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734A -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 Google Patents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734A
KR20150080734A KR1020140000172A KR20140000172A KR20150080734A KR 20150080734 A KR20150080734 A KR 20150080734A KR 1020140000172 A KR1020140000172 A KR 1020140000172A KR 20140000172 A KR20140000172 A KR 20140000172A KR 20150080734 A KR20150080734 A KR 20150080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pottery
smoke
lid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신
김미연
김정순
최진혁
이보기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임채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신 filed Critical 임채신
Priority to KR1020140000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0734A/ko
Publication of KR20150080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7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37/079Charcoal igni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기의 내부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기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숯불이나 옹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고기의 육질을 좋게 하며 식당의 테이블은 물론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구멍(11)이 형성된 옹기 부재(10)와; 숯(25)을 이용하여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옹기 부재(10)의 구멍(11)에 설치된 배출기(22)를 통해 재(26)가 배출되도록 하는 가열부(2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와; 하단부에 걸쳐진 구이 대상물(100)이 상기 가열부(20)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걸쇠(4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부재(5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바닥이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옹기 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60)와; 상기 배출기(22)를 통해 배출되는 재(26)가 수납되며 상기 받침부재(60)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받이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Brazier System using Jar}
본 발명은 고기에 불꽃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면서 고기를 구울 수 있는 화덕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옹기의 내부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기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숯불이나 옹기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고기의 육질을 좋게 하며 식당의 테이블은 물론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연소열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도록 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구이용 불판 또는 석쇠의 상부에 구이 대상물을 배치한 상태에서 구이용 불판 또는 석쇠의 하부를 가열함으로써, 구이 대상물이 직접적으로 연소열이 가해지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구이 대상물에 직접 연소열이 가해지면, 구이 대상물의 겉표면만 먼저 익고 안쪽은 서서히 익게 되어, 겉표면만 타버리거나 안쪽 부분이 덜 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구이 대상물에 직접 연소열을 가하지 않고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을 이용하여 구이 대상물을 가열함으로써, 구이 대상물을 고르게 익힘과 아울러 구이 대상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형식의 구이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에는 다수의 황토벽돌과 황토로 본체를 밀폐 축조하고 그 상측에 가스 배출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측면 하측의 화로설치부에 화로를 설치하고 본체의 출입부를 통해 다수의 고기가 배치된 선반이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숯의 연소열에 의하여 가열된 황토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과 복사열로 고기를 구워 익힘으로써 구이 대상물에 황토의 성능과 숯의 성능을 위생적이고도 용이하게 가미할 수 있는 구이용 화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열이 고기에 직접 작용하지 않도록 연소실과 구이실을 차단하고 연소시 발생되는 연기와 열을 구이실로 공급함으로써,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기름이 연소실에 직접 떨어짐에 따른 그을음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훈제형 바베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식재료가 인입되는 본체부와 식재료의 상부 측으로 열을 공급하는 열공급부 및 식재료의 하부 측에 설치되어 연기를 배출하는 연기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식재료가 익기에 충분한 열을 공급함과 동시에 식재료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식재료에 직접적으로 불을 가하지 않아 식재료의 수분 잔존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켜 식재료의 육질을 뻣뻣하지 않게 하고, 식재료가 구워지면서 생성되는 기름이 별도로 배출되어 식재료에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요리용 화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상하로 격리시킴과 아울러 연소 챔버에서 발생하는 복사열을 복수의 유도 통로를 통해 구이 챔버의 외관 및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연소 챔버와 구이 챔버를 격리시키면서도 복사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 대상물의 표면 및 내부를 전체적으로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화덕 구이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화덕 구이기는 대부분 커다란 구조물의 형태로서 이동 설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고 실내의 테이블에 설치할 수 없으며 야외에서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288654 Y1 KR 20-0292940 Y1 KR 10-1185789 B KR 10-1338693 B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옹기 부재의 내부에 구이 대상물을 걸어 두고 구이 대상물이 불이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가열하여 구이 대상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형화를 통해 실내의 테이블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옹기 부재의 상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연기 배출부재를 통해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연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옹기 부재의 상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재로 옹기 부재와 동일한 재질의 옹기 뚜껑을 사용하여 일체감을 부여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킨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연기 배출부재로 연통을 이용함으로써 야외에서 사용할 때 연기가 상측으로 배출되어 옹기 부재의 주변으로 연기가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기 배출부재로 테이블 후드를 사용함으로써 실내에서 사용할 때 연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밀폐부재로 테이블 후드가 연결된 금속제 뚜껑 부재를 사용하여 옹기 부재의 개구부에 작용하는 여열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 부재에 원주 방향의 홈을 형성하여 간이 조리도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가열부를 망상 구조물로 형성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구이 대상물이 직접 작용하도록 함과 아울러 숯의 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에 구멍이 형성된 옹기 부재와; 숯을 이용하여 상기 옹기 부재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옹기 부재의 구멍에 설치된 배출기를 통해 재가 배출되도록 하는 가열부와; 상기 옹기 부재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부재와; 하단부에 걸쳐진 구이 대상물이 상기 가열부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걸쇠와; 상기 옹기 부재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부재와; 상기 옹기 부재의 바닥이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옹기 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와; 상기 배출기를 통해 배출되는 재가 수납되며 상기 받침부재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받이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밀폐부재는 옹기 뚜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연기 배출부재는 상기 옹기 부재의 일측 또는 옹기 뚜껑에 설치되어 옹기 부재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도록 한 연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연기 배출부재는 연기 흡입구가 옹기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옹기 뚜껑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옹기 부재의 상단 개구부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이 형성된 금속제 뚜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뚜껑 부재는 상기 테이블 후드가 결합되는 구멍 주변 및 상기 옹기 부재에 결합되는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원주 방향의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가열부는 옹기 부재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는 옹기 부재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가열부는 옹기 부재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걸쇠는 구이 대상물이 옹기 부재의 중심 주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폐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상기 가열부는 내부에 숯이 수용되는 망상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숯의 투입 및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부에 망상의 뚜껑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는, 대형 구조물로 이루어진 기존의 화덕 구이기와는 달리 소형화가 가능하여 테이블이 구비된 실내는 물론 야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구이 대상물이 걸려 있는 걸쇠와 가열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구이 대상물에 불에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됨으로써 구이 대상물을 고르게 익힐 수 있고 구이 대상물의 표면이 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옹기 부재의 개구부가 개폐 가능한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되고 연기 배출부재가 연결됨에 따라 구이 대상물을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밀폐부재로 옹기 부재와 동일한 재질의 옹기 뚜껑을 사용함에 따라 전체적인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연기 배출부재로 옹기 부재 또는 옹기 뚜껑에 연결된 연통을 사용함에 따라 야외에서 사용시 연기를 상부로 배출시켜 사람들이 있는 옹기 부재의 주위로 연기가 퍼지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연기 배출부재로 테이블 후드를 사용함에 따라 실내에서 구이 대상물을 조리할 때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밀폐부재로 금속제 뚜껑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옹기 부재의 개구부로 배출되는 여열을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뚜껑 부재에 형성된 원주 방향의 홈을 이용하여 계란찜을 하거나 찌개를 데우는 등 뚜껑 부재를 간단한 조리도구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가열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걸쇠의 위치를 옹기 부재의 중심 또는 가장자리 부분으로 변경하여 걸쇠에 걸려 있는 구이 대상물이 가열부의 불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구이 대상물의 표면이 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에 따르면, 가열부를 망상 구조물로 형성함에 따라 숯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가열 대상물에 직접 작용하게 됨은 물론 숯의 복사열이 구이 대상물에 직접 작용하여 열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금속제 뚜껑 부재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는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구멍(11)이 형성된 옹기 부재(10)와; 숯(25)을 이용하여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옹기 부재(10)의 구멍(11)에 설치된 배출기(22)를 통해 재(26)가 배출되도록 하는 가열부(2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와; 하단부에 걸쳐진 구이 대상물(100)이 상기 가열부(20)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걸쇠(4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부재(5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바닥이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옹기 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60)와; 상기 배출기(22)를 통해 배출되는 재(26)가 수납되며 상기 받침부재(60)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받이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30)로는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덮어주는 공지의 옹기 뚜껑(31)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30)로 옹기 뚜껑(31)을 사용할 경우 옹기 부재(10)와의 일체감을 통해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연기 배출부재(50)는 상기 옹기 부재(10)의 일측 또는 옹기 뚜껑(31)에 설치되어 옹기 부재(10)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연통(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연통(51)이 옹기 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재(60)에 설치된 고정지주(52)의 상단부에 설치된 연통 고정밴드(5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통(51)을 이용한 연기 배출부재(50)는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상기 연통(51)을 통해 연기를 상측으로 배출함으로써 옹기 부재(10)의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연기로 인한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기 배출부재(50)로는 연기 흡입구(56)가 옹기 부재(1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옹기 뚜껑(31)에 설치됨과 아울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5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옹기 뚜껑(31)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옹기 부재(10) 내측의 연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옹기 부재(10)가 실내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경우에 적합하며, 옹기 부재(10) 내부의 연기를 빠르게 배출함으로써 테이블에 앉아 있는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30)로 상기 옹기 뚜껑(31)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5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33)이 형성된 금속제 뚜껑 부재(32)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제 뚜껑 부재(32)를 사용하는 경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뚜껑 부재(32)는 상기 테이블 후드(35)가 결합되는 구멍(33) 주변 및 상기 옹기 부재(10)에 결합되는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원주 방향의 홈(3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홈(34)을 이용하여 계란찜을 하거나 찌개 또는 국물을 데우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 부재(32)가 간이 조리도구로 활용됨으로써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를 통해 배출되는 여열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에너지의 활용도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20)는 옹기 부재(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40)는 옹기 부재(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부(20)는 옹기 부재(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걸쇠(40)는 구이 대상물(100)이 옹기 부재(10)의 중심 주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폐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열부(20)는 내부에 숯(25)이 수용되는 망상(網狀) 구조물(22)로 이루어지고, 숯(25)의 투입 및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부에 망상(網狀)의 뚜껑(2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는 구이 대상물에 불이 닿지 않게 함과 아울러 조리 도중에 발생한 연기를 신속히 배출하여 연기로 인한 불편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육류 등의 구이 대상물(100)을 구워먹기 위해서 식당의 테이블 또는 야외에 받침부재(6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부재(60)의 상측에 옹기 부재(10)를 위치시켜 고정함으로써 조리 준비를 완료한다. 이어,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측에 위치한 가열부(20)에 숯(25)을 투입하여 불을 붙인다. 그리고, 걸쇠(40)의 하단부에 구이 대상물(100)을 고정한 후 상기 걸쇠(40)를 옹기 부재(10)의 상단 가장자리 또는 밀폐부재(30)의 저면 부분에 걸어 두고,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를 밀폐부재(30)로 밀폐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열부(20)에서 발생한 복사열이 상기 구이 대상물(100)로 전달되어 구이 대상물이 고르게 익게 된다.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어 구이 대상물(100)이 모두 익게 되면, 상기 밀폐부재(30)를 열고 걸쇠(40)를 꺼낸 후 걸쇠(40)로부터 구이 대상물(100)을 분리하여 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고기가 익는 과정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숯(25)이 타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는 상기 옹기 부재(10) 또는 밀폐부재(30)에 설치된 연기 배출부재(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옹기 부재(10)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불편을 겪지 않게 된다. 그리고, 숯(25)의 연소에 따라 발생한 재(26)는 옹기 부재(10)의 하단부에 설치된 배출기(21)를 통해 재받이통(70)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재받이통(70)을 꺼내서 그 내부의 재를 제거하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옹기 부재
11...구멍
12...상단 개구부
20...가열부
21...배출기
22...망상 구조물
23...뚜껑
25...숯
26...재
30...밀폐부재
31...옹기 뚜껑
32..뚜껑 부재
33...구멍
34...홈
40...걸쇠
50...연기 배출부재
51...연통
52...고정지주
53...연통 고정밴드
55...테이블 후드
56...연기 흡입구
60...받침부재
70...재받이통

Claims (9)

  1. 바닥에 구멍(11)이 형성된 옹기 부재(10)와;
    숯(25)을 이용하여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를 가열하며, 상기 옹기 부재(10)의 구멍(11)에 설치된 배출기(22)를 통해 재(26)가 배출되도록 하는 가열부(2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밀폐하는 밀폐부재(30)와;
    하단부에 걸쳐진 구이 대상물(100)이 상기 가열부(20)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있도록 하는 걸쇠(4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배출시키는 연기 배출부재(50)와;
    상기 옹기 부재(10)의 바닥이 테이블 또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옹기 부재를 지지하는 받침부재(60)와;
    상기 배출기(22)를 통해 배출되는 재(26)가 수납되며 상기 받침부재(60)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받이통(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는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를 덮어주는 옹기 뚜껑(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부재(50)는 상기 옹기 부재(10)의 일측 또는 옹기 뚜껑(31)에 설치되어 옹기 부재(10) 내부의 연기가 배출되도록 한 연통(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부재(50)는 연기 흡입구(56)가 옹기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옹기 뚜껑(31)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는 상기 옹기 부재(10)의 상단 개구부(12)에 설치되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후드(55)가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 구멍(33)이 형성된 금속제 뚜껑 부재(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32)는 상기 테이블 후드(35)가 결합되는 구멍(33) 주변 및 상기 옹기 부재(10)에 결합되는 가장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 원주 방향의 홈(3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는 옹기 부재(10)의 중심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걸쇠(40)는 옹기 부재(1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는 옹기 부재(10)의 하단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걸쇠(40)는 구이 대상물(100)이 옹기 부재(10)의 중심 주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밀폐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20)는 내부에 숯(25)이 수용되는 망상 구조물(22)로 이루어지고, 숯(25)의 투입 및 이탈 방지를 위하여 상부에 망상의 뚜껑(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KR1020140000172A 2014-01-02 2014-01-02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KR20150080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72A KR20150080734A (ko) 2014-01-02 2014-01-02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172A KR20150080734A (ko) 2014-01-02 2014-01-02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734A true KR20150080734A (ko) 2015-07-10

Family

ID=5379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172A KR20150080734A (ko) 2014-01-02 2014-01-02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07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9420914B2 (en) Gril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CN205410943U (zh) 食物坑烤炉及坑烤桌
CA2803540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CN208640481U (zh) 一种多层高效陶瓷烧烤炉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101997388B1 (ko) 난로 겸용 구이기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20150042983A (ko)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KR200463731Y1 (ko) 황토 아궁이식 구이장치
KR20150080734A (ko)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CN105286654B (zh) 一种食物坑烤炉、坑烤桌及烘烤方法
KR101425771B1 (ko) 가마형 참나무 바비큐 장치
CN210276932U (zh) 一种便携式燃气烤炉
KR200480882Y1 (ko) 이동식 부탄연소기용 로스팅 장치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1530810B1 (ko) 육류 구이용 화덕 및 육류 구이 방법
KR102008011B1 (ko) 숯불 로스터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CN207613656U (zh) 一种明火烤炉
KR101156632B1 (ko) 바베큐용 오븐조리기
CN204860789U (zh) 一种食品烘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