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561B1 -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 Google Patents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561B1
KR101858561B1 KR1020170000904A KR20170000904A KR101858561B1 KR 101858561 B1 KR101858561 B1 KR 101858561B1 KR 1020170000904 A KR1020170000904 A KR 1020170000904A KR 20170000904 A KR20170000904 A KR 20170000904A KR 101858561 B1 KR101858561 B1 KR 101858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duct
pass chamber
duct
chamber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선
Original Assignee
신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용선 filed Critical 신용선
Priority to KR102017000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5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8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air 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8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6Solid fuel fired boiler

Abstract

본 발명은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내부에 열발생부를 구비한 난로(10);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내부의 패스 챔버(22)를 통해 상기 난로(10)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에 상기 열발생부에서 생기는 화기가 들어오는 익스텐션 덕트(21);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 연결된 굴뚝관(30);을 포함하며,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기단부가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되고,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가 상기 기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굴뚝관(30)은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Heating stove system with increase heat utiliz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 난방, 온수 급탕, 취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열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고 연기를 배출하는 배출 덕트의 특수한 구조를 구비한 새로운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에 관한 것이다.
대도시에서는 석유나 전기를 사용하는 난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시골이나 나무를 구하기 쉬운 곳에서는 나무나 석탄을 사용하는 난로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나무나 석탄을 사용하는 난로의 경우에는 액체연료(석유)나 전기연료보다 화력은 우수하나 열손실을 방지하고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별도로 갖추고 있지 않아 나무나 석탄을 사용하는 난로에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비단, 나무나 석탄을 이용하는 난로 이외에 가스나 전기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난로에서도 역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요망되고 있다. 특히, 휴양림에는 자연식 구들방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 상황인데, 구들방의 연료 열원에 의한 난방은 물론 온수 난방, 온수 급탕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열효율은 기존에 비하여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복합 기능 난로가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복합 기능 난로는 상기와 같은 요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어서 여러 가지로 유익한 점이 많다.
이때, 상기 복합 기능 난로의 경우에는 연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의 열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면 열 이용의 효율성과 난로를 이용한 취사와 같은 일상 생활에서의 이용 효율성이 보다 높아지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41799호(2007.04.20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0513호(2013.12.15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난방, 온수 급탕, 취사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열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고 연기를 배출하는 특수한 구조의 익스텐션 덕트를 구비하여 배출 덕트 부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열발생부를 구비한 난로; 상기 난로의 사이드 배출구에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내부의 패스 챔버를 통해 상기 난로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에 상기 열발생부에서 생기는 화기가 들어오는 익스텐션 덕트; 상기 익스텐션 덕트에 연결된 굴뚝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가 제공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는 기단부가 상기 난로의 사이드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익스텐션 덕트가 상기 난로의 사이드 배출구로부터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의 선단부가 상기 기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굴뚝관은 상기 익스텐션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 내부의 상기 패스 챔버에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굴뚝관은 상기 익스텐션 덕트의 기단부측에 연결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의 기단부에 연통 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 박스에 상기 굴뚝관이 연결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 내부의 패스 챔버가 상기 연통 박스를 통해 상기 굴뚝관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패스 챔버는 상기 난로의 사이드 배출구로부터 나오는 화기와 연기가 흐르는 포워드 패스 챔버;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와 상기 굴뚝관에 연통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는 단면 사각형 덕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가 상부판과 좌우 측면판과 하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의 위쪽에는 축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판의 옆에는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열재의 재질은 현무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난로에서 화기와 연기를 바로 빼는 것이 아니라 난로 옆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덕트를 거치도록 하고, 익스텐션 덕트에서는 난로에서 생긴 화기의 열이 나오도록 하므로, 난로의 열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 이외에 여러 가지 효과가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는 본 발명의 주요 효과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가 내장된 외피 커버의 기단부와 굴뚝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피 커버와 굴뚝관 및 난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 부분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에서 익스텐션 덕트의 내부로 난로의 화기와 연기가 흐르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익스텐션 덕트 내부의 패스 챔버로 난로의 화기와 연기가 순환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가 연통 박스에 의해 굴뚝관에 연결된 상태 및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가 연통 박스에 의해 굴뚝관에 연결된 상태를 외피 커버의 기단부측에서 보여주고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는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와 연통 박스와 굴뚝관 및 난로의 결합 구조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의 측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의 기단부측을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를 난로에 결합하고 보호 커버는 외피 커버와 익스텐션 덕트 사이에 형성된 요리실에서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보호 커버로 요리실을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 및 연통 박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 및 연통 박스의 구조를 기단부측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를 난로에 결합한 본 발명의 복합 난로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익스텐션 덕트와 외피 커버를 난로에 결합한 본 발명의 복합 난로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A-A선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복합 난로의 측면도
도 24는 도 23의 평면도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에 테이블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익스텐션 덕트의 변형된 실시예와 난로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복합 난로의 익스텐션 덕트에 테이블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도 28의 B-B선 종단면도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테이블의 상판에 형성된 테이블홀에 상판 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는 내부에 열발생부를 구비한 난로(10)에 익스텐션 덕트(21)가 연결되고, 익스텐션 덕트(21)에는 굴뚝관(30)이 연결된 구조이다. 익스텐션 덕트(21)가 난로(10) 옆으로 길게 이어지고, 익스텐션 덕트(21)에 굴뚝관(30)이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난로(10)의 상부 난로(10)패널에는 내부의 열발생부와 연통된 배출구(14)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 난로(10)는 내부에 열발생부를 구비하고 외부에는 열발생부와 연통된 배출구(14)를 구비한다. 배출구(14)에는 연통의 하단부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난로(10)의 옆에 연결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가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되고,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어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가 난로(10)와 연결된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굴뚝관(30)은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측에 연결된다.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가 난로(10)의 한쪽 난로(10) 측벽에 구비된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되고, 굴뚝관(30)은 난로(10)와 멀리 떨어진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측에 연결된다. 이때,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에는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플랜지부가 난로(10)의 한쪽 난로(10) 측벽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됨으로써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가 난로(10)에 구비된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된다.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 주위에는 보스부가 구비되고, 난로(10)의 보스부에 익스텐션 덕트(21)가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난로(10)의 보스부에 익스텐션 덕트(21)가 끼워져서 결합되면 난로(10)와 익스텐션 덕트(21)의 조립 작업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와 연통된다. 익스텐션 덕트(21)는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일정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난로(10)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에 열발생부에서 생기는 화기가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패스 챔버(22)로 들어온다. 난로(10)에서 연료가 연소될 때에 생기는 화기와 연기가 바로 배출구(14)로 빠지지 않고 난로(10) 옆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패스 챔버(22)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는 굴뚝관(30)이 연결된다. 익스텐션 덕트(21)가 단면 사각형의 길다란 덕트 형상일 때에는 굴뚝관(30)의 하단부가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에 연결된다. 굴뚝관(30)의 내부가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패스 챔버(22)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가 연통 박스(32)에 연결되고, 연통 박스(32)에 굴뚝관(30)의 하단부가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외피 커버(20)를 더 포함한다. 외피 커버(20)는 익스텍션 덕트(20)의 외표면을 감싸준다. 외피 커버(20)는 익스텍션 덕트(20)의 적어도 상면과 양쪽 측면을 감싸준다. 외피 커버(20)가 익스텍션 덕트(20)의 저면도 감싸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난로(10)의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 난로(10)의 열발생부에서 발생한 화기와 연기가 모두 난로(10)의 배출구(14)로 바로 빠지지 않고,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패스 챔버(22)를 지나와서 익스텐션 덕트(21)에서 화기의 열이 나오도록 하고 연기는 굴뚝관(3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난로(10)에 구비된 배출구(14)의 뚜껑을 닫아놓고 난로(10)의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 난로(10)의 열발생부에서 발생한 화기가 난로(10)의 배출구(14)로 바로 빠지지 않고,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패스 챔버(22)를 반드시 거쳐서 굴뚝관(30)으로 거의 열기가 빠지지 않고 주로 연기만 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로(10)에서 화기와 연기를 바로 빼는 것이 아니라 난로(10) 옆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덕트(21)를 거치도록 하고, 익스텐션 덕트(21)에서는 난로(10)에서 생긴 화기의 열이 나오도록 하므로, 난로(10)의 열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난로(10)에서 그냥 빠져버릴 수 있는 화기의 열을 버리지 않고 익스텐션 덕트(21)를 통해 화기의 열을 최대한 이용하므로 난로(10)의 열 이용 효율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익스텐션 덕트(21)로 난로(10)의 화기를 유도하여 익스텐션 덕트(21) 주위를 따뜻하게 하고, 난로(10) 자체와 연결된 익스텐션 덕트(21)가 난로(10) 내부의 열발생부와 연통된 화기 체류 통로를 형성함으로써 난로(10) 자체에서도 화기가 체류하는 시간을 보다 늘려주므로, 난로(10)의 그냥 버리게 되는 열을 그대로 이용하는 셈이 되어서 난로(10)의 열 이용 효율을 상당히 높여주는 것이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펜션과 같은 주택의 벽체 옆에 설치되면, 주택의 벽체를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발생되는 열로 데워주므로, 주택의 난방 효율을 보다 높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형성된 패스 챔버(22)는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나오는 화기와 연기가 흐르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이러한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굴뚝관(30)에 연통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이너 격판(24)에 의해 복수개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구획된다. 복수개의 이너 격판(24)이 익스텐션 덕트(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복수개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는 익스텐션 덕트(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세 개의 이너 격판(24)이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 개의 이너 격판(24)에 의해 두 개의 나란한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형성되고, 두 개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형성된다.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구획하는 이너 격판(24)을 외곽 이너 격판(24)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 개의 이너 격판(24)에 의해 두 개의 나란한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두 개의 나란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형성된다. 안쪽 두 개의 패스 챔버(22)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이고 양쪽 옆의 두 개의 패스 챔버(22)는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이다.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구비되며, 한 쌍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익스텐션 덕트(2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와 연통되므로, 난로(10)에서 연료를 연소할 때에 생기는 화기가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로 들어온다. 포워드 패스 챔버(22A)로는 난로(10)의 연료 연소시에 생기는 연기도 들어오게 된다.
상기 외곽 이너 격판(24)은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선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양면으로 연통된 인렛 회귀홀(26)을 구비한다.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외곽 이너 격판(24)이 구획하는데, 외곽 이너 격판(24)의 선단부와 인접한 위치, 다시 말해,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난로(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선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인렛 회귀홀(26)이 구비된다. 인렛 회귀홀(26)은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연통시키는 구멍이 된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은 기단부와 인접한 위치에 저면에서 상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회귀홀(28)이 구비되고, 상기 아울렛 회귀홀(28)은 굴뚝관(3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난로(10)의 측면에는 사이드 배출구(12)를 감싸는 연통 박스(32)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 박스(32)의 내부에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측 일부가 들어가서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되고, 상기 연통 박스(32)에 굴뚝관(30)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에 구비된 아울렛 회귀홀(28)이 연통 박스(32)를 통해서 굴뚝관(30)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연통 박스(32)는 난로(10)의 측면에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통 박스(32)의 기단부측 둘레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플랜지부를 관통한 체결구가 난로(10)의 일측벽에 결합됨으로써 연통 박스(32)게 난로(10)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연통 박스(32)를 난로(10)에서 손쉽게 분해하고 난로(10)에 조립할 수 있고, 연통 박스(32)에 연결된 굴뚝관(30)도 손쉽게 난로(10)에서 분해하거나 난로(10)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굴뚝관(30)은 난로(10)에 구비된 배출구(14)와 연통을 통해 연결된다. 난로(10)의 상판에 배출구(14)가 구비되고, 난로(10)의 상판의 배출구(14)에 연통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연통의 타단부는 굴뚝관(30)의 옆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난로(10)의 배출구(14)에서 올라오는 화기와 연기가 다시 한번 굴뚝관(30)으로 모아져서 연기만 굴뚝관(30)으로 빠지게 되므로, 화기의 체류 시간을 보다 길게 함으로써 열 이용 효율을 보다 높이게 된다.
상기 굴뚝관(30)과 연통에는 공기 조절댐퍼(DP)가 구비된다. 공기 조절댐퍼(DP)의 댐퍼축은 굴뚝관(30)과 연통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댐퍼축은 미도시된 모터의 모터축에 기어와 커플러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모터의 모터축 회전에 따라 굴뚝관(30)과 연통에서 공기 조절댐퍼(DP)가 회동되고, 공기 조절댐퍼(DP)의 회동에 따라 굴뚝관(30)과 연통의 개폐 정도를 조절한다. 공기 조절댐퍼(DP)에 의해 난로(10)의 화기와 연기 배출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을 감싸는 단열재(47)가 더 구비된다. 익스텐션 덕트(21)의 전체 외표면 중에서 일부의 외표면을 단열재(47)가 감싸고 익스텐션 덕트(21)의 전체 외표면 중에서 단열재(47)로 감싸져 있는 외표면을 제외한 다른 외표면은 축열재(41)에 의해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 위쪽에 축열재(41)가 구비되고, 익스텐션 덕트(21)의 양쪽 측면부에 단열재(47)가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단열재(47)로 익스텐션 덕트(21)를 감싸므로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열손실을 최소화시킨다는 것은 익스텐션 덕트(21)에 의한 화상의 염려를 방지하면서도 익스텐션 덕트(21)에서 생기는 열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축열재(41)가 있는 부분에서는 열을 축적하므로, 익스텐션 덕트(21)에서 생기는 열을 장시간 동안 보유함으로써 난방 지속 시간을 더 늘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단면 사각형 덕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상부판과 좌우 측면판과 하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의 위쪽에는 축열재(41)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판의 옆에는 단열재(47)가 구비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를 덕트 형상의 외피 커버(20)가 감싸고, 상기 외피 커버(20)의 내표면과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 사이에 단열재(47)와 축열재(41)가 개재된다. 물론, 상기 외피 커버(20)의 내표면과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 사이에 단열재(47)만이 개재될 수도 있도, 축열재(41)만이 개재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축열재(41)의 재질은 현무암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열재(41)는 판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열재(41)는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의 기단부측에 구비된 아울렛 회귀홀(28)의 바깥 영역까지만 연장된 판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축열재(41)로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을 위에서 막아주고 아울렛 회귀홀(28)은 연통 박스(32)와 굴뚝관(30)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축열재(41)가 일정 길이의 판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축열재(41)의 길이는 아울렛 회귀홀(28)을 막지 않을 정도의 길이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열재(41) 위에는 황토 몰탈(43)이 구비되고, 황토 몰탈(43) 위에는 황토판(45)이 구비될 수 있다. 황토 몰탈(43)은 축열재(41)와 황토판(45)의 부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판(45)과 황토 몰탈(43)은 원적외선의 발생에 의해 살균 효과가 높아지고 축열 기능도 가지고 있어서 여러 모로 좋다.
본 발명은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 리어 커버(R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난로(10)를 기준으로 할 때에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는 앞쪽 단부이고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는 뒤쪽 단부인데,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 단부에 리어 커버(RC)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 단부에 플랜지부가 구비되고, 리어 커버(RC)를 관통한 체결구가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 플랜지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리어 커버(RC)가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커버(27)를 평상시에는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에 결합시켜 놓았다가 상기 커버를 분리한 다음, 익스텐션 덕트(21)의 뒤쪽 단부로 개방된 리어 개방부를 통하여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이물질(예를 들어, 연료의 연소시 생긴 애쉬 등)을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커버(20)를 더 구비되는데, 외피 커버(20)에는 익스텐션 덕트(21) 쪽으로 연통된 개방홀(52)이 구비되고, 상기 개방홀(52)은 보호 커버(54)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피 커버(20)의 내표면과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 사이에 단열재(47)가 개재개재된 경우에는 단열재(47)에 외피 커버(20)의 개구부와 마주하는 단열 개방홀(52)이 구비된다. 상기 외피 커버(20)와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 외표면 사이에 개방된 단열재(47)에 단열 개방홀(52)이 형성된다. 단열 개방홀(52)은 단열재(47)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과 단열재(47)에 형성된 단열 개방홀(52)에 의해 익스텐션 덕트(2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익스텐션 덕트(21)와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 및 단열 개방홀(52)에 의해 요리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피 커버(20)와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 외표면 사이에 상기 축열재(41)가 개재된 경우에는 축열재(41)에 축열 개방홀(52)이 형성된다. 축열 개방홀(52)은 축열재(41)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상기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과 축열재(41)에 형성된 축열 개방홀(52)에 의해 익스텐션 덕트(2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 익스텐션 덕트(21)와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 및 축열 개방홀(52)에 의해 요리실이 형성된다. 상기 황토 몰탈(43)에 의해 황토판(45)이 축열재(41) 위에 구비되거나 축열재(41) 대신에 익스테션 덕트의 상부판에 단열재(47)를 구비할 수 있고, 황토 몰탈(43)에 의해 황토판(45)이 단열재(47)에 결합될 수도 있다. 황토판(45)도 축열 개방홀(52)과 대응하는 황토 개방홀(5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피 커버(20)는 축열재(41)나 단열재(47)를 감싸서 보호하므로, 축열재(41)나 단열재(47)가 익스텐션 덕트(21)의 외부를 감싸는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하면서도 축열재(41)나 단열재(47)의 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요리실이 보호 커버(54)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피 커버(20)와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 외표면 사이에 단열재(47)가 개재되고, 단열재(47)에 단열 개방홀(52)이 형성되고, 외피 커버(20)에 개방홀(52)이 형성된 경우 적어도 보호 커버(54)로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요리실을 막아주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보호 커버(54)의 저면에 단열재(47)의 단열 개방홀(52)에 맞아들어가는 단열재(47) 블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외피 커버(20)와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부판 외표면 사이에 축열재(41)가 개재되고, 축열재(41)에 축열 개방홀(52)이 형성되고, 외피 커버(20)에 개방홀(52)이 형성된 경우 적어도 보호 커버(54)로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요리실을 막아주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보호 커버(54)의 저면에 축열재(41)의 축열 개방홀(52)에 맞아들어가는 축열재(41) 블록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황토 몰탈(43)에 의해 축열재(41) 또는 단열재(47)에 부착되는 황토판(45)에 황토 개방홀(52)이 형성된 경우, 황토판(45)에 형성된 황토 개방홀(52)에 의해서도 요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외피 커버(20)에 개방홀(52)이 형성된 경우 적어도 보호 커버(54)로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을 막아줌으로써 상기 요리실을 막아주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 커버(54)의 저면에 황토판(45)의 황토 개방홀(52)과 축열재(41)의 축열 개방홀(52)(또는 단열재(47)의 단열 개방홀(52))에 맞아들어가는 황도판 블록과 축열재(41) 블록(또는 단열재(47) 블록)이 구비된다.
물론, 상기 보호 커버(54)만으로 외피 커버(20)의 개방홀(52)을 막아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복수개의 분할 덕트가 연결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를 복수개의 분할 덕트로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할 덕트마다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각 분할 덕트의 플랜지부에 동시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분할 덕트가 결합된 길다란 익스텐션 덕트(2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익스텐션 덕트(21)를 분할 덕트로 분리하여 분할 덕트 내부의 청소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익스텐션 덕트(21)의 유지 관리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을 외피 커버(20)가 감싸고 있는 경우, 상기 외피 커버(20)를 복수개의 분할 덕트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복수개의 외피 커버(20) 분할체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분할 덕트와 마찬가지로 외피 커버(20) 분할체마다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각 외피 커버(20) 분할체의 플랜지부에 동시에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구를 결합함으로써 복수개의 외피 커버(20) 분할체가 결합된 길다란 덕트 형태의 외피 커버(2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를 분할 덕트와 함께 외피 커버(20) 분할체로 분리할 수 있어서 익스텐션 덕트(21)의 유지 관리 및 외피 커버(20)의 유지 관리에 있어서 보다 편리하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과 외피 커버(20)의 내표면 사이에 단열재(47)가 개재된 경우, 상기 단열재(47)도 외피 커버(20) 분할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단열재(47) 분할체가 이어져서 형성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과 외피 커버(20)의 내표면 사이에 축열재(41)가 개재된 경우, 상기 축열재(41)도 외피 커버(20) 분할체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의 축열재(41) 분할체가 이어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재(47)를 상대적으로 짧은 단열재(47) 분할체로 분리하고 축열재(41)도 상대적으로 짧은 축열재(41) 분할체로 분리할 수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와 단열재(47) 및 축열재(41)의 분해 조립에 있어서 보다 편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난로(10)의 연소실에서 연료를 연소시키면, 난로(10)의 열발생부에서 발생한 화기와 연기가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지나온 다음,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끝에 있는 인렛 회귀홀(26)을 통해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들어와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지나온 다음,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기단부측에 있는 아울렛 회귀홀(28)을 통하여 상기 굴뚝관(30)을 통해 연기만 빠져나가게 된다. 이러한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 전체 통로인 패스 챔버(22)로 화기와 연기의 순환 과정에 의해 익스텐션 덕트(21) 전체가 난로(10)에서 생긴 화기에 의해 가열되고 특히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난로(10)와 가까운 부분은 상당한 고온으로 올라가게 된다.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난로(10)와 가까운 부분은 500℃ 정도의 온도로 올라간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를 단열재(47)로 감싸고 외피 커버(20)로 단열재(47)를 감싸고 있어서 익스텐션 덕트(21)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방지된다. 익스텐션 덕트(21)에서 상부판 부분을 축열재(41)로 감싸고 익스텐션 덕트(21)의 나머지 부분은 단열재(47)로 감싸고 축열재(41)와 단열재(47)를 외피 커버(20)로 감싸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익스텐션 덕트(21)에 의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난로(10)에서 화기와 연기를 바로 빼는 것이 아니라 난로(10) 옆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 내부를 지나가도록 하고, 이어서 다시 한번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화기와 연기가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실시예에 비하여 익스텐션 덕트(21)를 적어도 두 번 이상 더 가열시키게 되므로, 익스텐션 덕트(21) 주위를 따뜻한 온도로 데워주는 효율이 두 배 이상 커지고, 이로 인하여 난로(10)의 열 이용 효율을 두 배 이상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난로(10)에 가까운 부분은 상기와 같이 상당한 고온으로 올라가므로, 익스텐션 덕트(21) 위에 음식물을 올려놓고 조리를 해먹을수 있으므로, 이용 가치가 매우 높다. 이때,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난로(10)와 가까운 부분에 형성된 요리실을 보호 커버(54)로 막아놓고 있다가 보호 커버(54)를 들어내서 요리실을 열고 요리실에 필요한 조리 기구를 얹어놓거나 요리실에 육류를 올려놓고 조리해 먹을 수 있어서 화상으로부터의 보호에 있어서도 확실하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구비된 경우에는 익스텐셕 덕트의 내부 패스 챔버(22)로 한번만 난로(10)의 화기와 연기를 돌리는 것이 아니라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적어도 두 번을 돌린 다음 익스텍션 덕트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와 연통되어 있는 굴뚝관(30)을 연기만 빠지게 하므로, 열 이용 효율을 두 배 이상 높이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이때, 상기 외피 덕트의 양쪽 사이드부에는 별도의 목재를 더 대줄 수 있다. 목재를 더 대주면 외피 덕트를 통해 혹시나 난로(10)의 열이 나와서 사용자가 요리실에서 요리할 때와 같이 외피 덕트에 근접한 상태에서 외피 덕트의 사이드부에 살이 닿는 것을 목재가 방지하므로, 혹시나 화상이 생길 우려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익스텐션 덕트(21)가 단면 사각 관형상 구성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익스텐션 덕트(21)는 단면 원형 관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익스텐션 덕트(21)가 사각형이든 원형이든 관계없이 모든 형상으로 익스텐션 덕트(21)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익스텐션 덕트(21)는 상부쪽에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구비되고, 하부쪽에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구비되고, 포워드 패스 챔버(22A)는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고,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일정 구간은 다른 부분보다 양쪽 측면 사이의 폭이 더 크면서 일정한 좌우 측면폭을 가지는 사이드 확장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사이드 확장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하단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줄어드는 상하단 축경부로 구성된다. 또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선단부측에서 기단부측 쪽으로 일정 거리 들어간 부분은 상하단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커지는 상하단 확경부로 구성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아래에서 감싸면서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사이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사이를 구획하는 상하부 구획 격판에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에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연통된 인렛 회귀홀(26)이 구비된다. 인렛 회귀홀(26)은 상기 상하부 구획 격판 전체면 중에서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기단부와 인접한 상하단 축경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구획 격판 일부에 형성된다. 상기 인렛 회귀홀(26)이 상부쪽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에서 하부쪽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난로(10)와 인접한 기단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연통 박스(32)와 연통에 연통된 아울렛 회귀홀(28)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로 들어온 난로(10)의 화기와 연기가 인렛 회귀홀(26)을 통해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들어와서 사이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지나온 다음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 중에서 상대적으로 좌우 폭이 더 작은 스몰 사이즈 포워드 패스 챔버(22A) 옆의 본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통과한 후, 상기 본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상면으로 연통된 아울렛 회귀홀(28)을 통하여 연기가 연통 박스(32)와 연통을 통하여 외부로 빠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로 들어온 난로(10)의 화기와 연기가 사이드 확장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지나면서 익스텐션 덕트(21)의 양쪽 측면 전체면을 데워주므로 열 이용 효율이 더욱 높은 효과가 있고, 상기 상하단 축경부에 의해서는 화기와 연기가 더 잘 모아져서 인렛 회귀홀(26)을 통하여 아래쪽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배출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양쪽 측면에서 감싸는 사이드 서큘레이션 패스 부분으로 지나가는 화기에 의해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양쪽 측면으로 열손실이 되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열효율에 있어서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익스텐션 덕트(21)에서 가운데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형성하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 관체는 단면 사각형 관형상으로 구성되고, 포워드 패스 챔버(22A) 양쪽의 두 개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형성하는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는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워드 패스 챔버(22A) 관체의 선단부측 사이드벽에서 옆으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 쪽으로 연통된 인렛 회귀홀(26)이 형성되고,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 관체의 기단부는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의 기단부보다 상기 난로(10) 쪽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 관체의 기단부가 난로(10)의 사이드홀에 연결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의 기단부는 난로(10)의 한쪽 측벽에 고정된 연통 박스(32)에 내장되어,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의 내부에 형성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연통 박스(32)와 굴뚝관(30)으로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난로(10)에서 연료 연소시 생기는 화기와 연기가 가운데의 포드워 패스 챔버(22)로 나와서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렛 회귀홀(26)을 통해서 양쪽 옆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들어온 다음,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기단부를 통해 나와서 연통 박스(32) 내부로 들어온 후 연통 박스(32)의 상부에 구비된 굴뚝관(30)을 통하여 외부로 연기만 배출된다.
상기 익스텐션 덕트(21) 양쪽의 두 개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형성하는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관체가 단면 원형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들어온 화기와 연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해져서 화기와 연기가 서큘레이션 패스 챔부의 선단부 쪽에서 기단부 쪽으로 보다 신속하게 흐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처럼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내부로 화기와 연기가 신속하게 돌아나온다는 것은 연기 배출 효율을 보다 높이고 화기에 의한 익스텐션 덕트(21)의 난방이나 가열이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통 박스(32)의 양쪽 측면에 구멍을 내고, 구멍을 막아주는 사이드 커버(SC)를 볼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사이드 커버(SC)를 열어서 연통 박스(32)의 내부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유지 관리에 있어서 보다 수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익스텐션 덕트(21)에 결합된 테이블(60)을 더 포함한다. 테이블(60)은 상판(62)에 다리(66)가 결합된 구조이고, 상판(62)은 익스텐션 덕트(21)의 위쪽에 배치되고, 다리(66)는 익스텍션 덕트(21)의 양쪽 측면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테이블(60)을 익스텐션 덕트(21)에 결합하고,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면 중에서 난로(10)에 가까운 상면에 배치한 상태에서 난로(10)에 가까운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면에다 고기를 올려서 굽거나 찌게나 국물 요리가 담긴 냄비 등의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다. 익스텐션 덕트(21)는 난로(10)에 가까운 영역이 대략 500℃ 이상의 고온이기 때문에, 난로(10)에 가까운 익스텐션 덕트(21) 위에서 고기를 굽거나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각종 요리를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60)이 익스텐션 덕트(21)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익스텐션 덕트(21) 위에서 조리된 고기나 각종 요리를 테이블(60)의 상판(62)에 곧바로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블(60의 상판(62)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테이블홀(64)이 구비되어, 테이블홀(64)을 통해서 익스텐션 덕트(21) 위쪽(즉, 상부판 위쪽)에 조리해서 먹고자 하는 요리 재료를 올려놓고 조리를 할 수 있다. 익스텐션 덕트(21)에서 조리된 요리는 테이블홀(64)을 통해서 익스텐션 덕트(21)에서 바로바로 테이블(60)의 상판(62) 위에 올려놓고 섭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여 요리를 해먹을 때에 테이블(60)을 더 이용하므로, 요리를 해먹는데에 있어서 더욱 편리하고, 조리가 된 요리는 테이블(60)의 상판(62)에 바로바로 올려서 섭취할 수 있으므로, 요리를 보다 맛있게 해먹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60)에는 롤러(68)가 구비되어, 테이블(60)이 롤러(68)에 의해 보다 손쉽고 원활하게 익스텐션 덕트(21)에서 이동할 수 있다. 테이블(60)의 상판(62) 저면에 롤러(68)를 구비하고, 롤러(68)는 익스텐션 덕트(21)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테이블(60)을 익스텐션 덕트(21)를 따라 이동시킬 때에 롤러(68)가 익스텐션 덕트(21)에 닿아서 구름 운동하므로, 테이블(60)을 익스텐션 덕트(21)를 따라 더욱 손쉽고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60)에 롤러(68)가 구비된 경우에는 다리(64)에 결합된 볼트(BT)를 구비하여, 상기 볼트(BT)를 조여서 익스텐션 덕트(21)에 가압 밀착시킬 수 있다. 익스텐션 덕트(21)의 양쪽 측면 바깥쪽에 구비된 다리(64)에 볼트(BT)가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트(BT)를 조여줌에 따라 볼트(BT)의 끝단이 익스텐션 덕트(21)의 양쪽 측면에 가압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테이블(60)을 익스텐션 덕트(21)의 원하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60)의 상판(62)에 구비된 테이블홀(64)은 상판 커버(65)에 의해 막아놓을 수 있다. 익스텐션 덕트(21) 위에서 조리하지 않을 때에는 상판 커버(65)로 상판(62)의 테이블홀(64)을 막아놓음으로써 사람의 신체가 익스텐션 덕트(21) 위에 닿아서 화상을 입을 염려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이블(60)은 익스텐션 덕트(21)에 결합되지만, 익스텐션 덕트(21)를 감싸고 있는 외피 커버(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난로 20. 외피 커버
21. 익스텐션 덕트 22. 패스 챔버
22A. 포워드 패스 챔버 22B.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
24. 이너 격판 26. 인렛 회귀홀
28. 아웃터 회귀홀 30. 굴뚝관
32. 연통 박스 41. 축열재
43. 황토 몰탈 45. 황토판
47. 단열재 52. 개방홀
54. 보호 커버

Claims (6)

  1. 난로(10);
    내부에 구비된 패스 챔버(22)가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에 연결되어 상기 난로(10)의 옆으로 연장된 익스텐션 덕트(21);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 연결된 굴뚝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기단부가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가 형성된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일정 길이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선단부가 상기 기단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굴뚝관(30)은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에 연결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 내부의 상기 패스 챔버(22)에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상부쪽에 포워드 패스 챔버(22A)가 구비되고, 하부쪽에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가 구비되고, 포워드 패스 챔버(22A)는 기단부측에서 선단부측으로 갈수록 양쪽 측면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되고,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일정 구간은 다른 부분보다 양쪽 측면 사이의 폭이 더 크면서 일정한 좌우 측면폭을 가지는 사이드 확장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구비하며, 동시에 상기 사이드 확장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선단부와 인접한 부분은 상하단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줄어드는 상하단 축경부로 구성되고,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선단부측에서 기단부측 쪽으로 일정 거리 들어간 부분은 상하단 사이의 폭이 점점 더 커지는 상하단 확경부로 구성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를 아래에서 감싸면서 포워드 패스 챔버(22A)의 양쪽 측면을 감싸는 사이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구비하고,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 사이를 구획하는 상하부 구획 격판에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에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연통된 인렛 회귀홀(26)이 구비되고, 상기 인렛 회귀홀(26)은 상기 상하부 구획 격판 전체면 중에서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의 기단부와 인접한 상하단 축경부를 형성하는 상하부 구획 격판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렛 회귀홀(26)이 상부쪽의 포워드 패스 챔버(22A)에서 하부쪽의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로 관통되고, 상기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는 난로(10)와 인접한 기단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연통 박스(32)와 연통에 연통된 아울렛 회귀홀(2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패스 챔버(22)는 상기 난로(10)의 사이드 배출구(12)로부터 나오는 화기와 연기가 흐르는 포워드 패스 챔버(22A);
    상기 포워드 패스 챔버(22A)와 상기 굴뚝관(30)에 연통된 서큘레이션 패스 챔버(22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는 단면 사각형 덕트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익스텐션 덕트(21)가 상부판과 좌우 측면판과 하부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판의 위쪽에는 축열재(41)가 구비되고, 상기 좌우 측면판의 옆에는 단열재(4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재(41)의 재질은 현무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 덕트(21)의 외표면을 감싸는 외피 커버(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KR1020170000904A 2017-01-03 2017-01-03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KR101858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04A KR101858561B1 (ko) 2017-01-03 2017-01-03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04A KR101858561B1 (ko) 2017-01-03 2017-01-03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561B1 true KR101858561B1 (ko) 2018-05-17

Family

ID=62485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04A KR101858561B1 (ko) 2017-01-03 2017-01-03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56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9440C2 (ru) Печь для жарения пищи
KR101481295B1 (ko) 수평식 화목 난로
KR101134044B1 (ko) 장작 및 펠렛 겸용 난로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CN211650425U (zh) 天然石电子远红外线壁炉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101858561B1 (ko) 열이용 효율을 향상시킨 복합 난로
JP6148282B2 (ja) ストーブ
KR101149873B1 (ko) 상업용 취반기
KR20170056781A (ko) 다목적 화목난로
CN108852032A (zh) 多功能电烤炉
CN108006700A (zh) 一种炉子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CN213146639U (zh) 一种户外多功能柴火炉
CN114484513A (zh) 强制排出燃烧有害气体的燃气集成灶
KR200404971Y1 (ko) 다기능 벽난로
CN208973514U (zh) 多功能电烤炉
KR20160125217A (ko) 화덕 난로
JP3717892B2 (ja) 薪焚き調理ストーブ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JP7085227B2 (ja) ストーブ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JP3161297U (ja) 薪ストーブ
JP3238802U (ja) テントサウナ用薪スト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