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28B1 - 직화 조리기 - Google Patents

직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28B1
KR101154028B1 KR1020110028782A KR20110028782A KR101154028B1 KR 101154028 B1 KR101154028 B1 KR 101154028B1 KR 1020110028782 A KR1020110028782 A KR 1020110028782A KR 20110028782 A KR20110028782 A KR 20110028782A KR 101154028 B1 KR101154028 B1 KR 10115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er
heat
lid
hot air
cook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선자
Original Assignee
서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자 filed Critical 서선자
Priority to KR102011002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 열기 상승구가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직접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고, 상승된 열은 열반사 뚜껑에 의해 조리기 본체 내부로 반사되어 조리물을 아래와 위가 골고루 조리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열기 상승구를 통해 조리기 본체 외부의 공기가 가열기구의 열과 혼합되어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어 과열에 의해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기 상승구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보조경사판이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열기 상승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열기구에 닫는 면적이 적어 가열기구의 열에 의해 바닥면이 가열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아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에 발생되는 조리물 연기와 냄새가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열기에 의해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연소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는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에 의해 렌지후드로 집약되어 배출됨으로써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화 조리기{DIRECT FIRE COOKER}
본 발명은 직화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 열기 상승구가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직접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고, 상승된 열은 열반사 뚜껑에 의해 조리기 본체 내부로 반사되어 조리물을 아래와 위가 골고루 조리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열기 상승구를 통해 조리기 본체 외부의 공기가 가열기구의 열과 혼합되어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어 과열에 의해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열기 상승구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보조경사판이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열기 상승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열기구에 닫는 면적이 적어 가열기구의 열에 의해 바닥면이 가열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아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에 발생되는 조리물 연기와 냄새가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열기에 의해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연소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는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에 의해 렌지후드로 집약되어 배출됨으로써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선류나 육류 등의 조리물은 주로 후라이팬이나 구이판 등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조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리하는 경우 조리물의 표면에 열이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구이판의 바닥면과 접해 있는 조리물의 하부부위가 먼저 익게 되므로 반대 부위를 익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뒤집어 주어야 하는 번거러운 작업이 발생된다.
그리고 조리물로부터 배출되거나 조리를 위해 투입된 기름 등이 가열되면서 연기와 함께 냄새를 발생하고, 특히 가열기구의 열기에 직접 노출된 조리물의 접촉면이 먼저 타면서 매운 연기와 역겨운 냄새가 발생되고, 가열기구의 회구로 떨어진 기름 등은 화염을 유발시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으며, 계속 가열되어 공기
중으로 확산된 냄새나 기름 등은 옷이나 신체 또는 조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여 근래에는 직화조리기를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직화 조리기는 가열기구의 회구 위에 기름받이 또는 물받이를 올려놓고, 그 상부에 조리판과 별도의 열기 반사부재를 결합한 후 뚜껑을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화 조리기는 중앙 내부에 원통형으로 가열기구의 열이 상승되는 열기 상승공이 관통되어 조리시 조리물의 윗면과 아랫면이 불규칙하게 조리되어 어느 한 쪽을 기준으로 조리하면 다른 한 쪽을 과열로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조리기 내부의 조리물을 익히거나 구우려면 일정한 열로 가열해야 되는데 상기와 같이 종래직화 조리기에서는 조리기 내부로 열기가 많이 상승하게 되면 조리물의 윗면이 타게 되고, 조리기 내부로 상승되는 열기를 줄이면 조리기의 바닥면을 직접 가열하는 열기가 많아져 조리물의 아랫부위가 타게 되어 조리물의 위면과 아랫면을 골고루 조리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직화조리기는 그 구성품이 다수의 부품으로 복잡하고, 분해 및 조립이 까다로우며, 조리 후 세척하기가 매우 불편하며, 다수의 구성품으로 결합되어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 열기 상승구가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직접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고, 상승된 열은 열반사 뚜껑에 의해 조리기 본체 내부로 반사되어 조리물을 아래와 위가 골고루 조리될 수 있도록 한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열기 상승구를 통해 조리기 본체 외부의 공기가 가열기구의 열과 혼합되어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어 과열에 의해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기 상승구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보조경사판이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열기 상승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열기구에 닫는 면적이 적어 가열기구의 열에 의해 바닥면이 가열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아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에 발생되는 조리물 연기와 냄새가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열기에 의해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연소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는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에 의해 렌지후드로 집약되어 배출됨으로써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반사 뚜껑에 결합된 배출뚜껑을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한 구조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여 조리 후 세척이 용이한 직화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조리기 본체의 열기 상승구 일측에 물받이구와 기름받이 홈을 구비하여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의 조리물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기름 받이판이 없어도 바닥면에 발생되는 기름이 기름받이 홈에 유입되어 조리 후 기름을 처리하기가 편리한 직화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조리기 본체의 하부에 과열방지판이 구비되어 조리기 본체가 가열기구의 상부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과열방지판이 가열기구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는 직화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벽(210)과 바닥면(220)이 구비되고, 가열기구(100)의 열기가 중앙 내부로 상승되도록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열기 상승구(230)가 구비된 조리기 본체(200)와;
삭제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기 상승구(230)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된 열을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 외측 하향으로 반사시키면서 연기와 냄새는 상부로 배출하는 열 반사뚜껑(300)과;
상기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 반사 뚜껑(300)의 상부로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지후드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 상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뚜껑(400)으로 구성된 직화조리기에 있어써,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는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열기 상승공(231a)이 구비되고, 열기상승공(231a)외측으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어 가열기구(100)의 열이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도록 하는 열기 상승가이드판(231)과;
상기 바닥면(220)과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사이에 상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굴곡되어 외부의 공기가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경사판(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 본체(200)는 조리물 조리시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열기 상승구(230)의 일측 바닥면(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측면은 측벽(210)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열기 상승구(230)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판(24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판(241) 사이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받이 홈(242)이 구비된 물받이구(240)를 포함하고, 조리물 조리시 조리기 본체(200) 내부 바닥면(22)의 기름이 유입되도록 열기 상승구(230)의 일측 바닥면(220)에 구비된 기름받이 홈(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이 직사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열 반사뚜껑(300)은 테두리가 조리기 본체(200)의 측벽(210) 상단부에 지지되는 반사뚜껑 몸체(310)와;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중앙이 상부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상부로 굴곡되어 하부면이 조리기 본체(200)에서 상부로 상승되는 열을 다양한 각도로 하향 반사시키는 열 반사판(320)과;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테두리와 열 반사판(320) 사이에 테두리를 따라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제 1배출공(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뚜껑(400)은 테두리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하단부가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배출뚜껑 몸체(410)와;
상기 배출뚜껑 몸체(410)의 상부 일측에 열 반사뚜껑(30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된 연기와 냄새를 렌지후드로 배출하는 제 2배출공(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기 본체(20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기구(100)의 열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에 직접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 방지판(500)을 포함하되, 상기 과열 방지판(500)은 판형의 방지판 몸체(51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가열기구(100)의 열이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521)이 구비된 열관통구(52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상부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상부로 돌출되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 하부를 지지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 1미끄럼 방지돌기(53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하부면 방사상 위치에 하부로 돌출되어 방지판 몸체(51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 2미끄럼 방지 돌기(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에 열기 상승구가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직접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고, 상승된 열은 열반사 뚜껑에 의해 조리기 본체 내부로 반사되어 조리물을 아래와 위가 골고루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기 본체의 중앙에 구비된 열기 상승구를 통해 조리기 본체 외부의 공기가 가열기구의 열과 혼합되어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되어 과열에 의해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기 상승구와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 사이에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보조경사판이 구비되어 가열기구의 열이 열기 상승구를 통해 용이하게 조리기 본체 내부로 상승될 수 있고, 조리기 본체의 바닥면이 가열기구에 닫는 면적이 적어 가열기구의 열에 의해 바닥면이 가열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물의 아래가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에 발생되는 조리물 연기와 냄새가 조리기 본체의 내부에서 열기에 의해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연소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는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구비된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에 의해 렌지후드로 집약되어 배출됨으로써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반사 뚜껑에 결합된 배출뚜껑을 조리기 본체의 상부에 결합한 구조로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고, 열반사 뚜껑과 배출뚜껑의 분해 및 조립이 간단하여 조리 후 세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는 조리기 본체의 열기 상승구 일측에 물받이구와 기름받이 홈을 구비하여 조리물을 조리시 조리기 본체 내부의 조리물 습도를 조절할 수 있고, 별도의 기름 받이판이 없어도 바닥면에 발생되는 기름이 기름받이 홈에 유입되어 조리 후 기름을 처리하기가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는 조리기 본체의 하부에 과열방지판이 구비되어 조리기 본체가 가열기구의 상부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과열방지판이 가열기구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열반사 뚜껑을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배출 뚜껑을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사용상태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에 물받이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에 물받이구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3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에 기름받이 홈을 나타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조리기 본체에 기름받이 홈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과열방지판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과열방지판 저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17 은 본 발명에 따른 직화 조리기의 과열방지판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40은 결합볼트이고, 430은 볼트공, 440은 손잡이이다.
먼저 조리기 본체(2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10)과 바닥면(220)이 구비되고, 가열기구(100)의 열기가 중앙 내부로 상승되도록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열기 상승구(23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는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는 열기 상승공(231a)이 구비되고, 열기상승공(231a) 외측으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어 가열기구(100)의 열이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도록 하는 열기 상승가이드판(231)이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220)과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사이에는 바닥면(220)에서 상부 내측, 즉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굴곡되어 외부의 공기가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경사판(23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과 보조경사판(232),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은 일체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기 상승구(230)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된 열을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 외측 하향으로 반사시키면서 연기와 냄새는 상부로 배출하는 열 반사뚜껑(300)은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가 조리기 본체(200)의 측벽(210) 상단부에 지지되는 반사뚜껑 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중앙이 상부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상부로 굴곡되어 하부면이 조리기 본체(200) 내부에서 상부로 상승되는 열을 조리기 본체(200) 내부를 향해 다양한 각도로 하향 반사시키는 열 반사판(320)이 구비되며,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테두리와 열 반사판(320) 사이에 테두리를 따라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제 1배출공(3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뚜껑 몸체의 상부 중앙에는 결합볼트(340)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 반사 뚜껑(300)의 상부로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지후드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 상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뚜껑(400)은 도 4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하단부가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배출뚜껑 몸체(410)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뚜껑 몸체(410)의 상부 일측에는 열 반사뚜껑(30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된 연기와 냄새를 렌지후드(600)로 배출하는 제 2배출공(4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뚜껑(400)의 배출뚜껑 몸체(410)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어 열반사 뚜껑(300)의 반사뚜껑 몸체(310) 중앙 상부에 구비된 결합볼트(340)가 삽입되는 볼트공(430)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볼트(340)에 나사결합되어 열반사 뚜껑(300)의 반사뚜껑 몸체(310)와 배출뚜껑(400)의 배출뚜껑 몸체(410)를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손잡이(40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직화 조리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200)의 내부 열기 상승구(230) 외측 바닥면(220)에 조리물을 삽입하고, 열반사 뚜껑(300)의 반사 뚜껑 몸체(310) 상부에 구비된 결합볼트(340)가 배출뚜껑 몸체(410) 중앙에 구비된 볼트공(430)에 삽입되어 선단부에 결합된 손잡이(440)를 잡고, 반사뚜껑 몸체(310)의 테두리가 조리기 본체(200)의 측벽(210) 상단부에 지지되도록 조리기 본체(200) 상부를 덮는다.
그리고 가열기구(100)로 조리기 본체(200)를 가열하면 가열기구(100)의 화구(110)를 통해 발생되는 열기는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 중앙에 구비된 열기 상승구(230)를 통해 조리기 본체(100) 내부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기구(100)의 화구(110)에서 발생되는 열기는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과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사이에 상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굴곡된 보조경사판(232)을 따라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내측의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된 열기는 조리기 본체(200) 측벽(210) 상단부에 테두리가 지지된 열반사 뚜껑(300)의 반사뚜껑 몸체(310) 중앙에 상부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굴곡된 열반사판(320)에 의해 열기 상승구(230)의 외측을 향해 다양한 각도로 반사되어 조리기 본체(200) 내부 조리물의 윗부분을 가열하여 직화로 조리하게 되고, 조리물의 아랫부분는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된다.
이때 상기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은 가열기구(100)의 화구(110) 직경보다 크게 직사각형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열기구(100)의 화구(110) 열기가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내측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면서 가열기구(100)의 화구(110)와 보조경사판(232) 사이로 조리기 본체(200) 외부의 공기가 화구(110)의 열기와 함께 혼합되어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가열기구(100)의 화구(110) 열기와 외부의 찬 공기가 혼합되어 적정한 온도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어 가열기구(100)의 열기에 의한 과열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조리기 본체(200) 바닥면(220)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0 면적과 상기 열기 상승 가이판(231)과 조리기 본체(200) 바닥면(220) 사이의 보조경사판(232) 면적을 열기 상승구(230)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와 관통되어 가열기구(100)의 열기가 조리기 본체(200) 바닥면(220)을 가열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조리물 아랫부위가 타지 않게 되고, 화구(110)의 열기는 외부 공기와 혼합되어 적정한 온도로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어 조리물의 윗 부분와 아랫부분을 골고루 가열하여 익혀지거나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조리기 본체(200) 내부에서 가열기구(100)의 열기에 의해 직화로 조리될 때 조리물에서 발생되는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는 열반사 뚜껑(300)의 열반사판(320)에 의해 하향으로 반사되는 가열기구(100) 열에 의해 대부분 조리기 본체(200) 내부에서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상기와 같이 열반사판(320)에 의해 하향으로 반사되는 가열기구(100)의 열에 의해 연소되거나 소멸되지 않은 미세한 조리물 연기와 냄새는 반사뚜껑 몸체(310) 열반사판(320)과 테두리 사이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구비된 제 1배출공(330)을 통해 반사뚜껑 몸체(310) 상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열반사 뚜껑(300)의 제 1배출공(330)을 통해 반사뚜껑 몸체(310) 상부로 배출된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는 반사뚜껑 몸체(310)의 상부에 결합된 배출뚜껑(400)의 배출뚜껑 몸체(410) 사이로 이송되면서 다시 한번 연소되거나 소멸되고, 반사뚜껑 몸체(310) 상부와 배출뚜껑 몸체(410) 하부 사이로 이송되면서 연소 및 소멸되지 않은 연기와 냄새는 배출뚜껑(400)의 배출뚜껑 몸체(410) 중앙 하부로 집약되고, 집약된 연기와 냄새는 가열기구(100)의 열에 의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높은 압력에 의해 배출뚜껑 몸체(4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 2배출공(420)을 통해 배출뚜껑 몸체(410)의 상부로 빠른 속도로 배출되어 가열기구(100)의 상부에 설치된 렌지후드(600)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배출뚜껑(400)의 제 2배출공(420)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의 내부에서 연소 및 소멸되지 않은 조리물의 연기와 냄새가 빠른 속도로 렌지후드(600)로 흡입되어 실내 또는 조리기 본체(200)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조리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뚜껑(400)의 제 2배출공(420)은 배출뚜껑 몸체(4100 중앙 일측에 한개 또는 다수 개가 관통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물받이구(240)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열기 상승구(230)를 중심으로 일측, 또는 양측 바닥면(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측면은 측벽(210)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열기 상승구(230)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판(24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판(241) 사이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받이 홈(242)이 구비된다.
기름 또는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에는 상기 물받이구(240)의 돌출판(241) 사이 물받이 홈(242)에 물을 넣고 가열기구(100)로 조리기 본체(200)를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면 물받이 홈(242)의 물이 증발되면서 조리물에 따라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의 일측 바닥면(220)에 도 13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받이 홈(250)이 구비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름받이 홈(250)은 기름이 함유된 고기나 생선 등과 같이 기름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할 때 조리기 본체(200) 내부 바닥면(220)에 발생되는 기름이 유입되어 조리기 본체(200) 바닥면(220) 전체에 기름이 연소되어 냄새 및 연기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조리 후 기름의 폐기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하부에는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20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기구(100)의 열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에 직접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 방지판(5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과열 방지판(500)은 판형의 방지판 몸체(5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가열기구(100)의 열이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521)이 구비된 열관통구(520)가 구비되고,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상부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상부로 돌출되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 하부를 지지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 1미끄럼 방지돌기(530)가 구비되며,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하부면 방사상 위치에 하부로 돌출되어 방지판 몸체(51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 2미끄럼 방지 돌기(540)가 구비된다.
상기 과열 방지판(500)은 판형의 방지판 몸체(510)를 가열기구(100)의 상부에 올려놓고 방지판 몸체(510) 상부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상부로 돌출된 제 1 미끄럼 방지돌기(530) 상부에 조리기 본체(200)을 올려놓고 가열기구(100)로 가열하여 조리물을 조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과열방지판(500)의 상부에 조리기 본체(200)를 올려놓고 가열기구(100)로 가열하여 조리하면 가열기구(100)의 화구(110)에서 나오는 열기는 방지판 몸체(510)의 중앙에 구비된 열관통구(520)의 관통공(521)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로 상승하여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과열방지판(500)은 방지판 몸체(510)의 상부로 다수 돌출된 제 1미그럼 방지돌기(530) 상부에 조리기 본체(200)가 올려져 있어 조리기 본체(200)가 방지판 몸체(51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고, 방지판 몸체(510) 하부 방사상의 위치에 하향으로 다수 돌출된 제 2미끄럼 방지돌기(540)는 방지판 몸체(510)가 가열기구(100)의 화구(110)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안전하게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가열기구(100)의 화구(110)와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 사이에 과열방지판(500)이 삽입되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에 가열기구(100)의 열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열로 인해 조리기 본체(200) 바닥면(220)에 밀착된 조리물이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가열기구 110 : 화구
200 : 조리기 본체
210 : 측벽 220 : 바닥면
230 : 열기 상승구 231 : 열기 상승 가이드판
231a : 열기 상승공 232 : 보조 경사판
240 : 물받이구 241 : 돌출판
242 : 물받이 홈 250 : 기름받이 홈
300 : 열반사 뚜껑
310 : 반사뚜껑 몸체 320 : 열반사판
330 : 제 1배출공
400 : 배출뚜껑
410 : 배출뚜껑 몸체 420 : 제 2배출공
500 : 과열 방지판
510 : 방지판 몸체 520 : 열 관통구
521 : 관통공 530 : 제 1미끄럼 방지돌기
540 : 제 2 미끄럼 방지돌기

Claims (10)

  1. 측벽(210)과 바닥면(220)이 구비되고, 가열기구(100)의 열기가 중앙 내부로 상승되도록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도록 열기 상승구(230)가 구비된 조리기 본체(200)와;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기 상승구(230)로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된 열을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 외측 하향으로 반사시키면서 연기와 냄새는 상부로 배출하는 열 반사뚜껑(300)과;
    상기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열 반사 뚜껑(300)의 상부로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렌지후드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 상부로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배출뚜껑(400)으로 구성된 직화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열기 상승구(230)는 바닥면(220) 중앙에 상하로 관통되어 열기 상승공(231a)이 구비되고, 열기상승공(231a)외측으로 상부로 갈수록 내측으로 좁아지게 돌출되어 가열기구(100)의 열이 열기 상승공(231a)을 통해 조리기 본체(200) 내부로 상승되도록 하는 열기 상승가이드판(231)과;
    상기 바닥면(220)과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 사이에 상부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굴곡되어 외부의 공기가 열기 상승 가이드판(231)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보조경사판(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200)는 조리물 조리시 조리기 본체(200) 내부의 습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열기 상승구(230)의 일측 바닥면(220)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일측면은 측벽(210)에 연결되고, 타측면은 열기 상승구(230)에 연결되도록 상부로 돌출된 돌출판(241)이 구비되고, 상기 돌출판(241) 사이에 물을 주입할 수 있는 물받이 홈(242)이 구비된 물받이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200)는 조리물 조리시 조리기 본체(200) 내부 바닥면(22)의 기름이 유입되도록 열기 상승구(230)의 일측 바닥면(220)에 구비된 기름받이 홈(2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이 직사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상승구(230)의 열기 상승공(231a)이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반사뚜껑(300)은 테두리가 조리기 본체(200)의 측벽(210) 상단부에 지지되는 반사뚜껑 몸체(310)와;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중앙이 상부로 완만한 곡면을 이루도록 상부로 굴곡되어 하부면이 조리기 본체(200)에서 상부로 상승되는 열을 다양한 각도로 하향 반사시키는 열 반사판(320)과;
    상기 반사뚜껑 몸체(310)의 테두리와 열 반사판(320) 사이에 테두리를 따라 상하로 관통된 다수의 제 1배출공(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뚜껑(400)은 테두리에 하부로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하단부가 열 반사뚜껑(30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배출뚜껑 몸체(410)와;
    상기 배출뚜껑 몸체(410)의 상부 일측에 열 반사뚜껑(300)을 통해 상부로 배출된 연기와 냄새를 렌지후드로 배출하는 제 2배출공(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조리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조리기 본체(20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기구(100)의 열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에 직접 전달되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열 방지판(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방지판(500)은 판형의 방지판 몸체(51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중앙에는 가열기구(100)의 열이 상부로 상승되도록 상하로 관통된 관통공(521)이 구비된 열관통구(52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상부면 방사상의 위치에 다수 상부로 돌출되어 조리기 본체(200)의 바닥면(220) 하부를 지지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제 1미끄럼 방지돌기(530)와;
    상기 방지판 몸체(510)의 외측 하부면 방사상 위치에 하부로 돌출되어 방지판 몸체(510)가 가열기구(10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 2미끄럼 방지 돌기(5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조리기.
KR1020110028782A 2011-03-30 2011-03-30 직화 조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154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82A KR101154028B1 (ko) 2011-03-30 2011-03-30 직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782A KR101154028B1 (ko) 2011-03-30 2011-03-30 직화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4028B1 true KR101154028B1 (ko) 2012-06-07

Family

ID=46688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54028B1 (ko) 2011-03-30 2011-03-30 직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0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39B1 (ko) * 2014-01-17 2015-06-30 이흥규 직화구이 장치
KR101774192B1 (ko) * 2017-02-06 2017-09-01 박보경 조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95Y1 (ko) 2004-08-09 2004-11-03 한윤숙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0690401B1 (ko) * 2005-08-04 2007-03-09 황주환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95Y1 (ko) 2004-08-09 2004-11-03 한윤숙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0690401B1 (ko) * 2005-08-04 2007-03-09 황주환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039B1 (ko) * 2014-01-17 2015-06-30 이흥규 직화구이 장치
KR101774192B1 (ko) * 2017-02-06 2017-09-01 박보경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1628621B1 (ko) 장작을 이용한 구이 장치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0582691B1 (ko) 오븐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KR200413907Y1 (ko) 직화 조리가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기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KR20110027891A (ko) 무연 가스 구이기
KR20160046665A (ko) 음식물 조리장치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200393095Y1 (ko) 음식물 구이장치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20130001752A (ko) 외통과 솥에 뚜껑이 결합된 다기능 만능솥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