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512U - 직화형 후라이팬 - Google Patents

직화형 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512U
KR20110000512U KR2020090008937U KR20090008937U KR20110000512U KR 20110000512 U KR20110000512 U KR 20110000512U KR 2020090008937 U KR2020090008937 U KR 2020090008937U KR 20090008937 U KR20090008937 U KR 20090008937U KR 20110000512 U KR20110000512 U KR 201100005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direct
fire inlet
food
frying p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현
Original Assignee
서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현 filed Critical 서주현
Priority to KR2020090008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512U/ko
Publication of KR20110000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512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화용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로 구성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의 바닥을 가열하는데 따른 간접열과 내부로 연통 된 직화 유입통로에 의한 직접열로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은 물론 가스 등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직화열에 의해 조리된 음식물의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밥, 국, 찌개, 찜, 구이 등의 다양한 요리가 가능케 되며, 조리물에서 발생 된 음식 냄새가 화염에 의해 제거되어 음식 냄새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화기유입구의 단부에 형성되는 마개를 간단히 개폐시켜 줌으로써 직화용 조리용기 또는 일반적인 간접열을 이용하는 조리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며, 바닥면이 3중 소재로 되어 있어 열 전달 및 보온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후라이팬, 직화, 찜판, 찜통,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Description

직화형 후라이팬{Direct flame type fry pan}
본 고안은 직화형 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고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은 물론 조리된 음식물의 맛도 좋으며, 바닥면이 3중 소재로 되어 있어 열 전달 및 보온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직화형 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후라이팬의 종류에는 가열수단을 구비한 전기후라이팬과 가열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단순히 코팅용기만으로 된 후라이팬 등이 있다. 이러한 후라이팬은 주로 야채, 생선, 육류를 굽기, 볶기, 튀기기, 지지기 등의 조리를 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후라이팬의 구조는 코팅용기와 이 코팅용기를 덮는 팬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전기후라이팬의 경우는 상기 코팅용기 및 팬뚜껑 이외에 가열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후라이팬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를 형성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측면에 장착된 긴 자루형태의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후라이팬은 사용자가 상기 용기 몸체에 조리할 음식물 재료를 넣고 상기 용기몸체에 요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시간 동안 열을 가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후라이팬은 용기몸체의 하부에 가해지는 화기(火氣)의 간접 열에 의해 수용부 내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상기 간접가열 방식의 후라이팬은 수용부 내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오랜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해 화기를 제공하는 화석연료의 열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라이팬을 사용시에는 생선 혹은 육류를 요리할 때에 음식이 익는 동안 비린내 및 기름냄새가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조리시에 주방에 설치된 환풍기를 이용하거나 문을 열어 환기시켜야 하는 등의 불편을 야기시켰고 비록 환기를 시켜도 비린내나 기름냄새는 여전히 실내에 남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연료비를 절감하며, 조리된 음식물의 맛도 좋은 후라이팬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직화 또는 간접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다기능 직화형 후라이팬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가 형성된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외측면에 손잡이가 부착된 후라이팬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바닥을 가열하는데 따른 간접열과 내부로 연통 된 직화 유입통로에 의한 직접열로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은 물론 가스 등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으며, 직화열에 의해 조리된 음식물의 맛도 좋을 뿐만 아니라 밥, 국, 찌개, 찜, 구이 등의 다양한 요리가 가능케 되며, 조리물에서 발생 된 음식 냄새가 화염에 의해 제거되고 뚜껑을 구비하여 음식 냄새의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기유입구의 단부에 형성되는 마개를 간단히 개폐시켜 줌으로써 직화용 조리용기 또는 일반적인 간접열을 이용하는 조리용기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며, 바닥면이 3중 소재로 되어 있어 열 전달 및 보온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손잡이(4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직화형 후라이팬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부착된 손잡이(400)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형화구마개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화기유입구(200)는 다양한 형상의 화구(2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화구(210)의 형태는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 다각형 또는 열십자형 등 이와 유사한 여러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구(210)는 도 2에서 보여주는 화구(210)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의 직화형 후라이팬에는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측면에는 마개걸림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걸림홈(220)에 대응되게 화구(210)의 내측면에 걸림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화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형화구마개(5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측면에 형성되는 마개걸림홈(2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가능하며, 상기 마개걸림홈(220)의 형상과 수에 대응되게 결합형화구마개(500)의 내측면에는 걸림돌기(510)가 형성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끼움형화구마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끼움형화구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화기유입구(200)에 형성된 화구(210)에 대응되어 끼워지며 다양한 형상의 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210)에 끼워져 정지되도록 걸림턱(610) 및 끼움돌기(620)가 형성되며, 상기 화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끼움형화구마개(600)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도 3b는 끼움돌기(620)에 나사산(230)이 형성되고, 화구(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끼움돌기(620)의 나사산(230)에 대응되게 나사홈(11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직화형 후라이팬에 구비된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화구(210)를 덮는 결합형화구마개(5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특히,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결합형화구마개(500) 및 끼움형화구마개(600)에는 화구마개를 관통하는 기공(5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직화형 후라이팬의 화구마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공(520)이 존재하거나 혹은 기공(520)이 존재하지 않는 화구마개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일측에 나사산(2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0)의 중앙에는 상기 나사산(230)에 대응되는 나사홈(110)이 형성된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화기유입구(200)가 상기 관통공(120)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수용부(100)에는 나사홈(110)이 형성된 관통공(120)에 결합 되는 화기유입구(200)를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는 뚜껑(9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뚜껑(900)의 재질은 유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 또는 세라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900)에 의해 용기몸체(300)의 바닥을 가열하는데 따른 간접열과 내부로 연통 된 직화 유입통로에 의한 직접열을 용기몸체(300)에 가둘 수 있어 음식물의 조리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됨은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리된 음식물에서 발생 된 음식 냄새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 내측으로는 중앙에 개구부(710)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일자형화공(7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찜판(70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 내측으로는 중앙에 개구부(710)가 형성되고 측면 테두리에 상향하는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 찜망(730)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찜판(700) 및 찜망(730)은 직경을 용기몸체(300)의 테두리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화구(210)는 기공(520)이 없는 결합형화구마개(500)나 끼움형화구마개(600)로 막아서 용기몸체(300) 내부의 수용부(100) 압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찜판(700)과 찜망(730)을 통하여 다양한 찜요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형 후라이팬의 절개사시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화염이 용기몸체(200)의 바닥면을 달구게 되고 이때 화염은 화기유입구(200)의 화구(210)로 유입되는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형 후라이팬의 측단면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용기몸체(300)는 3단 구조로서, 1단은 알루미늄(Aluminum) 소재로 형성된 알루미늄층(800), 2단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형성된 스테인리스층(810), 3단은 알루미늄(Aluminum) 소재로 형성된 알루미늄층(800)으로 구성되며, 상기 1단 및 2단 및 3단의 소재를 압축하여 형성된 3단 결합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단일 소재보다는 열 전달 및 보온에 효과가 있으며, 열이 바닥면에 골고루 전달되어 음식물이 한쪽만 익거나 타는 등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직화형 후라이팬의 용기몸체(200)의 내부는 코팅처리되어 조리된 음식물이 바닥면에 눌러 붙지 않고 바닥면으로부터 잘 이탈되는 장점이 있 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300)로 사용되는 소재로 다양한 금속재가 가능하며, 혹은 세라믹과 같은 도자기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직화형 후라이팬은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에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재료를 투입하고 뚜껑(90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가열기구에 점화를 행하면 화염에 의해 용기몸체(300)의 바닥면이 가열됨으로써 간접열에 의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가열기구에서 점화된 화염이 화기유입구(200)를 통하여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로 유입되어 음식재료를 직접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 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조리된 음식물의 맛도 더욱 좋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300)의 바닥면을 통하여 전달되는 간접열과 화기유입구(200)의 화구(210)를 통하여 유입된 화염에 의한 직접열에 의해 조리되는 음식물이 어느 정도 가열되면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빨리 조리되어 연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형화구마개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끼움형화구마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끼움형화구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구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직화형 후라이팬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직화형 후라이팬의 절개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형 후라이팬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수용부 110 : 나사홈
120 : 관통공 200 : 화기유입구
210 : 화구 220 : 마개걸림홈
230 : 나사산 300 : 용기몸체
400 : 손잡이 500 : 결합형화구마개
510 : 걸림돌기 520 : 기공
600 : 끼움형화구마개 610 : 걸림턱
620 : 끼움돌기 700 : 찜판
710 : 개구부 720 : 일자형화공
730 : 찜망 740 : 찜망손잡이
800 : 알루미늄층 810 : 스테인리스층
900 : 뚜껑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손잡이(4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유입구(200)는 다양한 형상의 화구(2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측면에는 마개걸림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마개걸림홈(220)에 대응되게 내측면에 걸림돌기(510)가 형성되며, 상기 화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형화구마개(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4.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화기유입구(200)에 형성된 화구(210)에 대응되어 끼워지고, 상기 화구(210)에 끼워져 정지되도록 걸림턱(610) 및 끼움돌기(620)가 형성되며, 상기 화구(210)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된 끼움형화구마 개(6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손잡이(4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기유입구(200)의 일측에 나사산(2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00)의 중앙에는 상기 나사산(230)에 대응되는 나사홈(110)이 형성된 관통공(120)이 형성되어, 상기 화기유입구(200)가 상기 관통공(120)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 뚜껑(9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900)의 재질은 유리 또는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또는 금속재 또는 세라믹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8.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 내측으 로는 중앙에 개구부(710)가 형성되고, 표면에는 일자형화공(720)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찜판(700);과,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손잡이(4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9.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부(100)를 가지며 중앙부에 상향 돌출된 화기유입구(200)가 형성된 용기몸체(300)와, 상기 용기몸체(300)의 수용부(100) 내측으로는 중앙에 개구부(710)가 형성되고 측면 테두리에 상향하는 찜망손잡이(7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몸체(300)의 상측에 구비되는 찜망(730)과, 상기 용기몸체(300)의 외측면에 손잡이(40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10. 제 1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300)는 3단 구조로서, 1단은 알루미늄(Aluminum) 소재로 형성된 알루미늄층(800), 2단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형성된 스테인리스층(810), 3단은 알루미늄(Aluminum) 소재로 형성된 알루미늄층(800)으로 구성되며, 상기 1단 및 2단 및 3단의 소재를 압축하여 형성된 3단 결합구조로 된 용기몸체(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형 후라이팬
KR2020090008937U 2009-07-10 2009-07-10 직화형 후라이팬 Ceased KR201100005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37U KR20110000512U (ko) 2009-07-10 2009-07-10 직화형 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937U KR20110000512U (ko) 2009-07-10 2009-07-10 직화형 후라이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512U true KR20110000512U (ko) 2011-01-18

Family

ID=442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937U Ceased KR20110000512U (ko) 2009-07-10 2009-07-10 직화형 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51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0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홈스타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101430346B1 (ko) * 2013-02-20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KR101430340B1 (ko) * 2013-01-17 2014-09-2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양면 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0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홈스타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101430340B1 (ko) * 2013-01-17 2014-09-2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430346B1 (ko) * 2013-02-20 2014-08-13 류은영 냄새 저감형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CN201929711U (zh) 烹饪用具物品
KR20090007162U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KR20110001116U (ko) 직화형 다기능 요리기기
KR20130002374A (ko) 중탕냄비
US6668707B2 (en) Fuel-efficient steam cooking device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JP3148165U (ja) バーベキューコンロ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101001613B1 (ko) 다공성 보조용기를 구비한 조리 용기
JP2887309B2 (ja) 調理器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101001614B1 (ko) 수증기를 이용한 조리 용기
JP3244134U (ja) 多目的電気調理鍋と蒸し器アセンブリ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JPH0556965B2 (ko)
KR100590687B1 (ko) 직화가열식 조리용기
KR200421229Y1 (ko) 다기능 직화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907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42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