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608B1 - 고기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고기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608B1
KR100883608B1 KR1020070094285A KR20070094285A KR100883608B1 KR 100883608 B1 KR100883608 B1 KR 100883608B1 KR 1020070094285 A KR1020070094285 A KR 1020070094285A KR 20070094285 A KR20070094285 A KR 20070094285A KR 100883608 B1 KR100883608 B1 KR 100883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yakiniku
heat
pa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왕
Original Assignee
김진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왕 filed Critical 김진왕
Priority to KR102007009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2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굽기 위한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기구이 장치는 마주보는 측벽을 가지며 고기를 굽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화로, 그 화로 내에서 측벽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기 거치대, 그 고기 거치대 방향으로 열을 발산하게 측벽에 설치되는 열 발생 장치, 그 열 발생 장치와 고기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열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분산시켜 고기 거치대 쪽으로 전달하는 열 분산 패드, 그 열 분산 패드가 수납되며 열 발생 장치와 고기 거치대 방향으로 그물망이 형성된 패드 수납 케이스, 그리고 고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하면서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다.
고기구이 장치, 구이기, 고기 거치대, 간접열 방식, 열 분산

Description

고기구이 장치{A APPARATUS FOR ROASTING MEAT}
본 발명은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기가 타는 것을 방지하면서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는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구이 장치로서는 열원의 상부에 석쇠나 구이판 등을 올려놓고 그 위에 고기를 얹은 상태로 익히는 직화 방식의 고기구이 장치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직화 방식의 고기구이 장치는 열원에 가깝고 먼 정도에 따라 고기가 익는 속도나 익힘 정도에 차이가 있다. 열원에 가까운 부분의 고기는 완전히 익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이 타고 먼 부분의 고기는 더디게 익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 제10-384951호의 고기구이 장치의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이 고기구이 장치에 의하면 열원에서 공급되는 열을 열 분산 패드를 통하여 석쇠에 균일하게 전달하고 열 분산 패드를 이용하여 고기의 맛과 육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외식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전술한 종래의 고기구이 장치보다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익힐 수 있는 새로운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기를 구울 때 고기가 타지 않으면서 균일하게 익히고 고기의 맛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는 고기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주보는 측벽을 가지며 고기를 굽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화로, 그 화로 내에서 측벽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기 거치대, 그 고기 거치대 방향으로 열을 발산하게 측벽에 설치되는 열 발생 장치, 그 열 발생 장치와 고기 거치대 사이에 설치되어 열 발생 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분산시켜 고기 거치대 쪽으로 전달하는 열 분산 패드, 그 열 분산 패드가 수납되며 열 발생 장치와 고기 거치대 방향으로 그물망이 형성된 패드 수납 케이스, 그리고 고기 거치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열 분산 패드는 숯, 황토, 일라이트(illite), 밀가루, 참나무 및 천연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열 발생 장치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과 그 발열선이 고정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발열 블록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고기구이 화로는 측벽에 설치되어 발열 블록과 패드 수납 케이스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레일(sliding)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열 블록과 패드 수납 케이스가 고기구이 화로의 측벽에 횡과 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고기 거치대는 복수 개이며 상부의 고기 거치대와 하부의 고기 거치대가 서로 엇갈려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고기 거치대는 회전 구동 장치와 커플링(coupling)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기구이 장치에 따르면, 열 발생 장치에서 공급되는 열이 열 분산 패드를 통하여 고기에 균일하게 전달되어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고기가 익혀지며 고기의 맛이 향상될 수 있다. 더불어 많은 양의 고기를 신속하게 구울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과 실시예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러뜨리지 않도록 본 발명의 중심 기술 사상과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도시 및 기재를 생략한다. 그리고 실시예의 설명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동일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고기를 굽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박스(box) 형태의 화로(110)를 포함한다. 화로(110)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1)을 가지며, 전면 부분에 개폐가 가능하게 앞문(113)이 설치되어 있다. 앞문(113)은 2개로 구성되며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앞문(113)은 여닫이 방식을 비롯하여 그 밖에 다른 방식으로 개폐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앞문(113)에는 외부에서 화로(110) 내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내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창(115)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창(115)은 2개의 앞문(113)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거나 그 외 다른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화로(110)의 상부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된 연기나 가스를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구(120)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구(120)에는 화로(110) 내부의 가스나 연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 장치나 가스나 연기를 연소시키는 연소 장치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배기 구조도 가능하다.
앞문(113)에는 복수 개의 홈(114a,114b,114c)이 형성되어 있다. 앞문(113)이 닫혔을 때 후술되는 고기 거치대(180)가 홈(114a,114b,114c)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뒷벽(112)을 중심으로 양쪽에 뒷문(117)이 설치되어 있다. 뒷문(117)은 앞문(113)과 마찬가지로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된다. 뒷문(117)은 앞문(113)과 마찬가지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 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3개의 회전축(193)과 주 회전 기어(192), 그 회전 기어(192)를 회전시키는 전동기(motor)(19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 구동 장치(190)를 포함한다. 전동기(191)의 회전에 따라 주 회전 기어(192)가 회전되며 그에 따라 회전축(193)이 회전된다. 전동기(191)로부터 회전축(193)으로의 동력 전달은 기어 결합, 벨트 결합이나 체인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축(193)들은 뒷벽(112)을 관통하게 설치되고, 화로(110) 내에서 후술되는 고기 거치대(180)와 결합되어 그 고기 거치대(180)를 회전시킨다. 전동기(191)는 화로(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설치 위치는 주 회전 기어(192)를 회전시키는 위치라면 어디라도 무방하다. 한편, 회전 구동 장치(190)는 회전축(193)을 회전시키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도 1의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화로(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발열 블록(160)과 패드 수납 케이스(170) 및 열 분산 패드(175)를 가진다. 열 분산 패드(175)는 패드 수납 케이스(170)에 수납된다. 발열 블록(160)과 열 분산 패드(175)는 화로(110)의 마주보는 측벽(111)의 내측 면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130)에 끼워져 결합된다. 슬라이딩 레일(130)은 2개의 레일을 가지며, 벽면에 가까운 레일에 발열 블록(160)이 끼워지고 그에 이웃하는 레일에 패드 수납 케이스(170)가 끼워진다. 화로(110)의 측벽(111)은 2ㅧ2행렬을 이루는 4개의 구역 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각 분할된 구역에 슬라이딩 레일(130)이 설치되고, 각각의 슬라이딩 레일(130)에 발열 블록(160)과 패드 수납 케이스(170)가 설치된다.
화로(110)의 중앙 부분에는 고기가 거치되는 3개의 고기 거치대(180)가 설치된다. 고기 거치대(180)는 고기구이 화로(110)의 내부공간에 복수 개가 앞쪽에서 뒤쪽을 향하여 횡으로 설치된다. 고기 거치대(180)의 뒤쪽 말단 부분이 뒷벽에 위치한 회전축(193)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고기 거치대(180)는 하부에 2개가 배치되고 그 상부에 1개가 배치되며 삼각 배치 구조를 이루게 하여 상부의 고기 거치대(180)와 하부의 고기 거치대(180)가 서로 엇갈려 배치된다.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위쪽 고기 거치대(180)에 거치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낙하되어 아래쪽의 고기 거치대(180)에 거치된 고기에 기름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기 거치대(180)의 한 쪽 말단 부분에는 사용상의 편의를 위한 손잡이(187)가 결합될 수 있다.
고기 거치대(180)는 지지유닛(140)에 탑재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유닛(140)은 화로(110)의 앞쪽과 뒤쪽의 바닥과 천장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141)와, 그에 고정되며 고기 거치대(180)가 탑재되는 지지편(145)을 포함한다.
화로(110)의 하부 중앙에는 기름받이 레일(150)이 설치되어 있다. 그 기름받이 레일(150)에 기름받이(195)가 끼워져 있다. 기름받이(195)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수용한다. 화로(110) 내부에서 발생된 재나 이물질도 기름받이(195)에 수용될 수 있다. 기름받이(195)의 상부에는 낙하되는 기름을 기름받이(195)로 안내하는 2개의 경사판(151)이 기름받이(195)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고 기름받이(195)의 중앙 쪽으로 하향 경사지고 설치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고기 거치대와 그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기 거치대(180)는 양측 말단 부분의 외주 면에 각각 형성된 홈(185)을 가진다. 그리고 지지편(145)은 그 홈(185)에 끼워지게 대응되어 형성된 걸이 홈(146)을 가진다. 고기 거치대(180)의 홈(185)에 걸리게 고기 거치대(180)가 지지편(145)에 놓여지고 홈(185)과 걸이 홈(146)의 결합에 의해 지지편(145) 상에서 고기 거치대(180)가 회전된다. 고기 거치대(180)의 회전 과정에서 걸이 홈(146)이 지지편(145)상에서 고기 거치대(180)의 이동을 제한하고 회전을 안내한다. 여기서, 지지유닛(140)은 고기 거치대(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기 거치대(180)는 회전축(193)과 축 커플링(shaft coupling) 결합에 의해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기 거치대(180)의 한 쪽 끝단에 돌기(186)가 형성되고 그에 대응되는 회전축(193)에 그 돌기가 끼워지는 홈(194)이 형성되어 돌기(186)가 홈(194)에 끼워짐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고기 거치대(180)는 고기 꽂이대(183)가 형성된 봉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고기는 고기 꽂이대(183)에 꼽혀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기 거치대(180)는 고기를 거치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서 발열 블록과 열 분산 패드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레일(130)에 끼워지는 발열 블록(160)은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161)과 그 발열선이 고정되는 고정 블록(163)을 가진다. 고정 블록(163)은 사각 패널(panel) 형태로서 슬라이딩 레일(130)에 세워져 결합된다. 발열선(161)은 고정 블록(163)은 내측 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 고정된다. 발열선(161)에서 고기를 굽기 위해 방출된 열은 고정 블록(163)에 의해 차단되어 외측으로 방출되지 않고 한 쪽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발열 블록(160)은 화로(110)의 한 쪽 측벽(111)에 2ㅧ2배열을 이루게 4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발열 블록(160)에는 외부로 돌출되게 손잡이(167)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167)를 잡아당김으로서 슬라이딩 레일(13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 블록(160)은 가스 연소 방식의 발열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열 분산 패드(175)의 수납에 적합한 형태를 가진다.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내부에 열 분산 패드(175)의 삽입을 위하여 한 쪽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된 열 분산 패드(175)로부터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측면 부분이 그물망 형태를 가지는 구조이다.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슬라이딩 레일(130) 상에서 발열 블록(160)에 이웃하게 배치되며 발열 블록(160)과 일대일 대응된다. 즉 발열 블록(160)과 마찬가지로 측벽(170) 면에 2ㅧ2배열을 이루게 4개의 패드 수납 케이스(170)가 설치된다. 하나의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2개의 열 분산 패드(175)가 수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발열 블록(160)과 함께 슬라이딩 레일(130) 상에 수납되어 화로(11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열 분산 패드(175)는 패드 수납 케이스(160)에 수납되는 크기와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태이다. 열 분산 패드(175)는 패드 수납 케이스(160)에 내에 세워서 삽입된다. 열 분산 패드(175)는 발열 블록(160)에서 공급되는 열을 전달받아 연소되면서 고기 거치대(180)를 향해 균일하게 열을 발산한다. 열 분산 패드(175)는 발열 블록(160)의 화염에 의해 열 분산 패드(175)가 잘 탈 수 있도록 내부에 복수 개의 구멍(17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열 분산 패드(175)는 원형이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패드 수납 케이스(170)에 수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열 분산 패드(175)는 숯, 황토, 일라이트, 밀가루, 참나무 분말 및 천연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물과 같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숯 분말 30%, 황토 분말 25%, 일라이트 분말 15%, 밀가루 15%, 참나무 분말 5% 및 천연물 분말 10%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천연물로는 귤 분말, 쑥 분말, 소나무 분말, 향나무 분말, 모과 분말, 매실 분말, 녹차 분말, 천궁 분말, 허브 분말, 한약재 분말 그리고 상기한 분말에서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 분산 패드(175)는 숯 분말, 황토 분말, 일라이트 분말, 밀가루, 참나무 분말 및 천연물 분말을 전술된 비율로 섞고 물과 함께 혼합한 후 금형에서 압착하 여 모양을 형성하고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열 분산 패드(175)는 사용 후에 상기한 혼합물을 분사하여 다시 피복시킴으로써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발열 블록(160)과 패드 수납 케이스(170)는 슬라이딩 레일(130)에 끼워질 때 스토퍼(stopper)(133)에 의해 삽입 한계 위치가 안내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측벽(111) 내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배관이 설치되어 측벽의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고기구이 장치(10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화로(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장치나 발열 장치의 발열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 장치 및 전기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제어 장치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장치들은 컨트롤 박스(도 1의 199)에서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3과 도 7을 참조하면, 발열 블록(160)의 발열선(161)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선(161)에서 발열이 일어난다. 발열선(161)의 발열에 의해 열 분산 패드(175)가 타면서 열 분산 패드(175) 전체에 걸쳐 고른 열이 발생되면서 원적외선이 고기 거치대(180)쪽으로 방출된다.
사용자가 고기가 거치된 고기 거치대(180)를 지지편(145)에 탑재하고 회전 구동 장치(19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회전 축(193) 쪽으로 밀어 넣는다. 축 커플링 결합에 의해 회전축(193)과 고기 거치대(180)가 결합되고 전동 기(191)의 회전력이 회전축(193)에 전달되어 지지편(145)상에서 고기 거치대(180)가 회전된다.
열 분산 패드(175)에서 발생된 원적외선이 고기 거치대(180)에 고정된 고기로 전달되면서 고기가 구워지게 된다. 이때, 열 분산 패드(175)의 숯이 살균 효과를 발휘한다. 황토와 일라이트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힌다. 이에 의해 육질이 쫀득하고 부드러우며 맛을 좋게 하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추어 줄 수 있다. 원적외선에 의해 고기를 굽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황토, 숯, 참나무 가루 및 천연물 가루가 타면서 고기를 굽기 때문에, 열효율이 높고, 훈제의 맛을 낸다. 일라이트는 굽혀지는 고기에 산소를 제공하며, 세균을 제거한다. 그리고 천연물은 천연 향기와 더불어 수분을 발산하여 고기가 구워지더라도 수분을 유지시켜 주어 고기의 맛을 한층 더 좋게 한다. 허브나 약재가 포함된 경우 허브 향이나 약재의 향이 고기에 베어 사용자의 식욕을 돋구어줄 수 있다.
한편 화로(110) 내에서는 열 손실이 작고, 마주보는 양 측방 전체에서 열이 고기로 전달되고 복수 개의 고기 거치대(180)를 가지기 때문에 고기가 신속하게 구워진다. 고기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경사판(151)에 의해 안내되어 기름받이(195)에 수용된다. 고기가 구워지면 사용자는 고기 거치대(180)를 잡아당김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기름받이(195)에 담겨진 기름은 기름받이(195)를 화로(110)에서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도 1과 도 7을 참조하면, 발열 블록(160)과 앞문(113)과 뒷문(117)을 열고 패드 수납 케이스(170)를 슬라이딩 레일(131)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블록(160)이나 패드 수납 케이스(170)의 수리와 세척, 열 분산 패드(175)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분산 패드(175)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슬라이딩 레일(130)에서 패드 수납 케이스(170)를 분리하고 그 패드 수납 케이스(170)에서 열 분산 패드(175)를 분리하거나 패드 수납 케이스(17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열 분산 패드(175)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사용된 열 분산 패드(175)에 숯 분말, 황토 분말, 일라이트 분말, 밀가루, 참나무 분말 및 천연물 분말과 물이 섞여진 혼합물을 분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벽이 복수 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각각의 영역에 열 분산 패드(175)와 발열 블록(160)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으로 고기의 굽는 양을 조절하기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고기구이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기구이 장치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고기 거치대와 그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에서 발열 블록과 열 분산 패드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동작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고기구이 장치 110; 화로
130; 슬라이딩 레일 133; 스토퍼(stopper)
145; 지지편 150; 기름받이 레일
153; 경사판 155; 기름받이
160; 발열 블록 170; 패드 수납 케이스
175; 열 분산 패드 180; 고기 거치대
191; 전동기(motor) 193; 회전축

Claims (11)

  1. 마주보는 측벽(111)들을 가지며 고기를 굽기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화로(110),
    상기 화로(110) 내에서 측벽(111)들 사이를 횡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기 거치대(180),
    상기 고기 거치대(180) 방향으로 열을 발산하게 측벽(111)에 설치되는 열 발생 장치(160),
    상기 열 발생 장치(160)와 상기 고기 거치대(18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열 발생 장치(160)에서 발생된 열을 분산시켜 상기 고기 거치대(180) 쪽으로 전달하는 열 분산 패드(175),
    상기 열 분산 패드(175)가 수납되며 상기 열 발생 장치(160)와 상기 고기 거치대(180) 방향으로 그물망이 형성된 패드 수납 케이스(170), 및
    상기 고기 거치대(180)들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장치(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 분산 패드(175)는 숯, 황토, 일라이트(illite), 밀가루, 참나무 및 천연 향기를 발산하는 천연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발생 장치(160)는 전기의 공급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선(161)과 상기 발열선이 고정되는 고정 블록(163)을 포함하는 발열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기구이 화로(110)는 상기 측벽(111)에 설치되어 상기 발열 블록(160)과 상기 패드 수납 케이스(17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딩 레일(sliding)(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열 블록(160)과 상기 패드 수납 케이스(170)가 상기 화로(110)의 측벽(111)에 횡과 열 방향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로(111)는 전방과 후방으로 상기 발열 블록(160)과 상기 패드 수납 케이스(170)를 교체하기 위한 앞문(113)과 뒷문(117)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기 거치대(180)들은 상부의 고기 거치대와 하부의 고기 거치대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기 거치대(180)는 상기 화로(111)의 바닥과 천장에 부착된 지지유닛(140)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140)은 상기 화로(110)의 앞쪽과 뒤쪽의 바닥과 천장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대(141)와 그에 고정되며 상기 고기 거치대(180)가 탑재되는 지지편(1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고기 거치대(180)가 양측 말단 부분에 외주 면을 따라 형성된 홈(185)을 가지며, 그 홈(185)에 끼워지게 상기 지지편(145)이 걸이 홈(14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기 거치대(180)는 상기 회전 구동 장치(190)와 커플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 장치.
KR1020070094285A 2007-09-17 2007-09-17 고기구이 장치 KR100883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85A KR100883608B1 (ko) 2007-09-17 2007-09-17 고기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85A KR100883608B1 (ko) 2007-09-17 2007-09-17 고기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608B1 true KR100883608B1 (ko) 2009-02-13

Family

ID=40681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85A KR100883608B1 (ko) 2007-09-17 2007-09-17 고기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6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102506559B1 (ko) *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5246A (ko) * 1998-04-04 1998-07-06 우행철 황토가 내장된 전기 구이 장치
KR19990036168U (ko) * 1998-02-16 1999-09-15 김준영 황토판을 구비한 바베큐 장치
KR200291364Y1 (ko) 2002-07-13 2002-10-09 공점구 원적외선 방사볼과 천연옥돌을 이용한 육류 구이기
KR200307151Y1 (ko) 2002-12-03 2003-03-15 선영규 옥돌 원적외선 체인 회전식 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168U (ko) * 1998-02-16 1999-09-15 김준영 황토판을 구비한 바베큐 장치
KR19980025246A (ko) * 1998-04-04 1998-07-06 우행철 황토가 내장된 전기 구이 장치
KR200291364Y1 (ko) 2002-07-13 2002-10-09 공점구 원적외선 방사볼과 천연옥돌을 이용한 육류 구이기
KR200307151Y1 (ko) 2002-12-03 2003-03-15 선영규 옥돌 원적외선 체인 회전식 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102506559B1 (ko) *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5528B1 (en)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KR101009196B1 (ko) 참숯 훈연-원적외선 오븐
KR101179394B1 (ko) 석쇠판이 좌우이동 및 회전하는 고기 구이용 가마
KR20180129592A (ko) 꼬치구이기
KR101464495B1 (ko) 바베큐 장치
KR100883608B1 (ko) 고기구이 장치
KR100950534B1 (ko) 초소형바베큐장치 및 쇠꼬치구동방법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KR100853566B1 (ko) 회전식 구이 장치
KR101429362B1 (ko) 바비큐 구이기
KR200397274Y1 (ko) 고기구이용 화덕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200169888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150080758A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KR200432413Y1 (ko) 참숯 바비큐 오븐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KR101910557B1 (ko) 회전식 맥반석 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1850525B1 (ko) 사용이 편리한 고기구이기
KR101073882B1 (ko) 훈제식 고기 구이기
KR200372900Y1 (ko) 간접열에 의한 고기구이가마
KR20090069650A (ko) 참나무 장작 구이기
KR101656400B1 (ko) 숯불 겸용 가스 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