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298B1 -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298B1
KR101655298B1 KR1020150129667A KR20150129667A KR101655298B1 KR 101655298 B1 KR101655298 B1 KR 101655298B1 KR 1020150129667 A KR1020150129667 A KR 1020150129667A KR 20150129667 A KR20150129667 A KR 20150129667A KR 101655298 B1 KR101655298 B1 KR 10165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in body
hole
grill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홍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훈 filed Critical 홍성훈
Priority to KR1020150129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그릴의 하부에 고온 및 고압상태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연통과 물이 저장된 저장부재가 구비되어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재와, 조리대상물의 조리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연기와 냄새가 그릴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배출 및 처리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이 조리될 수 있으며, 그릴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덮개가 덮여져 숯의 최초 발화에 필요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직화에 의해서만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서도 조리될 수 있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는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는 연결부재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Down stream type grill device with stovepipe}
본 발명은 원형 그릴의 하부에 고온 및 고압상태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연통과 물이 저장된 저장부재가 구비되어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재와, 조리대상물의 조리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연기와 냄새가 그릴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배출 및 처리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이 조리될 수 있으며, 그릴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덮개가 덮여져 숯의 최초 발화에 필요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직화에 의해서만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 열기와 숯불의 원적외선에 의해서도 조리될 수 있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캠핑 문화가 널리 보급되면서 캠핑지에서 음식 조리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그릴이 소개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원형 그릴은 사용과 휴대가 비교적 간편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원형 그릴은 상부가 개방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에는 공기가 유입됨과 동시에 숯이 연소되고 남은 재가 떨어지는 통공이 형성되는데, 내부에서 숯을 연소시키고 상부에 각종 육류와 어패류를 올려놓고 직화 형태로 조리하게 된다.
그런데 조리과정에서 통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얼굴 방향으로 올라오기 때문에 사용 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연소되는 숯의 열기에 의해서 조리대상물이 직화 형태로 조리되기 때문에 화력 조절이 잘못될 경우에 겉은 타고 속은 덜 익혀지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131773호(1997.12.03)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0095926호(1996.02.21)
3.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53525호(2014.10.15)
4.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0-0015935호(2000.08.16)
5.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34989호(2014.08.21)
따라서 본 발명은 원형 그릴의 하부에 고온 및 고압상태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연통과 물이 저장된 저장부재가 구비되어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재와, 조리대상물의 조리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연기와 냄새가 그릴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배출 및 처리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이 조리될 수 있으며, 그릴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덮개가 덮여져 숯의 최초 발화에 필요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직화에 의해서만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 열기와 숯불의 원적외선에 의해서도 조리될 수 있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는 연결부재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되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 2 공간부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물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재의 측면에는 이동손잡이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통공 내에 삽입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며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가 하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 2 공간부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물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부재는 상기 본체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부재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가 구비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는 첫째로, 원형 그릴의 하부에 고온 및 고압상태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연통과 물이 저장된 저장부재가 구비되어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재와, 조리대상물의 조리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연기와 냄새가 그릴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배출 및 처리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이 조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둘째로, 그릴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부가 구비된 덮개가 덮여져 숯의 최초 발화에 필요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직화에 의해서만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 열기와 숯불의 원적외선에 의해서도 조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는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는 연결부재와,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구성 요소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체(10)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그 내부에서 조리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부에는 폐쇄된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제 1 공간부(11)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치용, 휴대용 등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그 형상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 외에도 사각함체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를 위해서 새롭게 제조될 수도 있고, 하부면에 통공(12)이 형성된 것이라면 기존에 사용중인 원형 그릴이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외주연에는 지지다리(20)가 구비되는데, 전술한 지지다리(20)는 반구형상인 본체(10)가 지면에 고정 위치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후술 될 연결부재(30)와 연통부재(40)가 설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하부면 중앙에는 연결부재(30)가 설치되는데, 이 연결부재(30)는 전술한 통공(12)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제 1 공간부(11)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는 본체(10)의 하부면에 체결볼트 또는 리벳으로 견고하게 체결되며 후술 될 연통부재(40)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전술한 연결부재(30)에는 연통부재(40)의 일단이 직결되는데, 이 연통부재(40)는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상승기류에 의해 연결부재(30)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술한 연결부재(30)의 타단은 전술한 본체(10)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본체(1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며, 밴드형 브래킷(110)에 의해서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연통부재(40)는 그 내부가 고온 고압상태가 되어 상승기류가 형성되도록 사용 전에 토치 등을 이용해 가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공간부(11) 내부에는 숯받침부재(50)가 수용되는데 전술한 숯받침부재(50)는 숯이 담겨져 연소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51)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소공간(5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되, 관통공(5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53)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채망돌기(53)는 통공(12)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연소되는 숯에 의해서 통공(12)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숯의 측면으로 연기 및 화염이 용이하게 하부로 빠져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제 1 걸림턱(13) 상에는 석쇠부재(60)가 안착 고정되는데 전술한 석쇠부재(60)는 육류나 어패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놓여져 조리되는 것으로. 종래의 구이용 석쇠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체(10) 상부에는 덮개부재(70)가 선택적으로 덮여지는데, 이 덮개부재(70)는 제 1 공간부(11)가 폐쇄되도록 해 조리대상물이 연소되는 숯의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으로도 조리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상부에 공기유입부(71)가 설치되어 숯의 초기 발화시 외부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덮개부재(70)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7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덮개부재(7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부터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의 전체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공간부(11) 내부에 숯이 수용된 숯받침부재(50)를 수용시킨 뒤 토치를 이용해 점화시켜 연소되게 하고, 동시에 내부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도록 연통부재(40)를 토치로 가열해 연통부재(40)에서 상승기류가 발생되게 한다.
그런 다음, 조리대상물이 올려진 석쇠부재(60)를 제 1 걸림턱(13) 상에 안착시켜 연소되는 숯에 의해 조리되게 한다.
이때 덮개부재(70)를 덮어주면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 1 공간부(11) 내에 머물게 되어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조리될 수 있어 겉은 타고 속은 덜 익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덮개부재(70)에 구비된 공기유입부(71)에 의해서 숯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 된 연기와 냄새는 통공(12)을 통해 연결부재(30)로 유동된 후 연통부재(40)로 배출되는데, 연통부재(40) 내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있어 연기와 냄새가 사용자의 얼굴로 상승되지 않고 연통부재(40)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뿐만 아니라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재 또한 상승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해 연통부재(40)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와 동일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함을 밝힌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는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되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 2 공간부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물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의 구성부재와 그 구성 요소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체(10)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그 내부에서 조리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그 내부에는 폐쇄된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제 1 공간부(11)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치용, 휴대용 등 그 사용 목적에 따라서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되 반구형 외에도 사각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를 위해서 새롭게 제조될 수도 있고, 하부면에 통공(12)이 형성된 것이라면 기존에 사용중인 원형 그릴이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하부면 중앙에는 연결부재(30)가 설치되는데, 이 연결부재(30)는 전술한 통공(12)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제 1 공간부(11)로부터 하향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는 본체(10)의 하부면에 체결볼트 또는 리벳으로 견고하게 체결되되, 일부는 후술 될 저장부재(90) 내부의 저장된 물(92)에 잠기고 일부는 잠기지 않도록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하부면에는 배출부재(80)가 설치되는데, 전술한 배출부재(80)는 연결부재(30)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출부재(80)는 전술한 연결부재(30)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위치되어 그 내부에는 제 2 공간부(82)가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제 2 공간부(82)와 연통되는 연결구(8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배출부재(80)는 전술한 연결부재(30)와 마찬가지로 본체(10)와 체결볼트 또는 리벳으로 견고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배출부재(80)의 하단은 저장부재(90)의 상단과 결합 되는데, 전술한 저장부재(90)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저장공간(91) 내에 연결부재(30)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물(92)이 저장되어 연결부재(30)로부터 배출되는 연기 및 냄새는 물(92)에 잠기지 않은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연결구(81)로 배출되게 하고 재는 물(92)에 잠긴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물(92) 내부로 수집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저장부재(90)는 전술한 제 2 공간부(82)와 서로 연통되도록 그 상부는 개방되고 배출부재(80)와는 탈착버클(93)에 의해서 탈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그 하부면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높이조절되는 지지다리(20)가 구비되며, 그 측면에는 물(92)을 충전하거나 재로 인해서 오염된 물(92)을 비워낼 때 그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손잡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저장공간(91) 내에 저장된 물(92)은 연결부재(30) 하단 중 일부는 잠기고 일부는 잠기지 않는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에서 수위 확인이 가능한 투시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장부재(90)의 상단까지 물(92)을 채웠을 때 연결부재(30)의 하단 일부는 잠기고 일부는 잠기지 않도록 연결부재(30)의 길이와 저장부재(90)의 크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저장부재(90)의 측면에는 이동손잡이(94)가 구비되어 그 운반이 용이하다.
전술한 연결구(81)에는 연통부재(40)의 일단이 직결되는데, 이 연통부재(40)는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상승기류에 의해 연결구(81)로부터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으로, 밴드형 브래킷(110)에 의해서 본체(10)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연통부재(40)는 그 내부가 고온 고압상태가 되어 상승기류가 형성되도록 사용 전에 토치 등을 이용해 가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공간부(11) 내부에는 숯받침부재(50)가 수용되는데 전술한 숯받침부재(50)는 숯이 담겨져 연소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51)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소공간(5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되, 관통공(5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53)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전술한 채망돌기(53)는 통공(12)의 직상부에 위치되어 연소되는 숯에 의해서 통공(12)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숯의 측면으로 연기 및 화염이 용이하게 하부로 빠져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제 1 걸림턱(13) 상에는 석쇠부재(60)가 안착 고정되는데 전술한 석쇠부재(60)는 육류나 어패류 등과 같은 조리대상물이 놓여져 조리되는 것으로. 종래의 구이용 석쇠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본체(10) 상부에는 덮개부재(70)가 선택적으로 덮여지는데, 이 덮개부재(70)는 제 1 공간부(11)가 폐쇄되도록 해 조리대상물이 연소되는 숯의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으로도 조리될 수 있게 하고, 또한 그 상부에 공기유입부(71)가 설치되어 숯의 초기 발화시 외부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덮개부재(70)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72)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덮개부재(70)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부터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의 전체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공간부(11) 내부에 숯이 수용된 숯받침부재(50)를 위치시킨 뒤 토치를 이용해 점화시켜 연소되게 하고, 동시에 내부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도록 연통부재(40)를 토치로 가열해 연통부재(40)에서 상승기류가 발생되게 한다.
그런 다음, 조리대상물이 올려진 석쇠부재(60)를 제 1 걸림턱(13) 상에 안착시켜 연소되는 숯에 의해 조리되게 한다.
이때 덮개부재(70)를 덮어주면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제 1 공간부(11) 내에 머물게 되어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조리될 수 있어 겉은 타고 속은 덜 익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덮개부재(70)에 구비된 공기유입부(71)에 의해서 숯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된다.
조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 된 연기와 냄새는 통공(12)을 통해 연결부재(30)로 유동된 후 물(92)에 잠기지 않은 연결부재(30)를 통해서 제 2 공간부(82) 내로 배출되고, 제 2 공간부(82) 내로 배출된 연기와 냄새는 연결구(81)에 직결된 연통부재(40)를 통해 최종적으로 배출되는데, 연통부재(40) 내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되어 있어 연기와 냄새가 사용자의 얼굴로 상승되지 않고 연통부재(40)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된다.
그리고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재는 통공(12)을 통해 연결부재(30)로 낙하 된 후 물(92)에 잠긴 연결부재(30)를 통해 물(92)에 가라앉아 수집되는데, 덩어리 형태의 재는 자중에 의해서 물(92) 내부로 자동 수집되고 먼지 형태의 재는 물(92)의 흡착력에 의해서 물(92) 내부로 수집되어 연통이 재로 인해서 막히는 것과 먼지의 비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와 동일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함을 밝힌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는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의 바닥 중앙에는 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 1 공간부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통공 내에 삽입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로부터 배출되며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가 하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와, 상기 연결부재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와 연통되는 연결구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배출부재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된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과 상기 제 2 공간부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 하단을 통해 물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와, 상기 저장부재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와, 일단은 상기 연결구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와, 상기 제 1 걸림턱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와, 상기 제 1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는 본체(10)에 형성된 통공(12)이 다수 개가 아닌 한 개가 형성된다는 점과, 연결부재(30)가 본체(10)의 하부에 체결되는 것이 아니라 숯받침부재(50)의 관통공(52)의 하측 가장자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통공(12)을 통해 제 2 공간부(82) 측에 위치된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요소와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와 동일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1,1',1")는 본체(10)의 하부에 고온 및 고압상태로 상승기류가 형성되는 연통부재(40)와 물(92)이 저장된 저장부재(90)가 구비되어 숯의 연소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재와, 조리대상물의 조리중 발생되는 부산물인 연기와 냄새가 본체(10)의 상측이 아닌 하측으로 배출 및 처리될 수 있어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이 조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의 상부에는 공기유입부(71)가 구비된 덮개부재(70)가 덮여져 숯의 최초 발화에 필요한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직화에 의해서만 조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 열기와 원적외선에 의해서도 조리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1" :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10 : 본체
11 : 제 1 공간부
12 : 통공
13 : 제 1 걸림턱
20 : 지지다리
30 : 연결부재
40 : 연통부재
50 : 숯받침부재
51 : 연소공간
52 : 관통공
53 : 채망돌기
60 : 석쇠부재
70 : 덮개부재
71 : 공기유입부
72 : 파지손잡이
80 : 배출부재
81 : 연결구
82 : 제 2 공간부
90 : 저장부재
91 : 저장공간
92 : 물
93 : 탈착버클
94 : 이동손잡이
110 : 밴드형 브래킷

Claims (6)

  1. 내부에는 숯이 연소되고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폐쇄된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지지다리(20);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12)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11)로부터 배출되는 연결부재(30);
    일단은 상기 연결부재(30)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40);
    상기 제 1 공간부(11)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51)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소공간(5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공(5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53)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50);
    상기 제 1 걸림턱(13)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60); 및
    상기 제 1 공간부(11)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10)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71)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70)가 포함되며,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110)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2.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바닥 중앙에는 다수의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된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통공(12)과 연결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11)로부터 배출되되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82)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82)와 연통되는 연결구(81)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80);
    상기 배출부재(80)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92)이 저장된 저장공간(9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91)과 상기 제 2 공간부(82)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92)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3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92)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81)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92)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물(92)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90);
    상기 저장부재(90)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20);
    일단은 상기 연결구(81)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40);
    상기 제 1 공간부(11)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51)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5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53)가 상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50);
    상기 제 1 걸림턱(13)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60); 및
    상기 제 1 공간부(11)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10)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71)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70)가 포함되며,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110)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3. 내부에 폐쇄된 제 1 공간부(11)가 형성되되 상부는 개방되고 상기 제 1 공간부(11)의 바닥 중앙에는 통공(12)이 관통 형성되며 상측 내주연에 제 1 걸림턱(13)이 돌출 형성된 본체(10);
    상기 제 1 공간부(11) 내에 수용되고 내부에 숯이 연소되는 연소공간(51)이 마련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연소공간(51)의 바닥 중앙에는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2)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공기순환이 가능한 채망돌기(53)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2)의 하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통공(12) 내에 삽입되어 숯에서 연소중 발생되는 재와 조리대상물에서 조리중 발생되는 연기 및 냄새가 상기 제 1 공간부(11)로부터 배출되며 그 하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연결부재(30)가 하향 돌출 형성된 숯받침부재(50);
    상기 연결부재(30)가 폐쇄적으로 감싸지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면에 설치되되 내부에는 제 2 공간부(82)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개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 2 공간부(82)와 연통되는 연결구(81)가 돌출 형성되는 배출부재(80);
    상기 배출부재(80)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되 내부에는 물(92)이 저장된 저장공간(91)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91)과 상기 제 2 공간부(82)가 연통되도록 상부는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재(30)의 하단 중 그 일부만 잠기는 수위까지 상기 물(92)이 저장되어 상기 연결부재(3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연기 및 냄새는 물(92)에 잠기지 않은 상기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상기 연결구(81)로 배출되고 상기 재는 물(92)에 잠긴 상기 연결부재(30) 하단을 통해 물(92) 내부로 수집되는 저장부재(90);
    상기 저장부재(90)의 하부면에 높이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다리(20);
    일단은 상기 연결구(81)에 직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의 상부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기 및 냄새가 배출되는 연통부재(40);
    상기 제 1 걸림턱(13) 상에 안착 고정되며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석쇠부재(60); 및
    상기 제 1 공간부(11)가 폐쇄되도록 상기 본체(10) 상부에 덮여지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부(71)가 연결 설치된 덮개부재(70)가 포함되며,
    상기 연통부재(4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밴드형 브래킷(110)에 의해 고정되며, 그 상단은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70)의 상부 중앙에는 파지손잡이(7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6. 삭제
KR1020150129667A 2015-09-14 2015-09-14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101655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67A KR101655298B1 (ko) 2015-09-14 2015-09-14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667A KR101655298B1 (ko) 2015-09-14 2015-09-14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298B1 true KR101655298B1 (ko) 2016-09-07

Family

ID=5695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667A KR101655298B1 (ko) 2015-09-14 2015-09-14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27B1 (ko) * 2019-06-27 2020-11-10 유승진 숯불 화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935U (ko) 1999-01-20 2000-08-16 윤종용 그릴장치
KR100748382B1 (ko) * 2006-11-29 2007-08-10 나성곤 구이기
KR20110003919U (ko) * 2009-10-15 2011-04-21 김정애 훈제구이장치
KR20110008726U (ko) * 2010-03-08 2011-09-16 임재규 개선된 숯 점화장치
KR101095926B1 (ko) 2009-08-17 2011-12-19 한스개발주식회사 열전도율을 개선한 저심도 지중 열교환기
KR101131773B1 (ko) 2004-02-06 2012-04-0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로봇의 보용생성장치
KR101434989B1 (ko) 2012-11-30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453525B1 (ko) 2012-12-07 2014-10-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바베큐 그릴 장치
KR20150080734A (ko) * 2014-01-02 2015-07-10 임채신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935U (ko) 1999-01-20 2000-08-16 윤종용 그릴장치
KR101131773B1 (ko) 2004-02-06 2012-04-05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동 로봇의 보용생성장치
KR100748382B1 (ko) * 2006-11-29 2007-08-10 나성곤 구이기
KR101095926B1 (ko) 2009-08-17 2011-12-19 한스개발주식회사 열전도율을 개선한 저심도 지중 열교환기
KR20110003919U (ko) * 2009-10-15 2011-04-21 김정애 훈제구이장치
KR20110008726U (ko) * 2010-03-08 2011-09-16 임재규 개선된 숯 점화장치
KR101434989B1 (ko) 2012-11-30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453525B1 (ko) 2012-12-07 2014-10-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바베큐 그릴 장치
KR20150080734A (ko) * 2014-01-02 2015-07-10 임채신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927B1 (ko) * 2019-06-27 2020-11-10 유승진 숯불 화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089B1 (ko) 캠핑용 그릴장치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CN110312454B (zh) 利用烟道的烤具
KR101378612B1 (ko) 일회용 구이기 셋트
KR101847726B1 (ko) 연료 자동공급 구조를 갖는 휴대용 연소기
US9955818B2 (en) Cooking device for a solid-fuel cooker including tubular fuel container and related methods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US20170102149A1 (en) Cooking device for a solid-fuel cooker including solid cover defining a cooking surface and related methods
KR200471265Y1 (ko) 펠릿난로
KR10165529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101756006B1 (ko) 숯불구이기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1750331B1 (ko) 콘트라f 형식의 화목 난로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KR101650175B1 (ko) 가연성 숯 착화 용기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JP3175791U (ja) 加熱装置
KR200460203Y1 (ko) 조리장치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JP2004053115A (ja) 卓上用炭火コンロ
KR101813854B1 (ko) 직화구이기
KR20140039856A (ko) 무연 숯불구이기
KR20150000302U (ko) 로스터의 숯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