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606B1 - 비어 치킨 구이기 - Google Patents

비어 치킨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606B1
KR101497606B1 KR20140090608A KR20140090608A KR101497606B1 KR 101497606 B1 KR101497606 B1 KR 101497606B1 KR 20140090608 A KR20140090608 A KR 20140090608A KR 20140090608 A KR20140090608 A KR 20140090608A KR 101497606 B1 KR101497606 B1 KR 101497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heating
chicke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삼연
Original Assignee
한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연 filed Critical 한삼연
Priority to KR2014009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7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rotating drums or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어 치킨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가열 챔버(11)를 구비한 구이기 본체(10); 복수개의 상하 방향 서포트 바아(22)에 복수개의 회전판(24)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지지축에 의해 상기 구이기 구이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24)에는 내부에 맥주 저장조를 구비한 치킨 홀더(4)가 거치되는 회전판 모듈(20); 상기 회전판 모듈(2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설치된 회전 구동부(30);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상기 회전판(24)에 거치된 구이 대상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어 치킨 구이기{Beer chicken roasting machine}
본 발명은 비어 치킨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킨의 겉부분과 내부 안쪽 부분까지 고르게 구이가 되면서도 치킨의 속은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기 때문에 더욱 맛있는 치킨을 만들 수 있고, 치킨의 겉껍질 부분은 바삭바삭하게 구워질 수 있어서 치킨 특유의 고소한 풍미 등을 만끽하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비어 치킨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에 함유된 지방질은 고기맛을 느끼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류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조리법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중에서 바베큐 구이나 숯불 구이 등은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조리법들로서, 이러한 조리법들은 대상 구이물로부터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린내를 없애는 탈취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닭고기나 돼지고기 등과 같이 지방 함유량이 많고 비린 향이 나는 육류를 조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조리의 편의를 위하여 구이의 대상이 되는 구이물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는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 구이기 등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국내 특허출원 10-2004-0100164호의 "회전식 숯불 구이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이물 각각의 위치 및 로스터의 위치 즉, 구이물에 전달되는 화력의 차이가 날 경우 구이물의 국소부위만 타거나, 또는 설익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섭취의 불쾌감과 이를 통한 구이물의 신뢰성을 상실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리 방법을 이용하여 치킨을 조리하는 경우, 가슴살 등의 육질이 쫄깃하지 않고 퍽퍽하여 치킨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국내특허등록 제10-0940546호와 같이 맥주를 이용하여 가슴살 등의 육질이 쫄깃하고 부드러우면서도 맛있게 요리되도록 하며, 짧은 시간에 치킨이 타거나 덜 익지 않으면서도 위생적으로 대량 조리할 수 있는 는 음식물 조리 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0940546호의 경우 나름대로 장점은 있으나 보다 더 개선된 비어 치킨 구이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보다 더 많은 량의 육류(특히, 치킨)를 한꺼번에 구이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 자체는 복잡해지지 않는 등의 개선을 한 비어 치킨 구이기가 필요하다 하겠다.
국내특허등록 제10-1170272호(2012.07.25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4-0047927호(2014.04.23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0940546호(2010.01.28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치킨의 겉부분과 내부 안쪽 부분까지 고르게 구이가 되면서도 치킨의 속은 적절한 수분이 유지되기 때문에 더욱 맛있는 치킨을 만들 수 있고, 치킨의 겉껍질 부분은 바삭바삭하게 구워질 수 있어서 치킨 특유의 고소한 풍미 등을 만끽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비어 치킨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더 많은 량의 육류(특히, 치킨)를 한꺼번에 구이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 자체는 복잡해지지 않는 등의 개선을 한 비어 치킨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가열 챔버를 구비한 구이기 본체; 복수개의 상하 방향 서포트 바아에 복수개의 회전판가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지지축에 의해 상기 구이기 구이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에는 내부에 맥주 저장조를 구비한 치킨 홀더가 거치되는 회전판 모듈; 상기 회전판 모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판 모듈의 상기 회전판에 거치된 구이 대상 치킨의 가열을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구이기 본체에 지지된 모터; 상기 구이기 본체의 바텀 패널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 모듈의 하단부로 돌출된 회전 연결축이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 결합홈(34h)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로테이션 디스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어셈블리는, 상기 구이기 본체의 가열 챔버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 상기 가열체 하우징에 장착되며 전후면으로 연통된 화염공을 구비한 세라믹; 상기 가열체 하우징과 상기 세라믹의 후면 사이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세라믹의 상기 화염공으로 화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버너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너는, 상기 가열체 하우징과 상기 세라믹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스 분사관; 상기 가스 분사관에 구비된 가스 분사노즐; 상기 가스 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가열체 하우징과 상기 세라믹 사이의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에 가스가 공급될 때에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 상기 가열체 하우징과 상기 세라믹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버너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 분사관은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너 조절장치는, 시드 가스 슬리브부로 시드 가스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 공급 슬리브부로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밸브체를 내부에 구비한 버너 조절밸브; 상기 버너 조절밸브의 상기 밸브체에 연결되어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너 조절레버; 상기 버너 조절레버의 작동시에 상기 이그나이터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기 본체 내부의 가열 챔버에는 상기 스파크 발생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그나이터와, 상기 버너 조절밸브의 상기 시드 가스 슬리브부에 튜브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이그나이터에 인접 배치된 시드 가스 분사노즐이 장착되며, 상기 버너 조절밸브의 상기 가스 공급 메인 슬리부는 튜브에 의해 상기 가스 분사노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기 본체는 내부의 가열 챔버 양쪽과 뒤쪽의 한 쌍의 사이드 챔버와 리어 챔버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챔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챔버에 상기 스파크 발생기와 버너 조절밸브가 내장되고, 상기 구이기 본체의 배면판에는 상기 사이드 챔버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기 본체는 어퍼 패널부와 바텀 패널부의 양쪽에 상기 사이드 챔버가 확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어 챔버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에 구비된 외측 후면판과 적어도 상기 바텀 패널부 사이에는 이격 스페이스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판 모듈은 상부에서 볼 때에 상기 회전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상기 서포트 바아가 하나씩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 모듈의 뒤쪽에 상기 서포트 바아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의 앞쪽에는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 사이에 투입 스페이스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라믹이 지지된 상기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은 상기 구이기 본체의 상기 가열 챔버에 상하부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열체 하우징 사이의 스페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리어 패널에 의해 막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어 패널은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상기 구이기 본체의 배면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기 본체의 가열 챔버에는 상기 버너의 세라믹에 형성된 화염공으로부터 화기가 나올 때에 상기 화기의 열기를 앞쪽에서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차단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요부인 회전판 모듈이 구이기 본체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열로 설치되는 한편 각각의 회전판 모듈에는 복수개의 회전판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이기 본체 내부의 가열 챔버에 행과 열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회전판에 의해 다량의 치킨을 구이할 수 있다. 기존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치킨을 한꺼번에 구이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회전판 모듈의 좌우측에 구비된 한 쌍의 서포트 바아에 의해 투입 스페이스가 확보되는데, 상기 투입 스페이스는 다른 회전판 모듈 내외부 연통 스페이스에 비하여 좌우 양쪽 거리가 더 넓으므로, 이러한 투입 스페이스를 통해서 치킨이 꽂아져 있는 홀더를 투입하여 회전판에 올려놓거나 회전판에서 치킨이 꽂힌 홀더를 빼내면 되므로, 회전판 모듈의 각 회전판에 치킨을 집어넣거나 치킨을 빼내기가 보다 편리하다. 치킨을 굽기 위해 구이기 본체에 투입할 때에도 걸리는 부분이 없어서 보다 편하고 치킨을 구이기 본체에서 꺼낼 때에도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보다 편리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비어 치킨 구이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회전판 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회전판 모듈과 발열 유닛의 주요부 및 회전 구동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스파크 발생기와 버너 조절밸브 및 가스 분사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부인 이그나이터와 세라믹의 일부 확대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비어 치킨 구이기는 구이기 본체(10)에 회전판 모듈(20)과 회전 구동부(30) 및 버너가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대략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구이기 본체(10)는 좌우 양쪽의 사이드 패널부에 바텀 패널부(12)와 어퍼 패널부(14)가 구비되고 사이드 패널부와 어퍼 패널부(14) 및 바텀 패널부(12)에는 리어 패널부에 연결되어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리어 패널부는 리어 패널(17)과 외측 후면판(18)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사이드 패널부는 내측 사이드 패널(15IP)과 외측 사이드 패널에 의해 내부에 사이드 챔버(15)가 구비된 구조이다. 내측 사이드 패널(15IP)은 구이기 본체(10)의 내부 좌우 양쪽에 배치되고, 외측 사이드 패널은 각각의 내측 사이드 패널(15IP)의 외부에서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내측 사이드 패널(15IP)과 외측 사이드 패널에 의해 내부에 사이드 챔버(15)를 구비한 좌우 양쪽 사이드 패널부를 구성한다.
상기 바텀 패널부(12)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바텀 패널부(12)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에 연통된 하부 샤프트 삽입홀이 구비된다. 하부 샤프트 삽입홀은 두 개의 사이드 패널부 사이에서 일자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개의 하부 샤프트 삽입홀이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 상면에 일자형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어퍼 패널부(14)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샤프트 지지 바아가 구비되고, 샤프트 지지바아에 상기 하부 샤프트 삽입홀과 상하 방향으로 만나는 복수개의 상부 샤프트 삽입홀이 구비된다.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하부 샤프트 삽입홀과 상부 샤프트 삽입홀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부 샤프트 삽입홀과 하부 샤프트 삽입홀은 원형홀이다.
한편,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좌우 양쪽 내측 사이드 패널(15IP)과 후술하는 가열체 하우징(42)과 리어 패널(17)에 의해 가열 챔버(11)가 형성된다. 가열체 하우징(42)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단면 채널 형상의 바아 구조로서 구이기 본체(10)의 좌우 양쪽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양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가열체 하우징(42)의 상하단부에는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과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이 구비될 수 있고,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과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에는 걸고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걸고리부는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걸고리부의 하단부가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와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 사이에 상측 끼움부가 형성되며,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걸고리부는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상단부를 절곡하여 형성되는데, 상기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의 걸고리부의 상단부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걸고리부와 상측 리어 패널 걸이편 사이에 하측 끼움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은 양단부가 구이기 본체(10)의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각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의 스페이스는 리어 패널(17)이 막아주게 된다. 이때, 리어 패널(17)은 상단부에 상측 삽입 지지편(17a)이 구비된다. 상측 삽입 지지편(17a)은 리어 패널(17)의 상단부측 일부를 절곡시켜 리어 패널(17)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측 삽입 지지편(17a)과 리어 패널(17) 사이에 상측 삽입 지지홈이 형성된다. 또한, 리어 패널(17)은 하단부에 전방으로 교차되도록 연장된 크로스 리어 패널부가 구비되고, 크로스 리어 패널부의 선단부에는 교차되는 방향(즉, 대략 리어 패널(17)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에는 하측 삽입 지지편(17b)이 구비된다. 하측 삽입 지지편(17b)은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의 하단부측 일부를 절곡시켜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하측 삽입 지지편(17b)과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 사이에 하측 삽입 지지홈이 형성된다. 즉, 리어 패널(17)은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상측 삽입 지지편(17a)과 하측 삽입 지지편(17b)이 구비되고, 상기 상측 삽입 지지편(17a)과 하측 삽입 지지편(17b)에 의해 상측 삽입 지지홈과 하측 삽입 지지홈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리어 패널(17)은 옆에서 볼 때에 앞쪽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판 구조이다. 상기 상측 삽입 지지편(17a)과 하측 삽입 지지편(17b)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경우 상기 리어 패널(17)이 앞쪽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진 판 구조를 가진다.
상기 리어 패널(17)을 두 개의 상하로 나란한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에 걸어서 설치한다. 즉, 리어 패널(17)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측 삽입 지지편(17b)을 아래쪽에 배치된 가열체 하우징(42)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과 걸고리부 사이의 하측 끼움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17)을 더 위로 들어올려서 리어 패널(17) 상단부에 구비된 상측 삽입 지지편(17a)을 위쪽에 배치된 다른 가열체 하우징(42)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측 리어 패널 걸이편과 걸고리부 사이의 하측 끼움부에 결합하면 각각의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의 스페이스를 리어 패널(17)에 의해 막아줄 수 있게 된다. 즉, 복수개의 리어 패널(17)에 의해 각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의 스페이스를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최상측의 가열체 하우징(42)의 위쪽에 최상측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최상측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에는 상단부가 위쪽으로 향하는 걸고리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최상측 리어 패널(17)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측 리어 패널 결합편과 리어 패널(17) 사이의 상측 삽입 지지홈을 상기 최상측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의 상기 걸고리부에 끼워서 최상측 리어 패널(17)의 상단부가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동시에 최상측 가열체 하우징(42)의 상단부에 구비된 상측 리어 패널 결합편의 걸고리부를 최상측 리어 패널(17)과 하측 리어 패널 결합편 사이의 하측 삽입 지지홈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최하측의 가열체 하우징(42)의 아래쪽에 하측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하측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에는 하단부가 아래로 향하는 걸고리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최하측 리어 패널(17)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측 리어 패널 결합편과 리어 패널(17) 사이(정확하게는 하측 리어 패널 결합편과 제2크로스 리어 패널부 사이)의 하측 삽입 지지홈을 상기 최하측 리어 패널 결합편의 걸고리부에 끼워서 최하측 리어 패널(17)의 하단부가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고 동시에 최하측 가열체 하우징(42)의 하단부에 구비된 상측 리어 패널 결합편의 걸고리부를 최하측 리어 패널(17)과 상측 리어 패널 결합편 사이의 상측 삽입 지지홈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결합하면 리어 패널(17)이 구이기 본체(1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각각의 가열체 하우징(42) 상하단부에 리어 패널 고정편을 구비하고, 구이기 본체(10)의 최상측 가열체 하우징(42)의 위쪽에 상측 리어 패널 고정편을 구비하고 구이가 본체의 최하측 가열체 하우징(42)의 아래쪽에 하측 리어 패널 고정편을 구비하여, 상기 리어 패널(17)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리어 패널 고정편에 결합함으로써 리어 패널(17)이 구이기 본체(1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이기 본체(10)의 좌우 양쪽에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 패널과 각 가열체 하우징(42) 및 리어 패널(17)에 의해 구이기 본체(10)의 내부에 가열 챔버(11)가 형성되며, 상기 가열 챔버(11)의 전방에는 투입구가 확보된 구조를 취하게 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서 전방으로 개방된 투입구는 도어(19)에 의해 막아준다. 즉, 구이기 본체(10)의 전방에 일측이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도어(19)에 의해 상기 가열 챔버(11)의 전방 투입구를 막아주게 된다. 도어(19)에 의해 구이기 본체(10)의 앞쪽 투입구를 막아주거나 개방하는 것이다. 이때, 도어(19)는 금속재의 도어(19) 프레임에 유리(내열 유리)가 장착된 구조이다.
이처럼 구이기 본체(10)의 전방에는 가열 챔버(11)를 앞쪽에서 막아주는 도어(19)가 일측의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전방 하부에는 힌지부에 의해 기단부가 연결되어 구이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걸이 바아(19HB)가 구비되고, 상기 걸이 바아(19HB)의 선단부에는 걸고리부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19)에는 가열 챔버(11)를 개방하도록 열린 상태에서 걸이 바아(19HB)의 걸고리부가 걸려지는 걸이홈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에는 조명램프가 내장되고, 상기 조명램프의 점등은 구이기 본체(10)의 사이드 챔버(15)에 내장된 램프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양쪽 사이드 챔버(15) 중에서 한쪽 사이드 챔버(15)를 구성하는 전면판에는 버너 조절레버(58)의 내측단에 구비된 연결축이 관통하여 결합되기 위한 축결합홀이 구비된다. 후술할 버너의 갯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축결합홀이 구이기 본체(10)의 사이드 챔버(15)의 전면판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어퍼 패널부(14)에는 배기 덕트(13)가 구비되고, 배기 덕트(13)에는 댐퍼가 구비되며, 댐퍼는 댐퍼축 부분이 배기 덕트(13) 외측의 댐퍼 레버에 연결되어, 댐퍼 레버를 회전시킴에 따라 배기 덕트(13)의 개방 정도가 조절된다. 이때, 배기 덕트(13)는 어퍼 패널부(14)의 상부 중앙부에 구비된다. 구이기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 단일의 배기 덕트(13)가 구비된 것이다. 다시 말해, 구이기 본체(10)는 어퍼 패널부(14)와 바텀 패널부(12)의 양쪽에 사이드 챔버(15)가 확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어퍼 패널부(14)와 바텀 패널부(12)와 사이드 챔버(15) 및 리어 패널(17)에 의해 구이기 본체(10)에 가열 챔버(11)가 형성되는데, 상기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어퍼 패널부(14)의 중앙부에 가열 챔버(11)와 연통된 배기 덕트(13)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한편,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양쪽 사이드 챔버(15)에 더하여 리어 챔버(1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에 설치된 리어 패널(17)과, 이 리어 패널(17)의 뒤쪽에 배치된 외측 후면판(18) 사이에 리어 챔버(16)가 형성된다. 이때, 외측 후면판(18)의 하단부와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를 형성하는 바텀 패널부(12)의 상면과의 사이에 이격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즉, 상기 리어 챔버(16)를 형성하도록 구이기 본체(10)에 구비된 외측 후면판(18)과 적어도 바텀 패널부(12) 사이에는 이격 스페이스가 확보된 구조이다. 이격 스페이스(18h)는 구이기 본체(10)의 뒤에서 볼 때에 옆으로 길게 연장된 슬롯 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좌우 양쪽에 사이드 챔버(15)가 각각 구비되는데, 외측 후면판(18)은 각 사이드 챔버(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15h)을 구비한다. 복수개의 구멍(15h)이 사이드 챔버(15)와 연통되도록 외측 후면판(18)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는 회전판 모듈(20)이 직립 설치되어 회전 구동부(30)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회전판 모듈(20)은 복수개의 상하 방향 서포트 바아(22)에 복수개의 회전판(24)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회전판 모듈(20)의 상면에서 볼 때에 회전판(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서포트 바아(22)가 배치된다.
상기 회전판(24)는 원판 형상이다. 회전판(24)의 둘레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하향 테두리부가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바아(22)는 회전판(24)의 하향 테두리부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즉, 복수개의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서포트 바아(22)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판(24)의 하향 테두리부 외주면에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원판형 회전판(24)이 복수개의 방사 방향 서포트 바아(22)에 지지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회전판(24) 사이의 공간부는 구이 대상 치킨이 투입되는 공간부이다. 구이 대상 치킨을 홀더(4)에 꽂아 준 다음, 치킨이 꽂혀있는 홀더(4)를 상기 회전판(24)마다 확보된 공간부에 투입하여 회전판(24)에 의해 홀더(4)와 치킨(2)을 거치시키게 된다.
상기 홀더(4)는 치킨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받는 홀더 베이스(4a)와, 이 홀더 베이스(4a)의 중앙부 상면에 구비되어 맥주를 수용하는 맥주 저장부를 형성하는 슬리브(4b)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4b)에 의해 형성된 맥주 저장부에 맥주를 붓고 슬리브(4b)에 치킨을 꽂은 다음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 홀더(4)를 올려놓고 치킨 구이를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복수개의 회전판(24) 중에서 최상측 회전판(24)의 상면 중앙부에는 단면 원형의 상부 지지축(27)이 구비되고, 최하측 회전판(24)의 저면 중앙부에는 단면 각형의 하부 지지축(28)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하부 지지축(28)은 단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상부 지지축(27)은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 상부에 구비된 샤프트 결합홀에 끼워지고, 회전판 모듈(20)의 하부 지지축(28)은 후술할 회전 구동부(30)를 구성하는 로테이션 디스크(34) 중앙부의 샤프트 결합홈(34h)에 끼워진다.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에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샤프트 결합홈(34h)이 상하로 만나는 위치에 정렬되어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하부측 샤프트 삽입홀을 관통하는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하부 지지축(28)을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샤프트 결합홈(34h)에 끼워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하부 지지축(28)은 단면 사각형 바아이고,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샤프트 결합홈(34h)은 단면 사각형 홈 구조이므로,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가 회전하면, 회전판 모듈(20)도 상부 지지축(27)과 하부 지지축(28)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 내부에 상부 지지축(27)과 하부 지지축(28)에 의해 회전판 모듈(20)이 직립 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의 회전에 따라 회전판 모듈(20)이 구이기 본체(10)를 기준으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회전 작동을 위한 회전 구동부(30)는 구이기 본체(10)에 지지된 모터(32)와,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구비되며 모터(32)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32)의 모터축 회전시에 함께 회전되는 복수개의 로테이션 디스크(3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2)는 구이기 본체(10)의 하부판을 구성하는 바텀 패널부(12)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패널부(12)의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이러한 바텀 패널부(12)의 내부 공간부에 모터(32)가 내장되어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모터(32)의 모터축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는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형성된 각각의 샤프트 삽입홀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배치되도록 바텀 패널부(12)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여섯 개의 샤프트 삽입홀이 형성되므로, 상기 로테이션 디스크(34)도 여섯 개가 설치된다. 또한,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중심부에 구비된 로테이션 결합 지지축이 베어링 등의 회전 지지부재에 의해 바텀 패널부(12)에 결합되어 로테이션 디스크(34)가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중심부에는 상면으로 연통된 샤프트 결합홈(34h)이 구비되어,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형성된 샤프트 삽입홀을 통과한 회전판 모듈(20)의 하부 지지축(28)이 로테이션 디스크(34)의 중심부 샤프트 결합홈(34h)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모터(32)의 모터축이 회전할 때에 이러한 회전력을 로테이션 디스크(34)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은 구동 스프로켓(33)과 종동 스프로켓(35) 및 체인(37)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 스프로켓(33)의 중심부가 모터(32)의 모터축에 동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종동 스프로켓(35)은 각각의 로테이션 디스크(34)의 회전 중심부에 동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체인(37)은 각각의 종동 스프로켓(35)과 구동 스프로켓(33)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32)의 모터축과 구동 스프로켓(33)이 회전하면 체인(37)이 무한궤도 운동하고, 체인(37)이 무한궤도 운동하면 각각의 종동 스프로켓(35)도 회전하고, 각각의 종동 스프로켓(35)이 회전하면 각각의 로테이션 디스크(34)도 구이기 본체(10)를 기준으로 회전(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로테이션 디스크(34)가 회전하면 이에 연결된 회전판 모듈(20)도 구이기 본체(1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회전판 모듈(20)의 회전판(24)에 거치된 구이 대상 치킨의 가열을 위한 조리용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때, 버너 어셈블리는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 및 버너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단면 채널 형상의 바아 구조로서 구이기 본체(10)의 좌우 양쪽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양단부가 고정된 것으로, 버너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이다. 가열체 하우징(42)은 상하 폭보다 좌우 양단부 사이의 거리가 더 긴 직사각 채널 부재 구조이다.
상기 세라믹(44)은 상하 폭보다 좌우 양단부 사이의 거리가 더 긴 길다란 단면 사각형 블록 구조이다. 세라믹(44)의 내부에는 전후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화염공(44h)이 구비된다. 이러한 세라믹(44)은 가열체 하우징(42)의 내부에 고정된다. 가열체 하우징(42)의 전단부에 구비된 상하 한 쌍의 지지편에 의해 세라믹(44)의 전면 상하부가 걸려져 지지되고,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스 유입 공간부(43)가 확보되어 있다. 세라믹(44)은 가열체 하우징(42)의 내부에 내열성 접착제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가열체 하우징(42)의 양단부가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좌우 양쪽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및 한 쌍의 좌우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의해 가스 유입 공간부(43)가 폐쇄된 가스 공급 공간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43)는 세라믹(44)의 화염공(44h)과 연통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버너는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의 후면 사이에 공급(즉,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세라믹(44)의 화염공(44h)으로 화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버너는 가스 분사관(51)과 가스 분사노즐(53)과 이그나이터(55) 및 버너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버너는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분사관(51)은 단면 원형관 구조이다. 가스 분사관(51)은 선단부가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내측 사이드 패널(15IP)의 관결합공에 관통되도록 끼워져 고정된다. 가스 분사관(51)이 용접 등에 의해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의 양단부가 구이기 본체(10)의 좌우 양쪽 사이드 패널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어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사이에는 가스 유입 공간부(43)가 확보되어 있는데, 상기 내측 사이드 패널(15IP)에 선단부가 고정된 가스 분사관(51)이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43)와 연통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가스 분사관(51)이 직접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와 연통될 수도 있고 별도의 연결관을 매개로 가스 분사관(51)이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 분사관(51)은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홀(51h)을 구비한다. 두 개의 공기 공급홀(51h)이 가스 분사관(51)의 위아래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관의 기단부측 외주면에는 브라켓편이 구비되고, 브라켓편에는 내부에 공간부가 있는 노즐 지지부재(52)이 구비된다. 노즐 지지부재(52)의 선단부와 가스 공급관의 기단부 사이에도 공기 유입용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가스 분사관(51)에 가스 분사노즐(53)이 구비된다. 가스 분사관(51)의 기단부측에 가스 분사노즐(53)이 배치된다. 상기 노즐 지지부재(52)의 내부에 가스 분사노즐(53)이 내장되어 고정되며, 가스 분사노즐(53)의 선단부가 가스 분사관(51)의 기단부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가스 분사노즐(53)의 선단부가 노즐 지지부재(52)의 선단부와 가스 공급관의 기단부 사이에 확보된 공기 유입용 스페이스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스 분사노즐(53)의 선단부에서 토출되는 가스가 가스 분사관(51)을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로 공급될 수 있다. 가스 분사노즐(53)의 기단부는 상기 노즐 지지부재(5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의 한쪽 단부와 인접된 위치에는 이그나이터(55)가 설치된다. 이그나이터(55)는 가스 분사노즐(53)을 통해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가스가 공급될 때에 점화시키는 불꽃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그나이터(55)는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한쪽의 사이드 패널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이때, 이그나이터(55)의 선단부측 일부가 사이드 패널의 안쪽면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의 전단 개구부에 구비된 메시망(46)(금속제의 메시망(46))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이그나이터(55)는 상기 사이드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된 이너 덕트(13)에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은 이그나이터(55)의 옆에 배치되도록 가열체 하우징(42)의 한쪽 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구비된다. 시드 가스 분사노즐(56)도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한쪽의 사이드 패널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사이드 패널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의 선단부측 일부가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로 들어와 있다. 이때,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의 선단부측 일부가 사이드 패널의 안쪽면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가열체 하우징(42)에 지지된 세라믹(44)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시드 가스 분사노즐(56)도 상기 사이드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된 이너 덕트(13)에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의 외측에는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이 구비된다. 시드 가스 분사노즐(56)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이 배치된 것이다.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 역시 상기 사이드 패널의 외측면에 배치된 이너 덕트(13)에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지지될 수 있다.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의 기단부측이 상기 사이드 챔버(15)에 형성된 구멍(사각형 구멍)으로 들어가서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이너 덕트(13)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여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버너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버너 조절장치는 버너 조절밸브(57)와,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밸브체에 연결되어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너 조절레버(58)와, 상기 버너 조절레버(58)의 작동시에 이그나이터(55)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기(59)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조절밸브(57)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구이기 본체(10)에 고정된다. 구이기 본체(10)의 한쪽 사이드 챔버(15)의 내부에 버너 조절밸브(57)가 내장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한쪽 사이드 챔버(15)의 내부에 가스 분사관(51)과 가스 분사노즐(53)과 이그나이터(55) 및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이 내장되어 지지되는데, 상기 버너 조절밸브(57)도 구이기 본체(10)의 한쪽 사이드 챔버(15)에 같이 내장된 구조이다. 버너 조절밸브(57)의 한쪽 단부가 브라켓과 볼트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구이기 본체(10)의 전면 패널 안쪽면에 고정된다.
상기 버너 조절밸브(57)는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와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 및 밸브체를 구비한다. 버너 조절밸브(57)의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와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는 가스 연결 공급관(54)과 연통되고, 상기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는 튜브를 통해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는 튜브를 통해 가스 분사노즐(53)에 연결되므로, 상기 가스 연결 공급관(54)이 버너 조절밸브(57)를 매개로 각각 시스 가스 분사노즐(53)과 가스 분사노즐(53)에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가스 연결 공급관(54)은 구이기 본체(10)의 한쪽 사이드 챔버(15)에 내장되는데, 사이드 챔버(15)의 바닥면과 나란한 수평 가스 연결 공급관(54a)과, 이 수평 가스 연결 공급관(54a)에 연통되어 직립 설치된 수직 가스 연결 공급관(54b)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가스 연결 공급관(54b)에 버너 조절밸브(57)가 연결된다.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에 내장된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이 복수개이므로, 상기 수직 가스 연결 공급관(54b)에 연통된 버너 조절밸브(57)도 그에 대응하여 복수개로 배치된다. 복수개의 버너 조절밸브(57)가 구이기 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 가스 연결 공급관(54a)에는 구이기 본체(10)의 외측 후면판(18)에 장착된 메인 가스 공급 니플(NP)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메인 가스 공급 니플에 호스 등을 매개로 연결된 가스통에서 가스 연결 공급관(54) 내부로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내부에는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에 시드 가스를 공급하고 동시에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에 공급 가스량을 조절하는 밸브체가 내장될 수 있다. 밸브체는 구형 밸브체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밸브체에 조절홀이 내외주면으로 관통되어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의해 조절홀이 열리면서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로 시드 가스가 공급되고 동시에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로 공급 가스량이 조절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구형 밸브체를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시킬 수 있다.
상기 버너 조절밸브(57) 내부의 밸브체에는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너 조절레버(58)가 연결된다. 버너 조절레버(58)는 구이기 본체(10)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고, 버너 조절레버(58)의 내측단은 연결축에 의해 버너 조절밸브(57) 내부의 밸브체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너 조절레버(58)를 다이얼식으로 회전시켜서 밸브체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 밸브체의 조절홀이 버너 조절밸브(57)의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와 연통되는 크기가 조절되므로, 상기 가스 분사노즐(53)로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할 수 있고, 가스 분사노즐(53)로 공급되는 가스량이 조절되는 만큼 가스에 의해 불이 붙은 화염의 세기가 조절된다.
본 발명은 버너 조절레버(58)의 작동시에 이그나이터(55)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기(59)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조절밸브(57)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버너 조절레버(58)의 다이얼식 회전에 의해 초기에 스파크 발생기(59)로부터 전류가 발생되고, 스파크 발생기(59)는 전선을 통해서 이그나이터(55)(금속제의 이그나이터(55))에 연결되어 있어서, 이그나이터(55)의 선단부에서 불꽃(스파크)가 발생된다. 한편, 상기 스파크 발생기(59)는 압전 소자로 구성되어, 상기 버너 조절레버(58)를 초기에 다이얼식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압전 소자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전기(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버너 조절레버(58)는 일반 가스랜지에서 처음에 불을 붙일 때에 가스가 공급되면서 이그나이터(55)에 의해 불꽃이 발생되어 가스불이 점화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채용한다. 즉, 일반 가스렌지에는 점화 겸용 화기 조절레버가 설치되는데, 상기 점화 겸용 화기 조절레버를 처음에 회전시키면, 가스랜지의 화염 토출부에 인접 배치된 이그나이터(55)에서 불꽃이 발생하고 동시에 가스가 공급되어 이그나이터(55)의 불꽃에 의해 가스에 불을 붙이는 구조인데, 본 발명은 이처럼 다이얼식으로 돌려주어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스파크에 의해 가스에 불이 붙게 되는 통상의 가스랜지용 점화 겸용 화기 조절레버를 본 발명에서의 버너 조절레버(58)로 채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버너 조절레버(58)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스량이 조절되어 가스불의 화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도 통상의 가스랜지용 화기 조절레버와 동일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여 비어 치킨 구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버너 조절밸브(57)를 돌려서 세라믹(44)과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로 가스가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시드 가스 분사노즐(56)로부터 공급되는 시드 가스와 이그나이터(55)에 의해 점화시켜서 불을 붙인다. 이때,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구비된 도어(19)를 열어놓고 점화시킨다. 그래야, 가스불의 점화시 공기가 잘 공급되어 가스불이 보다 잘 붙게 된다. 또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배면판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도 외부의 공기가 사이드 챔버(15) 내부로 들어와서 상기 가스 분사관(51)의 내외주면으로 연통되도록 구비된 공기 공급홀(51h)으로 통해 가스 분사관(51)의 내부로도 공기가 공급되므로 가스불이 더욱 원활하게 점화된다. 이처럼 가스불이 붙어서 세라믹(44)의 전후면으로 연통된 화염공(44h)을 통해서 가스불이 나오게 되고, 이러한 가스불에 의해 치킨을 조리하는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홀더(4)의 슬리브(4b)에 의해 형성된 맥주 저장부에 맥주를 채워넣은 다음 상기 슬리브(4b)에 구이를 하기 위한 치킨을 꽂아주고, 상기 홀더(4)를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 홀더(4)를 올려놓고 도어(19)를 닫아준다.
이어서, 상기 회전판 모듈(20)이 회전 구동부(30)에 의해 돌아가면서 각 회전판(24)에 거치된 치킨을 가스불의 화력에 의해 굽게 된다. 이때, 상기 홀더(4)의 슬리브(4b) 안쪽 맥주 저장부에 채워진 맥주는 치킨 구이가 되면서 증발하여 치킨의 내부를 적절한 수분이 촉촉하게 유지된 상태로 익혀지도록 하고 동시에 치킨을 껍질은 바삭바삭하게 구워지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비어 치킨 구이기는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 좌우 복수개의 열로 회전판 모듈(20)을 설치하고, 각각의 회전판 모듈(20)에는 복수개의 회전판(24)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 치킨을 올려놓고 구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기본적인 특징이 있는 발명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상기 회전판 모듈(20)이 구이기 본체(10)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열로 설치되는 한편 각각의 회전판 모듈(20)에는 복수개의 회전판(24)이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 행과 열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회전판(24)에 의해 다량의 치킨을 구이할 수 있다. 기존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치킨을 한꺼번에 구이할 수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다.
2. 회전판 모듈(20)은 상부에서 볼 때에 회전판(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상기 서포트 바아(22)가 하나씩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를 기준으로 회전판 모듈(20)의 뒤쪽에 서포트 바아(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를 기준으로 회전판(24)의 앞쪽에는 좌우측 서포트 바아(22) 사이에 투입 스페이스(26)가 확보되는데, 상기 투입 스페이스(26)는 다른 회전판 모듈(20) 내외부 연통 스페이스에 비하여 좌우 양쪽 거리가 더 넓으므로, 이러한 투입 스페이스(26)를 통해서 치킨이 꽂아져 있는 홀더(4)를 투입하여 회전판(24)에 올려놓거나 회전판(24)에서 치킨이 꽂힌 홀더(4)를 빼내면 되므로,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 치킨을 집어넣거나 치킨을 빼내기가 보다 편리하다.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에 의해 형성된 투입 스페이스(26)는 홀더(4)의 외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므로, 치킨이 꽂아져 있는 홀더(4)를 회전판 모듈(20)의 상기 투입 스페이스(26)로 투입할 때에 홀더(4)가 좌우측 서포트 바아(22)에 걸려서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가 없고, 상기 회전판(24)에 올려져 있는 홀더(4)를 상기 투입 스페이스(26)를 통해 빼낼 때에도 좌우측 서포트 바아(22)에 홀더(4)가 걸리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 치킨을 투입하거나 치킨을 끄집어 내기가 보다 편리한 것이다. 물론, 상기 투입 스페이스(26)를 제외한 다른 스페이스(즉, 회전판 모듈(20)의 내외주면으로 연통된 다른 스페이스)들의 양쪽 사이의 폭은 홀더(4)의 외경보다 작아서 회전판 모듈(20) 회전시에 홀더(4)가 상기 서포트 바아(22)에 걸려서 지지되므로, 회전판 모듈(20)의 회전에 의해 치킨을 구이할 때에 치킨과 홀더(4)가 회전판 모듈(20)의 각 회전판(24)에서 이탈되는 경우도 방지된다.
3. 복수개의 회전판 모듈(20)이 구이기 본체(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구동부(30)의 구조가 비교적 간소화되므로, 제작 코스트 등의 절감이 가능하다. 비어 치킨 구이가 이루어져서 치킨의 내부를 적절한 수분이 촉촉하게 유지된 상태로 익혀지도록 하고 동시에 치킨을 껍질은 바삭바삭하게 구워지도록 함으로써 치킨 자체의 맛은 아주 좋으면서도 이러한 다량의 치킨을 맛있게 구울 수 있도록 하는 회전판 모듈(20)의 회전 구동부(30)와 다른 구성 부분이 비교적 간소화되므로 제품 코스트 절감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4. 본 발명에서는 구이기 본체(10) 앞의 도어(19)를 열고 가스불을 붙이는데, 구이기 본체(10)의 배면판에 구비된 구멍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들어와서 가스를 분사하는 가스 분사관(51)으로 공기가 들어와서 가스와 잘 혼합되므로 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5.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도어(19)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는 구이기 본체(10)의 전방 하부에는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한 걸이 바아(19HB)를 도어(19)에 걸어놓으면, 도어(19)가 과도하게 많이 열리지도 않고 도어(19)가 닫히지도 않으므로 가스불 점화나 치킨을 꺼내고 집어넣을 때에 보다 편리하다.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구비된 걸이 바아(19HB)의 선단부에 있는 걸고리부를 도어(19)에 구비된 걸이홈에 걸어주면 도어(19)가 너무 많이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된다.
6.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체 하우징(42)에 설치된 세라믹(44)의 후면과 가열체 하우징(42)의 안쪽면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로 들어온 가스에 불이 붙어서 세라믹(44)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화염공(44h)을 통해 화염이 올라오는데,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43)로 들어온 가스에 불을 붙이기 위한 시드 가스 분사노즐(56) 외측 위치에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이 더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시드 가스 가이드편(56GI)에 의해 시드 가스가 이그나이터(55) 쪽으로 확실하게 공급되므로, 가스불 점화시 보다 확실한 효과가 있다.
7. 구이기 본체(10)의 내부 가열 챔버(11)의 주위에는 일정 이격 공간인 사이드 챔버(15)와 리어 챔버(1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가열 챔버(11)에서 가스불의 열기에 의해 치킨 구이가 이루어질 동안 가열 챔버(11)로부터 구이기 본체(10)의 외표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경우를 사이드 챔버(15)와 리어 챔버(16)가 차단하게 되므로, 사용시 보다 안전한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사이드 챔버(15)와 리어 챔버(16)가 가열 챔버(11) 주위에서 열차단 공간층을 형성하는 셈이 되어서 가열 챔버(11)의 열이 구이기 본체(10)의 외측 패널(즉, 외측 사이드 패널과 외측 배면판)으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구이기 본체(10)의 외표면이 너무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치킨 구이 중에 구이기 본체(10)의 외표면이 닿아서 화상을 입는 등의 불안 요소가 없으므로, 사용시 보다 안전한 것이다.
8. 구이기 본체(10)의 사이드 챔버(15)를 구성하는 외측판 중에서 적어도 외측 배면판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이러한 구멍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사이드 챔버(15) 내부로 들어오고 나가는 순환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가스 점화시 필요한 산소의 공급이 보다 원활하여 점화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사이드 챔버(15) 내외부로의 공기 순환으로 인하여 사이드 챔버(15) 내부의 과열을 방지하여 주요 부분이 과열로 소손되는 등의 경우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9.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리어 챔버(16)를 형성하는 외측 배면판에는 리어 챔버(16)의 내외부로 연통된 슬릿 형태의 스페이스가 구비되어, 상기 스페이스를 통하여 통해 외부의 공기가 리어 챔버(16) 내부로 들어오고 나가는 순환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리어 챔버(16) 내부의 과열 방지 및 구이기 본체(10)의 외측 배면판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사용시 안전성 등에서 보다 큰 효과를 가지게 된다.
10. 상기한 바와 같이, 주요부인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42)과 세라믹(44) 사이의 스페이스는 리어 패널(17)(내측 배면판)에 의해 막아주고, 상기 리어 패널(17)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리어 패널(17)의 조립도 쉽고 리어 패널(17)의 분리도 보다 손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리어 패널(17) 상단부의 상측 삽입 지지편(17a)과 하측 삽입 지지편(17b)을 가열체 하우징(42)에 구비된 리어 패널 결합 지지편에 걸어주는 방식에 의해 리어 패널(17)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리어 패널(17)의 조립 작업은 물론 리어 패널(17)의 분리 작업도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11. 상기 리어 패널(17)은 구이기 본체(10)의 뒤쪽 방향(즉, 외측 배면판 방향)으로 들어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리어 패널(17)이 가스불의 열기를 반사시켜서 순화되도록 함으로써 치킨이 고르게 구워지는 열기를 균일하게 순환시킬 수 있으며, 상기 리어 패널(17)이 뒤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반사열의 순환 공간이 보다 많이 확보되고, 상기 반사열의 순환 공간이 보다 많이 확보된 만큼 열의 고른 순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더욱 도움이 된다.
12.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에는 버너의 세라믹(44)에 형성된 화염공(44h)으로부터 화기가 나올 때에 화기의 열기를 앞쪽에서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차단판(21)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구이가 다 된 치킨이 거치된 회전판 모듈(20)은 상기 차단판(21) 앞에 배치하여 회전을 시키게 되는데, 차단판(21)에 의해 다 익은 치킨으로 가스불의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치킨이 타지 않고 따뜻하게 맛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13. 본 발명에서 구이기 본체(10)의 상부에는 덕트(13)가 구비되고, 덕트(13)에는 댐퍼가 구비되고, 댐퍼에는 댐퍼 레버가 연결되어, 댐퍼 레버의 회전에 의해 댐퍼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서 상부로 배기 등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댐퍼가 구이기 본체(10)의 상면 중앙부에 하나만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열 챔버(11)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만큼 효율이 더 좋아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칭은 비어 치킨 구이기이지만, 치킨 이외에도 돼지고기, 소고기와 같은 다른 육류를 구이할 때에도 사용이 가능하고, 기타 구이가 필요한 음식을 조리할 경우에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4. 홀더 4a. 슬리브
10. 구이기 본체 11. 가열 챔버
12. 바텀 패널부 14. 어퍼 패널부
15. 사이드 챔버 16. 리어 챔버
18. 외측 후면판 20. 회전판 모듈
22. 서포트 바아 24. 회전판
26. 투입 스페이스 27. 상부 지지축
28. 하부 지지축 30. 회전 구동부
32. 모터 34. 로테이션 디스크
42. 가열체 하우징 44. 세라믹
44h. 화염공 46. 메시망
51. 가스 분사관 51h. 공기 공급홀
52. 노즐 지지부재 53. 가스 분사노즐
55. 이그나이터 56. 시드 가스 분사노즐
57. 버너 조절밸브 56a. 시드 가스 슬리브부
57b. 메인 공급 슬리브부 58. 버너 조절레버
59. 스파크 발생기

Claims (10)

  1. 내부에 가열 챔버(11)를 구비한 구이기 본체(10);
    복수개의 상하 방향 서포트 바아(22)에 복수개의 회전판(24)이 지지되어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지지축에 의해 상기 구이기 구이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직립 설치되며 상기 회전판(24)에는 내부에 맥주 저장조를 구비한 치킨 홀더(4)가 거치되는 회전판 모듈(20);
    상기 회전판 모듈(20)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설치된 회전 구동부(30);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상기 회전판(24)에 거치된 구이 대상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너 어셈블리는,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42)에 지지되며 전후면으로 연통된 화염공(44h)을 구비한 세라믹(44);
    상기 가열체 하우징(42)과 상기 세라믹(44)의 후면 사이에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화염을 발생시켜 상기 세라믹(44)의 상기 화염공(44h)으로 화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버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너는,
    상기 가열체 하우징(42)과 상기 세라믹(44)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연통되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지지된 복수개의 가스 분사관(51);
    상기 가스 분사관(51)에 구비된 가스 분사노즐(53);
    상기 가스 분사노즐(53)을 통해 상기 가열체 하우징(42)과 상기 세라믹(44) 사이의 상기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가스가 공급될 때에 점화시키는 이그나이터(55);
    상기 가열체 하우징(42)과 상기 세라믹(44) 사이의 가스 유입 공간부(43)에 공급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버너 조절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버너 조절장치는,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로 시드 가스가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 공급 슬리브부(57b)로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밸브체를 내부에 구비한 버너 조절밸브(57);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상기 밸브체에 연결되어 가스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조작할 수 있는 버너 조절레버(58);
    상기 버너 조절레버(58)의 작동시에 상기 이그나이터(55)에 불꽃을 발생시키는 스파크 발생기(59);를 포함하며,
    상기 구이기 본체(10) 내부의 가열 챔버(11)에는 상기 스파크 발생기(5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그나이터(55)와,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상기 시드 가스 슬리브부(57a)에 튜브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이그나이터(55)에 인접 배치된 시드 가스 분사노즐(56)이 장착되며,
    상기 버너 조절밸브(57)의 상기 가스 공급 메인 슬리부는 튜브에 의해 상기 가스 분사노즐(53)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30)는,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지지된 모터(32);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바텀 패널부(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모터(32)의 모터축에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하단부로 돌출된 회전 연결축이 중심부에 구비된 샤프트 결합홈(34h)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로테이션 디스크(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분사관(51)은 내외주면으로 관통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공급홀(51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내부의 가열 챔버(11) 양쪽과 뒤쪽의 한 쌍의 사이드 챔버(15)와 리어 챔버(16)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챔버(1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 챔버(15)에 상기 스파크 발생기(59)와 버너 조절밸브(57)가 내장되고,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외측 후면판(28)에는 상기 사이드 챔버(15)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구멍(28h)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기 본체(10)는 어퍼 패널부(14)와 바텀 패널부(12)의 양쪽에 상기 사이드 챔버(15)가 확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리어 챔버(16)를 형성하도록 상기 구이기 본체(10)에 구비된 외측 후면판(18)과 적어도 상기 바텀 패널부(12) 사이에는 이격 스페이스(S)가 확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 모듈(20)은 상부에서 볼 때에 상기 회전판(24)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상기 서포트 바아(22)가 하나씩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 모듈(20)의 뒤쪽에 상기 서포트 바아(22)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24)에 연결되며,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24)의 앞쪽에는 상기 좌우측 서포트 바아(22) 사이에 투입 스페이스(26)가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44)이 지지된 상기 복수개의 가열체 하우징(42)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상기 가열 챔버(11)에 상하부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가열체 하우징(42) 사이의 스페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리어 패널(17)에 의해 막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리어 패널(17)은 하단부보다 상단부가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뒤쪽으로 방향으로 더 들어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기 본체(10)의 가열 챔버(11)에는 상기 버너의 세라믹(44)에 형성된 화염공(44h)으로부터 화기가 나올 때에 상기 화기의 열기를 앞쪽에서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차단판(21)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어 치킨 구이기.
KR20140090608A 2014-07-17 2014-07-17 비어 치킨 구이기 KR101497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608A KR101497606B1 (ko) 2014-07-17 2014-07-17 비어 치킨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608A KR101497606B1 (ko) 2014-07-17 2014-07-17 비어 치킨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606B1 true KR101497606B1 (ko) 2015-03-03

Family

ID=5302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0608A KR101497606B1 (ko) 2014-07-17 2014-07-17 비어 치킨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6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42B1 (ko) * 2015-11-13 2017-03-23 최수영 회전식 구이장치
CN108576085A (zh) * 2018-04-12 2018-09-28 宁波赛浪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炉
KR20200114660A (ko) 2019-03-29 2020-10-07 심재훈 멀티 푸드 조리기
KR102442687B1 (ko) * 2021-04-13 2022-09-08 주식회사 삼일하이테크 회전식 고기 구이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11Y1 (ko) * 1997-04-04 1999-08-16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0220152Y1 (ko) * 2000-11-23 2001-04-16 박종찬 바베큐 겸용 황토구이장치
KR100940546B1 (ko) * 2009-08-14 2010-02-04 현석 음식물 조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311Y1 (ko) * 1997-04-04 1999-08-16 김선석 테이블에 설치된 회전 꼬치구이기
KR200220152Y1 (ko) * 2000-11-23 2001-04-16 박종찬 바베큐 겸용 황토구이장치
KR100940546B1 (ko) * 2009-08-14 2010-02-04 현석 음식물 조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242B1 (ko) * 2015-11-13 2017-03-23 최수영 회전식 구이장치
CN108576085A (zh) * 2018-04-12 2018-09-28 宁波赛浪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炉
CN108576085B (zh) * 2018-04-12 2021-07-02 宁波赛浪电器有限公司 一种多功能烤炉
KR20200114660A (ko) 2019-03-29 2020-10-07 심재훈 멀티 푸드 조리기
KR102442687B1 (ko) * 2021-04-13 2022-09-08 주식회사 삼일하이테크 회전식 고기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5154A (en) Gas barbecue assembly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0741167B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KR101987880B1 (ko) 강제대류열전달을 이용한 무연숯불구이기
KR101850525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20120028172A (ko) 세라콜이 설치된 구이용 로스터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20040107460A (ko) 숯불구이장치
KR101568760B1 (ko)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KR0140408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KR200427377Y1 (ko) 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KR200179524Y1 (ko) 회전식 바베큐구이기
KR200259785Y1 (ko) 훈연기를 가진 바베큐기
JP2008079888A (ja) 焼き上げ装置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100950183B1 (ko) 간접열을 이용한 균일 가열이 이루어지게 한 구이장치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102430782B1 (ko) 생두 로스터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200217706Y1 (ko)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