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382B1 - 구이기 - Google Patents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382B1
KR100748382B1 KR1020060119082A KR20060119082A KR100748382B1 KR 100748382 B1 KR100748382 B1 KR 100748382B1 KR 1020060119082 A KR1020060119082 A KR 1020060119082A KR 20060119082 A KR20060119082 A KR 20060119082A KR 100748382 B1 KR100748382 B1 KR 10074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fuel
combustion
barrel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곤
Original Assignee
나성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곤 filed Critical 나성곤
Priority to KR102006011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382B1/ko
Priority to PCT/KR2007/006061 priority patent/WO20080663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77Warming devices using solid fuel, e.g. with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5Food storage or conservation, e.g. cooling or d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구이기가 있으며 외부는 열을 보전하기 위한 단열벽체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원적외선 세라믹과 내열성 재질로 제작된 세라믹 통을 일정위치에 고정한 후 이의 개폐를 위한 문을 설치하되 구이 대와 개폐용 문을 일체화시켜 레일에 연동시 켜 설치한 후 세라믹 통의 상부에 연소 대를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 연료 통을 설치하고 고체 연료를 투입 후 연료통 뚜껑을 닫는다 이후 연소과정을 진행시켜 발생한 열기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세라믹 통의 외부 면을 가열하도록 한다 설치된 팬모터의 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여진 열기와 재 등이 하방 향으로 이동이 되어 폐열은 연통을 통하여 배출되고 재 등은 재인출 구에 쌓여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세라믹 통의 내부온도를 구이 음식에 필요한 최적의 온도유지가 가능하도록 회전속도조절이 가능한 팬 모터를 설치하였으며 청결함의 유지, 편리한 조리과정과 안전한 조리, 에너지 절약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워진 음식물의 제공 과정에 있어서도 최적의 섭취 온도유지가 가능하도록 구이판 예열 실 등을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구이기, 순간 구이기, 세라믹, 원적외선, 톱밥난로, 하향연소

Description

구이기{Roaster}
도 1은 본 발명 구이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이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구이기의 고체연료의 연소부위인 연소 대와 연료공급량을 제어하는 바가지 형상의 기물을 결합한 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구이기의 고체연료공급을 제어 역할을 하는 바가지형 상의 기물이다.
도 5는 본 발명 구이기의 연소대 의 절단 단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구이기의 고체연료 저장 및 공급을 위한 고체연료통이다.
도 7은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05-0047505의 순간 구이기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구이기의 세라믹 통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구이기의 구이대와 세라믹 통의 개폐용 문을 일체화시킨 사시도 이다.
도 10은 본 구이기의 세라믹 통에 있어서 원 적외선세라믹과 내열유리등의 내열성 재질을 두 겹 이상 접합시킨 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구이기의 연료통 내부의 연료 잔량을 가늠하기 위한 나비 형 날개의 설치 예이다.
도 12는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실용 1978-0004973 에 도시된 톱밥난로에 관한 분해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1 단열벽체
13 세라믹 통
14 고체연료
16 굽는 공 간부
21 다리
31 연소 공간부
40 바가지형상의 기물
41 바가지다리
42 꼭지
43 꼭지구멍
44 꼭지 집게
50 연소대
51 연료통이 위치할 자리를 표시
52 공기흡입용 구멍
53 바가지형상의 기물의 다리가 위치할 자리를 표시
61 연료통 뚜껑
62 연료통
91 구이대
92 개폐용문
93 문 손잡이
94 레일가이드
101 원적외선 세라믹
102 내열성 재질
110 열기의 흐름 방향
111 격벽
112 연료 레버
113 복원용 스프링
114 지시용 핀
115 나비 형 날개
116 구이판 예열실
117 구이판
152 레일
153 지지대
154 구이용 음식물
155 구이 대의 왕복방향을 표시
191 팬모터
192 연통
200 재인출 문
201 재
204 구이연기의 흐름
205 구이연기배출용 구멍
본 발명은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구이기가 있으며 내부에 세라믹 통을 설치하고 통의 내부에서 360도 방향에서 가해지는 열과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구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구울 때의 과정에 있어 청결과 안전과 편리함 을 위하여 구이대 와 세라믹 통의 개폐용 문을 일체화시켜 레일과 결합하여 동작하게 하였다. 또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 최단시간 내에 굽도록 하였으며 구울 때에 발생하는 연기를 세라믹 통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하여 연기나 그으름이 세라믹 통 내부나 굽는 음식물에 부착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였으며 단시간에 균등한 질을 가진 다량의 음식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연소용 연료 공급과 연소과정에 있어 에너지절약과 인력절감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안전문제와 위생상의 문제와 설비의 유지와 보수문제 등을 더욱 개선한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식물조리방법 중 하나인 구워서 먹는 조리방법에 있어서 대부분은 화기에 근접하여 음식물을 굽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인바 이렇게 구울 때에는 음식물의 한 쪽에 열을 가한 후 재차 뒤집어서 반대 면에 열을 가하는 등 시간과 인력을 요구하는 굽는 방법을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연기와 분진 그으름등이 발생하여 음식물에 부착하게 되고 공기 및 실내의 오염과 냄새를 유발하는 등의 폐단이 있어왔다. 또한, 기존 순간 구이기의 사용에 있어서 구이용 세라믹 통의 개폐문을 여닫는 과정 중에 자체의 진동충격으로 인하여 문이 파손되거나 구이용 세라믹 통의 내부면 상부에서 세라믹입자가 탈락하여 굽는 과정 중에 있는 음식물에 부착되어 오염되는 경우가 발생했으며 세라믹통과 여닫이문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또한, 구이용 음식물의 투입과정과 인출과정에서 화기에 근접하여 조리과정을 진행함에 따라 화상의 위험이 따랐으며 또한 고체연료의 투입량조절이 난해하고 고체연료 투입시 투입문의개폐로 인하여 화기유출과 분진유출이 있었으며 연소가 불규칙하게 진행되어 과 연소 및 불완전 연소 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화상위험과 공해발생 및 에너지낭비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사용온도제어에 어려움이 있었고 구이용 음식물에 적합한 최적의 구이온도를 제공하지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구울 때에 발생한 연기가 배출되지못하고 세라믹 통 내부 및 음식물에 침적되는 등 청결함의 유지와 질 좋은 음식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구워진 음식물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음식물이 쉽게 식는 관계로 인하여 맛이 저하 되는 결과가 있었으며 연소에 필요한 연료의 공급에 있어 1일 수회의 투입과정이 필요하여 이로 인한 안전 문제와 공해발생 및 인력낭비의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구이용 세라믹 통의 외부면 상부에 분진이 누적되어 세라믹 통 내부로의 열전달이 원활하지 못한 현상이 있었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한 분해 및 청소의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실용 1978-0004973 에 있어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식 연소의 과정 중 연소가 집중적으로 진행되는 금속제의연료통 하부의 연소 부위가 고열에 노출됨으로 인하여 부식현상이 급속히 진행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로 인한 연료통 전체의 잦은 설비교체가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한 자재와 시간 및 인력의 낭비현상이 있었다.
또한, 공급된 연료의 흐름이 원활하지못한 경우에는 연료통의 외부 면을 두드리는 등 물리적인 타격을 가하여 이를 해결함으로써 이로 인한 설비의 파손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밀폐된 연료통의 구조로 인하여 고체연료의 잔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따라서 연료의 공급시간산정에 어려움이 있는 등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구이기가 있으며
외부는 열을 보전하기 위한 단열벽체로 구성되고 내부 임의의 위치에는 원적외선 세라믹과 내열세라믹 혹은 내열성 재질로 두 겹 이상 겹쳐서 제작된 임의의 형상의 세라믹 통을 일정위치에 고정한 후에 세라믹 통의 외부 면에 열을 가하여 이 통의
내부온도가 사용가능한 온도에 이르렀을 때에 세라믹 통의 개폐용 문의 문 손잡이를 이용해 구이대 를 인출 한 후 구이대위에 구이용 음식물을 안치하고 개폐용 문을 닫는다 이후에 세라믹 통의 내부 열과 원적외선이 360도 방향에서 가해져 음식물이 최적의 조건에서 단시간에 구워질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과 영양을 최대한 살리도록 했으며 구워진 음식물을 제공할 때에도 제한된 시간 내에 보다 많은 양의 음식제공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보다 개선된 음식섭취여건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연료의 공급과 연소과정 및 설비유지보수문제와 에너지절약 및 안전문제를 더욱 개선한 구이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구이기 본체가 있으며 열을 보전하기 위하여 외부면은 단열벽체로 구성하고 구이기 본체내부에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세라믹 통을 설치한 후 세라믹 통의 상부에 연소 대와 임의의 기울기를 가진 바가지 형상의 기물을 결합 후 설치한 후 이의 상부에 연료통을
설치하고 밀폐용 뚜껑을 덮었다.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세라믹 통 좌 우측에 구이판 예열 공간 부를 설치하였으며 구이 대와 개폐용 문을 일체화시키고 이를 왕복용 레일과 결합시키고 연소공기의 흡입 및 폐기 열 배출을 위하여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한 팬모터를 설치하였으며 재 를 인출하기 위하여 재인출 구를 설치한 것 등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음식물의 구이과정 중 편리한 투입 및 인출을 위하여 세라믹 통의 개폐용 문과 구이대 를 일체화시키고 음식물의 투입 및 인출하는 왕복 동작을 할 때 구이대 와 개폐용문 의 충격 방지와 안전을 위하여 왕복용 레일과 레일가이드를 설치하였으며
또한, 고체연료의 공급 및 연소과정에 있어 연료통에 투입된 고체연료를 하부방향
으로 균일한 공급진행을 위해 바가지형상의 기물을 연소대 내부에 설치하였으며 바가지형상의 기물 상부에는 꼭지를 형성하고 여기에 꼭지 집게를 연결하여 고체연료의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동작 즉 꼭지 집게 상부를 잡고 좌우로 돌려줄 수 있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고체연료의 완전연소 및 균일한 연소를 위하여 회전 속도조절이 가능한 팬모터를 설치하였으며 구이용 세라믹 통의 임의의 위
치에 임의 크기의 구이연기배출용 구멍을 형성하여 음식물 구울 때에 발생 된 연기가 구이연기배출용 구멍을 통하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였고 빠져나간 연기는 세라믹 통 외부의 열기 흐름 을 따라 완전연소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였으며
또한, 세라믹 통 좌우 측의 위치에 격벽으로 분리된 구이판 예열실을 두어 여기에서 가열된 구이판에 구워진 음식물을 담아 제공하도록 하여 구워진 음식물을 섭취
하는 시간 동안 섭취하기에 좋은 적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1일 사용량에 해당하는 만큼의 고체연료를 1회 투입으로 24시간 조리할 수 있도록 고체연료 통의 크기를 산정하여 제작하였으며
고체연료의 연소로인하여 발생한 분진이 세라믹 통 외부면 상부에 누적되는 현상 을 최대 한 방지할 수 있는 단면형상을 가진 세라믹 통을 설치하였으며 고체연료의 연소에 있어 고열의 연소열에 노출되어 부식현상이 빠르게 진행되는 부위인 연소대 와 바가지형 상의 기물을 독립하여 제작하고 고열에 강한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부식현상의 억제와 설비교체의 편리함을 기하였으며 또한 고체연료통 내부의 연료 잔량을 가늠하기 수월하도록 나비 형 날개를 통 내부 하단부위에 설치한 후 이에 연계하여 통 외부에 지시용 핀을 부착하고 복원용 스프링을 이용하여 동작 되어 지도 록 하는 것 등을 제공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구이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형상으로 제작된 구이기 본체가 있으며 열을 보전하기 위하여 외부는 단열 벽체(11)로 구성되고 구이기 본체의 상부위치에 즉 구이용 세라믹 통(13)의 상부에 연료통(62)을 설치하고 이의 상부에 연료통 뚜껑(61)을 닫도록 하였다.
여기 연료통 뚜껑(61)과 연료통(62)과의 접착 면은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접한 접착 면이 유지돼야 한다.
또한, 연료통 하부에 연접하여 결합한 연소 대(50)가있으며 이 연소대 내부에는 바가지 형상의 기물(40)이 안치(도 3)되며 바가지형상의 기물 상부에는 꼭지(42)를
형성하고 꼭지 집게(44)와 결합하여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 연소과정에서 고체연료(14)의 흐름이 계속되는 연소 부위에
흐름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바가지형상의 기물(40)에 연결된 꼭지 집게(44)를 좌우로 수회 회전시켜줌으로써 연료의 흐름을 개선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소대(50) 내부의 바가지형상의 기물(40)의 정상적인 위치가 고체연료(14)
의 투입으로 인한 과정에서 변경되는 경우에는 고체연료의 불균일한 흐름 현상으로 인하여 이상 연소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의방지를 위하여 바가지형상의 기물 (40) 하단부위에 복수의 돌출된 바가지다리(41)를 형성하였으며 바가지형 상의 다리가 위치할 자리(53)를 연소 대(50)의 내부에 형성하였다.
이는 바가지형 상의 기물(40)의 위치변동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고체연료(14)의
공급과 연소에 있어서 원활한 흐름과 균일한 연소가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1일 동안의 연소과정에 필요한 만큼의 고체연료(14)를 1회 투입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료통(62)의 크기를 산정하여 설치하였으며 이는 연료투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와 분진의 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화상위험방지 및 화제안전과 인력절감문제 등을 해결하였다.
또한, 밀폐된 연료통 내부의 연료량을 가늠하고 고체연료의 공급시간을 산정하기 위하여 고체연료통 하부 측의 내부에 나비 형 날개(115)를 설치한 후 이에 연계하여 통 외부에 지시용 핀(114)을 부착하고 복원용 스프링(113)을 이용하여 동작하도록 하였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장치를 설치한 후에 고체연료를 연료통에 투입하게 되면 연료 자체의 무게에 눌려 나비 형 날개(115)가 하방 향으로 눌려진 상태가 되며 이에 연결된 지시용 핀(114)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 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이후 연료의 연소과정에 따른 연료 자체의 무게감소에 따라 나비 형 날개(115)는 복원용 스프링(113) 복원 힘에 의해 상부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이를 참고로 하여 연소용 고체 연료의 공급시간을 예상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연소용 고체연료(14)는 적정한 크기를 가진 입상 등의 연료를 임의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체연료나 액체연료, 전기에너지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연소 대(50)와 바가지형 상의 기물(40)의 구조상 고체연료(14)가 연소하는 과정에 발생 된 고열에 노출되어있어 이 연소대(50) 부위와 바가지형상의 기물(40)이 고열에 의해 급속한 부식으로 진행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내열금속 혹은 내열세라믹재질을 사용하고 설비교체가 필요할 때에 수월한 작업과정을 위해서 연소대(50) 부위와 바가지형 상의 기물(40)을 별도로 제작하였다.
또한, 구이기 본체의 내부 일정위치에 설치된 세라믹 통(13)의 좌우에 열기의 흐름 방향(110)을 유도하는 통로를 형성 상부 연소대(50) 에 서 발생 된 열기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세라믹 통(13)의 상하좌우 외부 면을 가열하고 하방 향으로 계속 진행되어 지도록 하였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구이 대(91)와 개폐용 문(92)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조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을 개선하였다 즉 구이대(91) 위에 구이용 음식물(154)을 안치시킨 후 문 손잡이(93)를 사용하여 왕복용 레일(152)을 이용한 왕복개폐동작으로 조리과정을 진행하게 함으로써 화상의 위험 방지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한 조리과정을 시행하게 하였다.
여기 왕복개폐동작의 조리과정에 있어서 왕복용 레일(152)과 레일가이드(94)를 장착하여 개폐과정에서의 정숙함을 유지하였고 개폐과정의 진동을 최소화함으로써 구이용 세라믹 통의 파손을 예방하였다.
또한, 구이용 세라믹 통(13)의 내부 천장 부위에서의 세라믹입자의 탈락으로 인한 음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세라믹 통(13)의 내부에 내열성을 가진 유리나 내열성
재질로 형성된 통(102)을 이중으로 겹쳐서 제작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또한, 세라믹 통(13)의 외부 면의 상부에 연소과정에서 발생한 분진이 누적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의개선을 위해서 도8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정형상의 세라믹 통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세라믹 통에 있어 열전달성능을 극대화하기
위 한 방법의 예로써 세라믹 통의 외부 면을 더욱 많은 열과의 접촉면 을 형성한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세라믹 통(13) 안의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한 연기의 배출을 위하여 세라믹 통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 크기의 구이연기배출용 구멍(205)을 형성하였다 이는 음식물이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가 여기 구이연기배출용 구멍(205)을 통
하여 배출되게 하였으며 배출된 연기는 기존 열기의 흐름에 합하여 구이연기의 흐름(204) 방향으로 진행되고 열기에 합류되어 완전연소의 과정을 거쳐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구이용 세라믹 통(13)의 하부에는 폐기 열 배출용 연통(192)이 설치되며 이와 연계하여 연소용 공기흡입 및 폐기 열 배출을 위한 회전속도조절이 가능한 팬모
터(191)가 설치된다 여기 고체연료의 연소용 공기는 연소 대(50)에 형성된 연소공기 흡입구(52)를 통해서만 흡입되는 구조이며 세라믹 통 하부의 폐기 열 배출용 연통(192)을 통해서만 배출되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도록 하며 세라믹 통 안에서 구워진 음식물을 제공할 때에는 구이판 예열실에서 예열 된 구이판을 꺼내서 여기에 구워진 음식물을 담아서 제공하도록 하여 구워진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간 동안에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없이 구이판에 잠재된 열에 의해 음식물 섭취하기에 좋은 적정한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체연료저장용 연료통(62)에 임의의 크기를 가진 고체연료(14)를 공급한 후에 밀폐용 뚜껑(61)을 닫는다. 이어서 회전속도조절이 가능한 팬모터(191)를 가동시키면 연소 대(50)의 공기흡입용구멍(52)를 통하여 연소용 공기가 흡입하게 된다 여기 공기 흡입용구멍에 착화용 불씨나 토치램프의 불을 근접시키면 불씨나 열기가 흡입돼 연소 공간부(31) 에 투입되어있던 고체연료에 착화하게 된다 불이 붙은 고체연료는 흡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더불어 연소가 진행되며 이로 인하여 부피가 줄어들고 이의 상부위치에 있던 고체연료는 자체하중으로 하강하여 그 자리에 충전돼 이후 계속 해서 고체연료의 연소와 공급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기는 팬모터(191)의 가동에 따른 열기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방 향으로 이동돼 구이용 세라믹 통(13)을 가열하게 되며 계속해서 더욱 아래 방향으로 이동돼 폐기 열 배출용 연통(192)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된다.
상기한 열기의 이동과정 중에 열전달성능이 우수한 격벽(111)을 통하여 열이 전달되어 적치된 구이판에 열이 가해지게 된다 이후 팬모터(191)의 가동시간과 설정온도수치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온도조절기를 설치하게 되면 임의의 적정 온도의 계속적인 유지가 가능하게 하였다.
계속해서 세라믹 통(13) 내부온도가 조리하기에 적정한 온도에 이르면 개폐용 문(92)에 설치된 문 손잡이(93)를 이용하여 구이 대(91)를 인출한다 노출된 구이대(91)위에 구이용 음식물(154)을 안치한 후 미는 동작으로 개폐용 문(92)을 밀착하여 닫는다.
이어서 세라믹 통(13) 안의 구이대(91)위에 안치된 음식물이 구워지게 되며 구워지
는 동안에 발생한 연기는 세라믹 통에 형성시킨 구이연기배출용구멍(205) 을 통해서 빨려나가게 되며 구이연기의 흐름(204)을 따라 하방 향으로 진행되고 열기의 흐름 방향(110)에 합류하여 완전연소과정을 거쳐서 하부에 설치된 폐기열배출용연통(192)을 통해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 된 연소 재(201) 등은 재 인출구(200) 부위에 누적되며 재 인출구(200) 를 통해서 배출하게
하였다. 이후에 세라믹 통 안에서 구워진 음식물을 제공할 때에는 구이판 예열실에서 예열 된 구이판을 꺼내서 여기에 구워진 음식물을 담아서 제공하도록 하여 구워진 음식물을 섭취하는 시간 동안에 별도의 가열장치가 필요없이 구이판에 잠재된 열에 의해 적정한 열기가 있게 하여 음식물 섭취하기에 좋은 적정한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워서 먹는 음식물에 있어서 음식의 맛과 향과 영양소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며 연료의 공급과정, 연소과정, 연소열이동과정, 음식물 굽는 과정과 제공과정, 설비의 청결유지, 사용상의 안전문제, 에너지절약, 인력절감 등의 문제점 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연료의 공급과정에 있어서 고체연료통과 연료통 뚜껑과 연소 대와 바가지형상의 기물과 고체연료통 내부의 연료 잔량을 가늠하기 위한 지시용
핀이 결합한 상태에서 고체연료를 연료통에 투입하게 되면 연료 자체의 입자무게에 눌려 나비 형 날개가 하방 향으로 눌려진 상태가 되어 이에 연결된 지시용 핀(114)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향을 지시하게 된다 이후 연료의 연소과정에 따른 연료 자체의 무게감소에 따라 지시용 핀은 복원용 스프링의 복원 힘에 의해 임의의 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이를 참고로 하여 연소용 고체연료의 공급시간
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하루에 필요한 고체연료량을 가늠하여 한번 투입으로 1일 가동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어서 진행되는 연소과정에 있어서는 회전속도조절이 가능한 팬모터의 가동으로 연소용 공기 흡입량 조절이 가능하여 완전연소의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적정하고도 균일한 구이 온도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과정들은
고체연료의 불규칙한 연소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기공해 오염 문제 및 실내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과도한 연소 및 불완전연소로 인한 에너지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고체연료의 투입시간에 따른 인력낭비를 방지 및 연료투입시 열기와 분진의 누출로 인한 화상의 위험 즉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음식물의 굽는 과정과 구워진 음식물의 제공과정에 있어서의 효과를 자세히
설명하면 가열되는 세라믹 통이 적정온도에 이르게 되면 개폐용문 문 손잡이를 당 겨서 개폐용 문과 일체화된 구이 대를 노출한다 여기 구이대위에 음식물을 안치시킨 후 개폐용 문을 밀어서 닫은 후 굽게 하였다 이후에 구워진 음식물을 꺼내어 이미 예열 된 구이판에 담아서 제공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기존의 구이방법들 즉 개폐문이 열린 상태에서 굽거나 화기에 근접하여 구이동작이 행해져서 화상의 위험이 있었던 점을 개선하였으며 레일 를 이용한 개폐용 문을 여닫는 과정으로 충격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세라믹 통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방지하였으며 고열로 인한 세라믹 통의 열화 현상으로 세라믹입자가 탈락하여 음식물이 오염되는 점을 예방하고자 구이용 세라믹 통의 내부에 내열유리나 내열성 재질로 통의 내부 면에 두 겹 이상 겹쳐서 제작된 세라믹 통을 설치함으로써 이를 해결하였다 또한 음식물의 제공과정에서는 세라믹 통에 가해진 열기에 의한 원적외선 효과와 음이온효과와 세라믹의 효능을 구이용 음식물에 최단시간에 집중적으로 가함으로써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을 영양소를 최대한 살리는 구이방법을 취했으며 이러한 방법으로 구워진 음식물은 구이판 예열실에서 예열 된 구이판에 담아서 제공하도록 하여 섭취하기 좋은 온도의 지속적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울 때에 발생한 연기가 구멍을 통해서 빠져나가게 함으로서 세라믹 통 내부에 그을음이 누적되거나 음식물에 부착되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였으며 즉석에서 구워진 다량의 음식을 제한된 시간에 최대한 공급할 수 있는 장점 등을 제공하였다.

Claims (8)

  1. 외부 몸체를 형성하는 단열벽체(11)와,
    상기 단열벽체 내부로 원적외선 세라믹과 내열성 재질로 두겹이상 겹쳐 원통
    상으로 이루어진 세라믹통(13)과,
    상기 세라믹통의 상부측으로 하향 연소를 위한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통(62)과
    상기 세라믹통의 좌우측에 위치하며 상기 단열벽체의 내부를 분리 형성된 구이판 예열실(116)과,
    상기 세라믹통의 내측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구이대(91)와 연결 형성되어 상기 단열벽체의 일부로 구성된 개폐용문(92)과,
    상기 세라믹통 의 하부로 폐열이 배출되는 연통(19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통의 일정 위치에 통내부의 구이연기 배출을 위한 구이연기배출용 구멍
    (205)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통 개폐용문 의 왕복 이동을 가이드 하는 레일(152)이 추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하는 구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통 하부에 위치 하며,
    상기 연료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바가지 형상의 기물(40)과,
    내면과 외부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공기 흡입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물을 안착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연소공간부(31)를 형성한
    연소대(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물의 상측에 꼭지(42)와,
    꼭지구멍(43)을 형성하여 꼭지구멍에 결합되는 꼭지집게(44)를 통하여 기물을 유동 시킬 수 있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통에 의 연료의 잔량을 측정하는 연료레바(112)를 추가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기.
  7. 삭제
  8. 삭제
KR1020060119082A 2006-11-29 2006-11-29 구이기 KR10074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82A KR100748382B1 (ko) 2006-11-29 2006-11-29 구이기
PCT/KR2007/006061 WO2008066323A1 (en) 2006-11-29 2007-11-28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082A KR100748382B1 (ko) 2006-11-29 2006-11-29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382B1 true KR100748382B1 (ko) 2007-08-10

Family

ID=38602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082A KR100748382B1 (ko) 2006-11-29 2006-11-29 구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48382B1 (ko)
WO (1) WO200806632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65B1 (ko) 2008-05-19 2010-05-11 강상청 구이판 가열장치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707B1 (ko) 2017-04-25 2018-03-23 위성학 회전식 구이기
CN107912994B (zh) * 2017-12-29 2021-05-04 夏婷 一种自动翻炒的油炸锅
KR102506559B1 (ko) *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24U (ko) * 1994-07-29 1996-02-14 우용균 구이기
KR19980055268U (ko) * 1996-12-24 1998-10-07 김주병 이중 황토가마 구이기
KR19990014514A (ko) * 1998-11-18 1999-02-25 정후상 육류가마구이
KR200240821Y1 (ko) * 2001-04-12 2001-10-11 이부근 음식물 구이장치
KR20050093723A (ko) * 2005-06-03 2005-09-23 나성곤 순간 구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924U (ko) * 1994-07-29 1996-02-14 우용균 구이기
KR19980055268U (ko) * 1996-12-24 1998-10-07 김주병 이중 황토가마 구이기
KR19990014514A (ko) * 1998-11-18 1999-02-25 정후상 육류가마구이
KR200240821Y1 (ko) * 2001-04-12 2001-10-11 이부근 음식물 구이장치
KR20050093723A (ko) * 2005-06-03 2005-09-23 나성곤 순간 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965B1 (ko) 2008-05-19 2010-05-11 강상청 구이판 가열장치
KR101655298B1 (ko) * 2015-09-14 2016-09-07 홍성훈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6323A1 (en) 200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26363B2 (en) Oven for grilling food
KR100748382B1 (ko) 구이기
US9204657B2 (en) Outdoor cooker with internal firebox
KR101355727B1 (ko)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CN204813499U (zh) 无油空气炸锅
US11678766B2 (en) Firebox for a grill
CN104382500B (zh) 无烟馕坑
CN204600242U (zh) 无烟健康节能烘烤炉
CN214804231U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KR100881495B1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CN204218725U (zh) 无烟馕坑
CN103629699A (zh) 覆盖保温,余热榨干式,取暖、做饭、烧水、烘烤与餐桌多功能炉灶
KR100809851B1 (ko) 구이기
KR101606651B1 (ko) 전기 회전구이기
CN104633715A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CN201700304U (zh) 无油烟烤鸭炉
KR101532193B1 (ko) 기능성 조리 장치
KR200392575Y1 (ko) 고기구이기
CN207590542U (zh) 一种室内烧烤装置
CN204860789U (zh) 一种食品烘烤机
KR102356371B1 (ko) 보일러 겸용 고기구이장치
CN220379744U (zh) 仿古法自动砂焗煨汤炉
CN204438207U (zh) 一种多功能环保节能柴火烧烤炉
RU192939U1 (ru) Самовар
CN114343448B (zh) 一种固气双燃料型烟熏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