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691B1 -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 Google Patents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691B1
KR101489691B1 KR20140147531A KR20140147531A KR101489691B1 KR 101489691 B1 KR101489691 B1 KR 101489691B1 KR 20140147531 A KR20140147531 A KR 20140147531A KR 20140147531 A KR20140147531 A KR 20140147531A KR 101489691 B1 KR101489691 B1 KR 10148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all
pan
cooking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만
Original Assignee
(주)락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락스타 filed Critical (주)락스타
Priority to KR2014014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691B1/ko
Priority to PCT/KR2015/011362 priority patent/WO20160685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팬의 플랜지 구조를 개선하여 가열기의 불꽃 일부를 팬 내부의 조리공간으로 직접 유도함으로써 직화를 통해 조리물을 보다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음식냄새를 조리공간 내부에서 태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의하면;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하부팬(100)의 밑면(1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밑면(110)에 집중시키기 위한 하부스커트벽(140)이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 외측 가장자리에 마련되고; 하부스커트벽(1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하부-열기통로(150)가 하부팬(100)의 벽면(120)부에 이루어져 있고;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부팬(200)의 밑면(2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밑면(210)에 집중시키기 위한 상부스커트벽(240)이 마련되고; 상부스커트벽(2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부-열기통로(250)가 상부팬(200)의 벽면(220)부에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COOKING DUAL PAN}
본 발명은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팬과 하부팬 내부로 화기 일부를 직접 유도하여 조리를 보다 균일하게 함과 동시에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리용 팬은 생선, 고기 등과 같은 어류나 육류 등을 구울 때 이용되는 주방용품으로, 조리물이 놓이는 팬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조리용 팬을 통해 조리를 하면, 기름이나 수분 등의 액체와 굽는 냄새가 개방된 상부로 튀어나오거나 실내로 퍼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0158호(2002년 08월 13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350158호의 구이장치는 후측벽이 축핀에 의해 결합되고 전측벽에 손잡이가 각각 설치된 제1용기와 제2용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용기와 상기 제2용기 중 어느 하나의 접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에 패킹이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이장치 내부에 조리물을 넣고 제1용기와 제2용기를 닫은 상태에서 상하 위치를 뒤바꾸면서 양면 조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 양면 구이장치에서는 제1용기와 제2용기가 거의 밀폐된 상태에서 조리가 진행되기 때문에, 조리중에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양면 구이장치에서도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상부측에 위치한 용기(제1용기 또는 제2용기)를 펼치면 내부의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주방 전역으로 빠져나가 상당한 불쾌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팬의 플랜지 구조를 개선하여 가열기의 불꽃(화기) 일부를 팬 내부의 조리공간으로 직접 유도함으로써 직화를 통해 조리물을 보다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음식냄새를 조리공간 내부에서 태워 제거할 수 있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의 플랜지 구조를 개선하여 가열기의 열손실을 최소로 하며 팬 내부로 화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플랜지가 형성된 하부팬과, 상기 하부팬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팬의 외향플랜지와 면접촉하도록 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플랜지가 형성된 상부팬과, 상기 하부팬과 상부팬의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와, 상기 하부팬의 전방측에 마련된 하부손잡이와, 상기 하부손잡이와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팬의 전방측에 마련된 상부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팬과 상부팬을 상하로 뒤집으면서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있어서;
상기 하부팬의 외향플랜지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팬의 벽면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팬의 밑면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기 하부팬의 벽면과 밑면에 집중시키기 위한 하부스커트벽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팬의 벽면부에는 상기 하부스커트벽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하부-열기통로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팬의 외향플랜지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팬의 벽면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팬의 밑면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기 상부팬의 벽면과 밑면에 집중시키기 위한 상부스커트벽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팬의 벽면부에는 상기 상부스커트벽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부-열기통로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팬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열기통로를 개방하며 상기 하부팬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열기통로를 폐쇄하는 하부-밸브볼이 상기 하부-열기통로 내부에 수용 배치되며;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팬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열기통로를 폐쇄하며 상기 상부팬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열기통로를 개방하는 상부-밸브볼이 상기 상부-열기통로 내부에 수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팬의 외향플랜지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팬의 외향플랜지 외측 가장자리 중의 어느 하나에 연질의 패킹이 띠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의하면; 하부팬이 하측에 위치한 경우 가열기에서 올라온 열기는 하부스커트벽에 의해 하부팬의 벽면과 밑면에 집중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되는 것은 물론이며 열기 일부가 하부-열기통로를 통해 팬 내부의 조리공간으로 직접 유입되어 직화를 통해 조리물이 보다 균일하게 조리되고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동시에 탄화 제거된다. 또한, 상부팬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가열기에서 올라온 열기는 상부스커트벽에 의해 상부팬의 벽면과 밑면에 집중되어 열손실이 최소화되며, 열기 일부가 상부-열기통로를 통해 팬 내부의 조리공간으로 직접 들어가 직화를 통해 조리물이 보다 균일하고 조리되며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탄화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의하면; 하부-열기통로와 상부-열기통로들은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밸브볼들로 인해 개폐됨으로써, 접철식 양면팬을 뒤집으면서 조리를 하여도 항상 아래측에 위치한 팬의 열기통로를 통해서는 열기(화기)가 조리공간으로 유입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의하면; 연질의 패킹에 의해 하부팬과 상부팬의 외향플랜지 부위가 밀착됨으로써, 조리공간의 내부압력이 적절하게 유지되면서 조리가 진행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사시도로, 상부팬이 접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서 상부팬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하부-열기통로와 상부-열기통로의 내부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열기통로와 상부-열기통로의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서 하부팬이 아래측에 위치한 상태의 조리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서 하부팬의 하부-열기통로를 통해 열기가 조리공간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서 상부팬이 아래측에 위치한 상태의 조리과정을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서 상부팬의 상부-열기통로를 통해 열기가 조리공간으로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사용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구성 설명>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은 조리물이 놓이며 직접 가열되는 금속 재질의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재(300),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전방측 중앙부위에 상호 일치하도록 각각 마련된 하부손잡이(400)와 상부손잡이(500)를 갖추고 있다.
하부팬(100)은 다이케스팅 머신을 통해 상부가 개방되며 대략 사각의 조리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주조 가공되는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는 밑면(110)에서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테두리 벽면(120)을 형성한다. 또한, 하부팬(100)의 벽면(120) 가장자리에는 상부팬(200)과 당접할 수 있도록 외향플랜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향플랜지(13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하부팬(100)의 밑면(1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밑면(110)에 집중시키기 위한 하부스커트벽(1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 외측에는 상부팬(200)의 외향플랜지(230) 부위와 요철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170)가 가장자리를 따라 띠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팬(200) 역시 다이케스팅머신을 통해 하부가 개방되며 대략 사각의 조리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가공된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는 밑면(210)에서부터 라운드 형태로 연장되어 테두리 벽면(220)을 형성한다. 또한, 상부팬(200)의 벽면(220) 가장자리에는 하부팬(100)과 당접할 수 있도록 외향플랜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향플랜지(23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부팬(200)의 밑면(2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밑면(210)에 집중시키기 위한 상부스커트벽(240)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부팬(200)의 외향플랜지(230) 외측에는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 부위와 밀착될 수 있도록 연질의 패킹(270)이 띠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패킹(270)이 하부팬(100)의 결합돌기(170)와 부합되는 부위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서, 밀폐가 보다 긴밀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힌지부재(300)는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방부위를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하부팬(100)의 상부에서 상부팬(200)을 접거나 펼칠 수 있다(도 2의 화살표 방향 참조). 하부팬(100) 상부에 상부팬(200)이 접혀지면, 각각의 외향플랜지(130)(230) 부위가 당접하면서 결합돌기(170)와 패킹(270)이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하부손잡이(400)는 하부팬(100)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부손잡이(500)는 상부팬(200)의 전방측에 돌출되게 마련된다. 하부손잡이(400)와 상부손잡이(500)의 대향면에는 이들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자석(600)이 고정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자석(600)의 상호 부착력에 의해 하부손잡이(400)와 상부손잡이(500)가 당접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접힌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하부손잡이(400)에서 상부손잡이(500)를 인위적으로 분리하게 되면 힌지부재(300)를 통해 상부팬(500)이 펼쳐지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벽면(120)(220)부위에는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직접 조리공간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하부-열기통로(150)들과 상부-열기통로(250)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열기통로(150)들은 하부팬(100)의 벽면(120) 네 코너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하부스커트벽(1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하부팬(100)의 조리공간 내부로 유입되도록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열기통로(150) 내부에는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하부팬(100)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열기통로(150)를 개방하고 하부팬(10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하부-열기통로(150)를 폐쇄하는 하부-밸브볼(160)이 수용 배치되어 있다. 하부-열기통로(150)의 열기 입구부에는 열기 유입은 허용하면서 하부-밸브볼(1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부에 유통홀(181)이 관통 천공된 무드볼트(180;SET SCREW)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부-열기통로(250)들은 상부팬(200)의 벽면(220) 네 코너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부스커트벽(2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상부팬(200)의 조리공간 내부로 유입되도록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열기통로(250) 내부에도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며 상부팬(20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열기통로(250)를 폐쇄하고 상부팬(200)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부-열기통로(250)를 개방하는 상부-밸브볼(260)이 수용 배치되어 있다. 하부-열기통로(250)의 열기 입구부에도 열기 유입은 허용하면서 상부-밸브볼(2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부에 유통홀(281)이 관통 천공된 무드볼트(280)가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사용 및 작용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의 사용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부에 위치한 상부팬(200)을 개방한 후 하부에 위치한 하부팬(100)에 조리물을 넣는다. 그리고 상부팬(200)을 다시 닫으면(접으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팬(200)과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230)(130) 부위가 정확하게 당접함과 동시에 하부손잡이(400)와 상부손잡이(500) 역시 일치된다. 이때, 하부손잡이(400)와 상부손잡이(500)에 배치된 자석(600)들로 인해 이들의 닫힘 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열기통로(150)내의 하부-밸브볼(160)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하부-열기통로(150)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고, 상부-열기통로(250)내의 상부-밸브볼(260) 역시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열기통로(250)의 열기 출구부위를 폐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하부손잡이(400)(500)를 동시에 잡고서 접철식 양면팬을 가열기(예를 들면, 가스렌지)에 올려놓으면(도 5참조), 하부팬(100)의 밑면(110)과 벽면(120)이 가열되면서 조리가 진행된다. 가열기의 화염(화기) 일부는 하부팬(100)의 벽면(120)을 타고 올라오다가 하부스커트벽(140)에 의해 진로가 막힘으로써, 하부팬(100)의 밑면(110)과 벽면(120)이 집중 가열되며 이로 인해 조리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하부스커트벽(140) 사이에 집중된 화기(열기) 일부는 개방된 하부-열기통로(150)들을 통해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사이(조리공간) 내부로 유입된다(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 하부-열기통로(150)들을 통해 유입된 화기는 조리물을 직접 가열하여 심층부까지 완숙시키며, 아울러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사이(조리공간) 내부에 발생된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을 탄화 제거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 도중에 상,하부손잡이(400)(500)를 잡고서 하부팬(100)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부팬(200)이 하측에 위치되도록 접철식 양면팬을 뒤집어 가열기에 올리면, 상부팬(200)의 밑면(210)과 벽면(220)이 직접 가열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열기통로(150)내의 하부-밸브볼(160)이 하부-열기통로(150)의 열기 출구부위를 폐쇄하고, 상부-열기통로(250)내의 상부-밸브볼(260)은 자중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상부-열기통로(250)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가열기의 화염(화기) 일부는 상부팬의 벽면을 타고 올라오다가 상부스커트벽(240)에 의해 진로가 막힘으로써, 상부팬(200)의 밑면(210)과 벽면(220)이 집중 가열되며 이로 인해 조리가 보다 빠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상부스커트벽(240) 사이에 집중된 화기 일부는 개방된 상부-열기통로(250)들을 통해 하부팬(200)과 상부팬(100) 사이(조리공간) 내부로 유입된다(도 8의 화살표 방향 참조). 상부-열기통로(250)들을 통해 유입된 화기 역시 조리물을 직접 가열하여 심층부까지 완숙시키며, 아울러 하부팬(100)과 상부팬(200) 사이(조리공간) 내부에 발생된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탄화 제거된다.
결국, 조리물이 상, 하부팬(100)(200)의 밑면(110)(210)과 벽면(120)(220)을 통한 간접 가열 방식과 하부-열기통로(150)와 상부-열기통로(250)를 통해 유입된 화기를 통한 직화 방식으로 고르게 가열됨으로써, 타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조리된다. 또한, 유입된 화기를 통해 조리공간 내부의 음식냄새 및 기름가스 등이 동시에 탄화 제거된다.
100..하부팬 110..밑면 120..벽면
130..외향플랜지 140..하부스커트벽 150..하부-열기통로
160..하부-밸브볼 170..결합돌기 180..무드볼트
181..유통홀 200..상부팬 210..밑면
220..벽면 230..외향플랜지 240..상부스커트벽
250..상부-열기통로 260..상부-밸브볼 270..패킹
280..무드볼트 281..유통홀 300..힌지부재
400..하부손잡이 500..상부손잡이 600..자석

Claims (3)

  1. 삭제
  2. 내부에 조리공간을 형성하며 벽면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플랜지(130)가 형성된 하부팬(100)과, 상기 하부팬(10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와 면접촉하도록 벽면(120) 가장자리를 따라 외향플랜지(230)가 형성된 상부팬(200)과,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의 후방측을 상호 접철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부재(300)와, 상기 하부팬(100)의 전방측에 마련된 하부손잡이(400)와, 상기 하부손잡이(400)와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팬(200)의 전방측에 마련된 상부손잡이(500)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상하로 뒤집으면서 조리할 수 있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에 있어서;
    상기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기 하부팬(100)의 밑면(1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기 하부팬(100)의 벽면(120)과 밑면(110)에 집중시키기 위한 하부스커트벽(140)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팬(100)의 벽면(120)부에는 상기 하부스커트벽(1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하부-열기통로(150)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팬(200)의 외향플랜지(230)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사이틈을 유지하면서 상기 상부팬(200)의 밑면(210)측으로 연장되어 가열기에서 올라오는 열기를 상기 상부팬(200)의 벽면(220)과 밑면(210)에 집중시키기 위한 상부스커트벽(240)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팬(200)의 벽면(220)부에는 상기 상부스커트벽(240)을 통해 집중된 가열기의 열기 일부를 조리공간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부-열기통로(250)가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열기통로(150) 내부에는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하부팬(100)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열기통로(150)를 개방하며 상기 하부팬(10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부-열기통로(150)를 폐쇄하는 하부-밸브볼(160)이 수용 배치되며;
    상기 상부-열기통로(250) 내부에는 자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팬(200)이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열기통로(250)를 폐쇄하며 상기 상부팬(200)이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부-열기통로(260)를 개방하는 상부-밸브볼(260)이 수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팬(100)의 외향플랜지(130)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상부팬(200)의 외향플랜지(230) 외측 가장자리 중의 어느 하나에는 연질의 패킹(270)이 띠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20140147531A 2014-10-28 2014-10-28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101489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7531A KR101489691B1 (ko) 2014-10-28 2014-10-28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PCT/KR2015/011362 WO2016068567A1 (ko) 2014-10-28 2015-10-27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7531A KR101489691B1 (ko) 2014-10-28 2014-10-28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691B1 true KR101489691B1 (ko) 2015-02-04

Family

ID=52590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7531A KR101489691B1 (ko) 2014-10-28 2014-10-28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89691B1 (ko)
WO (1) WO20160685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40775A1 (es) * 2016-05-02 2017-11-06 Tristar Europe B.V. Dispositivo para preparar tortillas española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5181A1 (it) * 2016-06-24 2017-12-24 Danilo Marassi Sistema magnetico per la chiusura ermetica di recipienti,in particolare di pentole e recipienti per la cottura di cibi
US11930961B2 (en) * 2021-03-09 2024-03-19 Revolution Cooking, Llc Sandwich press for toas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27B1 (ko) 2008-04-28 2008-12-12 주식회사 나토얀 프라이팬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004Y1 (ko) * 2001-07-27 2001-12-01 옥재섭 직화가열팬
KR100664745B1 (ko) * 2003-05-06 2007-01-09 주식회사 엔씨테크 직화 가열식 양면팬
KR101270598B1 (ko) * 2012-10-25 2013-06-04 박인섭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27B1 (ko) 2008-04-28 2008-12-12 주식회사 나토얀 프라이팬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40775A1 (es) * 2016-05-02 2017-11-06 Tristar Europe B.V. Dispositivo para preparar tortillas español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68567A1 (ko) 2016-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1843B1 (en) Oven
KR102153615B1 (ko) 조리기기
JP2014200627A (ja) 加熱調理容器
KR101489691B1 (ko)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US10006639B2 (en) Appliance side panel with air channel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US20060112948A1 (en) Warming apparatus
KR100881211B1 (ko) 고기 구이기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JP2008241219A (ja) 加熱調理器
KR101750525B1 (ko) 기능성 취반기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JP2006020923A (ja) 両面平鍋
KR20170011231A (ko) 로스터용 후드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0479654Y1 (ko) 로스터
KR19980070228A (ko) 그릴장치
KR200314637Y1 (ko) 양면 프라이팬
KR102212006B1 (ko) 풍로 구이기
KR101537511B1 (ko) 훈제 겸용 고기구이기
KR102202208B1 (ko) 다용도 조리기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