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0598B1 -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 Google Patents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0598B1
KR101270598B1 KR1020120118844A KR20120118844A KR101270598B1 KR 101270598 B1 KR101270598 B1 KR 101270598B1 KR 1020120118844 A KR1020120118844 A KR 1020120118844A KR 20120118844 A KR20120118844 A KR 20120118844A KR 101270598 B1 KR101270598 B1 KR 101270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frying pan
hole
pan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섭
Original Assignee
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섭 filed Critical 박인섭
Priority to KR1020120118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0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하측수용부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수용부를 구획별로 나누는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의 상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직화공이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을 갖는 하측체결부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힌지부가 구비되는 하부팬과, 상기 하부팬의 제1체결공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측손잡이와, 상기 하부팬의 상측에 구비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상측수용부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제2체결공을 갖는 상측체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하측힌지부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측힌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팬과, 상기 상부팬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측테두리부의 내측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부와, 상기 상부팬의 제2체결공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하측손잡이에 대응되게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측손잡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Double-faced frying pan with hole of direct fire}
본 발명은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프라이팬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양면프라이팬의 내부로 화염이 직접 유입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하는 냄새나 연기 등을 내부로 유입된 화염으로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조리시 냄새나 연기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은 전방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그릇 형태로 제작되어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양면으로 개패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음식물을 직접 뒤집지 않고, 팬을 뒤집도록 하여 손쉽게 음식물을 뒤집을 수 있도록 하면서 내부를 밀폐하여 음식물을 빠르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양면프라이팬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양면프라이팬은 힌지 구조에 의해 결합된 상부팬과 하부팬에 의해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프라이팬의 내부에 남아 음식물에 기름이나 수분 등이 흡수되어 음식물의 맛이 좋지 않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양면프라이팬은 팬의 바닥면만을 가열시킨 열기로 팬 내부에 있는 음식물을 간접열기로 익혀주기 때문에 양질의 구미 및 조리를 할 수 없고, 프라이팬이 밀폐된 상태로 조리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양면프라이팬에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 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사고의 위험 또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부팬과 하부팬이 겹층 구성되는 양면후라이팬에 있어서, 상기 상부팬과 하부팬은 다수의 직화로가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132호에서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음식물이 조리되면서 발생 되는 냄새나 연기 등이 내부에서 연소 되지 않고, 상부팬에 형성된 다수의 직화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3132호(2004. 06.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양면프라이팬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양면프라이팬의 내부로 화염이 직접 유입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을 내부로 유입된 화염으로 연소시킴으로써 음식물의 조리시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양면프라이팬에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 되는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여 양면프라이팬 내부에 압력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하측수용부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수용부를 구획별로 나누는 격벽이 형성되고, 격벽의 상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직화공이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을 갖는 하측체결부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힌지부가 구비되는 하부팬과, 상기 하부팬의 제1체결공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측손잡이와, 상기 하부팬의 상측에 구비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상측수용부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제2체결공을 갖는 상측체결부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하측힌지부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측힌지부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팬과, 상기 상부팬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측테두리부의 내측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부와, 상기 상부팬의 제2체결공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하측손잡이에 대응되게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측손잡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은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양면프라이팬의 내부로 화염이 직접 유입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양면프라이팬에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직화공을 통해 양면프라이팬의 내부로 직접 유입된 화염으로 연소 및 가열되어 음식물의 조리시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발생 되지 않고, 양면프라이팬에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 되는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어 양면프라이팬 내부에 압력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해주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이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의 저부를 보여주는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이 펼쳐진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이 벌어진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은 직화공을 갖는 하부팬(100)과, 하부팬(1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팬(200)과, 상기 각각의 하부팬(100) 및 상부팬(200)과 결합 구비되는 하측손잡이(160) 및 상측손잡이(2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팬(100)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하측수용부(110), 하측수용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격벽(120), 격벽(120)에 관통 형성되는 직화공(130), 하측수용부(110)의 전방에 형성되는 하측체결부(140), 하측수용부(110)의 후방측 양쪽에 형성되는 하측힌지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팬(100)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하측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하측수용부(11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수용부(110)를 구획별로 나누는 격벽(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120)은 전방과 후방, 좌측과 우측을 가로질러 열십자(十) 모양으로 형성되며, 격벽(120)이 형성되는 높이는 하측수용부(110)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격벽(120)이 하측수용부(100)로 돌출되는 높이만큼 격벽(120)의 하부에 해당하는 하부팬(100)의 저부는 인입되어 형성되며, 인입 형성된 상기 격벽(120)의 하부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가스버너(300) 등에서 나오는 화염을 격벽(120)의 하부로 원활히 모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격벽(120)의 상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격벽(1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격벽(12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직화공(1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직화공(13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격벽(120)의 하부에서 모인 화염이 격벽(120)의 상부로 원활히 분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며, 상기 직화공(130)을 통하여 분출된 화염은 하측수용부(110)의 상부로 원활히 유입되어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음식물의 하부를 익힘과 동시에 직화공(130)을 통하여 유입된 화염으로 상부를 동시에 익혀주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켜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화공(130)을 통하여 유입된 화염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에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직화공(130)을 통해 양면프라이팬(2)의 내부로 직접 유입된 화염으로 연소 및 가열되어 음식물의 조리시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직화공(130)은 격벽(120)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장공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화염을 격벽(130)의 상부로 분출되도록 형성된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든 무방하다.
상기 하측수용부(110) 전방에는 하측수용부의(110)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142)을 갖는 하측체결부(14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체결부(140)의 제1체결공(142) 상부에는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상부 일측이 인입 형성된다.
상기 하부팬(100)의 제1체결공(142)에 결합 되어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하측손잡이(1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손잡이(160)는 전방이 개방된 형태인 제1체결공(142)의 상부에 안착되고, 하측체결부(140)의 제1체결공(142) 상부에 안착된 하측손잡이(160)는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으로 하측체결부(140)의 제1체결공(142)과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수용부(110)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힌지부(1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힌지부(150)는 후방측 양쪽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팬(100)과 후술되는 상부팬(200)이 원활히 축 회전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어떠한 형태로든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원활히 축 회전되는 형태라면 무방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힌지부(150)의 일측에는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152)이 구비된다.
이때, 걸림턱(152)은 후술되는 상부팬(200)이 하부팬(100)과 축 회전될 시에 상부팬(200)의 상측힌지부(230)가 걸림턱(152)에 의해 축 회전이 일정각도 이상 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하부팬(100)의 상측에는 하부팬(100)과 대응되게 구비되는 상부팬(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상부팬(200)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상측수용부(210), 상측수용부(210)의 전방에 형성되는 상측체결부(220),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양쪽에 형성되는 상측힌지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팬(200)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상측수용부(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수용부(210)는 하측수용부(110)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측수용부(21)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수분이 많이 포함된 국 또는 전골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인입된 내측이 평판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상측수용부(210)는 하부팬(100)의 하부수용수(110)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할 시에 하부팬(100) 격벽(120)의 직화공(130)을 통해 유입된 화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유입된 화염이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의 내부에서 순환하면서 음식물을 빠르게 익혀주고, 음식물이 조리될 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을 연소 및 가열하여 음식물의 조리시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수용부(210)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제2체결공(222)을 갖는 상측체결부(2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체결부(220)의 제2체결공(222)에는 상기 하측체결부(140)와 대응되게 전방이 개방된 형태로 제2체결공(222)의 하부 일측이 상부측으로 인입 형성된다.
상기 상부팬(200)의 제2체결공(222)에 결합 되어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연장되는 상측손잡이(27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손잡이(270)는 전방이 개방된 형태인 제2체결공(222)의 하부에 안착되고, 상측체결부(220)의 제2체결공(222) 하부에 안착된 상측손잡이(270)는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으로 상측체결부(220)의 제2체결공(222)과 결합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측손잡이(270) 및 하측손잡이(160)에는 도면에 미도시 되었으나 자석 또는 고정장치가 형성되어 상부팬(200) 및 하부팬(100)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일정한 고정압력으로 상부팬(200) 및 하부팬(100)이 힌지 축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하측힌지부(150)와 축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측힌지부(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측힌지부(230)는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양쪽에 하측힌지부(150)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원활히 축 회전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어떠한 형태로든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이 원활히 축 회전되는 형태라면 무방한 것이다.
상기 상부팬(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테두리부(240)가 형성되며, 상측테두리부(240)의 내측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부(25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리부(250)는 하부팬(100)과 상부팬(200)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조리부(250)에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측테두리부(240)은 조리부(250)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는 음식물이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나 상부팬(200)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는 화염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하측수용부(110)의 후방측 상단부 및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하단부에는 각각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반원형의 하측배출공(170) 및 상측배출공(260)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배출공(170) 및 상측배출공(260)은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에 내부에 생기는 압력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측배출공(170) 및 상측배출공(260)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발생하는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이 상기 직화공(130)을 통해 유입된 화염에 의해 완전히 연소 되지 않을 시에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의 외부로 음식물의 냄새, 연기, 기름, 수분 등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배출공(260) 및 하측배출공(170)의 하부에는 하측수용부(110)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상부 내측이 하부로 인입된 기름받이부재(18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부재(180)는 하측힌지부(150)와 연결되어 하측힌지부(15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하측배출공(170) 및 상측배출공(260)을 통해 배출되는 기름이나 수분 등이 외부로 흘러내려 기름으로 인한 화재 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주변 공간이 더럽혀 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직화공(130)을 갖는 양면프라이팬(2)은 음식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부접촉에 의한 스크래치 등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처리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며, 코팅처리는 불소 수지를 이용한 코팅, 세라믹을 이용한 코팅, 테프론을 이용한 코팅, 티타늄을 이용한 코팅 등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하부팬(100)의 직화공(130)에는 세라믹 또는 테프론을 이용한 코팅을 하며, 직화공(130)에 코팅되는 세라믹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은 0.1mm~0.5mm의 두께로 형성된다.
한편, 직화공(130)에 코팅되는 세라믹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의 두께가 0.1mm 이하 일 때는 세라믹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의 장점인 내화학성, 내부식성 등이 효과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0.5mm 이상으로 세라믹 코팅 또는 테프론 코팅의 두께가 형성될 시에는 내화학성 및 내부식성은 좋으나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여 효율적이지 못한 것이다.
2 : 양면프라이팬 100 : 하부팬
110 : 하측수용부 120 : 격벽
130 : 직화공 140 : 하측체결부
142 : 제1체결공 150 : 하측힌지부
160 : 하측손잡이 170 : 하측배출공
180 : 기름받이부재 200 : 상부팬
210 : 상측수용부 220 : 상측체결부
222 : 제2체결공 230 : 상측힌지부
240 : 상측테두리부 250 : 조리부
260 : 상측배출공 270 : 상측손잡이

Claims (6)

  1.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하측수용부(110)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110)의 상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하측수용부(110)를 구획별로 나누는 격벽(120)이 형성되고, 격벽(120)의 상부에는 각각 이격되어 격벽(120)의 길이방향으로 장공형태를 갖는 다수개의 직화공(130)이 형성되며, 하측수용부(110)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형성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142)을 갖는 하측체결부(140)가 형성되며, 하측수용부(110)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된 하측힌지부(150)가 구비되는 하부팬(100);
    상기 하부팬(100)의 제1체결공(142)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하측손잡이(160);
    상기 하부팬(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 형태의 상측수용부(210)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210)의 전방에는 전방측으로 연장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 형성된 다수개의 제2체결공(222)을 갖는 상측체결부(220)가 형성되고,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양쪽에는 각각 이격되어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면서 하측힌지부(150)와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상측힌지부(230)가 각각 형성되는 상부팬(200);
    상기 상부팬(20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테두리부(240)가 형성되며, 상측테두리부(240)의 내측에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용되는 조리부(250);
    상기 상부팬(200)의 제2체결공(222)에 결합되어 구비되며, 하측손잡이(160)에 대응되게 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상측손잡이(27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공(130)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팬(100)의 직화공(130)에는 테프론을 이용한 코팅을 하며, 직화공(130)에 코팅되는 테프론 코팅은 두께는 0.1mm~0.5mm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수용부(110)의 후방측 상단부에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반원형의 하측배출공(170)이 형성되고, 상측수용부(210)의 후방측 하단부에는 하측배출공(170)과 대응되게 전방에서 후방으로 관통된 반원형의 상측배출공(260)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배출공(260) 및 하측배출공(170)의 하부에는 하측수용부(110)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연장형성된 상부 내측이 하부로 인입된 기름받이부재(180)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KR1020120118844A 2012-10-25 2012-10-25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KR101270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44A KR101270598B1 (ko) 2012-10-25 2012-10-25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844A KR101270598B1 (ko) 2012-10-25 2012-10-25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598B1 true KR101270598B1 (ko) 2013-06-04

Family

ID=4886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844A KR101270598B1 (ko) 2012-10-25 2012-10-25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05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67A1 (ko) * 2014-10-28 2016-05-06 (주)락스타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20210031171A (ko) 2019-09-11 2021-03-19 박선정 직화용 양면그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591A (ja) 2007-11-20 2009-06-11 Natoyan Co Ltd 臭いを燃焼させるフライパン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5591A (ja) 2007-11-20 2009-06-11 Natoyan Co Ltd 臭いを燃焼させるフライパン
KR20110001116U (ko) * 2009-07-24 2011-02-01 서주현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567A1 (ko) * 2014-10-28 2016-05-06 (주)락스타 조리용 접철식 양면팬
KR20210031171A (ko) 2019-09-11 2021-03-19 박선정 직화용 양면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91622A (ja) 簡便調理器
KR101270598B1 (ko) 직화공을 갖는 양면프라이팬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20090010383U (ko) 안전 조리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20110005564U (ko) 직화를 이용한 찜 조리기구
KR200386074Y1 (ko) 양면 그릴팬을 갖는 가스 전기 레인지
KR100956115B1 (ko) 간편 조리기
KR101640726B1 (ko) 양면 프라이팬
KR100937955B1 (ko) 간편 조리기
KR200234075Y1 (ko) 육류 구이판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1635004B1 (ko) 캠핑용 구이장치
KR20060057995A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WO1993014352A1 (fr) Petit four pour griller des aliments sur les bruleurs des cuisinieres a gaz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JP2013221688A (ja) 加熱調理器
KR200359736Y1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20040053051A (ko) 다용도 구이용불판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