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559B1 -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6559B1
KR102506559B1 KR1020220104091A KR20220104091A KR102506559B1 KR 102506559 B1 KR102506559 B1 KR 102506559B1 KR 1020220104091 A KR1020220104091 A KR 1020220104091A KR 20220104091 A KR20220104091 A KR 20220104091A KR 102506559 B1 KR102506559 B1 KR 10250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
main body
infrared ray
detachable
ray e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4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Priority to KR1020220104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측벽에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고 가열원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벽면에 장착된 상태로 통기공을 커버하고, 통기공을 통해 외기와 접하며, 본체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방출부와; 상기 가열원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과;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며 접거나 펼쳐지는 접이식테이블과;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덮개에 장착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의 본체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온도표시부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는, 굽는 방식이 다른 여러 가지 고기를 한꺼번에 굽거나 보온함은 물론 찜요리도 동시에 할 수 있고, 가열 중 황토원적외선을 가하여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킨다. 그리고, 덮개를 닫아 놓는다 하더라도 온도계를 보면서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열 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가 옷에 배이지 않는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이 일체로 달려 있으므로, 요리 시 필요한 집게나 접시나 양념통 등을 올려놓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Description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Multifunctional roasting device with detachable far-infrared emitting part}
본 발명은 캠핑장에서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구이 대상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으며, 내부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통해 맛을 향상시키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캠핑인구의 증가와, 관련 산업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캠핑용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캠핑용품 중에는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나 구이판도 포함된다.
또한, 버너로서는, 소형 부탄가스를 연료로 하는 휴대형 가스버너가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휴대형 가스버너는, 간편하기는 하지만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또한 프라이팬과 같이 넓은 용기는 안전 상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바비큐 시설이 완비되어 있는 펜션 등에서는, 실외에 바비큐용 구이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바비큐용 구이장치는, 숯불을 담는 화덕과, 화덕위에 올리는 석쇠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바비큐용 구이장치는, 단지 고기를 석쇠에 올려서 굽는 장치로서, 화력조절이 어려워 고기가 쉽게 타고,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화염을 일으켜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262호를 통해 야외용 구이판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야외용 구이판은, 저면에 절첩이 가능한 다리를 가지면서 바닥면 중앙에는 조절가능한 통기공이 형성되는 화로 내부에 연소물 안치판을 안착하여 화로 바닥면과 안치판 간에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고, 화로 일측벽 양측에 접속홈이 수 개 형성되는 원형의 지지편을 부착 고정하고, 화로 양측에는 회전봉을 구비하면서 회전봉 양단을 화로 전후벽면으로 관통/돌출되도록 하여 회전봉이 화로 내부 양측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도록 하며, 회전봉 중앙부 일측에는 구이판 저면 양측을 받히는 받침대를 돌출 형성하여 회전봉과 일체화하는 구이기에 있어서, 회전봉 외주연에 해당하는 화로 전 벽면에 수 개의 접속반홈을 원형으로 등간격 형성하여 접속반홈에, 회전봉 끝단에 끼워져 회전봉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손잡이 내측면 하측의 접속볼이 선택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되, 접속볼은 회전손잡이 내측면 하측에 형성되는 홈 내의 받침스프링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속반홈에 접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야외용 구이판도, 구이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 이외의 별다른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않다.
가령, 굽는 방식이 다른 여러 가지 고기를 동시에 굽는다거나, 가열 시 원적외선을 가한다거나, 이미 구워진 고기를 타지 않게 보온 한다거나 하는 등의 기능을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굽는 방식이 다른 여러 가지 고기를 한꺼번에 굽거나 보온함은 물론 찜요리도 동시에 할 수 있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덮개를 닫은 상태로 요리할 수 있어 연기나 냄새가 옷에 배이지 않고, 요리 시 필요한 집게나 접시나 양념통 등을 올려놓을 수 있는 접이식 테이블을 갖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는, 측벽에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고 가열원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벽면에 장착된 상태로 통기공을 커버하고, 통기공을 통해 외기와 접하며, 본체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방출부와; 상기 가열원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과;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며 접거나 펼쳐지는 접이식테이블과;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덮개에 장착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의 본체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온도표시부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플레이트 형태의 황토판이고, 본체의 내벽면에는, 황토판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지지하는 황토판홀더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발생부는, 플레이트 형태의 황토판과, 황토판의 둘레를 감싸며 황토판의 깨짐을 방지하는 보호프레임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벽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에,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를 수용하며 본체 외부에서 분리 및 장착되는 착탈형수납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착탈형수납부는; 토션힌지를 통해 본체 외측면에 지지되고, 토션힌지의 작용에 의해 관통구멍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관통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패널과, 커버패널의 내측에 고정되며, 커버패널이 관통구멍을 커버한 상태에서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고 원적외선방출부를 수용하는 내향포켓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하는 황토판이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금속망케이스와, 금속망케이스에 수용되는 다수의 황토볼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써포터와, 고정써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며, 가열원 상부에 가열대상물을 지지하는 착탈형써포터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는, 굽는 방식이 다른 여러 가지 고기를 한꺼번에 굽거나 보온함은 물론 찜요리도 동시에 할 수 있고, 가열 중 황토원적외선을 가하여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킨다.
그리고, 덮개를 닫아 놓는다 하더라도 온도계를 보면서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어 가열 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가 옷에 배이지 않는다.
또한, 접이식 테이블이 일체로 달려 있으므로, 요리 시 필요한 집게나 접시나 양념통 등을 올려놓을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구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기능 구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서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본체 내에 장착 사용하는 걸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다양한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 적용 가능한 착탈형수납부의 구성과 사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 적용 가능한 황토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의 외부 모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기능 구이장치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다기능 구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10)는, 본체(21), 원적외선방출부, 지지수단, 접이식테이블(45), 덮개(41), 온도표시부를 구비한다.
본체(2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한다. 즉, 평평한 바닥과 수직의 측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가열원을 수용한다. 가열원은, 조리용 열을 출력하는 발열수단으로서, 가령, 숯불을 수용하는 화덕(도 6의 31,36)을 포함할 수 있다. 화덕은, 요리의 목적상,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21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공(21a)은 본체(21)의 내부공간을 외부로 연통시키는 관통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기공(21a)이 물결문양의 패턴을 가지지만, 통기공의 모양은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통기공(21a)은 황토판(27)으로 커버된다. 황토판(27)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방출부이다.
그리고 본체의 측벽에는 외기도입구(21d)가 마련된다. 외기도입구(21d)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본체(21) 내부로 유입하는 풍량을 조절한다. 도면부호 21b는 손잡이이다.
한편, 본체(21)의 외측부에는 접이식테이블(45)이 설치된다. 접이식테이블(45)은, 하부로 접거나 상부로 펼칠 수 있는 판상부재이다. 접이식테이블(45)을 설치하기 위해, 본체(21)의 측부에는 고정힌지(46a)와 회전힌지(46b)가 구비된다.
고정힌지(46a)는 본체(21)에 장착되고, 회전힌지(46b)는 접이식테이블(45)에 결합한다. 회전힌지(46b)는 고정힌지(46a)에 회전 가능하도록 링크되는 부속으로서, 90도 각도 범위에서 회전한다. 접이식테이블(45)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1과 같이 하부로 접을 수 있고, 사용할 때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펼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힌지(46a)와 회전힌지(46b)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그에 관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접이식테이블(45)을 적용함으로서, 다기능 구이장치(10)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가령, 고기를 구울 때 빈번히 사용하는 소금이나 후추 등을 바닥에 내려놓지 않고 접이식테이블(45)에 올려 바로 바로 사용한다거나, 굽기 위한 고기를 접이식테이블(45)위에 미리 가져다 놓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 사람이 본체(21)의 주변에 둘러서서, 구이장치(10)를 식탁으로 삼아 식사를 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21)의 하부에는 다리(51)가 설치된다. 다리(51)는 접이식으로서 본체(21)를 받쳐 수평을 유지시킨다. 다리의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덮개(41)는, 본체(21)의 상부에 씌워지는 뚜껑으로서 온도계(43)를 갖는다. 온도계(43)는 고기를 굽고 있는 동안 본체(21)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알려주는 온도표시부이다. 도면부호 41a는 손잡이이다.
덮개(41)를 닫으면 본체(21)의 내부 공간이 차단되어, 본체 내부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가령, 온도계(43)를 보면서 외기도입구(21d)를 조절하여, 본체(21) 내부의 온도를 최적온도, 이를테면 180℃ 내지 200℃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서의 본체(21)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본체 내에 장착 사용하는 걸이부재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이장치의 다양한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1)의 내부에는 원적외선방출부와 지지수단이 구비된다.
원적외선방출부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황토판(27)이 적용된다. 황토판(27)은 일정두께를 갖는 직사각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며 본체(21)의 측벽(21g)에 밀착 고정된 상태로 통기공(21a)을 커버한다. 황토판(27)은 통기공(21a)을 통해 외기와 열교환 할 수 있다. 구이장치(10)의 사용 중 황토판(27) 내부의 열축적이 방지되는 것이다. 황토판(27)의 사이즈는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황토판은 본체(21)의 바닥판에도 배치할 수 있다.
황토판(27)을 정위치 시키기 위하여, 측벽(21g)의 내향면에는 황토판홀더(28)가 고정된다. 황토판홀더(28)는 상부로 개방된 대략 ㄷ자형 브라켓으로서 황토판(27)을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황토판홀더(28)에 수납되어 있는 황토판(27)을 수직으로 들어 올리면, 본체(21)로부터 황토판(27)을 꺼낼 수 있다. 황토판(27)을 뒤집어 끼우거나, 황토판(27)의 오염이 어느 정도 진행된 경우 황토판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부 황토판(27)은 테두리부에 보호프레임(29)을 갖는다. 보호프레임(29)은 황토판(27)의 둘레를 감싸는 금속부재로서, 황토판의 깨짐을 방지한다. 가령 황토판(27)에 금이 가더라도 파편이 분리되지 않게 잡고 있는 것이다. 측벽(21g)에 대한 보호프레임(29)의 고정은 볼팅방식이나 용접방식이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측벽(21g)에 걸고리(미도시)를 고정하고, 보호프레임(29)을 걸고리에 걸어 놓게 구성할 수도 있다.
황토판(27)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조직 내부로 원적외선을 가하여 고기의 맛을 향상시킨다.
한편, 지지수단은, 본체(21)의 내부에서 대상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대상물이라 함은 무게를 갖는 것으로서, 상하부화덕, 구이판(83), 고정스탠드(37), 구이대상물(101)을 포함한다.
지지수단에는, 하부걸이대(24)와 상부걸이대(23)가 포함된다. 하부걸이대(24)와 상부걸이대(23)는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고정써포터이다.
하부걸이대(24)는, 본체(21)의 측벽(21g) 중 마주하는 측벽(21g)의 하측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부재로서 다수의 걸이홈(24a)을 갖는다. 상부걸이대(23)는 하부걸이대(24)의 수직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며 다수의 걸이홈(23a)을 구비한다.
또한 하부걸이대(24)와 상부걸이대(23)에는 다양한 착탈형써포터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착탈형써포터에는, 다수의 지지로드(25)가 포함된다. 지지로드(25)는 직선형 환봉으로서 양단부가 상부걸이대(23) 또는 하부걸이대(24)에 걸려 지지된다.
다수의 지지로드(25) 중, 하부걸이대(24)에 장착되는 지지로드(25)에는 하부화덕(31)이 걸릴 수 있다. 하부화덕(31)은 숯을 내장한 화덕으로서, 하부걸이대(24)에 걸려 본체 바닥에 깔려 있는 황토판(27)으로부터 이격된다.
하부화덕(31)의 상부에는 찜기(71)나 고정스탠드(37)가 배치될 수 있다. 찜기(71)는 찜요리를 하기 위한 용기로서, 하부화덕(31)의 열을 이용해 물을 끓여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고, 스팀을 식재료에 전달하여 식재료를 익힌다. 예를 들어, 새우나 게 또는 랍스터를 찌거나 수육을 요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다기능 구이장치는 구이요리 이외에도 찜요리가 가능하다.
고정스탠드(37)는 비어치킨 구이를 만들 때 치킨에 열을 유도하는 일반적인 부재이다. 하부화덕(31)에 고정스탠드(37)를 고정시켜 비어치킨 구이도 할 수 있다.
또한 상부걸이대(23)에 지지되는 지지로드(25)에는, 다수의 S고리(26)나 걸이부재(33)나 상부화덕(35)이 장착될 수 있다. S고리(26)는, 구이대상물(101), 가령, 고깃덩이를 찍어 매달아 놓는 것으로서, 가령 삼겹살통구이에 사용할 수 있다.
걸이부재(33)는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한 것으로서, 닭다리를 걸어 놓거나 꼬치구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부화덕(35)은 숯불을 수용하며 구이판(73)을 가열한다. 구이판(73)은 구이용팬이나 석쇠 일 수 있다.
상기한 하부화덕(31), 상부화덕(36), 찜기(71), 구이판(73), S고리(26) 등은, 당연히, 모두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요리의 종류에 따라 선택 사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본체의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다기능 구이장치(10)는, 6각형 형태의 본체(21)와, 본체(21)를 커버하는 덮개(41)를 갖는다. 본체(21)의 측벽에는 다수의 통기공(21a)과 외기도입구(21d)가 마련되어 있다. 통기공(21a)은 황토판(27)에 커버된다. 그리고 본체(21)의 하부에는 다리(51)가 설치되어 본체(21)를 지지한다.
본체(21)의 내부에는, 위에 설명한 지지수단으로서, 다수의 걸이대(61)와 지지대(63)가 설치된다. 걸이대(61)는 본체(21)의 내벽면에 고정되며 다수의 걸이홈(61a)을 갖는다. 걸이홈(61a)은 지지대(63)를 수용 지지하는 홈이다.
지지대(63)는 걸이대(61)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위에 설명한 S고리(26)를 지지하거나 상부화덕(36)을 받칠 수 있다. 또한 본체(21)의 바닥에 설치된 하부화덕(31)에는 찜기나 고정스탠드(37)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 적용 가능한 착탈형수납부(22)의 구성과 사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착탈형수납부(22)는, 황토판(27)을, 본체(21)의 측벽(21g)을 통해 외부로 꺼내거나, 측벽을 통해 본체(21) 내부로 진입시킬 수 있게 한다. 착탈형수납부(22)를 설치하기 위하여 측벽(21g)에는 사각의 관통구멍(21e)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구멍(21e)은 황토판(27)이 출입하는 구멍이다.
착탈형수납부(22)는, 커버패널(22a)과 내향포켓(22c)을 구비한다.
커버패널(22a)은 하단부가 토션힌지(22f)를 통해 관통구멍(21e)의 하측에 연결된 판상부재로서 손잡이(22b)를 갖는다. 토션힌지(22f)는 토션스프링(미도시)을 내장한 일반적인 요소로서, 커버패널(22a)를 화살표 a방향으로 탄성 지지한다. 커버패널(22a)은 토션힌지(22f)의 작용에 의해 관통구멍(21e)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관통구멍(21e)을 차단한다.
커버패널(22a)은 사용자가 손잡이(22b)를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면 개방된다. 커버패널(22a)이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면 내향포켓(22c)이 외부로 개방된다.
내향포켓(22c)은, 커버패널(22a)의 내측에 고정되는 수납부로서 황토판(27)을 수용한다. 내향포켓(22c)은 커버패널(22a)이 관통구멍(21e)을 커버한 상태, 즉 닫힌 상태에서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내향포켓(22c)에 수납되어 있는 황토판(27)을 교체하거나 뒤집어 끼우려면 커버패널(22a)을 화살표 a방향으로 당겨 내향포캣(22c)을 본체(21) 외부로 노출시킨 후 황토판(27)을 꺼내면 된다.
이처럼 착탈형수납부(22)를 적용하면, 요리가 진행되는 동안이라 하더라도, 황토판(27)을 얼마든지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구이장치에 적용 가능한 황토볼(67)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황토볼(67)은 황토로 성형된 것으로서, 금속망케이스(65)에 수용된다. 금속망케이스(65)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되며 그 내부에 황토볼(67)을 수용한다. 금속망케이스(65)의 사이즈는 황토판(27)의 사이즈와 같다. 황토볼(67)은 착탈형수납부(22)의 내향포켓(22c)에도 삽입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구이장치 21:본체 21a:통기공
21b:손잡이 21d:외기도입구 21e:관통구멍
21g:측벽 22:착탈형수납부 22a:커버패널
22b:손잡이 22c:내향포켓 22f:토션힌지
23:상부걸이대 23a:걸이홈 24:하부걸이대
24a:걸이홈 25:지지로드 26:S고리
27:황토판 28:황토판홀더 29:보호프레임
31:하부화덕 33:걸이부재 36:상부화덕
37:고정스탠드 41:덮개 41a:손잡이
43:온도계 45:접이식테이블 46a:고정힌지
46b:회전힌지 51:다리 61:걸이대
61a:걸이홈 63:지지대 65:금속망케이스
67:황토볼 71:찜기 73:구이판
101:구이대상물

Claims (8)

  1. 측벽에 다수의 통기공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되고 가열원을 수용하는 본체와;
    본체의 내벽면에 장착된 상태로 통기공을 커버하고, 통기공을 통해 외기와 접하며, 본체내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방출부와;
    상기 가열원의 상부에 위치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수단과;
    본체의 외측부에 설치되며 접거나 펼쳐지는 접이식테이블과;
    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와;
    덮개에 장착되고 덮개를 닫은 상태에서의 본체 내부의 온도를 외부로 나타내 보이는 온도표시부가 포함된,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플레이트 형태의 황토판이고,
    본체의 내벽면에는, 황토판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지지하는 황토판홀더가 구비된,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발생부는,
    플레이트 형태의 황토판과,
    황토판의 둘레를 감싸며 황토판의 깨짐을 방지하는 보호프레임을 갖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벽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에,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를 수용하며 본체 외부에서 분리 및 장착되는 착탈형수납부가 설치된,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형수납부는;
    토션힌지를 통해 본체 외측면에 지지되고, 토션힌지의 작용에 의해 관통구멍측으로 탄성 지지되어 관통구멍을 커버하는 커버패널과,
    커버패널의 내측에 고정되며, 커버패널이 관통구멍을 커버한 상태에서 본체의 내부로 돌출되고 원적외선방출부를 수용하는 내향포켓을 구비하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하는 황토판인,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방출부는,
    금속망케이스와, 금속망케이스에 수용되는 다수의 황토볼을 갖는,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본체의 내측에 고정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고정써포터와,
    고정써포터에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며, 가열원 상부에 가열대상물을 지지하는 착탈형써포터를 구비한,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KR1020220104091A 2022-08-19 2022-08-19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KR10250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91A KR102506559B1 (ko) 2022-08-19 2022-08-19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4091A KR102506559B1 (ko) 2022-08-19 2022-08-19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6559B1 true KR102506559B1 (ko) 2023-03-16

Family

ID=8598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4091A KR102506559B1 (ko) 2022-08-19 2022-08-19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655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209Y1 (ko) * 2002-03-26 2002-07-02 주식회사 한국촉매 촉매버너를 이용한 회전식 바베큐 장치
WO2008066323A1 (en) * 2006-11-29 2008-06-05 Seong Gon Na Roaster
KR100883608B1 (ko) * 2007-09-17 2009-02-13 김진왕 고기구이 장치
KR20090128632A (ko) * 2008-06-11 2009-12-16 김대영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64129Y1 (ko) * 2012-08-24 2012-12-12 김용대 접이식 구이기
KR20150039319A (ko) * 2013-10-02 2015-04-10 한성열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209Y1 (ko) * 2002-03-26 2002-07-02 주식회사 한국촉매 촉매버너를 이용한 회전식 바베큐 장치
WO2008066323A1 (en) * 2006-11-29 2008-06-05 Seong Gon Na Roaster
KR100883608B1 (ko) * 2007-09-17 2009-02-13 김진왕 고기구이 장치
KR20090128632A (ko) * 2008-06-11 2009-12-16 김대영 복사열을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64129Y1 (ko) * 2012-08-24 2012-12-12 김용대 접이식 구이기
KR20150039319A (ko) * 2013-10-02 2015-04-10 한성열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291B2 (en) Food cooker
US5313877A (en) Barbecue grill with controlled heat distribution
AU7796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US8490614B1 (en) Residential flame broiler
US6293271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US5711209A (en) Barbecue stove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US20040237801A1 (en) Outdoor cooking machine
JPH04261621A (ja) 台座スタンド付き野外料理用装置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US20130213242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EP2416685B1 (en) Solid fuel outdoor cooking device
KR102506559B1 (ko)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20150135162A (ko) 오븐의 기능이 구비된 장작구이기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CN112790624A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US20230190036A1 (en) Kitchen container for preparing food cooked "in the barrel"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JP2003210332A (ja) 加熱料理用装置
CN214856135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烧烤炉
CN210408160U (zh) 一种无烟烧烤炉
RU2779233C1 (ru) Способ терморадиационн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CA1158937A (en) Vertical barbe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