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439Y1 - 다기능 식품조리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식품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439Y1
KR200439439Y1 KR2020080000679U KR20080000679U KR200439439Y1 KR 200439439 Y1 KR200439439 Y1 KR 200439439Y1 KR 2020080000679 U KR2020080000679 U KR 2020080000679U KR 20080000679 U KR20080000679 U KR 20080000679U KR 200439439 Y1 KR200439439 Y1 KR 200439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cooking
hole
cooking vessel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6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상완
Original Assignee
노상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상완 filed Critical 노상완
Priority to KR20200800006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43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6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conduits through the vessel for circulating heating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수하게 제조되는 고품격 고품질의 다기능 식품조리기를 제공하여 단일 식품조리기 본체를 이용하여 숯불이나 가스불로 소고기,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오리고기,고구마,감자,밤,단호박,떡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열기의 대류현상에 의한 간접열방식으로 구워내거나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쪄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밖에도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시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도록 하며, 살균 또는 탈취효과가 발휘되어 각종 잡내를 제거하여 줌은 물론 원적외선이 식품에 흡수되어 더욱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조리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쪄지거나 구워진 식품은 물론 전골요리까지도 먹을 수 있도록 하여줌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1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120a)(120b)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130)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100)와,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의 숯통결합부(110)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211)이 형성된 숯통몸체(210) 외연으로 찜판(22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2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에 삽입시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안착돌기(120a)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낙하공(310)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320)가 형성된 구이판(3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수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410)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식품조리기{Multiple-function type foodcooker }
본 고안은 다기능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식품조리기본체를 이용하여 숯불이나 가스불로 소고기,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오리고기,고구마,감자,밤,단호박,떡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마음대로 선택하여 찌거나 구워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전골요리도 해 먹을 수 있도록 한 다기능 식품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조리기들은 식품을 쪄서 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된 찜기나 식품을 구워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된 구이기와 같이 단일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된 제품들이 대부분이고 이들 제품들 또한 거의 모두가 숯불이나 가스불 또는 전열과 같은 여러가지 열원중 어느 하나의 열원밖에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식품을 찌거나 굽고자 하는 조리방법의 선택이나 또는 각각의 제품들에 구성된 열원의 종류 그리고 조리장소가 가정이냐 야외냐에 따른 조리장소의 차이점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지는 여러개의 제품들을 준비하여야 하는 관계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이 많았다.
그리고, 식품을 조리하고자 하는 제품이 구이기인 경우에는 대부분 직화열로 식품 특히, 고기를 굽도록 구성된 것이어서 매캐한 냄새와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기 힘들었으며,
고기가 구워질때 발생하는 노린내와 같은 각종 잡내를 제거하기 어렵고 급격한 수분의 증발로 고기가 쉽게 딱딱해지는 것은 물론 영양소의 파괴를 막아줄 수 있는 구성들이 거의 없어 좀 더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한 고기구이를 얻을 수 가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수하게 제조되는 고품격 고품질의 다기능 식품조리기를 제공하여 단일 식품조리기 본체를 이용하여 숯불이나 가스불로 소고기,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오리고기,고구마,감자,밤,단호박,떡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열기의 대류현상에 의한 간접열방식으로 구워내거나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쪄 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밖에도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도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시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도록 하며, 살균 또는 탈취효과가 발휘되어 각종 잡내를 제거하여 줌은 물론 원적외선이 식품에 흡수되어 더욱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조리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쪄지거나 구워진 식품은 물론 전골요리까지도 먹을 수 있도록 하여줌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와,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의 숯통결합부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이 형성된 숯통몸체 외연으로 찜판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과,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에 삽입시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낙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가 형성된 구이판과,
상기 조리통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수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기능 식품조리기의 가장 큰 특장점은 단일 식품조리기 본체를 이용하여 숯불이나 가스불로 소고기,돼지고기,양고기,닭고기,오리고기,고구마,감자,밤,단호박,떡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열기의 대류현상에 의한 간접열방식 으로 구워내거나 또는 수증기를 이용하여 쪄 낼 수 있음은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도 할 수 있으므로 조리 선택의 폭이 넓다는 점에 있다.
이와 더불어 조리시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이 없으며, 살균 또는 탈취효과가 발휘되어 각종 잡내가 제거됨은 물론 원적외선이 식품에 흡수되어 더욱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조리되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 식품조리기는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게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하게 쪄지거나 구워진 식품은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까지도 손쉽게 먹을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고안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1 내지 도4d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찜과 구이가 동시 가능한 다기능 식품조리기는 첨부도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1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120a)(120b)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130)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100)와,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의 숯통결합부(110)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211)이 형성된 숯통몸체(210) 외연으로 찜판(22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2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에 삽입시 상측의 안착돌기(120a)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낙하공(310)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320)가 형성된 구이판(3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공기순환 및 내부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410)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된 한쌍의 이동손잡이(13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이동손잡이(130)의 일 예로서 상기 조리통몸체(1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록(131)에 상측이 힌지(130a)결합되어 평상시에는 하측으로 향하도록 접혀 있고 사용시에는 힌지(130a)를 중심으로 하측단이 수평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숯통(200)의 숯통결합부 저면에 형성되는 구멍(211)은 첨부도면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211)형성시 일측면을 일부 남겨 놓고 절개한다음 절개면을 상향 돌출시켜 구멍 상측에 숯가루 또는 재가 낙하되지 못하도록 낙하방지용 커버(21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 또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한 개폐손잡이(410)의 일 예로서 상기 개폐손잡이(410)를 뚜껑체(400)에 고정설치되는 속이 빈 중공체로된 하부고정몸체(411)와,
상기 하부고정몸체(411)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뚜껑체(400)외부 로 돌출되는 상부회전몸체(412)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상부회전몸체(412)의 상면 중앙으로 온도감지봉(413a)을 구비한 온도계(413)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상부회전몸체(412)와 하부고정몸체(411)에는 각각 증기토출공(411a)(412)을 형성하여서,
상기 온도계(413)를 보고 내부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부회전몸체(412)의 회전시 증기토출공(412a)이 동시 회전하면서 하부고정몸체(411)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1a)을 개폐토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는, 강화유리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계설치된 하측단에 맥반석, 제올라이트, 화산석, 소금, 세라믹 등의 살균,탈취효과가 입증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사할 수 있는 기능성재료(421)가 내부에 채워진 수납체(420)를 더 형성할 수 도 있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숯통(200)을 구성하는 숯통몸체(210)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고기꽂이(23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할 수 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외부화염유도공(111)으로 외부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받침판(510) 상측면에는 삼발이(511)가 형성되고 받침판(510) 하측면에는 외부화염유도공(111)을 밀폐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지 못하도록 밀폐돌부(512)를 형성한 하부받침대(5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도 있다.
미설명 부호 (10)은 조리통몸체(100)내에 넣어지는 물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일 실시예에 의해 결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상기 식품조리기의 형상과 크기 및 세부모양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을 기초로 하여 단순 설계변형 내지는 단순치환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식품조리기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식품조리기는 숯불(20)이나 가스불(미도시)을 이용하여 식품을 굽거나 쪄먹는 것은 물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도 모두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식품조리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체(4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통몸체(100) 바닥면에 물(10)을 적당량 채운 다음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110)에 숯통(200)을 삽입설치하되,
숯불(20)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숯통(200)내부에 직접 숯불(20)을 넣어 주거나 또는 착화되지 않은 숯통(200)에 숯을 넣은 다음 조리통몸체(100)를 가정용 가스렌지 또는 휴대용 가스렌지(미도시) 위에 올려 놓아 가스불로 숯통(200)에 넣어진 숯에 불을 붙힌다.(숯에 불이 붙으면 가스불은 끈다)
또한, 가스불만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숯불(20)없이 상기 조리통몸체(100) 저면에 형성된 외부화염유도공(111)을 가스불 상면에 위치시켜야 한다.
그런다음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식품을 조리하면 되는데,
식품 중 고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한꺼번에 많은 양의 고기(31)를 구어내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4a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고기(31)를 고기꽂 이(230)에 꽂은 후 숯통(200)을 구성하는 숯통몸체(210) 상단에 직접 걸어 고정하거나 또는 고기(31)를 좀 더 많이 걸기 위해서 숯통몸체(210) 상단에 별도의 고기걸이구(240)를 결합한다음 이 고기걸이구(240) 상단에 고기꽂이(230)를 걸어 고정한 후 조리통몸체(100) 상단에 뚜껑체(400)를 결합하면 된다.
그리고, 적당량의 고기(31)를 구워 먹기 위해서는 첨부도면 도4b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구이판(300)을 조리통몸체(100)의 내주면 상측에 형성한 안착돌기(120a)에 안착시킨 후 고기(31)를 얹어 구워 먹으면 된다.
그리고 국물이 있는 전골요리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4c에 일예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구이판(300)을 뒤집어서 전골요리부(320)가 상측에 오도록 한다음 이를 조리통몸체(100)의 내주면 상측에 형성한 안착돌기(120a)에 안착시킨 후 전골요리부(320)에 각종 식품 및 육수를 넣어서 전골요리를 하면 된다.
그러는 한편, 본 고안은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를 이용하여 각종 식품을 구워먹는 것 뿐 만 아니라 식품을 쪄서먹는 찜요리를 할 수 있는데, 이와같이 구이 및 찜요리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손잡이(410)를 구성하는 상부회전몸체(412)를 회전시켜서 상부회전몸체(412)에 구비된 증기토출공(412a)을 속이 빈 중공체로된 하부고정몸체(411)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1a)과 일치 또는 불일치시켜 선택적으로 개폐하면 된다.
즉, 상기 상부회전몸체(412)를 좌,우로 조정하여 상부회전몸체(412)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2a)을 하부고정몸체(411)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1a)과 일치시켜 개방시키면 실질적으로 숯통(200)내의 숯불(20)에서 발생한 화염 및 열기가 수직으 로 상승하였다가 뚜껑체(400)에 부딛혀 외측으로 퍼지면서 하강하는 열기의 대류현상이 발생하면서 조리통몸체(100) 내부가 달구워지는데,
이때, 상기 조리통몸체(100) 바닥면에 채워진 물(10)에도 열기가 전해져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지만 속이 빈 중공체로된 하부고정몸체(411) 및 상부회전몸체(412)의 증기토출공(411a)(412a)을 통해 공기의 소통이 매우 원활하게 진행되어 실제적으로 수증기의 발생이 미비하고 발생된 수증기 역시 증기토출공(411a)(41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식품(고기)이 수증기에 의해 쪄지는 것이 아니라 열기의 대류현상에 의한 간접열방식(복사열)으로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와같은 간접열전달방식(복사열)에 의해 구워지는 고기(31)들은 전체가 고르게 구워질 뿐만 아니라 고기(31)가 구워지면서 발생하는 기름이 직접 불꽃에 낙하되지 않아 연기 및 유해가스의 발생이 전혀 없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상부회전몸체(412)를 좌,우로 조정하여 상부회전몸체(412)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2a)을 속이 빈 중공체로된 하부고정몸체(411)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1a)과 어긋나게하여 밀폐시키면 조리통몸체(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조리통몸체(100)내에 가득차게 되므로 식품의 찜요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숯불(20)은 수증기의 발생량이 많으면 습기에 의해 화력이 약해지므로 식품(30)을 쪄먹고자 할 경우에는 가스불을 추가로 더 보태거나 또는 숯불(20)없이 가스불만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식품조리기는 상기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 의 하측단 즉, 강화유리내측으로 돌출되는 하측단에 맥반석, 제올라이트, 화산석, 소금, 세라믹 등의 살균,탈취효과가 입증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사할 수 있는 각종 기능성재료(421)가 내부에 채워진 수납체(420)가 더 형성되어 있으므로 식품의 조리시 살균 또는 탈취효과가 발휘되어 식품조리시 발생하는 노린내와 같은 각종 잡내가 제거됨은 물론 원적외선이 식품에 흡수되어 더욱 맛있고 영양가가 풍부한 식품구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체(400)가 투명강화유리로되어 있어 뚜껑체(400)를 통해 조리통몸체(100)내부에 넣어진 식품의 조리상태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부회전몸체(412)의 상면 중앙에 삽입설치된 온도감지봉(413a)을 구비한 온도계(413)를 보고 내부 온도를 확인하면서 조리를 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조리통몸체(100)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된 이동손잡이(130)의 경우에는 고정블록(131)에 상측이 힌지(130a)결합되어져 평상시에는 접혀 있기때문에 걸리적 거리지 않으며, 사용시에는 하측단을 힌지(130a)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들어 올리면 조리통몸체(100)를 손쉽게 들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보관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숯통(200)의 숯통몸체(210) 저면에 형성되는 구멍(211)상측에는 숯가루나 숯재가 낙하되지 못하도록 낙하방지용 커버(211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리시 숯가루나 숯재가 구멍(211)을 통해 낙하되는 것이 최대한 방지된다.
본 고안의 식품조리기는 하부받침대(500)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즉, 받침판(510) 상측면에 형성된 삼발이(511)에 조리통몸체(100)를 올려 놓 고 사용하게 되면 숯통(200)으로 부터 낙하되는 숯가루나 숯재를 받침판(510)에 그대로 받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무엇보다도 외부화염유도공(111)으로 외부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되므로 숯불(20)의 화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편리하며,
그리고, 첨부도면 도4d와 같이 하부받침대(500)를 뒤집은 다음 받침판(510)하측면에 형성된 밀폐돌부(512) 상면에 조리통몸체(100)를 올려 놓으면 밀폐돌부(512)가 외부화염유도공(111)을 막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흡입이 차단되어 숯불(20)이 자연스럽게 꺼지게 되므로 이또한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종 식품(30)의 조리가 완성되면 뚜껑체(400) 상면으로 형성되는 개폐손잡이(410)를 잡고 상측으로 들어 올려 뚜껑체(400)를 분리한 다음 조리완성된 각종 식품(30)을 꺼내 먹으면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구성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 구성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으로서 숯통의 요부 구성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취 사시도.
도4a,도4b,도4c,도4d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로서,
도4a는 고기꽂이를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상태도.
도4b는 구이판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는 상태도.
도4c는 구이판의 전골요리부를 이용하여 전골요리를 하는 상태도.
도4d는 하부받침대를 이용하여 숯불을 연소시키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조리통몸체 110:숯통결합부
111:외부화염유도공 120a,120b:안착돌기
130:이동손잡이 131:고정블록
200:숯통 210:숯통몸체
211:구멍 211a:커버
220:찜판 230:고기꽂이
240:고기걸이구 300:구이판
310:기름낙하공 320:전골요리부
400:뚜껑체 410:개폐손잡이
411:하부고정몸체 411a,412a:증기토출공
412:상부회전몸체 413:온도계
413a:온도감지봉 420:수납체
421:기능성재료 500:하부받침대
510:받침판 511:삼발이
512:밀폐돌부

Claims (7)

  1.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111)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110)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120a)(120b)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130)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100)와,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의 숯통결합부(110)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211)이 형성된 숯통몸체(210) 외연으로 찜판(220)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2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 내부에 삽입시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안착돌기(120a)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낙하공(310)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320)가 형성된 구이판(300)과,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수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410)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리통몸체(100)의 외주면 상측에 형성된 한쌍의 이동손잡이(130)는,
    조리통몸체(100)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블록(131)에 상측이 힌지(130a) 결합되어져 평상시에는 하측으로 접혀 있고 사용시에는 힌지(130a)를 중심으로 하측단이 수평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200)의 숯통몸체(210) 저면에 형성되는 구멍(211)은,
    구멍(211)형성시 일측면을 일부 남겨 놓고 절개한다음 절개면을 상향 돌출시켜 구멍(211) 상측에 숯가루 또는 재가 낙하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낙하방지용 커버(211a)가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조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는,
    뚜껑체(400)에 고정설치되는 속이 빈 중공체로된 하부고정몸체(411)와,
    상기 하부고정몸체(411)의 선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뚜껑체(400)외부로 돌출되는 상부회전몸체(412)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상부회전몸체(412)의 상면 중앙으로 온도감지봉(413a)을 구비한 온도계(413)를 삽입설치하고 상기 상부회전몸체(412)와 하부고정몸체(411)에는 각각 증기토출공(411a)(412a)을 형성하여서,
    상기 온도계(413)를 보고 조리통몸체(100) 내부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회전몸체(412)의 회전시 증기토출공(412a)이 동시 회전하면서 하부고정몸체(411)에 형성된 증기토출공(411a)을 개폐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조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400)에 형성된 개폐손잡이(410)는,
    강화유리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계설치된 개폐손잡이(410) 하측단에 맥반석, 제올라이트, 화산석, 소금, 세라믹 등의 살균,탈취효과가 입증되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방사할 수 있는 기능성재료(421)가 내부에 채워진 수납체(420)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조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200)을 구성하는 숯통몸체(210)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설치되는 고기걸이구(240)를 더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가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통몸체(100)의 저면에 형성된 외부화염유도공(111)으로 외부공기가 용이하게 흡입되도록 받침판(510)상측면에는 삼발이(511)가 형성되고 받침판(510)하측면에는 외부화염유도공(111)을 밀폐하여 외부공기가 흡입되지 못하도록 밀폐돌부(512)를 형성한 하부받침대(5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식품가열기.
KR2020080000679U 2008-01-16 2008-01-16 다기능 식품조리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79U KR200439439Y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 식품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79U KR200439439Y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 식품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439Y1 true KR200439439Y1 (ko) 2008-04-11

Family

ID=4134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679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439Y1 (ko) 2008-01-16 2008-01-16 다기능 식품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43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221B1 (ko) * 2010-05-11 2010-11-17 안다혜 구운 소금 제조장치
CN106136942A (zh) * 2015-03-26 2016-11-23 邬金夫 锅子中央增加了火气道的家用红薯烤锅
CN106820947A (zh) * 2017-03-07 2017-06-13 云南农业大学 一种云南特有汽锅鸡制作装置
KR20190000235U (ko) * 2017-07-18 2019-01-28 김춘규 회전식 고기구이기
CN110833315A (zh) * 2019-12-11 2020-02-25 云南云海肴餐饮管理有限公司 蒸汽锅炉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221B1 (ko) * 2010-05-11 2010-11-17 안다혜 구운 소금 제조장치
CN106136942A (zh) * 2015-03-26 2016-11-23 邬金夫 锅子中央增加了火气道的家用红薯烤锅
CN106820947A (zh) * 2017-03-07 2017-06-13 云南农业大学 一种云南特有汽锅鸡制作装置
KR20190000235U (ko) * 2017-07-18 2019-01-28 김춘규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489194Y1 (ko) * 2017-07-18 2019-05-14 김춘규 회전식 고기구이기
CN110833315A (zh) * 2019-12-11 2020-02-25 云南云海肴餐饮管理有限公司 蒸汽锅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142B2 (en) Enclosed rotisserie with detachable electronic components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US20050056633A1 (en) Food cooking apparatus with detachable electronic components
CA2803540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KR20210106820A (ko) 항아리를 이용한 숯불구이장치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KR20090009548U (ko) 아궁이식 황토가마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100940547B1 (ko) 음식물 조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0606462B1 (ko) 고기구이기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KR102506559B1 (ko)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KR101748088B1 (ko) 친환경 숯 내장 한지 구이판 및 이에 사용되는 프라이팬
KR200375308Y1 (ko) 고기구이기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101582772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회전조리기
JPH1014776A (ja) 焼き物調理器具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101202937B1 (ko) 차단판이 구비된 바비큐구이기
KR200398268Y1 (ko) 바베큐 구이 장치
KR102115097B1 (ko) 고기구이판
KR20100073386A (ko)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801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4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4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403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