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8726U - 개선된 숯 점화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숯 점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8726U
KR20110008726U KR2020100002306U KR20100002306U KR20110008726U KR 20110008726 U KR20110008726 U KR 20110008726U KR 2020100002306 U KR2020100002306 U KR 2020100002306U KR 20100002306 U KR20100002306 U KR 20100002306U KR 20110008726 U KR20110008726 U KR 201100087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tank
charcoal
exhaust pip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23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신정호
Original Assignee
임재규
신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규, 신정호 filed Critical 임재규
Priority to KR20201000023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8726U/ko
Publication of KR201100087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7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1/00Mechanical igni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선된 숯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내부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과 화덕의 상측에서 화염을 방사하는 개스화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수 탱크와 숯 점화시 화덕의 고온 공기를 상기 탱크로 유도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안착된 화덕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는 덮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탱크의 상측에서 상기 화덕과 소통하며 하단부가 냉각수의 표면에 근접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탱크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숯 점화장치 {Improved apparatus for setting light to charcoal}
본 고안은 숯 점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장치를 개선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숯 점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숯은 시중의 음식점에서 육류 구이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대 효과로서 탈취나 살균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화력의 지속시간이 길지는 않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숯을 신속하게 점화시켜 즉시에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한 예로서 등록실용 제375333호에 개시된 점화장치는 회전원판 상에 다수의 화덕을 원형으로 안착시키고 하측에 상방 송풍기를 배치한 후, 상측 점화플러그를 이용하여 점화시켜 대량의 숯을 점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조는 대량의 숯을 처리하기에 적합할 수는 있으나, 취급 안정성이나 재의 처리에 관하여 대책이 없다. 그리하여 작업자는 고온에 의한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공기의 오염 문제도 심각하게 발생한다. 또한 적용된 송풍구조는 오히려 화덕 깊이 위치한 숯이 점화되는 것을 방해하며, 결국 소용량의 화덕을 쓸 수밖에 없는데, 그렇다면 대량 점화의 효과는 현저하게 반감된다.
이에 본 고안자는 특허출원 제2009-99359호로서, 하방 송풍방식으로 하되 화덕의 하부에서 공기의 냉각 및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점화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장치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장치는 본체(1)와 본체(1)를 지지하는 냉각장치(2)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3)과, 화덕(5)을 수납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출입하는 서랍(4)과, 상기 하우징(3)의 상측에 배치되는 개스화구(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2)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탱크(7)와, 상기 화덕(5)의 하부에 수직 연통하며 냉각수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덕트(8)를 포함한다.
상기한 숯 점화장치가 하향 송풍구조이고, 자체 내에서 공기의 냉각 및 정화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상당히 유용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첫째로는, 서랍(4)의 출입이동 및 그에 따른 화덕(5)의 위치변동에 의하여 장치의 이용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둘째로는 서랍식 반출구조 및 복잡한 덕트구조의 적용에 따른 제작비 상승의 문제가 있다.
첫째 문제와 관련하여, 실제로 숯 점화에 의해 고온화된 서랍(4) 및 화덕(5)이 주변 및 작업자에 위해 요소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한편으로는 개스화구(6)에서 화염이 방사되는 상태에서 무심코 서랍(4)을 열어버려, 위험이 초래되는 경우도 많이 발생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숯 점화장치를 개선하여,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숯 점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숯 점화장치는:
내부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과 화덕의 상측에서 화염을 방사하는 개스화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수 탱크를 포함하여 화덕의 고온 공기를 상기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숯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안착된 화덕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며, 상기 개스화구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폐쇄시 상기 화덕의 상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덮개는 힌지 메카니즘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는 화덕을 둘러싸는 보호벽이 형성되며, 폐쇄시 상기 개스화구의 하단부는 상기 보호벽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된다.
다른 특징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숯 점화장치는:
내부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과 화덕의 상측에서 화염을 방사하는 개스화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수 탱크를 포함하여 화덕의 고온 공기를 상기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숯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탱크의 상측에서 상기 화덕과 소통하며 하단부가 냉각수의 표면에 근접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탱크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탱크는 일측 상단부에 형성된 세척용 도어 및 물 배출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공기의 와류를 생성하기 위한 나선형 관이다.
본 고안의 점화장치에 따르면, 숯 화덕은 덮개를 개방하여 노출되며 정위치에서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서랍식이나 회전 이동식 장치에 비하여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간단한 힌지 구조로 설계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배기관을 냉각수 표면에 근접하게 연장하고 바람직하게 와류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고온의 공기가 효율적으로 냉각 및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숯 점화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숯 점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이상에서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고안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 숯 점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숯 점화장치가 부호 10으로 표시된다. 상기 숯 점화장치(10)는 화덕을 수용하는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의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덮개(14)를 포함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장치(1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부호 15는 상기 덮개(14)의 일측에 형성된 개폐용 손잡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본체(11) 및 냉각장치(12)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11)는 내부공간(S)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S)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16)을 지지하는 받침대(17)를 포함하는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의 상측에 배치되어 화덕(16) 내의 숯을 점화시키는 개스화구(18)를 포함하는 덮개(1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3)은 저면 받침대(17)를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구조이며, 이 하우징(13)의 상측 개구는 상기 덮개(14)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3)과 덮개(14)가 힌지(19) 메카니즘으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실린더 기타의 다른 구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받침대(17)는 통공으로 형성된 화덕(16) 안착부를 가지며, 상기 화덕(16)은 하측의 배기관(20)을 통하여 냉각수 탱크(21)와 연통한다. 상기 화덕(16)은 숯이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을 정도의 구멍이 다수 형성된 통상의 상측 개방형 화덕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화덕(16)의 인출을 위한 목적으로, 상기 받침대(17)가 유동되지는 않으며, 상기 덮개(14)가 개폐될 뿐이다.
한편, 상기 받침대(17)의 상측에는 화덕을 둘러싸는 보호벽(17a)이 형성되며, 덮개(14) 폐쇄시 개스화구(18)의 하단부는 상기 보호벽(17a)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구성된다. 이 구성으로 인하여 개스화구(18) 및 화덕(16)에서 방사되는 화염이 불필요하게 확산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요하게는 하우징(13)의 외벽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의 상측에는 점화플러그(도 1의 '22')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켜 화덕(16) 내의 숯을 점화시키는 개스화구(18)가 배치된다. 상기 개스화구(18)는 스위치부(23) 및 회로부(24)에 의하여 개폐가 제어되는 고압 개스관(도 1의 '25')에 의하여 연장된 단말이다. 다만, 이러한 개스 공급구조 및 점화구조가 본 고안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스화구(18)는 덮개(14)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덮개(14)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개스화구(18)는 화덕(16)에 근접 또는 이격된다. 이 구조에서, 하우징(13)에서 화덕(16)을 빼내려면 먼저 덮개(14)를 개방하여야 하고, 이 때 개스화구(18)는 그 위치가 상당히 격리된다.
한편, 상기 개스화구(18)는 평면적으로 굴절 확산된 하측 플랜지(18a)를 갖는다. 상기 플랜지(18a)는 하측에 배치된 화덕(16)의 열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하여 스위치부(23), 회로부(24) 기타의 요소들이 안전하게 보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18a)가 상기 보호벽(17a)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및 외벽의 가열방지에 효과적이다.
다음, 상기 냉각장치(12)는 본체(11)를 지지하는 한편, 화덕(16)에 의하여 가열된 공기를 냉각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구조적으로, 상기 냉각장치(12)는 냉각수 탱크(21)와, 배기관 및 배출구(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21)는 본체(11)의 하부에서 본체(11)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며 내부에는 냉각수를 저장하며; 상기 배기관(20)은 상기 탱크(21)의 상측에서 상기 화덕(16)과 소통하며 하단부가 냉각수의 표면에 근접하게 구성되고; 상기 배츨구(26)는 상기 배기관(20)을 통하여 탱크(21)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관(20)으로부터 냉각수 내부를 지나 배출구(26)로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탱크(21)의 일측 상단부에는 도어(27)가 형성되는데, 이는 냉각수를 청소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부호 28은 배수구이고, 29는 여과망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점화장치(10)를 이용하여 숯을 점화시키기 위한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덮개(14)를 열어 하우징(13)을 개방한 후, 숯이 총진된 화덕(18)을 받침대(17)에 안착시킨다. 다시 덮개(14)를 닫은 후 스위치부(23)의 온/오프 스위치를 온하면, 상기 점화장치(10)가 동작한다. 이 때 고압 개스관(25)이 개방되어 개스가 개스화구(18) 측으로 공급되는 한편, 점화플러그(22)에서 불꽃이 발생되어 개스화구(18)을 통하여 화염이 방사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개스화구(18) 직하방에 배치된 화덕(16)의 숯들이 그 상측으로부터 점화되는 것이다. 동시에 환풍기가 작동하며, 화덕(16)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 화염은 하향하는 공기의 흐름 및 측면 보호벽(18a)에 강제되어 철저하게 하향 분사된다. 따라서 화덕(16)의 표면에 형성된 화염은 화덕(16) 깊숙한 곳까지 번져, 대량의 숯이 순식간에 점화되는 것이다.
상기 화덕(16)을 통과한 공기는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 고온의 공기는 배기관(20)을 통과하여 탱크(21) 내 냉각수 표면에 접촉한 후 배출구(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고온의 공기가 냉각수에 의해 냉각되며, 공기 중의 숯 재 기타 유해 물질이 냉각수에 침전되므로, 냉각 및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서, 상기 배기관(20)은 단지 공기의 방향을 유도하는 관이다. 다만 고온의 공기가 냉각수 표면에 가능한 넓게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상기 배기관(20)은 공기의 와류를 생성하기 위한 나선형으로 하는 것도 좋다. 한편,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속 이용하다 보면 냉각수가 점차로 오염된다. 이런 경우에 도어(27)를 열어 냉각수를 청소할 수 있으며, 배수구(28)를 개방하여 오염된 냉각수를 제거할 수도 있다.
10. 숯 점화장치 11. 본체
12. 냉각장치 13. 하우징
14. 덮개 15. 손잡이
16. 화덕 17. 받침대
17a. 보호벽 18. 개스화구
18a. 플랜지 19. 힌지
20. 배기관 21. 탱크
26. 배출구 27. 도어

Claims (9)

  1. 내부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과 화덕의 상측에서 화염을 방사하는 개스화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수 탱크를 포함하여 화덕의 고온 공기를 상기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숯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부에 안착된 화덕을 지지하는 통공이 형성된 받침대를 포함하는 상부 개방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며, 상기 개스화구가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폐쇄시 상기 화덕의 상측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힌지 메카니즘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측 개구를 개폐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는 화덕을 둘러싸는 보호벽이 형성되며, 폐쇄시 상기 개스화구의 하단부는 상기 보호벽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화구는 평면적으로 굴절 확산된 하측 플랜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화구는 평면적으로 굴절 확산된 하측 플랜지를 갖으며, 상기 플랜지가 상기 보호벽의 상단부에 접촉 또는 근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6. 내부에 안착되는 다공성 화덕과 화덕의 상측에서 화염을 방사하는 개스화구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냉각수 탱크를 포함하여 화덕의 고온 공기를 상기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숯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탱크의 상측에서 상기 화덕과 소통하며 하단부가 냉각수의 표면에 근접한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을 통하여 탱크 내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는 일측 상단부에 형성된 세척용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공기의 와류를 생성하기 위한 나선형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배기관으로부터 냉각수 내부를 지나 배출구로 연장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 점화장치.
KR2020100002306U 2010-03-08 2010-03-08 개선된 숯 점화장치 KR2011000872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06U KR20110008726U (ko) 2010-03-08 2010-03-08 개선된 숯 점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2306U KR20110008726U (ko) 2010-03-08 2010-03-08 개선된 숯 점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726U true KR20110008726U (ko) 2011-09-16

Family

ID=4509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2306U KR20110008726U (ko) 2010-03-08 2010-03-08 개선된 숯 점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872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200000741A (ko) 2018-06-25 2020-01-03 문용우 승강기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200000741A (ko) 2018-06-25 2020-01-03 문용우 승강기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5677B2 (ja) 食品を網焼きにするオーブン
CN110312454B (zh) 利用烟道的烤具
KR100945716B1 (ko) 숯 점화장치
KR20130095004A (ko) 커피로스터 가스 제연기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20110008726U (ko) 개선된 숯 점화장치
KR20110060131A (ko) 세라콜이 설치된 가스 및 숯불겸용 로스터
JP3175791U (ja) 加熱装置
KR20140038864A (ko) 참숯 절약형 로스터
CN103307637B (zh) 一种炊暖炉具
KR101946722B1 (ko) 완전연소가 가능한 가스레인지용 점화장치
KR101405636B1 (ko) 가스 숯불 점화기
AU2021224955A1 (en) Oven
KR20130133958A (ko) 괴탄을 연료로 하는 구이기
JP6735563B2 (ja) 加熱調理装置
JP2009079823A (ja) こんろバーナ
KR20160125217A (ko) 화덕 난로
JP7285970B2 (ja) 携帯用ストーブ
KR20190070030A (ko) 유수 분리식 가스 튀김 장치
KR100511509B1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고효율 에너지 절약형 조리기기
JP2000186817A (ja) ストーブ
KR101863742B1 (ko) 가스레인지의 에너지 절약 장치
KR20180099240A (ko) 숯 점화장치
KR200156316Y1 (ko) 난방 및 건조기능을 가지는 숯불 점화기
JP6666154B2 (ja) 加熱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