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65Y1 - 펠릿난로 - Google Patents

펠릿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65Y1
KR200471265Y1 KR2020130006154U KR20130006154U KR200471265Y1 KR 200471265 Y1 KR200471265 Y1 KR 200471265Y1 KR 2020130006154 U KR2020130006154 U KR 2020130006154U KR 20130006154 U KR20130006154 U KR 20130006154U KR 200471265 Y1 KR200471265 Y1 KR 200471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eating plate
heat dissipation
tank
pel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1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길
Original Assignee
서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길 filed Critical 서영길
Priority to KR20201300061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6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8Closed stoves with fuel storage in a single undivided hopper within stove or ran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을 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펠릿난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는 연소통(60)의 내부로 공급된 펠릿(1)을 점화시키면, 펠릿(1)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연결덕트(30)를 통과하면서 가열판(40)을 가열한 후 상기 방열관체(20)와 배기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가열판(40)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가열판(40)에 조리기구를 올려놓으면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난방을 하는 것 이외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으로, 펠릿난로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버너 등을 이용하여 요리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펠릿난로{pellet stove}
본 고안은 난방을 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펠릿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펠릿을 연료로 하는 펠릿난로는 펠릿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상기 펠릿에 연결된 연소탱크로 구성되어, 연소탱크의 내부에 형성된 연소실 내부에서 펠릿을 연소시키고, 이때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주위를 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펠릿난로의 구성은 등록특허 10-1271748호나, 등록실용신안 20-046662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펠릿난로는 실내를 난방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음으로, 요리를 하는 등의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요리를 할 경우에는 별도의 버너 등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방을 함과 동시에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펠릿난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는 펠릿(1)이 공급되는 공급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급구(11)를 통해 공급된 펠릿(1)이 연소되는 연소실(12)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연소탱크(10)와, 상기 연소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배기관(23)이 연결되는 방열관체(20)와,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서 펠릿(1)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상기 방열관체(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연결덕트(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연결덕트(30)를 통과하는 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40)을 포함하여, 상기 가열판(40)에 조리기구를 올려놓으면,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연소통(60)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소통(60)은 둘레면에 다수개의 통기공(6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급관체(66)를 통해 상기 공급구(11)에 연결되는 유입구(6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63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연소통(60)의 내부를 상측의 상부연소부(64)와 하측의 하부연소부(65)로 구획하는 망체(63)가 구비되며, 상기 연소탱크(10)의 둘레부에는 상기 연소통(60)에 대응되도록 급기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망체(63)는 하측면이 상기 급기공(14a)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물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하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물통(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통(50)의 일측에는 물통(50)을 가열판(4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면에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는 그릴망(81)이 구비된 구이용기(8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그릴망(81)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구이용기(80)를 방열관체(20)에 결합하면 방열관체(20)로 공급된 가스의 열에 의해 음식물이 구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는 연소통(60)의 내부로 공급된 펠릿(1)을 점화시키면, 펠릿(1)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연결덕트(30)를 통과하면서 가열판(40)을 가열한 후 상기 방열관체(20)와 배기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가열판(40)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가열판(40)에 조리기구를 올려놓으면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난방을 하는 것 이외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으로, 펠릿난로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버너 등을 이용하여 요리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도시안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C-C선 단면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에서 물통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펠릿난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에는 펠릿(1)이 공급되는 공급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급구(11)를 통해 공급된 펠릿(1)이 연소되는 연소실(12)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연소탱크(10)와, 상기 연소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배기관(23)이 연결되는 방열관체(20)와,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서 펠릿(1)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상기 방열관체(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연결덕트(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연결덕트(30)를 통과하는 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판(40)과,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물통(5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소탱크(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판(4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공(41)을 통해 가열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단에 상기 공급구(11)가 형성된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연소탱크(13)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연소실(12)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연소탱크(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연소탱크(13)의 상단에는 호퍼(13c)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연소탱크(14)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구(11)에 연결되는 연소통(60)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연소탱크(14)의 둘레부에는 상기 연소통(60)에 대응되도록 급기공(14a)이 형성된다.
상기 연소통(60)은 둘레면에 다수개의 통기공(62)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면에는 공급관체(66)를 통해 상기 공급구(11)에 연결되는 유입구(61)가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체(66)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원형관체로 구성된 것으로, 상단에는 외측으로 확경된 확경부(66a)가 형성되고, 상기 확경부(66a)의 상단둘레부가 상기 상부연소탱크(13)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호퍼(13c)의 내부에 펠릿(1)을 공급하면 상기 펠릿(1)은 상기 공급관체(66)를 통해 상기 연소통(6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상부연소탱크(13)의 중간부에는 상기 공급관체(66)의 중간부를 개폐하는 개폐판(13a)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판(13a)은 상기 공급관체(66)와 대응되는 관통공(13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개폐판(13a)을 전후진시켜 상기 공급관체(66)의 중간부를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호퍼(13c)로 공급된 펠릿(1)이 상기 연소통(60)으로 공급되거나 연소통(60)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소통(60)의 내부에는 연소통(60)의 내부를 상측의 상부연소부(64)와 하측의 하부연소부(65)로 구획하는 망체(63)가 구비된다.
상기 망체(63)는 다수개의 통공(63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하측면이 상기 급기공(14a)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망체(63)의 중앙부에는 지름이 큰 배출구(63a)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통(60)의 유입구(61)를 통해 상부연소부(64)로 공급된 펠릿(1)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63a)를 통해 하부연소부(65)로 유입되어 펠릿(1)이 상기 상부연소부(64)와 하부연소부(65)로 나뉘어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급기공(14a)은 상기 하부연소탱크(14)의 후측면에 형성되며, 도어(14b)에 의해 개폐되어, 외부의 공기가 급기공(14a)을 통해 상기 연소통(60)의 둘레부로 직접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부연소탱크(14)의 후측면에는 재받이(14d)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소통(60)에서 펠릿(1)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재를 받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열관체(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판(4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관통공(42)을 통해 가열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것으로,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단에 배기관(23)이 연결되는 상부방열관체(21)와, 사각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방열관체(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방열관체(21)는 지름이 매우 작게 구성되어, 외측에 상기 물통(50)을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덕트(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1,32)와, 상기 연장부(31,32)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3)로 구성되어, 상측에서 볼 때 디귿자의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31,32)는 상기 하부연소탱크(14)와 하부방열관체(22)의 상단 전면에 형성된 연통공(14e,22a)에 연결되어, 상면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열판(40)은 강도가 높으면서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의 사각판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물통(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긴 원통형으로 구성되며, 중앙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51)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결합공(51)에는 내경이 상기 상부방열관체(21)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내부관체(52)가 수밀하게 용접결합되어, 상기 내부관체(52)를 상부방열관체(21)의 외측에 끼워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통(50)에는 급수관(53)과 배수관(54)이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53) 또는 배수관(54)에는 펌프가 구비되어, 상기 물통(50) 내부의 물을 순환시켜 난방에 활용하거나, 물통(50) 내부의 물을 배출하여 온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70은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받침대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14b)를 조작하여 급기공(14a)을 열면, 외부의 공기가 급기공(14a)을 통해 상기 연소통(60)으로 공급되어, 연소통(60) 내부의 펠릿(1)이 원활히 연소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릿난로는 상기 연소통(60)의 내부로 공급된 펠릿(1)을 점화시키면, 펠릿(1)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상기 연결덕트(30)를 통과하면서 가열판(40)을 가열한 후 상기 방열관체(20)와 배기관(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 상기 가열판(40)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가열판(40)에 조리기구를 올려놓으면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난방을 하는 것 이외에, 음식물을 조리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음으로, 펠릿난로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로 버너 등을 이용하여 요리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는 상기 가열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결덕트(30)는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의 둘레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1,32)와, 상기 연장부(31,32)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3)로 구성됨으로, 상기 가열판(40)이 상기 연소탱크(10)와 방열관체(2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가열판(40)에 조리기구를 올려놓고 조리를 할 때, 상기 연소탱크(10) 또는 방열관체(2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가열판(4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는 연소통(60)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통(60)에는 망체(63)가 구비되며, 상기 망체(63)는 하측면이 연소통(60)의 둘레면에 형성된 급기공(14a)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공(14a)을 통해 공급된 외부공기가 상기 망체(63)의 상부에 올려진 펠릿(1)의 하부로 직접 공급되어, 펠릿(1)이 더욱 효과적으로 연소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망체(63)의 중앙부에는 지름이 큰 배출구(63a)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통(60)의 유입구(61)를 통해 상부연소부(64)로 공급된 펠릿(1)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63a)를 통해 하부연소부(65)로 유입되어 펠릿(1)이 상기 상부연소부(64)와 하부연소부(65)로 나뉘어 저장됨으로, 상기 펠릿(1)이 상부연소부(64)와 하부연소부(65)에서 동시에 연소되어, 펠릿(1)의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부에는 물통(50)이 결합되어, 상기 방열관체(2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의 열에 의해 물통(5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50)의 내부에서 가열된 고온의 물을 이용하여 난방을 하거나, 온수로 이용할 수 있음으로, 사용이 더욱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물통(50)은 하측면이 평면을 이루는 박스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물통(50)의 일측에는 상기 물통(50)을 가열판(4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5)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55)은 상기 물통(50)의 일측에서 물통(50)의 하측으로 연장된 지지바(55a)와, 상기 지지바(55a)에 상하방향으로 나사결합된 고정나사(55b)로 구성된 클램프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물통(50)을 가열판(40)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수단(55)의 고정나사(55b)를 조이면, 상기 고정나사(55b)의 상단부가 연결덕트(30)의 하측면을 가압하여 물통(5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펠릿난로는 상기 물통(50)이 가열판(40)의 상면에 고정됨으로, 방열관체(20)의 외부에 결합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물통(50)과 달리, 물통(50)에 열이 전달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물통(50)에 저장된 물을 신속하게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물통(50)의 일측에는 물통(50)을 가열판(4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5)이 구비됨으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물통(50)이 가열판(40)에서 이탈되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방열관체(20)의 하측 둘레면에는 구이용기(80)가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구이용기(80)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그릴망(81)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방열관체(20)의 하측둘레면에 형성된 개구부(22b)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그릴망(81)은 구이용기(80)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망(81)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구이용기(80)를 방열관체(20)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연결덕트(30)를 통해 방열관체(20)로 공급된 고온의 가스의 일부가 상기 그릴망(81)을 상하로 통과하면서 그릴망(81)에 올려진 음식물을 가열하여 굽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오븐을 이용하지 않고 고구마나 옥수수, 또는 고기 등과 같은 음식물을 손쉽게 구워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이용기(80)는 상기 하부방열관체(22)에 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구이용기(80)는 상기 상부방열관체(21)의 중간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10. 연소탱크 20. 방열관체
30. 연결덕트 40. 가열판
50. 물통 60. 연소통
70. 받침대

Claims (5)

  1. 상부에는 펠릿(1)이 공급되는 공급구(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급구(11)를 통해 공급된 상기 펠릿(1)이 연소되는 연소실(12)이 형성된 통형상으로 구성된 연소탱크(10);
    상기 연소탱크(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에는 배기관(23)이 연결되는 방열관체(20);
    상기 연소탱크(10)와 상기 방열관체(20)를 연결하여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서 펠릿(1)이 연소되어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가 상기 방열관체(20)로 공급되도록 하는 연결덕트(30);
    상기 연결덕트(30)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덕트(30)를 통과하는 가스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그 상부에 놓인 조리기구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가열판(40);
    상기 연소탱크(10)의 내부에 구비되되, 둘레면에 다수개의 통기공(62)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공급관체(66)를 통해 상기 공급구(11)에 연결되는 유입구(6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다수개의 통공(63b)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연소통(60)의 내부를 상측의 상부연소부(64)와 하측의 하부연소부(65)로 구획하는 망체(63)가 구비된 연소통(60);
    상기 연소탱크(10)와 상기 방열관체(20)의 하측에 결합되는 받침대(70); 및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방열관체(20)의 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그릴망(81)을 구비하는 구이용기(80); 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탱크(10)는 상기 가열판(4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공(41)을 통해 상기 가열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단에 상기 공급구(11)가 형성된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측에 구비된 상부연소탱크(13)와, 상면이 개방되며 내부에 상기 연소실(12)이 형성된 사각통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연소탱크(14)로 구성되되, 상기 하부연소탱크(14)의 둘레부에는 상기 연소통(60)에 대응되도록 급기공(14a)이 형성되고,
    상기 연소통(60)을 상기 상부연소부(64)와 상기 하부연소부(65)로 구획하는 상기 망체(63)는 상기 급기공(14a)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고, 중앙부에는 배출구(63a)가 형성되어 상기 연소통(60)의 유입구(61)를 통해 상기 상부연소부(64)로 공급된 상기 펠릿(1)의 일부가 상기 배출구(63a)를 통해 상기 하부연소부(65)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펠릿(1)이 상기 상부연소부(64)와 상기 하부연소부(65)로 나뉘어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방열관체(20)는 상기 가열판(4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관통공(42)을 통해 상기 가열판(4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원형의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배기관(23)이 연결되는 상부방열관체(21)와, 사각 파이프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에 구비된 하부방열관체(2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덕트(30)는 상기 연소탱크(10)와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면에서 연장된 연장부(31, 32)와, 상기 연장부(31, 32)의 선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33)로 구성되어 상측에서 바라볼 때 '디귿자' 형태를 갖도록 구성되되, 상기 연장부(31, 32)는 상기 하부연소탱크(14)와 상기 하부방열관체(22)의 상단 전면에 형성된 연통공(14e, 22a)에 연결되어 상면이 상기 가열판(40)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결합공(51)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관체(2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물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4. 제 1항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하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가열판(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물통(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통(50)의 일측에는 물통(50)을 가열판(40)의 상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
  5. 삭제
KR2020130006154U 2013-07-24 2013-07-24 펠릿난로 KR200471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54U KR200471265Y1 (ko) 2013-07-24 2013-07-24 펠릿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154U KR200471265Y1 (ko) 2013-07-24 2013-07-24 펠릿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65Y1 true KR200471265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154U KR200471265Y1 (ko) 2013-07-24 2013-07-24 펠릿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93Y1 (ko) * 2015-06-05 2016-11-22 김영수 펠릿 난로
WO2016032098A3 (ko) * 2014-08-29 2017-05-18 한국기계연구원 저공해 펠릿 연소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7338B1 (ko) * 2021-04-22 2022-08-01 김문수 다기능 화로구이 장치
KR102528094B1 (ko) * 2022-06-21 2023-05-02 박미영 캠핑 난로용 연소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69B1 (ko) * 2006-06-05 2007-10-12 (주)보우엔지니어링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080198B1 (ko) * 2011-06-08 2011-11-07 이철주 펠렛 난로
KR20130015543A (ko) * 2011-08-04 2013-02-14 신용선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69B1 (ko) * 2006-06-05 2007-10-12 (주)보우엔지니어링 보일러 겸용 벽난로
KR101080198B1 (ko) * 2011-06-08 2011-11-07 이철주 펠렛 난로
KR20130015543A (ko) * 2011-08-04 2013-02-14 신용선 온돌아궁이형 벽난로가 구비된 온돌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98A3 (ko) * 2014-08-29 2017-05-18 한국기계연구원 저공해 펠릿 연소 장치 및 그 방법
KR200481893Y1 (ko) * 2015-06-05 2016-11-22 김영수 펠릿 난로
KR102427338B1 (ko) * 2021-04-22 2022-08-01 김문수 다기능 화로구이 장치
KR102528094B1 (ko) * 2022-06-21 2023-05-02 박미영 캠핑 난로용 연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CN103629700A (zh) 覆盖保温、余热榨干式、取暖、做饭、烧水、烘烤与餐桌多功能炉灶
KR20190132597A (ko) 다용도 화로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CN105212777B (zh) 烧烤装置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1561874B1 (ko) 조리효율 향상 구조형 화덕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101533367B1 (ko) 바베큐 오븐
KR20170056781A (ko) 다목적 화목난로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0272473Y1 (ko) 원통구이기
KR100452876B1 (ko) 스팀 직화 구이기
EP3040618B1 (en) Stove with removable burning chamber
KR101554638B1 (ko) 난로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CN214341683U (zh) 一种燃气火锅锅具
CN213272701U (zh) 一种柴火炉
KR102617813B1 (ko)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 가온장치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101858561B1 (ko)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TWM512377U (zh) 多功能爐具
KR101688177B1 (ko) 휴대용 가스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