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547Y1 -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 Google Patents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547Y1
KR200489547Y1 KR2020180006106U KR20180006106U KR200489547Y1 KR 200489547 Y1 KR200489547 Y1 KR 200489547Y1 KR 2020180006106 U KR2020180006106 U KR 2020180006106U KR 20180006106 U KR20180006106 U KR 20180006106U KR 200489547 Y1 KR200489547 Y1 KR 200489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ireplace
main body
chamber
natural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6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원
Original Assignee
김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원 filed Critical 김교원
Priority to KR2020180006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547Y1/ko
Priority to PCT/KR2019/016231 priority patent/WO2020138728A1/ko
Priority to JP2021600102U priority patent/JP3235748U/ja
Priority to CN201922299871.9U priority patent/CN211650425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 F24C7/06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stoves with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직접열이 아니고 전기발열체 및 금속반사경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천연석으로 벽난로를 구성해 원적외선 방출과 함께 외관이 자연적인 질감을 갖는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천연석을 이용해 사방이 밀폐되게 형성한 벽난로 본체와; 상기 벽난로 본체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발열체와; 상기 벽난로 본체의 좌.우 측면 및 상부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발열체의 직접열을 반사시켜 간접 복사열로 열기가 생성되게 하는 금속반사경과; 상기 벽난로 본체의 전면부 중간에 양문 개방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의 불연재로 형성된 투시형 도어와; 상기 투시형 도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열에 의한 구이 및 살균,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Natura stone electro machanical infrared rays fireplace}
본 고안은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직접열이 아니고 전기발열체 및 금속반사경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천연석으로 벽난로를 구성해 원적외선 방출과 함께 외관이 자연적인 질감을 갖도록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건물이나 가옥의 거실 등의 실내 벽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태움으로써 발생하는 연소열을 실내로 발산 및 방출시켜 겨울철 실내를 난방하도록 되어 있다.
최근 들어 벽난로는, 실내 벽면에 매립되는 형태(매립형) 이외에도, 고체연료가 연소되는 하우징과, 연소가스를 외부 배출하기 위한 연통을 실내 벽면과 분리된 형태(노출형)로 구성되어, 실내 벽면에 인접되게 설치되거나, 실내 벽면의 모서리, 또는 벽면과 떨어진 실내 공간의 중앙 위치 등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고 있다.
종래 벽난로의 일 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905호(2008.08.19.공고.) "벽난로"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벽난로(100)는 도어(112)가 부착된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110) 내부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1)를 연소시키기 위한 소정 용적의 연소실(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112)에는 손잡이(114)가 부착되어 있고, 손잡이(114)를 잡고 당겨주면 도어(112)가 힌지부(11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우징(110) 내부를 개방하게 되는바, 이와 같이 도어(112)를 열어준 상태에서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1)를 연소실(111) 내부에 넣어주게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 연소실(111)의 하부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판(120)이 구비되며, 이 지지판(120)의 중심에는 재배출공(1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재배출공(121)에는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1)를 쌓을 수 있도록 그릴(122)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릴(122) 위에서 연소된 재 등은 재배출공(121)의 그릴을 통해 하부로 배출될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릴(122)의 하부에는 그릴을 통해 하부로 배출된 재 등을 수거하여 폐기하도록 이루어진 재받이통(130)이 구비되며, 또한 연소실(111)에서 연소되는 장작 또는 땔감 등의 고체연료(1)에서 발생한 연기, 가스, 그을음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연통(140)이 하우징(110) 상부로부터 상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재받이통(130)은 하우징(110) 하부의 전면부에 서랍식으로 구비되어 재 등을 수거할 때 손잡이(131)를 잡고 앞으로 빼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열어놓은 상태에서는 내부공간 및 지지판(120)의 그릴(122)을 통해 연소실(111) 내 고체연료(1)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 통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벽난로는 열전도가 용이한 금속 재질로 몸체를 이루고,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한 직접열로 금속 재질의 몸체를 가열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화재 및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일일이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벽난로 안에 투입 및 발화시키고 연소되고 남은 재를 다시 청소해야만 되므로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날리는 재로 인해 실내공기를 오염시킴으로써 건강에 해를 주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벽난로의 외관이 투박하고 획일적이어서 거실 인테리어와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장착이나 땔감 등에 의한 직접열을 이용한 단순 난방 기능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기능의 접목이 어려워 거실에 다른 기능, 예컨대 가습, 살균, 온열 가열, 구이 등과 같은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 점유와 기기의 구매로 실내공간 활용의 효율성과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2905호(2008.08.19.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7863호(2007.12.27.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28548호(2006.10.16.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1339호(2006.05.22.공고.)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직접열이 아니고 전기발열체 및 금속반사경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천연석으로 벽난로를 구성해 원적외선 방출과 함께 외관이 자연적인 질감을 갖도록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TV 지지대로 사용이 가능해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습, 살균, 가열, 구이 등의 다양한 기능의 접목으로 경제성 및 생활의 편의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난로와 함께 천연석으로 된 거실벽면에 의한 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져 난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벽면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 제거로 보다 쾌적한 실내공간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의 한 형태는,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천연석을 이용해 사방이 밀폐되게 형성한 벽난로 본체와; 상기 벽난로 본체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발열체와; 상기 벽난로 본체의 좌.우 측면 및 상부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발열체의 직접열을 반사시켜 간접 복사열로 열기가 생성되게 하는 금속반사경과; 상기 벽난로 본체의 전면부 중간에 양문 개방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의 불연재로 형성된 투시형 도어와; 상기 투시형 도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열에 의한 구이 및 살균,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난로 본체는 상단면에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가 구비되어 벽난로 본체를 TV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천연석으로 된 거실벽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거실벽면은 벽난로 본체로부터 연결된 열기주입구를 통해 가열되어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실벽면은 배면에 방열재가 부착되어 콘크리트 벽면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투시형 도어의 일측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가습기 물통, 살균실, 온열 가열실이 마련되고, 상기 투시형 도어의 타측에는 건조식품 구이실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직접열이 아니고 전기발열체 및 금속반사경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화재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천연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공기의 정화는 물론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만으로도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일일이 벽난로 안에 투입 및 발화시키고 연소되고 남은 재를 다시 청소해야만 되는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이 없어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벽난로의 외관이 획일적이지 않은 천연석의 자연스러운 질감으로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고급화된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가지며, 천연석이 갖는 내구성과 시공의 용이성으로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 증대는 물론 벽난로 상단을 단열시켜 TV 지지대로 활용할 수 있어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벽난로에 가습, 살균, 가열, 구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 및 기기의 구매가 불필요해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경제성에서 우월하고, 생활의 편의성 역시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천연석으로 된 벽난로 내부의 열기를 이용해 천연석으로된 거실벽면에 유입시켜 거실벽면에 의한 난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거실벽면의 배면에 부착된 방열재가 콘크리트 벽면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난방과 함께 쾌적한 실내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도 갖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벽난로의 일 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천연석 벽난로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측단면도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천연석을 이용해 사방이 밀폐된 벽난로 본체(1)를 구성하고, 상기 벽난로 본체(1)의 내부에는 전기난로 형태의 전기발열체(2)가 내장되어 전원 공급으로 발열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벽난로 본체(1)의 내벽, 즉 좌.우 양측과 상부 내벽에 금속반사경(3)이 구비되고, 금속반사경(3)은 상부 양측 단부가 각각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전기발열체(2)의 직접열을 반사시켜 간접 복사열로 변화시킴으로써 밀폐된 벽난로 본체(1)의 내부에 간접 복사열이 응집되어 강력한 열기로 발산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벽난로 내부의 온도 상승과 함께 시각적으로도 따뜻하고 포근한 분위기를 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벽난로 본체(1)의 내부에 응집된 강력한 열기는 벽난로 본체(1)의 벽면을 구성하는 구성하는 천연석을 가열함으로써 벽난로 본체(1)의 내.외측으로 원적외선이 방출되고, 벽난로 본체(1)의 외측으로 방출된 원적외선은 거실의 실내공기를 정화시킴은 물론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벽난로 본체(1)의 내부 상단에는 단열재(11)가 구비되고, 상기 단열재(11)는 벽난로 본체(1) 내부의 열기가 상부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벽난로 본체(1)를 TV 거치대로도 활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TV 거치대의 활용은 거실의 공간 확보는 물론 거실벽면과 인테리어적인 조화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본 고안은 벽난로와 함께 천연석으로 된 거실벽면(12)에 대한 난방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 벽난로 본체(1)와 거실벽면(12)의 사이에 열기유입구(13)가 구비되고, 거실벽면(12)의 배면에는 스치로품 등과 같은 방열재(12a)가 부착되어 거실벽면(12)에 콘크리트 벽면(12)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가 서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천연석이라 함은 대리석, 황토석, 옥석, 타일 등 소성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가 아닌 천연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획일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운 질감으로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뛰어나고, 시공의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자재의 고급화는 물론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이러한 천연석의 원적외선 방출은 본 고안의 벽난로 본체(1)에,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복사열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게 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가습기능, 온열 찜질기능, 건조식품 구이기능, 살균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벽난로 본체(1)는 전면부 중간에 투명 불연재로 된 투시형 도어(4)가 열고 닫을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투시형 도어(4)의 일측 상측에서부터 하측으로 가습기 물통(51)과 살균실(52) 및 온열 가열실(53)이 각각 마련되어 수용부(5)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형 도어(4)의 타측은 건조식품 구이실(54)이 마련되어 건조식품, 예컨대 오징어, 고구마, 땅콩, 밤, 계란 등을 넣어 벽난로 본체(1)의 내부에 응집된 간접 복사열로 태우지 않고 보다 맛있고 건강한 건조식품의 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습기 물통(51)은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열전도율이 우수한 불연재로 사방이 밀폐된 구조로 되어 있고, 수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토출구 및 물주입구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상기 살균실(52) 역시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불연재로 상부 개방 형태로 형성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부측 개방부를 통해 유아용 젖병이나 수저 등 살균이 필요한 도구들을 넣어 닫은 후 벽난로 본체(1) 내부의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살균이 이루어진다.
상기 온열 가열실(53) 역시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열전율이 우수한 불연재로 상부 개방 형태로 형성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부측 개방부를 통해 온열 찜질기를 넣어 가열한 후 다시 꺼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이용한 직접열이 아니고 전기발열체 및 금속반사경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화재 및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사용의 안전성 확보는 물론 천연석으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에 의해 실내공기의 정화는 물론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것만으로도 난방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에 장작이나 땔감 등의 고체연료를 일일이 벽난로 안에 투입 및 발화시키고 연소되고 남은 재를 다시 청소해야만 되는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이 없어 사용의 간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벽난로의 외관이 획일적이지 않은 천연석의 자연스러운 질감으로 자연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고급화된 인테리어 장식 효과를 가지며, 천연석이 갖는 내구성과 시공의 용이성으로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 증대는 물론 벽난로 상단을 단열시켜 TV 지지대로 활용할 수 있어 실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벽난로에 가습, 살균, 가열, 구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접목시킴으로써 그 기능을 구비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확보 및 기기의 구매가 불필요해 실내공간의 효율적인 활용과 경제성에서 우월하고, 생활의 편의성 역시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천연석으로 된 벽난로 내부의 열기를 이용해 천연석으로된 거실벽면에 유입시켜 거실벽면에 의한 난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거실벽면의 배면에 부착된 방열재가 콘크리트 벽면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난방과 함께 쾌적한 실내공간을 조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벽난로 본체
11: 단열재 12: 거실벽면
12a: 방열재 13: 열기유입구
2: 전기발열체 3: 금속반사경
4: 투시형 도어
5: 수용부
51: 가습기 물통 52: 살균실
53: 온열 가열실 54: 구이실

Claims (5)

  1.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천연석을 이용해 사방이 밀폐되게 형성한 벽난로 본체(1)와;
    상기 벽난로 본체(1) 내부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발열체(2)와;
    상기 벽난로 본체(1)의 좌.우 측면 및 상부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기발열체(2)의 직접열을 반사시켜 간접 복사열로 열기가 생성되게 하되, 상부 양측 단부가 각각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체(2)의 직접열을 반사하여 벽난로 본체 내부로 응집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금속반사경(3)과;
    상기 벽난로 본체(1)의 전면부 중간에 양문 개방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의 불연재로 형성된 투시형 도어(4)와;
    상기 투시형 도어(4)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열에 의한 구이 및 살균,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부(5);
    로 구성되고,
    상기 벽난로 본체(1)는 천연석으로 된 거실벽면(12)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실벽면(12)은 벽난로 본체(1)로부터 연결된 열기유입구(13)를 통해 가열된 열기로 난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5)는 투시형 도어(4)의 일측 상부로부터 하측으로 가습기 물통(51), 살균실(52), 온열 가열실(53)이 마련되고, 상기 투시형 도어(4)의 타측에는 건조식품 구이실(54)이 마련되되,
    상기 가습기 물통(51)은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불연재로서, 사방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지되, 수증기가 토출되는 증기토출구 및 물주입가 형성되고,
    상기 살균실(52)은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불연재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부측 개방부를 통해 유아용 젖병이나, 수저를 포함하는 도구들을 넣어 벽난로 본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간접 복사열로 살균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온열 가열실(53)은 서랍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불연재로서,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열린 상태에서 상부측 개방부를 통해 온열 찜질기를 넣어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건조식품 구이실(54)은 오징어, 고구마, 땅콩, 밤, 계란을 포함하는 건조식품을 넣어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난로 본체(1)는 상단면에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1)가 구비되어 벽난로 본체 내부의 열기가 상부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벽난로 본체(1)를 TV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실벽면(12)은 배면에 스치로폼으로 이루어지는 방열재(12a)가 부착되어 콘크리트 벽면(12)의 냉기로 인한 습기 및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5. 삭제
KR2020180006106U 2018-12-27 2018-12-27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200489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06U KR200489547Y1 (ko) 2018-12-27 2018-12-27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PCT/KR2019/016231 WO2020138728A1 (ko) 2018-12-27 2019-11-25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JP2021600102U JP3235748U (ja) 2018-12-27 2019-11-25 天然石の電気式遠赤外線壁付暖炉
CN201922299871.9U CN211650425U (zh) 2018-12-27 2019-12-19 天然石电子远红外线壁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6106U KR200489547Y1 (ko) 2018-12-27 2018-12-27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547Y1 true KR200489547Y1 (ko) 2019-07-03

Family

ID=6722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6106U KR200489547Y1 (ko) 2018-12-27 2018-12-27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35748U (ko)
KR (1) KR200489547Y1 (ko)
CN (1) CN211650425U (ko)
WO (1) WO202013872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728A1 (ko) * 2018-12-27 2020-07-02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102496888B1 (ko) * 2022-02-08 2023-02-08 김교원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81Y1 (ko) * 2001-02-01 2001-11-16 류장욱 다용도 전기히터
KR100581339B1 (ko) 2004-12-14 2006-05-22 윤신덕 모형 벽난로
KR200428548Y1 (ko) 2006-07-28 2006-10-16 권종렬 난방기능을 가진 모조 벽난로
KR100787863B1 (ko) 2006-09-27 2007-12-27 이학수 벽난로
KR100852905B1 (ko) 2007-09-03 2008-08-19 조재희 벽난로
KR200449021Y1 (ko) * 2009-03-18 2010-06-09 여형구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한증막 구조
KR20160112837A (ko) * 2015-03-20 2016-09-28 손동식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US20170211814A1 (en) * 2016-01-26 2017-07-27 Greentouch USA, Inc. Electric fireplace assembly with hideaway doors
KR20170121865A (ko) * 2016-04-26 2017-11-03 조영일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47Y1 (ko) * 2018-12-27 2019-07-03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281Y1 (ko) * 2001-02-01 2001-11-16 류장욱 다용도 전기히터
KR100581339B1 (ko) 2004-12-14 2006-05-22 윤신덕 모형 벽난로
KR200428548Y1 (ko) 2006-07-28 2006-10-16 권종렬 난방기능을 가진 모조 벽난로
KR100787863B1 (ko) 2006-09-27 2007-12-27 이학수 벽난로
KR100852905B1 (ko) 2007-09-03 2008-08-19 조재희 벽난로
KR200449021Y1 (ko) * 2009-03-18 2010-06-09 여형구 건물 실내에 설치되는 한증막 구조
KR20160112837A (ko) * 2015-03-20 2016-09-28 손동식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US20170211814A1 (en) * 2016-01-26 2017-07-27 Greentouch USA, Inc. Electric fireplace assembly with hideaway doors
KR20170121865A (ko) * 2016-04-26 2017-11-03 조영일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8728A1 (ko) * 2018-12-27 2020-07-02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102496888B1 (ko) * 2022-02-08 2023-02-08 김교원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650425U (zh) 2020-10-09
WO2020138728A1 (ko) 2020-07-02
JP3235748U (ja) 202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5826T3 (es) Procedimiento de generación dirigida de calor y dispositivo para ello.
US20080168977A1 (en) Portable Charcoal Grill With Incorporated Fan
US20060225724A1 (en) Solid-fueled cooking or heating device
KR101355727B1 (ko) 목재를 태워서 난방을 하기 위한 난로
KR200489547Y1 (ko)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101529676B1 (ko) 야외용 그릴
KR200397274Y1 (ko) 고기구이용 화덕
KR200380789Y1 (ko) 소형 황토 찜질방
KR100594601B1 (ko) 원적외선 방사 불 한증막
KR101235097B1 (ko) 노출형 벽난로
KR100669998B1 (ko) 세라믹 히터의 방사열을 이용한 구이기
KR200385433Y1 (ko) 다목적 난방기
KR200367535Y1 (ko) 직립형 그릴장치
KR101135722B1 (ko) 난로
WO2007058446A1 (en) Heating apparatus
KR102540139B1 (ko) 열전도 및 열복사와 자연대류 열전달 복합형 발난로
CN110094796A (zh) 一种模拟3d仿真火焰的消毒取暖器
KR101006859B1 (ko) 온수탱크가 장착된 직화구이용 점화장치
KR200353161Y1 (ko) 전기 바베큐 구이기
KR102636799B1 (ko) 숯불구이 화로
KR200206888Y1 (ko) 황토 숯불 구이기
KR102362863B1 (ko) 황토 구들장
RU38112U1 (ru) Парная курина
JP3161297U (ja) 薪ストーブ
KR102068762B1 (ko) 복합조리기능을 갖는 광적외선 난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