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319A -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 Google Patents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319A
KR20150039319A KR20130117737A KR20130117737A KR20150039319A KR 20150039319 A KR20150039319 A KR 20150039319A KR 20130117737 A KR20130117737 A KR 20130117737A KR 20130117737 A KR20130117737 A KR 20130117737A KR 20150039319 A KR20150039319 A KR 20150039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lc panel
foods
loes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638B1 (ko
Inventor
한성열
Original Assignee
한성열
주식회사 미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열, 주식회사 미트코 filed Critical 한성열
Priority to KR102013011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9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44Smoking;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09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로써, 전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함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납되며, 대향된 양측에 음식물이 고정되는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적층형태의 걸이부재가 구비된 적재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소물질이 수용되며, 전면 일측에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철재화덕;과 상기 몸체의 내,외면에 접착 시공되는 ALC 패널; 및 상기 ALC 패널의 내,외면에 미장되는 황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ALC 패널과 황토에 의해 감싸지는 몸체 내부에서 음식물이 훈연됨에 따라 몸체 내부의 단열효과가 향상되면서 안정적인 대류와 복사열을 통해 음식물을 고르게 훈연시킬 수 있고, 황토와 숯의 상호작용을 통해 음식물의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ALC 패널과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를 통해 음식물의 맛과 질을 높이고, 불포화 지방산을 제거하며, 유해한 세균 등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해줄 수 있고, 숯의 사용량을 줄여 유지 및 보수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Device for smoking by using a loess and ALC panel}
본 발명은 황토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인 ALC 패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훈연시키기 위한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워먹는 음식 문화는 세계각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흔한 요리법으로 그 중 한국인은 닭, 오리, 생선, 돼지, 소 등 다양한 종류의 다양한 부위를 직화로 구워먹는 음식이 많다.
근래에 들어서는 햄, 소시지, 훈제 립 등 음식물을 더욱 맛있게 즐기기 위하여 스모커라고도 불리우는 훈연장치를 이용하여 훈제로 만들어 먹고 있으며, 이는 단순한 조리용 기구를 통해 조리를 하는 것에 비하여 음식물의 맛과 향을 좋게 하고, 음식물이 불에 직접 닿아 타는 등의 문제를 방지하여 주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훈연장치의 선행기술로는 국내 등록특허 10-1173000호 "고기훈제기"를 통해 이미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고기훈제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훈연실과 훈연발화장치로 구획하면서 중앙에 연통이 삽입되도록 구멍이 형성되는 훈연실 바닥과, 상기 훈연실 바닥에 의하여 구획되는 훈연실과, 훈연발화에 사용되는 연소물질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훈연발화장치개폐문을 포함하는 훈연발화장치와, 상기 훈연실의 좌우측 내부 벽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훈연실 내부로 슬라이드 될 수 있게 양쪽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고기거치대로 형성되는 공기훈제기에 있어서,
상기 훈연발화장치는 훈연발화장치에서 발생하는 훈연을 상기 훈연실에 전달할 수 있도록 훈연발화장치의 상부 중앙에 구멍을 뚫어 형성시키되 훈연실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통과, 상기 연통의 상부에는 고기거치대에서 훈제되는 고기의 기름이 훈연발화장치의 연통속으로 낙하하여 훈연발화장치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삿갓 형상의 기름막이를 구비하여 형성함으로써, 훈연과 간접적인 열기에 의해 고기 내의 수분과 육즙 함량을 적당히 유지하면서 고기의 겉면이 타지 않도록 구울 수 있으며, 훈연물질의 연소시 발생하는 불꽃이 직접 고기에 접촉하지 않아 고기의 변형 및 경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기훈제기"를 포함하는 종래의 훈연장치를 보면 대부분 몸체가 단열작용이 미흡한 스테인레스 또는 철재로 패널로 제작되면서 전기, 가스, 차콜 및 톱밥 등을 이용한 열과 연기를 송풍하여 일괄 또는 부분공정으로 음식물을 훈연함에 따라 훈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훈연된 음식물의 향미가 떨어지면서 양질의 훈제품을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ALC 패널과 황토의 장점을 살려 안정된 대류 및 복사열을 바탕으로 음식물이 타지않고 깨끗하면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열효율을 높여 적은 양의 숯불로 많은 양의 음식물을 효과적으로 훈연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 효과를 통해 음식물의 향미를 증진하여 양질의 훈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ALC 패널과 황토를 이용한 훈연장치는, 전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함체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납되며 대향된 양측에 음식물이 고정되는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적층형태의 걸이부재가 구비된 적재프레임과,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소물질이 수용되고 전면 일측에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철재화덕과, 상기 몸체의 내,외면에 접착 시공되는 ALC 패널과, 상기 ALC 패널의 내,외면에 미장되는 황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몸체의 개폐도어 하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철재화덕의 공기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적재프레임의 하부 사방에는 구름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적재프레임은 사각형상의 하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각형상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측 프레임의 사방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의 후방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에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교차되어 후방 양쪽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 측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하게 적층되어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재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몸체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철재화덕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철재화덕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ALC 패널은 규산질원료 53~62 중량%, 시멘트 17~28 중량%, 분말생석회 12~27 중량%,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3~6 중량%, 알루미늄 기포제는 0.04~0.1 중량%의 고형분과, 상기 고형분에 대하여 0.6배 내지 0.8배수의 물을 투입하여 혼합, 슬러리화한 후 이를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180℃, 10기압에서 6시간 이상 양생시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황토는 황토와 세라믹을 3 ~ 4 : 7 ~ 6의 비율로 혼합한 황토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ALC 패널과 황토에 의해 감싸지는 몸체 내부에서 음식물이 훈연됨에 따라 몸체 내부의 단열효과가 향상되면서 안정적인 대류와 복사열을 통해 음식물을 고르게 훈연시킬 수 있고, 황토와 숯의 상호작용을 통해 음식물의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ALC 패널과 황토의 원적외선 효과로 음식물의 맛과 질을 높이고, 불포화 지방산을 제거하며, 유해한 세균 등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해줄 수 있고, 숯의 사용량을 줄여 유지 및 보수와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발명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LC 패널과 황토를 이용한 훈연장치의 구성을 보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함체 형상의 몸체와, 음식물이 거치되는 적재프레임, 음식물을 훈연시키기 위한 연소물질이 수용되는 철재화덕과, 몸체에 표면에 접착 시공되는 ALC 패널과, 그러한 ALC 패널의 표면에 미장되는 황토로 크게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예시된 도 1 내지 도 3 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사각 함체의 형상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훈연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의 수용을 위한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몸체(100)의 개방된 전면에는 후술되는 적재프레임(200) 및 철재화덕(300)의 입출을 위한 개폐도어(120)가 구비된다.
몸체(100)의 형상은 예시된 도면을 통해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예시되었지만 사각의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몸체(100)의 상면에는 배기구(130)가 형성되어 공간부(110)에서 음식물을 훈연시킨 열과 연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때 배기구(130)에는 열과 연기의 배출량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공간부(110)의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조절구(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부(110)의 내부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되고 이러한 온도센서와 전술한 개폐조절구가 서로 연동되어 공간부(110)의 온도에 따라 개폐조절구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도어(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개폐도어(120)가 여닫이 형태로 구성되었지만 하나의 이루어진 개폐도어(120)가 여닫이 형태로 구성되거나, 한 쌍 또는 하나로 이루어진 개폐도어(120)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작동되는 미닫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도어(120)의 외부에는 몸체(100)의 공간부(110)가 불필요하게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부재(1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개폐도어(120)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22)을 형성하여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122)을 통해 몸체(100)의 공간부(110)로 유입된 후 후술되는 철재화덕(300)의 내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때 개폐도어(120)에는 통기공(122)을 통해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통기공(122)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개폐조절부재(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적재프레임(200)은,
전술한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훈연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이 고르게 분포되어 배치되면서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과 연기가 상부까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개방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적재프레임(200)에 음식물을 배치하기 위한 실시 예로는 적재프레임(200)의 대향된 양측에 음식물이 고정되는 봉형상의 거치대(230) 양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걸이부재(210)가 적층구조를 가지면서 구비될 수 있다.
적재프레임(200)의 하부 사방에는 적재프레임(2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용이하게 출입시킬 수 있도록 바퀴와 같은 구름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름부재(220)는 슬라이딩구조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적재프레임(200)의 하부 사방에 구비되는 구름부재(220)는 공간부(110)에 수납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구름이 방지될 수 있는 구름방지부재(도면중 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적재프레임(200)의 걸이부재(210)에는 음식물이 놓여지는 평판형태의 받침부재(도면중 미도시)가 고정될 수도 있으며, 이때 받침부재는 하부에서 올라오는 열과 연기가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석쇠 또는 철망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적재프레임(200)의 일 실시 예로는 도 2 에서와 같이 금속재질로 구성되면서 사각형상의 하측 프레임(200b)과, 그러한 하측 프레임(200b)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각형상의 상측 프레임(200a)과, 하측 프레임(200b)과 상측 프레임(200a)의 사방 모서리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200c)과, 상측 프레임(200a)과 하측 프레임(200b)의 후방 중앙을 수직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수직 보강프레임(200d)과, 수직 보강프레임(200d)에 수평방향으로 교차되어 후방 양쪽 수직 프레임(200c)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보강프레임(200e)과, 수직 프레임(200c)의 양 측방에 등 간격으로 수평하게 적층되어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이부재(210)가 구비되는 걸이부재 프레임(200f)과, 하측 프레임(200b)의 사방 모서리 저면에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구름부재(220)로 구성될 수 있다.
적재프레임(200)의 하측 프레임(200b)은 몸체(100)의 공간부(110)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하측 프레임(200b)을 몸체(100)의 공간부(110)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구름부재(220)가 아닌 일자형태의 다리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는 적재프레임(200)의 하부에 후술되는 철재화덕(300)이 놓여짐에 따라 적재프레임(200)의 하측 프레임(200b)과 철재화덕(300)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몸체(100)의 공간부(110)로부터 철재화덕(300)이 자유롭게 출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철재화덕(300)은,
훈연의 대상이 되는 음식물에 열과 연기를 공급해주는 연소물질의 수용부재로써, 상부가 개방된 사각함체의 형상을 가지며, 전면 한쪽에는 내부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공기유입구(310)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
철재화덕(30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그 내부에는 참나무 숯이나 짚 등의 연소물질이 내재되며, 그러한 연소물질의 불완전 연소를 통한 열과 연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적재프레임(200)에 적재된 음식물이 훈연된다.
철재화덕(300)의 전면에 구비된 공기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 연소물질의 연소 정도가 조절되며, 이때 철재화덕(300)의 공기유입구(310)는 몸체(100)의 개폐도어(120)에 형성된 통기공(122)과 동일 선상에 놓여 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통기공을 통해 철재화덕(300)의 공기유입구(310)로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철재화덕(300)은 몸체(10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철재화덕(300)의 내부에서 숯이 완전연소되면서 만들어지는 재를 제거하거나 철재화덕(300)의 내부에 새로운 연소물질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몸체(100)의 공간부(110)로부터 철재화덕(300)을 출입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철재화덕(300)이 몸체(100)의 공간부(110)로부터 출입가능하게 구성되는 실시 예로는 몸체(100)의 바닥면에 철재화덕(300)의 폭과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는 한 쌍의 레일(140)을 설치하고, 철재화덕(300)의 양측에는 전술한 레일(140)에 안착 되어 전후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320)를 설치함으로써, 철재화덕(300)을 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전후방향 슬라이딩시키면서 출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철재화덕(3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부에는 단면형상이 대략 "◇" 형이면서 철재화덕(300)의 상면을 가려줄 수 있는 차단부재(도면중 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음식물이 훈연될 때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이 차단부재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철재화덕(300)의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철재화덕(300)의 연소물질에 기름이 직접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소물질에서 발생되는 열과 연기는 차단부재의 하측 경사면을 따라 양측으로 분산되어 올라감에 따라 열과 연기가 몸체(100)의 공간부(110)내에서 효과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ALC 패널(4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상의 패널로 제작되어 몸체(100)의 내면 또는 외면 또는 내,외면에 접착 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 에서와 같이 몸체(100)의 상면 내외부와 후면 내외부와 양측면 내외부에 ALC 패널(400)이 접착 시공되었지만 몸체(100)의 바닥면 내외부와 개폐도어(120)의 내외부에도 접착 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ALC(Autoclaved Lightweight Cconcrete)란 석회와 규산을 주원료로 발포제에 의하여 내부에 무수한 기포를 독립적으로 분산시켜 중량을 가볍게 한 콘크리트의 일종이며, 이러한 ALC는 일반콘크리트의 1/4 정도로 가벼운 경량성을 가짐에 따라 주조체의 절감, 공기단축, 작업효율성의 증대효과로 제작비용 절감되고 시공이 양호한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ALC 안에 있는 70%의 미세한 독립기포가 열전도를 강력하게 차단하여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대략 10배의 우수한 단열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ALC를 이용하여 제작된 패널의 한쪽 면을 대략 120분간 가열하여 1010℃에 도달할 경우 그 반대쪽 면의 상승온도는 T100의 경우 대략 75℃, T200의 경우 대략 18℃를 나타내는 우수한 내화성을 가지며, 불에 타지 않고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ALC는 효과적인 흡착력을 통해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냄새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으며, ALC에 냄새를 적용한 다음 2시간 후의 탈취율이 95.7%로서 숯과 거의 같은 수준의 탈취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ALC는 자체적으로 방출하는 원적외선으로 세균이 번식하지 못하게 하는 특징이 있으며, 대장균에 의한 항균실험결과 세균 감소율이 99.8%에 이르는 탁월한 향균성을 가진다.
그리고 ALC는 한국과 일본의 경우 식물비료 및 사료 첨가제로 사용하도록 법적으로 허용될 정도의 안정성을 가진다.
또한 ALC는 분당 2000회의 파장을 일으켜 세포조직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91.2% 정도이고, 방사에너지는 3.68 x 100의 방출량을 가짐에 따라 맥반석, 숯 등과 비슷한 수준의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ALC을 이용한 본 발명의 ALC 패널(400)의 구체적인 조성에 대해 그 실시 예를 보면, ALC 패널(400)은 규산질원료 53~62 중량%, 시멘트 17~28 중량%, 분말생석회 12~27 중량%, 이수석고 혹은 무수석고 3~6 중량%, 알루미늄 기포제 0.04~0.1 중량% 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규산질원료는 전체 고형분의 53~62중량%가 적당한데, 53중량% 이하를 사용할 경우 미반응된 규산질원료의 양이 적어져 규산질원료의 입자표면에 형성된 토버모라이트 결정의 지지력이 약해지면서 전반적인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62중량% 이상 사용할 경우에는 비중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시멘트는 전체 고형분의 17~28중량%가 적당한데, 시멘트의 양이 17중량% 이하일 때에는 양생시 결합력 부족으로 스크랩이 많이 발생 되고, 28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시멘트에 포함되어 있는 산화마그네슘 등의 영향으로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분말생석회는 전체 고형분의 12~27중량%가 적당한데, 분말생석회는 분말상으로서 입도가 작고, 산화칼슘함량이 높을수록 소화속도가 빠르고 소화열이 커지므로 시멘트의 경화속도를 촉진할 수 있는 원료로서 사용되며, ALC 패널의 생산성과 토버모라이트의 형성을 쉽게 할 수 있다.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는 전체 고형분의 3~6중량%가 적당한데, 이러한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는 입자간 충전효과로 인해 ALC 패널의 습강도를 높여주고, 고온 고압의 양생과정 후 압축강도를 향상시켜주며, 건조수축율도 감소시켜 주지만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의 사용량이 6중량%를 초과하면 수용성 황산염의 영향으로 오토클레이브가 부식될 위험이 있고, 3중량% 미만인 경우 충전역할을 충분히 할 수가 없다.
알루미늄 기포제는 ALC 패널의 기포 양과 크기를 결정하게 되므로 전체 고형분의 0.04~0.1중량%를 투입함이 바람직하며, 알루미늄 기포제는 분말상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발포속도를 제어가 용이하고 슬러리내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켜 기포의 분포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박피구조의 알루미늄 원료를 글리콜 등을 혼합한 페이스트 상태의 알루미늄 페이스트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규산질원료와, 시멘트와 분말생석회와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와, 알루미늄 기포제로 이루어지는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6~0.8 배수의 물이 투입되어 혼합, 슬러리화되는데, 이때 물 배수가 0.8배수를 초과하면 양생시간이 증가되며, 0.6배수 미만인 경우에는 고점도로 인해 발생되는 기포가 커져 오트클레이브 양생 전 슬러리 표면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 슬러리화된 혼합물은 일반적인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180℃, 10기압에서 6시간 양생시킴으로써 기포가 균일하게 다량으로 포함되는 ALC 패널(400)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황토(500)는,
몸체에 접착 시공된 ALC 패널(400)의 표면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철재화덕(300)에서 발생되는 열과 연기에 의해 음식물이 훈연될 때 음식물로부터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증기는 기포가 많은 ALC 패널(400)에 쉽게 흡수되어 ALC 패널(400)의 강도를 저하시킴에 따라 몸체(100)의 표면에 설치된 ALC 패널(400)의 표면에 황토(500)가 미장된다.
황토(500)는 몸체(100)의 표면에 접착 시공된 ALC 패널(400)의 표면에 일정한 두께로 미장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 예서와 같이 몸체(100)의 상면 내외부와 후면 내외부와 양측면 내외부에 ALC 패널(400)이 접착 시공됨에 따라 접착 시공된 ALC 패널(400)의 표면에 황토(500)가 미장된 것이며, 몸체(100)의 바닥면 내외부와 개폐도어(120)의 내외부에 ALC 패널(400)이 접착 시공될 경우 접착 시공된 ALC 패널(400)에도 황토(500)가 미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황토(500)는 통상의 황토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습기의 유무에 따라 수축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황토와 세라믹이 3 ~ 4 : 7 ~ 6의 비율로 혼합된 황토 혼합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ALC 패널(400)에 황토(500)를 미장할 때에는 미장과 건조를 수회 반복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LC 패널과 황토를 이용한 훈연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훈연시켜 훈제품을 만드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적재프레임(2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훈연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거치대(230)에 거치시킨 후 적재프레임(200)의 걸이부재(210)에 걸어 배치한다.
이때 적재프레임(2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납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이 거치된 거치대(230)를 적재프레임(200)에 직접 거치시켜 배치할 수도 있지만, 적재프레임(200)의 구름부재(220)를 이용하여 적재프레임(2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로부터 인출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이 거치된 거치대(230)를 적재프레임(200)에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적재프레임(200)을 이용하여 훈연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배치한 다음에는 철재화덕(3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로부터 외부로 인출한 상태에서 철재화덕(300)의 내부에 점화된 숯 등의 연소물질을 내재시킨 후 다시 철재화덕(300)을 몸체(100)의 공간부(110)에 다시 집어넣으면 철재화덕(300)의 연소물질에 연소에 의해 음식물이 훈연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100)의 개폐도어(120)는 폐쇄하여 연소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과 연기가 몸체(100)의 공간부(110)에서 순환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고르게 훈연시킬 수도 있다.
또한 개폐도어(120)에 구비된 통기공(122)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개폐도어(120)의 통기공(122)을 거쳐 철재화덕(300)의 공기유입구(310)로 공급되는 공기 량의 조절에 따라 연소물질의 연소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몸체(100)가 ALC 패널(400)과 황토(500)에 의해 감싸져 구성됨에 따라 단열작용의 향상으로 인해 몸체(100)의 공간부(110)에서 순환되는 열과 연기에 의해 열손실 없이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고르게 훈연될 수 있는 것이며, 황토(500)와 숯의 상호작용을 통해 음식물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ALC 패널(400)과 황토(500)의 원적외선 효과로 인해 음식물의 맛을 높이고, 식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몸체 110 : 공간부
120 : 개폐도어 121 : 잠금부재
122 : 통기공 130 : 배기구
140 : 레일 200 : 적재프레임
200a : 상측 프레임 200b : 하측 프레임
200c : 수직 프레임 200d : 수직 보강프레임
200e : 수평 보강프레임 200f : 걸이부재 프레임
210 : 걸이부재 220 : 구름부재
230 : 거치대 300 : 철재화덕
310 : 공기유입구 320 : 가이드롤러
400 : ALC 패널 500 : 황토

Claims (7)

  1. 전면에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구비된 함체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공간부에 수납되며, 대향된 양측에 음식물이 고정되는 거치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적층형태의 걸이부재가 구비된 적재프레임;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연소물질이 수용되고, 전면 일측에는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철재화덕;
    상기 몸체의 내,외면에 접착 시공되는 ALC 패널; 및
    상기 ALC 패널의 내,외면에 미장되는 황토;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개폐도어 하측에는 외부의 공기를 철재화덕의 공기유입구로 공급하기 위해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의 하부 사방에는 구름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프레임은,
    사각형상의 하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으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각형상의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과 상측 프레임의 사방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과, 상기 상측 프레임과 하측 프레임의 후방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 보강프레임에 중앙에서 수평방향으로 교차되어 후방 양쪽 수직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수평 보강프레임과, 상기 수직 프레임의 양 측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하게 적층되어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걸이부재가 구비되는 걸이부재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철재화덕의 저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철재화덕이 전후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LC 패널과 황토를 이용한 훈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LC 패널은,
    규산질원료 53~62 중량%, 시멘트 17~28 중량%, 분말생석회 12~27 중량%, 이수석고 또는 무수석고 3~6 중량%, 알루미늄 기포제는 0.04~0.1 중량%의 고형분과, 상기 고형분에 대하여 0.6배 내지 0.8배수의 물을 투입하여 혼합, 슬러리화한 후 이를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이용하여 180℃, 10기압에서 6시간 이상 양생시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는,
    황토와 세라믹을 3 ~ 4 : 7 ~ 6의 비율로 혼합한 황토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KR1020130117737A 2013-10-02 2013-10-02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KR10160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37A KR101603638B1 (ko) 2013-10-02 2013-10-02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7737A KR101603638B1 (ko) 2013-10-02 2013-10-02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319A true KR20150039319A (ko) 2015-04-10
KR101603638B1 KR101603638B1 (ko) 2016-03-15

Family

ID=5302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7737A KR101603638B1 (ko) 2013-10-02 2013-10-02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6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210B1 (ko) * 2018-01-23 2018-07-06 신성범 간접가열 방식의 버너가 구비된 곡물바 제조용 가마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KR20220051932A (ko) 2020-10-20 2022-04-27 강신호 훈연장치
KR102506559B1 (ko) *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534B1 (ko) 2016-06-21 2017-08-30 박은미 한지를 이용하는 식품 건조기
KR102558014B1 (ko) 2021-02-25 2023-07-21 아라온영어조합법인 전열식 훈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822A (ja) * 1998-05-21 1999-12-07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Alc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0044423A (ko) * 2000-12-06 2002-06-15 박종남 참숯불을 이용한 가공식품 훈연장치
KR100636631B1 (ko) * 2005-10-07 2006-10-19 정명영 경량 숯가마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3822A (ja) * 1998-05-21 1999-12-07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Alc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20044423A (ko) * 2000-12-06 2002-06-15 박종남 참숯불을 이용한 가공식품 훈연장치
KR100636631B1 (ko) * 2005-10-07 2006-10-19 정명영 경량 숯가마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935B1 (ko) * 2017-03-22 2018-07-16 한성열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KR101875210B1 (ko) * 2018-01-23 2018-07-06 신성범 간접가열 방식의 버너가 구비된 곡물바 제조용 가마
KR20220051932A (ko) 2020-10-20 2022-04-27 강신호 훈연장치
KR102506559B1 (ko) * 2022-08-19 2023-03-16 주식회사 대건하이텍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3638B1 (ko)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638B1 (ko) 황토와 alc 패널을 이용한 훈연장치
KR101009196B1 (ko) 참숯 훈연-원적외선 오븐
KR20140000826A (ko) 고체연료를 이용한 훈제용 화덕
KR200445472Y1 (ko) 초벌 훈연구이기
US20030150336A1 (en) Combination grill and food smoker
CN201504518U (zh) 烧烤炉
KR101832872B1 (ko) 미니화덕
KR101980357B1 (ko) 야외용 화덕 및 그 이용방법
KR101878935B1 (ko) 구이용 가마의 제조공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가마
KR100512564B1 (ko) 숯불구이장치
KR200489547Y1 (ko)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CN205083311U (zh) 烧烤装置
KR101069748B1 (ko) 구이용 황토가마 제작공정 및 장치
KR20110099464A (ko) 고기훈제기
KR102410455B1 (ko) 복사열 화덕구이장치
CN106963248B (zh) 家用自动熏烤肉炉
CN202128341U (zh) 木炭无烟烧烤桌炉
KR101503708B1 (ko) Alc 블록과 황토를 이용한 구이용 가마의 제작공정 및 장치
KR102027446B1 (ko) 식품건조 및 구이장치
KR102318618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기능을 갖고 간접구이로 적용되는 육류구이용 화덕
KR200474981Y1 (ko) 육류 구이장치
CN208640465U (zh) 木粒烤炉
KR20170108411A (ko) 고기 훈연 및 숙성 장치
KR101505872B1 (ko) 황토 가마용 발탄 및 이를 사용한 구이의 제조방법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