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983A -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 Google Patents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983A
KR20150042983A KR20130121868A KR20130121868A KR20150042983A KR 20150042983 A KR20150042983 A KR 20150042983A KR 20130121868 A KR20130121868 A KR 20130121868A KR 20130121868 A KR20130121868 A KR 20130121868A KR 20150042983 A KR20150042983 A KR 2015004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grill
support
jar
grill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2013012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사헌
Original Assignee
김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사헌 filed Critical 김사헌
Priority to KR20130121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42983A/ko
Publication of KR2015004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83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가 개시된다. 이 바비큐 구이기는, 옹기 항아리와; 상기 옹기 항아리의 상단을 덮는 뚜껑과;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판과;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와; 상기 옹기 항아리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 연소부가 놓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옹기 항아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항아리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BARBECUE ROASTER USING ONGGI POT}
본 발명은 바비큐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구이기는 화염이 구이 대상물, 특히, 고기에 직접적으로 가해지도록 하는 직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기에 직접 화염이 가해지는 경우, 고기의 겉 표면만 먼저 익게 되고, 안쪽은 서서히 익게 되므로, 겉 표면만 타버리거나, 안쪽이 덜 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서로 연통된 연소실과 분리실을 구비하고, 연소실에서 발생한 훈연 및 열을 구이실로 유도하여 고기를 굽는 간접 가열 방식의 바비큐 구이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바비큐 구이기는 직화식 바비큐 구이기가 갖는 문제점, 즉, 고기가 익기 전에 고기의 겉 표면이 타는 문제점을 해소하였지만 그 크기가 과도하게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작비용이 높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간접 가열실 바비큐 구이기는, 열을 적당한 온도로 오랜 시간 보유하기 어려운 구조로서, 구워진 고기의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연기나 그을음 최소화할 수 있고 고기의 겉 표면이 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바비큐 구이기에 대한 필요성이 당해 기술 분야에 존재한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10-1207996호(2012. 11. 28.)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기의 제안이 이루어진 바 있다. 종래에 제안된 항아리 구이기는 항아리의 상단에 고정된 채 아래로 길게 연장된 고기 거치대를 포함하며 항아리의 내부에는 숯불통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기는 종래 직화형 바비큐 구이기의 여러 문제점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이에 필요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 원적외선과 이온이 발생됨과 더불어 고기가 천천히 익게 해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구이기는, 그릴판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그릴판으로부터 열이 고기로 열전도됨으로써 생기는 바비큐 구이 본연의 풍미가 없어지는 단점을 가지며 항아리 내측면과 인접한 위치로 고기의 위치가 제한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구이기는 고기가 항알 내에서 거치대에 수직으로 매달려 구워지므로 항아리 내 상하 환경 차이로 인하여 불균일한 구이가 이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구이기는 항아리 내 온도 조절이 어렵고 가능하다 하더라도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 과도하게 복잡한 추가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여 바비큐 구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항아리 내부에 그릴판을 배치할 수 있고 옹기 항아리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더 균일한 바비큐 구이가 가능하며 또한 보다 더 풍미 좋게 바비큐 구이를 할 수 있는,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구이 장치는, 옹기 항아리와; 상기 옹기 항아리의 상단을 덮는 뚜껑과;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판과;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와; 상기 옹기 항아리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 연소부가 놓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옹기 항아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항아리 지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항아리 지지부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외주면 중간에 끼워지는 항아리 홀더와, 상기 항아리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다리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상기 그릴판을 지지하기 위해, 그릴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판 지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판을 받치는 하나 이상의 그릴판 받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상기 기름받이를 지지하기 위해, 기름받이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를 받치는 기름받이 받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측에서 상기 그릴판과 상기 기름받이를 지지하는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는 그릴판 받침부와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를 상하 일체로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뚜껑에는 상기 옹기 항아리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개의 온도 조절홀들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뚜껑에 설치된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옹기 항아리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스틸 와이어를 포함한다.
에 따라 종래에는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기의 제안이 이루어진 바 있다. 종래에 제안된 항아리 구이기는 항아리의 상단에 고정된 채 아래로 길게 연장된 고기 거치대를 포함하며 항아리의 내부에는 숯불통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기는 종래 직화형 바비큐 구이기의 여러 문제점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이고 구이에 필요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 원적외선과 이온이 발생됨과 더불어 고기가 천천히 익게 해준다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의 구이기는, 그릴판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그릴판으로부터 열이 고기로 열전도됨으로써 생기는 바비큐 구이 본연의 풍미가 없어지는 단점을 가지며 항아리 내측면과 인접한 위치로 고기의 위치가 제한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구이기는 고기가 항알 내에서 거치대에 수직으로 매달려 구워지므로 항아리 내 상하 환경 차이로 인하여 불균일한 구이가 이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구이기는 항아리 내 온도 조절이 어렵고 가능하다 하더라도 온도 조절을 위한 구성이 과도하게 복잡한 추가적인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여 바비큐 구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항아리 내부에 그릴판을 배치할 수 있고 옹기 항아리 외부에서 열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더 균일한 바비큐 구이가 가능하며 또한 보다 더 풍미 좋게 바비큐 구이를 할 수 있는,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a은 도 2의 A-A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B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3c 도 2의 C-C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비큐 구기기의 옹기 항아리를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따른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3a은 도 2의 A-A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B-B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며, 도 3c 도 2의 C-C를 따라 취해진 횡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a, 도 3 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는, 옹기 항아리(1)와, 상기 옹기 항아리(1)의 상단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뚜껑(2)과, 상기 옹기 항아리(2)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바비큐 구이 대상물(M), 또는 날고기가 놓이는 그릴판(3)과, 상기 옹기 항아리(2)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여 고기가 구워질 때 발생하여 아래로 떨어지는 기름을 받는 기름받이(4)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그릴판(3)과 기름받이(4)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해 쓰인 용어 "내측 상부" 및 "내측 하부"는 상대적인 그릴판(3)과 기름받이(4)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정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옹기 항아리(1) 내에서 상기 기름받이(4)가 상기 그릴판(3)보다 낮게 위치함을 한정하기 위해 쓰였음을 유의한다.
상기 옹기 항아리(1)는 예컨대 황토와 같은 흙을 용기 형태로 성형하여 한국 전통방식으로 구운 항아리로서, 상단 개구부의 크기는 좁고 상단 개구부로부터 아래로 점진적으로 직경(또는, 폭)이 증가하여 중간 부분이 볼록하며 볼록한 중간 부분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점진적으로 직경(또는, 폭)이 감소하는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인 옹기 항아리(1)는 바닥이 막혀 있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는 옹기 항아리(1)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11)을 포함하고 있다. 옹기 항아리(1)의 외부에 위치한 연소부(6)는 상기 개구부(11)을 통해 상기 항아리(1)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연소부(6)로 숯불통이 이용된다. 이하에서는 숯불통에 연소부(6)의 부재번호인 "6"을 부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개구부(11)의 아래에 상기 숯불통(6)이 놓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옹기 항아리(1)를 지면(G)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항아리 지지부(7)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항아리 지지부(7)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외주면 중간에 끼워지는 링형의 항아리 홀더(71)와, 상기 항아리 홀더(71)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다리(72)들을 포함한다. 상기 숫불통(6)은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바닥측 개구부(11) 아래에 위치한 채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부로 열과 훈연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항아리 홀더(71)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볼록한 중간 부분 바로 아리에서 상기 옹기 항아리(1)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뚜껑(2)은, 전술한 옹기 항아리(1)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황토와 같은 흙을 성형하여 구운 옹기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뚜껑(2)에는 상기 옹기 항아리(1)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개의 온도 조절홀(21)들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에는 옹기 항아리(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옹기 항아리(1) 외부에서 온도를 표시해주는 온도 측정부(22)가 설치된다.
사용자는 온도 측정부(22)를 통해 측정한 옹기 항아리(1) 내부의 온도를 기초로 상기 복수개의 온도 조절홀(21)들의 전체 또는 일부를 막거나 개방함으로써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부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온도 조절홀(21)들의 전체 또는 부분 개폐에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이나 벽돌과 같은 내열성 물체(S; 도 3a에 이점쇄선으로 표시함)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숯불통(6)의 불 강약 조절과, 온도 조절홀(21)의 선택적 개폐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1) 내부의 온도를 이중으로 그리고 더 신뢰성 있게 조절할 수 있다. 바비큐 구이시,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부 온도를 150 ~ 200℃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측에서 상기 그릴판(3)을 지지하기 위해, 그릴판 지지부(8)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판 지지부(8)는 지면(G)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1)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81)들과, 상기 다리(81)들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판(3)을 받치는 하나 이상의 그릴판 받침부(8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그릴판 받침부(82)는 열과 훈연이 그릴판(3) 위까지 흐르도록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측에서 상기 기름받이(4)를 지지하기 위해, 기름받이 지지부(9)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9)는 지면(G)으로부터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91)들과, 상기 다리(91)들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4)를 받치는 기름받이 받침부(9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름받이 받침부(92) 또한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과 훈연은 기름받이(4) 주변을 통해 기름받이(4) 상측으로 유도된다.
상기 옹기 항아리(1) 내에서 상기 그릴판(3)이 상기 기름받이(4)보다 더 높게 위치해야 하므로, 상기 그릴판(3)을 지지하는 그릴판 지지부(8)의 다리(81)들이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9)들의 다리(91)들보다 더 길게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바비큐 구기기의 옹기 항아리를 횡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옹기 항아리(1)를 보강하는 보강부(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10)는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측면 형상에 상응하게 스틸 와이어(110)을 엮어 만든 구조물로써 다수의 연결부(112)에 의해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부(10)은 열에 의한 옹기 항아리(1)의 비틀림 및 그로 인한 손상을 막고 또한 충격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의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기 항아리를 이용한 바비큐 구이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옹기 항아리(1)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판(3)과,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4)를 포함하되, 상기 그릴판(3)과 상기 기름받이(4)는 하나의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89)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89)는 제1 및 제2 그릴판 받침부(891, 892)를 상하 나란하게 일체로 구비하고 그 아래로 상기 기름받이 받침부(893)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상기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89)는 위로는 상기 제1 및 제2 그릴판 받침부(891, 892)와 상기 기름받이 받침부(893)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옹기 항아리(1)의 바닥 개구부(11)를 통해 아래로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894)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구이기의 나머지 구성은 앞선 실시예들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이 생략된다.
1: 옹기 항아리 2: 뚜껑
3: 그릴판 4: 기름받이
6: 연소부 또는 숯불통 7: 항아리 지지부
8: 그릴판 지지부 9: 기름받이 지지부
10: 보강부 11: 개구부
89: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

Claims (8)

  1.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로서,
    옹기 항아리;
    상기 옹기 항아리의 상단을 덮는 뚜껑;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는 그릴판;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 하부에 위치하는 기름받이;
    상기 옹기 항아리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아래에 연소부가 놓이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옹기 항아리를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항아리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비큐 구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아리 지지부는 상기 옹기 항아리의 외주면 중간에 끼워지는 항아리 홀더와, 상기 항아리 홀더로부터 연장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다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상기 그릴판을 지지하기 위해, 그릴판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판 지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그릴판을 받치는 하나 이상의 그릴판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상기 기름받이를 지지하기 위해, 기름받이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옹기 항아리 내측까지 연장된 복수개의 다리들과, 상기 다리들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기름받이를 받치는 기름받이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측에서 측에서 상기 그릴판과 상기 기름받이를 지지하는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그릴판 및 기름받이 지지부는 그릴판 받침부와 상기 기름받이 지지부를 상하 일체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옹기 항아리 내부의 온도 조절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개의 온도 조절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 설치된 온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옹기 항아리의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옹기 항아리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스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비큐 구이기.
KR20130121868A 2013-10-14 2013-10-14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Abandoned KR20150042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68A KR20150042983A (ko) 2013-10-14 2013-10-14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1868A KR20150042983A (ko) 2013-10-14 2013-10-14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83A true KR20150042983A (ko) 2015-04-22

Family

ID=53035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1868A Abandoned KR20150042983A (ko) 2013-10-14 2013-10-14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4298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40B1 (ko) *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719455B1 (ko) 2016-06-20 2017-03-24 김성동 옹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94889Y1 (ko) * 2021-05-24 2022-01-17 김명춘 고기 구이 장치
KR20230035865A (ko) 2021-09-06 2023-03-14 김주복 황토 참숯 훈제 항아리와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840B1 (ko) * 2015-09-11 2016-12-21 김성동 단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1719455B1 (ko) 2016-06-20 2017-03-24 김성동 옹기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94889Y1 (ko) * 2021-05-24 2022-01-17 김명춘 고기 구이 장치
KR20230035865A (ko) 2021-09-06 2023-03-14 김주복 황토 참숯 훈제 항아리와 이를 이용한 조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9500B2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US20140196609A1 (en) Pizza oven accessory for a barbecue
US10015975B2 (en) Smoker having internal perforated smoke stack
US10010217B1 (en) Grill with sliding rack and carriage
US20140224750A1 (en) Outdoor grill basket
KR20150042983A (ko) 옹기 항아리를 이용하는 바비큐 구이기
KR20160085119A (ko) 다기능 구이판
KR20120008881U (ko) 돌판구이 겸용 조개류 찜이 가능한 로스터
KR20110072949A (ko) 항아리를 이용한 구이형 조리장치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102087426B1 (ko) 수직형 구이기
KR102083681B1 (ko) 무연 로스터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200480882Y1 (ko) 이동식 부탄연소기용 로스팅 장치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20150080734A (ko) 옹기를 이용한 화덕 구이기
KR101737060B1 (ko) 로스터
CN203814457U (zh) 热气回流转盘式烧饼炉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JP6076650B2 (ja) 無煙ロースター
KR102322304B1 (ko) 구이용 다용도 불판
KR102073752B1 (ko) 바베큐 오븐
KR200433973Y1 (ko) 야외용 바비큐 구이통
KR20090051589A (ko) 다층 조리기
KR20190001201U (ko) 슬로우 쿠킹이 가능한 이중구조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