽입됨으로써 수납실(22)내에서 연소되는 연료의 열원이 다공판(23)을 거쳐 석쇠(70)내의 고기를 빠른 시간내에 고온으로 익히게 된다.
상기 열원은 다공판(23)을 통해 광석수납실(24)내에 수납된 광석(60)을 고온으로 가열하게 됨으로써 상기 광석(60)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게르마늄, 원적외선 등을 다량으로 방사하게 되어 고기의 맛과 영양을 좋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광석수납실(24)내에 수납되는 광석(60)은 사용자의 임의대로 여러 가지를 수납할 수 있겠으며, 대체적으로 게르마늄석, 옥석 등을 작은 크기로 절단하여 수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고기가 익히면서 발생되는 기름이나 수분 등은 고온에 의해 그 즉시 기화된 후 배기구(1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다시 고기에 달라붙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는 본 고안의 구조적인 특성상 고기는 고온으로 순식간에 익히게 될 뿐만 아니라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분, 찌꺼기 등은 재차 고기에 달라 붙기도 전에 고온에 의해 즉시 모두 연소되어 기화되기 때문이다.
이어서, 고기가 완전히 구워지는 설정시간이 경과하고 나면 제어부(50)에 의해 신호음이나 불빛 등의 신호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보조도어(41)를 개방하여 석쇠(70)를 다시 꺼냄으로써 고기구이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보조도어(41)를 이용하여 석쇠(70)내의 고기를 굽는 것은 메인도어(11)의 개폐에 따른 열손실과 안전사고를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석쇠(70)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고기가 안착되는 석쇠를 수직으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이의 양측에서 열원을 가하여 고기를 굽도록 구성함으로써 고른 열원을 가하여 빠른시간내에 신속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고기가 구워지면서 발생되는 유분이나 찌꺼기 등의 유해성분이 달라붙지 않는 장점도 있다.
또한, 화덕내에는 게르마늄석, 옥석 등과 같은 광석을 내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음이온, 게르마늄, 원적외선 등이 다량으로 방출되어 고기의 맛과 영양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모든 작동을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제어하여 항상 일정한 온도로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기가 타지 않고 정확히 익을 뿐만 아니라 언제나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음식점 등과 같은 영업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1에서 보조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1에서 메인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구이홈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수납실의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측단면도로서 광성수납실의 단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화덕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8의 일부를 단면하여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본체 10:몸체
11:도어 12:연소실
13:공기유입공 14:연통
15:배기구 20:화덕
21:구이홈 22:수납실
23:다공판 24:광석수납실
25:히터 26:감지센서
30:송풍부 31:도어
32:덕트 33:배관
34:송풍기 35:솔레노이드 밸브
40:석쇠출입부 41:보조도어
42:석쇠삽탈공 43:가이드편
50:제어부 60:광석
70:석쇠

Claims (2)

  1. 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면서 상부에는 배기구와 저면에 다수의 공기유입공, 그리고 히터가 설치되는 연소실을 갖는 몸체와;
    상기 연소실내에 설치되고 다공판에 의해 구획되면서 전,후 개구되는 구이홈과, 이 구이홈의 양측면으로 연료가 연소되는 수납실 및 광석이 수납되는 광석수납실을 갖는 화덕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설치되고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닥트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송풍부와;
    상기 도어상에 설치되면서 보조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별도의 석쇠가 삽탈되는 석쇠출입부와;
    본체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각 부재들을 제어토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본체 하부의 전장실내에 송풍기 및 솔레노이드 밸브 등의 관련부품을 내장설치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기.
KR20-2004-0034252U 2004-12-02 2004-12-02 고기 구이기 KR200377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52U KR200377271Y1 (ko) 2004-12-02 2004-12-02 고기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252U KR200377271Y1 (ko) 2004-12-02 2004-12-02 고기 구이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386A Division KR20060061597A (ko) 2004-12-02 2004-12-02 고기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271Y1 true KR200377271Y1 (ko) 2005-03-11

Family

ID=4367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252U KR200377271Y1 (ko) 2004-12-02 2004-12-02 고기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27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699B1 (ko) 2005-07-07 2007-05-02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761543B1 (ko) * 2005-01-17 2007-10-04 한기현 황토숯가마 고기구이기
KR101803028B1 (ko) * 2016-08-19 2017-11-29 김익환 고기굽는 숯불 훈연가마
KR20180019826A (ko) * 2016-08-17 2018-02-27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43B1 (ko) * 2005-01-17 2007-10-04 한기현 황토숯가마 고기구이기
KR100712699B1 (ko) 2005-07-07 2007-05-02 전봉진 이중도어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180019826A (ko) * 2016-08-17 2018-02-27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1968249B1 (ko) * 2016-08-17 2019-05-14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1803028B1 (ko) * 2016-08-19 2017-11-29 김익환 고기굽는 숯불 훈연가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07B1 (ko) 점화유닛이 구비된 상, 하향 겸용 그릴장치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US20170238761A1 (en) Forced Air Grill
KR200377271Y1 (ko) 고기 구이기
KR101114290B1 (ko) 전기 로스터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JP2009131441A (ja) 電気焼いも機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060061597A (ko) 고기 구이기
KR100569211B1 (ko) 고기 구이장치
KR20010078431A (ko) 육류구이장치 및 방법
KR20140137959A (ko) 숯불 오븐
KR200220321Y1 (ko) 구이팬
KR101530810B1 (ko) 육류 구이용 화덕 및 육류 구이 방법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292829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숯 착화장치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1999062B1 (ko) 고기구이장치
US20060048769A1 (en) Roaster oven able to roast meat on both sides simultaneously
KR200405679Y1 (ko) 훈제 겸용 가마솥 숯불구이장치
KR200367548Y1 (ko) 석쇠 회전식 구이기
KR200352731Y1 (ko) 황토가마 육류구이 장치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KR200372900Y1 (ko) 간접열에 의한 고기구이가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