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6888B1 -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 Google Patents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6888B1
KR102496888B1 KR1020220016289A KR20220016289A KR102496888B1 KR 102496888 B1 KR102496888 B1 KR 102496888B1 KR 1020220016289 A KR1020220016289 A KR 1020220016289A KR 20220016289 A KR20220016289 A KR 20220016289A KR 102496888 B1 KR102496888 B1 KR 10249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ing
bricks
brick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교원
김에스더
김평화
김은혜
Original Assignee
김교원
김에스더
김평화
김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교원, 김에스더, 김평화, 김은혜 filed Critical 김교원
Priority to KR102022001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6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5Pegs or pins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성 벽돌의 조적으로 축조된 벽체를 파쇄하지 않고도 전기선을 배선하는 홈을 형성하여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의 지반 기초를 이루는 기초벽돌, 상기 기초벽돌의 상부에 조적되어 배관홈이 형성된 벽체를 이루는 기능성 벽돌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벽돌은, 사방으로 배관홈이 연결된 스위치박스를 갖는 메인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배관홈이 형성된 수평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수직배관홈이 형성된 수직배관벽돌,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과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교차로 연결되도록 교차배관홈이 형성된 교차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과 상기 수평배관벽돌과 상기 수직배관벽돌 및 상기 교차배관벽돌 사이사이에 조적되어 단열재를 내장한 단열벽돌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하며, 본 발명은 메인배관벽돌과 수평배관벽돌과 수직배관벽돌과 교차배관벽돌 및 단열벽돌을 포함하는 기능성 벽돌의 조적에 의하여, 배선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 따위가 배치되는 배관홈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벽면을 파쇄하여서 발생하게 되는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Architectural interior wall using functional bricks for reducing carbon emission}
본 발명은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기능성 벽돌의 조적으로 축조된 벽체를 파쇄하지 않고도 전기선을 배선하는 홈을 형성하여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이나 담을 포함하는 벽체를 축조하기 위해 지반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그 위에 벽돌을 쌓는다.
여기서, 벽돌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거나, 시멘트와 모래를 버무려 틀에 박아 건조한 네모진 건축 재료로서, 표준 크기는 190×90×57㎜ 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벽체는 설계도에 맞춰 벽돌을 조적한 후 전기선을 배선하기 위해 홈을 만들어야 한다.
종래에는 벽체에 홈을 만들기 위해서는 동력으로 작동하는 드릴 따위의 도구를 이용하여 조적된 벽면을 부분적으로 파쇄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을 부분적으로 파쇄하는 작업에 인건비와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파쇄 작업 중 엄청난 소음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동력으로 작동하는 도구의 이용으로 인하여 탄소 배출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벽면을 파쇄한 파쇄물을 처리하는 과정 중에 인건비가 소요되며, 차량으로 파쇄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탄소가 배출되어 환경오염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이어지는 문제점 있었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67288호(공개일자 2003년08월14일) (00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6-0017788호(공개일자 1996년06월19일) (00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95863호(공개일자 2004년11월16일) (0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7538호(등록일자 2012년03월0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선을 배선하는 홈을 형성하도록 다양한 기능성 벽돌의 조적으로 벽체를 축조하여 벽면의 파쇄에 따른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지반 기초를 이루는 기초벽돌, 상기 기초벽돌의 상부에 조적되어 배관홈이 형성된 벽체를 이루는 기능성 벽돌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벽돌은, 사방으로 배관홈이 연결된 스위치박스를 갖는 메인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배관홈이 형성된 수평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수직배관홈이 형성된 수직배관벽돌,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과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교차로 연결되도록 교차배관홈이 형성된 교차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과 상기 수평배관벽돌과 상기 수직배관벽돌 및 상기 교차배관벽돌 사이사이에 조적되어 단열재를 내장한 단열벽돌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기초벽돌은 지반에 수직으로 연통된 복수의 고정공 및 좌우로 연통된 좌우연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공을 지나 지반으로 삽입되어 상기 기초벽돌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에 의해 지반에 고정되어 좌우로 연접된 상기 기초벽돌을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연결공으로 삽입되는 좌우연결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스위치박스의 개방된 전면부 상하 가장자리에는 세로배관홈이 연결되고 좌우 가장자리에는 가로배관홈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관을 보호하는 수평배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배관커버는 상기 수평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평마감편, 상기 수평마감편의 상하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배관홈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평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에는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관을 보호하는 수직배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배관커버는 상기 수직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직마감편, 상기 수직마감편의 좌우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배관홈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직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차배관홈은, 상기 교차배관벽돌의 좌우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에 연결되는 교차수평홈, 상기 교차배관벽돌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연결되는 교차수평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벽돌은,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중량블록, 상기 중량블록의 중공부에 채워져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량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벽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장식장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식장은 전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획되어 열기를 공급하는 집열실, 상기 집열실에서 전도된 열기로 식재료를 굽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획되는 구이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장식장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에 끼움결합되는 인테리어상판, 상기 인테리어상판의 저면을 받치기 위해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끼움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배관벽돌과 수평배관벽돌과 수직배관벽돌과 교차배관벽돌 및 단열벽돌을 포함하는 기능성 벽돌의 조적에 의하여, 배선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 따위가 배치되는 배관홈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벽면을 파쇄하여서 발생하게 되는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벽돌의 조적에 의하여 배관홈이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벽면을 파쇄한 파쇄물의 처리에 따른 인건비와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차량으로 파쇄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초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배관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평배관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직배관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차배관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열벽돌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할 수 있으며,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는, 벽체의 지반 기초를 이루는 기초벽돌(100), 기초벽돌(100)의 상부에 조적되어 배관홈(220)(230)(310)(510)(710)이 형성된 벽체를 이루는 기능성 벽돌을 포함한다.
기초벽돌(100)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틀에 박아서 건조한 벽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초벽돌(100)은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기초벽돌(100)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 수 있다.
기초벽돌(100)의 네 모서리 부근에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공(110)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로드(120)가 관통된다.
이러한 고정공(110)은 후술하는 좌우연결공(130)에 간섭되지 않도록 기초벽돌(100)에 수직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로드(120)는 지반에 안착한 기초벽돌(100)의 고정공(110)을 관통하여 지반에 삽입된다.
그리고 기초벽돌(100)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연결공(130)이 형성되어 좌우연결로드(140)가 삽입된다.
여기서, 좌우연결로드(140)는 지반에 좌우 방향으로 잇닿아 정렬된 복수의 기초벽돌(100)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기능성 벽돌은 메인배관벽돌(200), 수평배관벽돌(300), 수직배관벽돌, 교차배관벽돌(700) 및 단열벽돌(800)을 포함한다.
메인배관벽돌(200)은 사방으로 배관홈(220)(230)이 연결된 스위치박스(210)를 갖는다.
메인배관벽돌(200)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틀에 박아서 건조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메인배관벽돌(200)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배관벽돌(200)의 전면에는 육면체 모양의 스위치박스(21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위치박스(2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스위치 또는 콘센트 따위가 설치 및 수납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박스(210)의 개방된 전면부 상하 가장자리에는 세로배관홈(220)이 연결되고 좌우 가장자리에는 가로배관홈(230)이 연결된다.
이러한 세로배관홈(220) 및 가로배관홈(230)에는 전선이 배선된 배선관이 배치된다.
여기서, 세로배관홈(220)과 가로배관홈(230)의 폭은 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2㎝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전기배관을 여유있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평배관벽돌(300)의 전면에는 수평배관홈(310)이 수평으로 형성된다.
수평배관벽돌(300)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틀에 박아서 건조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수평배관벽돌(300)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평배관벽돌(300)의 전면에는 좌우 측면을 관통하는 수평배관홈(310)이 형성되어 전선이 배선된 배선관이나 수돗물을 보내는 수도관 또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배관홈(310)의 폭은 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2㎝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여유있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평배관홈(3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수평배관커버(400)가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배관커버(400)는 수평배관홈(310)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평마감편(410)과, 수평마감편(410)의 상하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평배관홈(310)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평결합편(420)을 포함한다.
즉, 수평배관커버(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평배관벽돌(300)의 수평배관홈(310)은 메인배관벽돌(200)의 가로배관홈(230)이나 후술하는 교차배관벽돌(700)의 교차수평홈(711)에 연결될 수 있다.
수직배관벽돌의 전면에는 수직배관홈(510)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수직배관벽돌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틀에 박아서 건조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수직배관벽돌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배관벽돌의 전면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수직배관홈(510)이 형성되어 전선이 배선된 배선관이나 수돗물을 보내는 수도관 또는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관이 배치된다.
여기서, 수직배관홈(510)의 폭은 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2㎝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여유있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수직배관홈(5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수직배관커버(600)가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배관커버(600)는 수직배관홈(510)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직마감편(610)과, 수직마감편(610)의 좌우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수직배관홈(510)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직결합편(620)을 포함한다.
즉, 수직배관커버(6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510)은 메인배관벽돌(200)의 세로배관홈(220)이나 후술하는 교차배관벽돌(700)의 교차수직홈(712)에 연결될 수 있다.
교차배관벽돌(700)의 전면에는 ‘+’ 모양의 교차배관홈(710)이 형성된다.
교차배관벽돌(700)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하여 틀에 박아서 건조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교차배관벽돌(700)은 진흙과 모래를 차지게 반죽하여 틀에 박아서 600~1,000℃에서 구워 만들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교차배관벽돌(700)의 전면에는 교차수평홈(711)과 교차수직홈(712)의 교차로 이루어진 교차배관홈(710)이 형성된다.
교차수평홈(711)은 교차배관벽돌(700)의 좌우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수평배관벽돌(300)의 수평배관홈(310)에 연결되고, 교차수직홈(712)은 교차배관벽돌(700)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510)에 연결된다.
이러한 교차배관홈(710)은 수평배관홈(310)과 수직배관홈(510)에 배치되는 배선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을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교차배관홈(710)의 폭은 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2㎝의 직경으로 이루어진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여유있게 배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교차배관홈(710)의 개방된 전면에는 상술한 수평배관커버(400) 및 수직배관커버(600)가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배선관과 수도관 및 가스관을 보호하게 된다.
단열벽돌(800)은 메인배관벽돌(200)과 수평배관벽돌(300)과 수직배관벽돌 및 교차배관벽돌(700) 사이사이에 조적되어 단열, 방음, 방습 따위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열벽돌(800)은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중량블록(810), 중량블록(810)의 중공부에 채워져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량블록(820)을 포함한다.
중량블록(810)은 단열벽돌(800)의 외형 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속이 비어 있는 중공부를 갖는다.
이러한 중량블록(810)은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한 모르타르를 틀에 인서트된 경량블록(820)과 함께 건조하는 과정을 통해 성형된다.
경량블록(820)은 단열성이 우수한 스티로폼 재질로 이루어져 틀에 인서트된 상태에서 중량블록(810)의 중공부에 채워지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경량블록(820)에는 여러 개의 유입공이 형성되어 중량블록(810)을 성형하는 모르타르의 유입을 통해 결합력을 높이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는, 장식장(900)과 인테리어상판(930) 및 받침판(940)을 더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장식장(900)은 천연석으로 이루어져 전면이 개방된 본체(910), 본체(9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920)를 포함한다.
본체(910)의 우측에는 열기가 공급되는 집열실(911)이 구획되고, 좌측에는 집열실(911)에서 전도된 열기로 식재료를 굽는 구이실(913)이 구획된다.
집열실(911)은 어느 한 기능성 벽돌에 연결된 열기송풍관(912)에서 송풍되는 열기에 의해 열기를 저장하고, 구이실(913)은 집열실(911)에서 전도된 열기에 의해 각종 식재료를 구울 수 있다.
본체(910)의 중앙에는 장작 모양으로 타오르는 램프(914)가 설치된다.
인테리어상판(930)은 장식장(90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수평배관벽돌(300)의 수평배관홈(310)에 끼워져 결합된다.
받침판(940)은 인테리어상판(930)의 저면을 받치기 위해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510)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술한 장식장(900)과 인테리어상판(930) 및 받침판(940)은 획일적인 패턴이 아니고 자연스러운 질감으로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연출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시공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천연석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배관벽돌(200)과 수평배관벽돌(300)과 수직배관벽돌과 교차배관벽돌(700) 및 단열벽돌(800)을 포함하는 기능성 벽돌의 조적에 의하여, 배선관이나 수도관 또는 가스관 따위가 배치되는 배관홈이 가로세로 방향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벽면을 파쇄하여서 발생하게 되는 탄소 배출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벽돌의 조적에 의하여 배관홈이 형성되므로, 종래기술처럼 벽면을 파쇄한 파쇄물의 처리에 따른 인건비와 운반비를 절감할 수 있고, 차량으로 파쇄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탄소 배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기초벽돌 200 : 메인배관벽돌
300 : 수평배관벽돌 400 : 수평배관커버
500 : 수직배관벽돌 600 : 수직배관커버
700 : 교차배관벽돌 800 : 단열벽돌
900 : 장식장 930 : 인테리어상판
940 : 받침판

Claims (9)

  1. 벽체의 지반 기초를 이루는 기초벽돌, 상기 기초벽돌의 상부에 조적되어 배관홈이 형성된 벽체를 이루는 기능성 벽돌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 벽돌은,
    사방으로 배관홈이 연결된 스위치박스를 갖는 메인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수평배관홈이 형성된 수평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배관홈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수직배관홈이 형성된 수직배관벽돌,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과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교차로 연결되도록 교차배관홈이 형성된 교차배관벽돌, 상기 메인배관벽돌과 상기 수평배관벽돌과 상기 수직배관벽돌 및 상기 교차배관벽돌 사이사이에 조적되어 단열재를 내장한 단열벽돌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의 중앙에 배치되는 장식장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장식장은 전면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연결되어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획되어 열기를 공급하는 집열실, 상기 집열실에서 전도된 열기로 식재료를 굽도록 상기 본체의 타측에 구획되는 구이실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장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에 끼움결합되는 인테리어상판, 상기 인테리어상판의 저면을 받치기 위해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끼움결합되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벽돌은 지반에 수직으로 연통된 복수의 고정공 및 좌우로 연통된 좌우연결공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공을 지나 지반으로 삽입되어 상기 기초벽돌을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로드, 상기 고정로드에 의해 지반에 고정되어 좌우로 연접된 상기 기초벽돌을 연결하도록 상기 좌우연결공으로 삽입되는 좌우연결로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벽돌의 스위치박스의 개방된 전면부 상하 가장자리에는 세로배관홈이 연결되고 좌우 가장자리에는 가로배관홈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에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관을 보호하는 수평배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평배관커버는 상기 수평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평마감편, 상기 수평마감편의 상하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평배관홈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평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에는 끼움결합되어 내부에 배치된 관을 보호하는 수직배관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배관커버는 상기 수직배관홈의 개방된 전면을 마감하는 수직마감편, 상기 수직마감편의 좌우 단부에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배관홈의 양측 내면에 끼움결합되는 수직결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차배관홈은,
    상기 교차배관벽돌의 좌우 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배관벽돌의 수평배관홈에 연결되는 교차수평홈, 상기 교차배관벽돌의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배관벽돌의 수직배관홈에 연결되는 교차수평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열벽돌은,
    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중량블록, 상기 중량블록의 중공부에 채워져 단열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량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8. 삭제
  9. 삭제
KR1020220016289A 2022-02-08 2022-02-08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KR10249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89A KR102496888B1 (ko) 2022-02-08 2022-02-08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289A KR102496888B1 (ko) 2022-02-08 2022-02-08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6888B1 true KR102496888B1 (ko) 2023-02-08

Family

ID=8522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289A KR102496888B1 (ko) 2022-02-08 2022-02-08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688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788U (ko) 1994-11-29 1996-06-19 건축용 벽체구조
JPH11229529A (ja) * 1998-02-12 1999-08-24 Swan Shoji Co Ltd ブロックアンカ−
KR20030067288A (ko)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040095863A (ko) 2003-04-28 2004-11-16 최규원 내외장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 긴사다리형틀 조립식긴벽돌과 판넬
KR101127538B1 (ko) 2009-07-27 2012-03-23 강석찬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20130021962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적블록 및 조적블록 설치구조
KR200489547Y1 (ko) * 2018-12-27 2019-07-03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102164815B1 (ko) * 2020-02-19 2020-10-13 김교원 골격판체를 이용한 다용도 벽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788U (ko) 1994-11-29 1996-06-19 건축용 벽체구조
JPH11229529A (ja) * 1998-02-12 1999-08-24 Swan Shoji Co Ltd ブロックアンカ−
KR20030067288A (ko) 2002-02-07 2003-08-14 최규원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040095863A (ko) 2003-04-28 2004-11-16 최규원 내외장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 긴사다리형틀 조립식긴벽돌과 판넬
KR101127538B1 (ko) 2009-07-27 2012-03-23 강석찬 벽체 시공용 블록 시스템
KR20130021962A (ko) * 2011-08-24 2013-03-0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적블록 및 조적블록 설치구조
KR200489547Y1 (ko) * 2018-12-27 2019-07-03 김교원 천연석 전기식 원적외선 벽난로
KR102164815B1 (ko) * 2020-02-19 2020-10-13 김교원 골격판체를 이용한 다용도 벽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6656A1 (en) Aggregate log and method of building construction
CN105369978B (zh) 一种模块化内隔墙板
CN106481017A (zh) 一种装配式预制ab面多功能墙体
KR102496888B1 (ko) 탄소배출저감 기능성 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인테리어 벽체
CN108145835B (zh) 一种剖面十字形水泥预混料连接柱及其生产工艺方法
KR101209183B1 (ko) 왕겨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황토주택 건축공법
KR100751234B1 (ko) 황토패널의 구조
KR102085504B1 (ko) 스티로폼을 결합한 기능성 벽돌 제조방법
KR101547685B1 (ko) Eps벽체를 이용하는 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83318B1 (ko) 온돌겸용 바닥재용 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2276198A (zh) 自保温陶粒混凝土空心砌块
CN102182262B (zh) 装甲泡沫混凝土保温墙体
CN112726937B (zh) 带饰面榫卯装配式含线管线盒结构砌块以及墙体
KR100638273B1 (ko) 흙을 채운 건축용 벽체
KR100493133B1 (ko) 건축용 벽돌
KR200374953Y1 (ko) 조적식용 벽돌구조
JP2000120077A (ja) 住宅基礎及びその工法並びに住宅構造
KR200335136Y1 (ko) 조립식 기능성 조적용 건축자재
KR100418963B1 (ko)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US1539023A (en) Method of constructing buildings
CN212957455U (zh) 装配式室内管道包管结构
CN213268474U (zh) 一种钢丝网架水泥加气夹芯板隔墙
JPH0111876Y2 (ko)
CN214461482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装配式建筑墙体结构
CN104234232B (zh) 半外包现浇双排组砌型墙体无机防火自保温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