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865A -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865A
KR20170121865A KR1020160050660A KR20160050660A KR20170121865A KR 20170121865 A KR20170121865 A KR 20170121865A KR 1020160050660 A KR1020160050660 A KR 1020160050660A KR 20160050660 A KR20160050660 A KR 20160050660A KR 20170121865 A KR20170121865 A KR 20170121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pace
combustion chamber
heate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008B1 (ko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조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일 filed Critical 조영일
Priority to KR102016005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00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1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3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 F24B1/1881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use of heat exchange means , e.g. using a particular heat exchange medium, e.g. oil, gas   the heat exchange medium being either water or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89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flue-gas control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택 또는 사무실 등의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마련하여 연소실의 상부에 히터를 마련하여 연소실의 열기를 히터에서 바닥으로 난방가능케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내부 열기를 실내 또는 벽체로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
건축물 벽체를 내벽와 외벽을 구분하여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공간부의 하부에 난로의 연소실과 공간부를 통하게 함과 동시에 난로의 연소실과 통하게 하고 공간부의 상부에는 난로의 상측인 하공간과 상공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연소실의 열기를 벽체의 공간부를 거쳐 난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 마련한 난방관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으로 열기를 전달시켜 바닥난방의 이점과, 연소실 내부를 분리대로 분리시켜 연소실의 열기를 보온실을 거쳐 벽체의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시 연소실의 상부 하공간과 상공간으로 열기를 전달시킨 열기를 건축물의 벽체로 전달시켜 벽체로 전달된 열기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으로 하나의 난로에서 발생된 연소실의 열기를 실내의 바닥과 실내의 벽체로 전달시켜 바닥과 벽체를 난방가능케 하여 건축물의 실내 난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Structural Wall Building Heat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주택 또는 사무실 등의 건축물의 실내 벽면에 마련하여 연소실의 상부에 히터를 마련하여 연소실의 열기를 히터에서 바닥으로 난방가능케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내부 열기를 실내 또는 벽체로 전달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나 상가, 오피스텔 같은 사무용 건축물은 주거용 건물로의 전용을 막기 위하여 난방배관을 이용한 바닥난방이 금지되어 있는 실정이며 사무용 건물은 그 사용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른바 칸막이벽체를 사용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데, 칸막이 벽체는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에만 기능상의 초점이 맞추어진 것으로서, 부수적으로는 방음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하나, 단열기능이나 내력기능은 갖추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사무용 건물과 같이 바닥난방시설이 없는 건물의 난방시스템은 각 구획공간별로 라디에이터 등의 난로를 설치하고, 중앙집중식 보일러를 통해 상기 라디에이터에 난방수를 공급하는 이른바 라디에이터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원에 의해 개별작동되는 전열(電熱)식 히팅장치 등을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에 설치된 난로에 의해 실내를 난방하기에는 외부의 온도를 벽체에서 차단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어 불편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981호(2010. 05. 28일 등록)에는 보일러의 전면에 건축물의 내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벽난로부와, 건축물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며 나무를 투입할 수 있게 구성한 연료투입 도어로 구성하며, 나무의 연소 열기가 벽난로부로 집중되게 벽난로부 측에 연소부가 형성되게 구성하여 보일러통의 일부가 건축물의 내부로 노출되는 벽난로부와 건축물의 밖에 구비한 연료투입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난방수 및 온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의 기능과 실내공기의 복사 가열하고 연소실을 건축물의 내부로 노출되는 벽난로부 측에 형성함으로써 연료의 연소과정의 열기가 충분한 벽난로 기능에 의한 대류 난방과 함께 난방수와 온수의 가열 효율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벽난로형 나무보일러는 보일러통의 일부가 건축물의 내부로 노출되는 벽난로부와 건축물의 밖에 구비한 연료투입도어를 구비함으로써 난방수 및 온수를 가열하는 보일러의 기능과 실내공기의 복사 가열함과 동시에 연소실을 건출물의 내부로 노출되는 벽난로부 측에 형성함으로써 연료의 연소과정의 열기가 충분한 벽난로 기능에 의한 대류 난방과 함께 난방수와 온수의 가열 효율성이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벽난로의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 또는 벽면으로 통해 연결시켜 건축물의 바닥과 건축물의 실내 내부 전체를 난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어 많은 양의 난방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981호 "벽난로형 나무보일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와 같이 벽난로의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실내 또는 벽면으로 통해 연결시켜 건축물의 바닥과 건축물의 실내 내부 전체를 난방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어 많은 양의 난방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 벽체를 내벽와 외벽을 구분하여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공간부의 하부에 난로의 연소실과 공간부를 통하게 함과 동시에 난로의 연소실과 통하게 하고 공간부의 상부에는 난로의 상측인 하공간과 상공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연소실의 열기를 벽체의 공간부를 거쳐 난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 마련한 난방관에 의해 건축물 바닥으로 열기를 전달함과 동시에 연소실을 분리대로 분리시켜 연소실의 열기를 보온실을 거쳐 공간부로 이동하여 건축물의 벽체로 전달시켜 벽체로 전달된 열기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바닥난방기능을 구비한 난로를 발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50)과 외주연으로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에는 난로(10)를 마련하되 난로(10)의 상부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난로(10)의 내부에는 연소실(13)을 마련하고 연소실(13)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하부에 바닥판(17) 일측에는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 상부에는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벽체(1)의 상부에는 공간부(4)와 통하는 굴뚝(52)을 상부에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하부 전면에는 보온실(22)을 마련하고 보온실(22)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판(16)의 일측에는 통공(6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61)에는 배출공(62)을 형성한 개폐구(60)를 승강가능케 하며 개폐구(60)에 의해 내벽(5)에 형성된 외통공(9)을 개폐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50)의 상부에는 마감재(43)를 마련하고 상기 바닥(50)의 상면에는 히터홈(51)을 마련하여 격판(40)의 히터(41)와 연결되는 히터선(42)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 벽체를 내벽와 외벽을 구분하여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는 공간부를 마련하고 공간부의 하부에 난로의 연소실과 공간부를 통하게 함과 동시에 난로의 연소실과 통하게 하고 공간부의 상부에는 난로의 상측인 하공간과 상공간을 연결하도록 하여 연소실의 열기를 벽체의 공간부를 거쳐 난로의 상부로 이동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의 상부에 마련한 난방관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으로 열기를 전달시켜 바닥난방의 이점과,
연소실 내부를 분리대로 분리시켜 연소실의 열기를 보온실을 거쳐 벽체의 공간부로 이동하여 다시 연소실의 상부 하공간과 상공간으로 열기를 전달시킨 열기를 건축물의 벽체로 전달시켜 벽체로 전달된 열기에 의해 건축물의 내부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이점으로 하나의 난로에서 발생된 연소실의 열기를 실내의 바닥과 실내의 벽체로 전달시켜 바닥과 벽체를 난방가능케 하여 건축물의 실내 난방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단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정면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50)과 외주연으로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에는 난로(10)를 마련하되 난로(10)의 상부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난로(10)의 내부에는 연소실(13)을 마련하고 연소실(13)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바닥판(17) 일측에는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 상부에는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벽체(1)의 상부에는 공간부(4)와 통하는 굴뚝(52)을 상부에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하부 전면에는 보온실(22)을 마련하고 보온실(22)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는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실(13)의 전면에는 연소마개(12)를 마련하고 연소실(13)의 하부에는 걸홈(26)을 내부에 형성한 걸판(25)을 마련하고 상기 걸홈(26)에는 걸공(28)을 다수개 형성한 걸망(27)을 탈착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걸망(27)의 하부에는 소지함(15)을 마련하고 상기 소지함(15)의 전면에는 소지함(15)을 분리가능케 소지마개(14)를 마련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판(16)의 일측에는 통공(6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61)에는 배출공(62)을 형성한 개폐구(60)를 승강가능케 하며 개폐구(60)에 의해 내벽(5)에 형성된 외통공(9)을 개폐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분리대(20)의 일측에는 구이가이드(24)를 마련하여 몸체(11)의 전면에서 고구마 등의 구이대상물을 투입한 구이통(23)을 개폐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바닥(50)의 상부에는 마감재(43)를 마련하고 상기 바닥(50)의 상면에는 히터홈(51)을 마련하여 격판(40)의 히터(41)와 연결되는 히터선(42)을 마련하여 히터(41)에서 전달되는 열기를 바닥(50)의 히터선(42)으로 인해 바닥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난로공(7)의 입구와 연소실(13) 내부에 마련한 유도구(18)는 연소실(13)의 열기가 유도구(18)에 의해 열기를 모아 보온실(22)로 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13)의 열기가 난로공(7)으로 투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축물의 내벽(5)과 외벽(2)의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와 바닥에 마련하도록 하여 몸체(11)의 연소마개(12)를 열어 연소실(13)에 나무 등의 화목에 불을 피운 열기가 상부에 마련한 고구마 등을 내부에 마련한 구이통(23)에서 구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소실(13)의 열기가 연소실(13)의 상부 격판(40)으로 전달하여 격판(40)의 내부에 마련한 히터(41)로 열기가 전달되어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한 히터선(42)에 의해 바닥(50)을 난방가능케 함과 동시에 벽체(1)의 내부 공간부(4)로 연소실(13)의 열기를 이동시켜 건축물의 벽체(1)를 난방가능케 하여 건축물의 실내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소실(13)에서 발생된 열기가 분리대(20)의 상부 상통공(21)을 통해 보온실(22)로 이동하게 되면서 격판(40)에 마련한 히터(41)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온실(22)에서 연소실(13)의 열기가 보호된 열기가 보온실(22)의 하부에 형성한 난로공(7)을 통해 벽체(1)의 공간부(4)로 연소실(13)의 열기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연소실(13)의 열기가 난로공(7)을 통해 공간부(4)로 이동하게 되면 공간부(4)의 상부에 마련한 분리판(33)에 의한 내통공(8)을 통해 벽체(1)의 내통공(8)을 통해 다시 하공간(30)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공간(30)으로 이동하는 연소실(13)의 열기는 연소실(13)의 상부에 마련한 격판(40)의 하면과 하공간(30)의 하부에 마련한 격판(40)의 상면으로 열기가 전달되어 한번 더 격판(40)의 내부에 마련한 히터(41)를 가열하여 바닥(50)의 난방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공간(30)으로 이동된 연소실(13)의 열기는 다시 연결대(34)로 형성된 연결공(31)을 통해 다시 상공간(32)으로 이동하게 하면서 난로(10)의 내부에 연소실(13)의 열기를 지그재그형으로 연소실(13)과 보온실(22)에서 열기를 이동하도록 하여 공간부(4)를 통해 다시 하공간(30)로 전달시켜 하공간(30)에서 다시 지그재그형으로 연결공(31)과 상공간(32)을 통해 외통공(9)을 통해 벽체(1)로 배출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벽체(1)로 이동하게 하면서 건축물의 벽체(1)에 열기가 전달되면서 건축물의 실내 난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몸체(11)의 마감판(16) 일측에는 통공(61)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61)에 개폐구를 작동시켜 개폐구(60)의 배출공(62)과 벽체(1)의 외통공(9)으로 통하지 않도록 하여 닫히게 하면 연소실(13)의 열기가 난로(10)의 보온실(22)과 공간부(4)를 통해 난로(10)의 상부 하공간(30)과 상공간(32)을 통해 연결된 열기를 난로(10)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난로(10)의 근거리에 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구(60)를 작동시켜 개폐구(60)의 배출공(62)과 벽체(1)의 외통공(9)으로 통하게 열리게 하면 연소실(13)의 열기가 난로(10)의 보온실(22)과 공간부(4)를 통해 난로(10)의 상부 하공간(30)과 상공간(32)을 통해 연결된 열기가 벽체(1)의 공간부(4)를 통해 건축물의 벽체(1)로 이동하게 되면서 건축물 실내 전체를 난방가능케 개폐구(60)의 작동으로 난방의 효과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난로(10)의 연소실(13)에서 발생된 열기가 분리대(20)의 상통공(21)을 거치면서 보온실(22)의 하부 난로공(7)을 통해 벽체(1)의 공간부(4)로 통하게 하여 공간부(4)의 상부에 내통공(8)을 통해 난로(10)의 상측인 하공간(30)과 상공간(32)을 지그재그로 이동하면서 벽체(1)의 공간부(4)로 다시 보내지게 하여 건축물의 실내 난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연소실(13)의 상부에 마련한 격판(40)의 히터(41)에 의해 건축물의 바닥(50)으로 열기를 전달하여 건축물의 바닥 난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11)의 하부 바닥판(17) 일측에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 상부에는 마감판(16)을 벽체(1)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굴뚝(52)을 상부에 마련하도록 하여 몸체(11)의 연소마개(12)를 열어 연소실(13)에 나무 등의 화목에 불을 피운 열기가 상부에 마련한 고구마 등을 내부에 마련한 구이통(23)에서 구울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연소실(13)의 열기가 연소실(13)의 상부 격판(40)으로 전달하여 격판(40)의 내부에 마련한 히터(41)로 열기가 전달되어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한 히터선(42)에 의해 바닥(50)을 난방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 발명의 굴뚝(52)에는 난로(10)의 연기를 배출시키는 통상의 연통을 연결하여 실외로 연결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난로(10)의 바닥판(17)과 내벽(5)와 외벽(2)사이의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일체로 형성시켜 연소실(13)의 열기가 난로(10)의 내부 보온실(22)과 공간부(4)를 통해 하공간(30)과 상공간(32)을 거치면서 건축물의 실내 난방과 난로(10)의 근거리 난방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난로(10)의 구이통(23)에 의해 고구마 등을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건축물의 벽체(1)로 형성하여 난로(10)의 연소실(13)과 연결하도록 하여 연소실(13)의 열기를 벽체(1)의 공간부(4)로 전달시켜 건축물의 벽체(1)로 연소실(13)의 열기를 전달시켜 건축물 전체의 실내를 난방가능케 할 수 있는 것이다.
1 : 벽체 2 : 외벽
3 : 외걸홈 4 : 공간부
5 : 내벽 6 : 내걸홈
7 : 난로공 8 : 내통공
9 : 외통공 10 : 난로
11 : 몸체 12 : 연소마개
13 : 연소실 14 : 소지마개
15 : 소지함 16 : 마감판
17 : 바닥판 18 : 유도구
20 : 분리대 21 : 상통공
22 : 보온실 23 : 구이통
24 : 구이가이드 25 : 걸판
26 : 걸홈 27 : 걸망
28 : 걸공 30 : 하공간
31 : 연결공 32 : 상공간
33 : 분리판 34 : 연결대
40 : 격판 41 : 히터
42 : 히터선 43 : 마감재
50 : 바닥 51 : 히터홈
52 : 굴뚝 60 : 개폐구
61 : 통공 62 : 배출공

Claims (4)

  1. 건축물의 바닥(50)과 외주연으로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에는 난로(10)를 마련하되 난로(10)의 상부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난로(10)의 내부에는 연소실(13)을 마련하고 연소실(13)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며,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2. 하부에 바닥판(17) 일측에는 내벽(5)과 외벽(2) 사이에 공간부(4)를 마련한 벽체(1)를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전면 상부에는 마감판(16)을 내벽(5)의 내걸홈(6)에 연결하고,
    상기 벽체(1)의 상부에는 공간부(4)와 통하는 굴뚝(52)을 상부에 마련하고,
    상기 벽체(1)의 하부 전면에는 보온실(22)을 마련하고 보온실(22)의 일측에는 분리대(20)를 마련하여 상부로 상통공(21)으로 연결하는 보온실(22)을 타측에 마련하고,
    상기 보온실(22)의 하부에는 벽체(1)의 공간부(4)와 통하는 난로공(7)을 형성하고 상기 연소실(13)과 보온실(22)의 상부에는 히터(41)를 내부에 마련한 격판(40)을 마련하되 상기 히터(41)를 히터선(42)으로 연장시켜 바닥(50)의 히터홈(51)에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격판(40)의 상부에는 하공간(30)을 마련하되 상기 하공간(30)과 통하는 내통공(8)을 내벽(5)에 형성하고 하공간(30)의 상부에는 연결대(34)를 끝단에 형성한 분리판(33)을 외벽(2)의 외걸홈(3)에 고정시켜 공간부(4)와 내통공(8)을 통하게 하며,
    상기 분리대(20)의 상부에는 상공간(32)을 마련하되 상기 상공간(32)과 통하는 외통공(9)을 내벽(5)에 형성하여 공간부(4)와 상공간(32)과 통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16)의 일측에는 통공(61)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61)에는 배출공(62)을 형성한 개폐구(60)를 승강가능케 하며 개폐구(60)에 의해 내벽(5)에 형성된 외통공(9)을 개폐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50)의 상부에는 마감재(43)를 마련하고 상기 바닥(50)의 상면에는 히터홈(51)을 마련하여 격판(40)의 히터(41)와 연결되는 히터선(42)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KR1020160050660A 2016-04-26 2016-04-26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KR101798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660A KR101798008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660A KR101798008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865A true KR20170121865A (ko) 2017-11-03
KR101798008B1 KR101798008B1 (ko) 2017-11-15

Family

ID=60383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660A KR101798008B1 (ko) 2016-04-26 2016-04-26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0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47Y1 (ko) * 2018-12-27 2019-07-03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847Y1 (ko) 2004-11-19 2005-02-04 정도화 벽난로
KR100746973B1 (ko) 2006-03-06 2007-08-07 최상홍 구들장 벽난로
KR101365724B1 (ko) 2013-06-28 2014-02-20 지성구 보일러 겸용 난로에 히트파이프가 설치되는 난방장치
KR101577813B1 (ko) 2014-11-26 2015-12-15 신창화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47Y1 (ko) * 2018-12-27 2019-07-03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WO2020138728A1 (ko) * 2018-12-27 2020-07-02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008B1 (ko) 201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8008B1 (ko) 건축물의 바닥난방기능이 구비된 난로
JP6148282B2 (ja) ストーブ
CN203628716U (zh) 一种柴炉
CN203431938U (zh) 炉门结构
KR101577813B1 (ko) 벽난로와 구들난방을 겸하는 난방장치
RU85609U1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арианты)
KR101535983B1 (ko) 화목온풍기
CN103017207B (zh) 保温节能暖气炉
US4328784A (en) Wood and coal burning heating unit
KR20150146002A (ko) 로켓스토브를 활용한 온수난방시스템
CN214468797U (zh) 生物质锅台式炊事采暖炉
CN203757842U (zh) 生物质节能水炕
KR102560835B1 (ko) 이동식 아궁이 및 그의 설치구조
CN214745913U (zh) 通炕型生物质采暖炉
CN214468793U (zh) 可提供热风的生物质锅台式采暖炉
RU2485414C2 (ru) Котел отопления, работающий на дровах
CN207674494U (zh) 一种节能环保立式热水采暖炊事炉
CN212777469U (zh) 一种家用采暖炉
KR102265830B1 (ko) 대류유도형 화목난로
CN206709107U (zh) 一种可回收利用烟气余热的全自动燃气燃油蒸箱
RU2229064C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CN201582855U (zh) 炉内空气热交换器
RU121038U1 (ru) Водогрейный твердотопливный котел-плита с верхним положением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US20100186731A1 (en) American chimney furnace
CN204943573U (zh) 新型采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