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170B1 - 회전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170B1
KR102259170B1 KR1020190009622A KR20190009622A KR102259170B1 KR 102259170 B1 KR102259170 B1 KR 102259170B1 KR 1020190009622 A KR1020190009622 A KR 1020190009622A KR 20190009622 A KR20190009622 A KR 20190009622A KR 102259170 B1 KR102259170 B1 KR 102259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rotary tube
pedestal
flam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882A (ko
Inventor
김종묵
경진영
Original Assignee
김종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묵 filed Critical 김종묵
Priority to PCT/KR2019/01378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80903A1/ko
Publication of KR2020004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직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식 조리기구{rotary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회전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가정용 가스 레인지나 휴대용 가스 버너와 같은 가스 스토브에서 사용이 가능한 회전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조리기구는 가스 레인지나 휴대용 가스 버너와 같은 스토브에 자전하는 회전통을 안치시켜 회전통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회전통 내부에 수납된 식재료를 오븐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으로, 이러한 회전식 조리기구의 선행기술로 특허등록 제10-1331289호의 "드럼식 조리기" 및 제10-1880865호의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가스 레인지의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고 가스 레인지로부터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원통형의 회전통, 받침대에 설치되어 회전통이 받침대의 상부에서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로 구성된다.
또한, 선행기술은 회전통의 내경에 돌출된 형태를 갖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회전통이 받침대의 상부에서 자전하는 것에 따라 걸림부가 식재료를 뒤집어 식재료가 고르게 익도록 한다.
또한, 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통은 회전통의 입구가 회전통의 바닥면보다 높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며, 회전통의 바닥면에는 조리 중 식재료에서 빠져나오는 기름과 같은 이물질을 배출하는 드레인 홀이 형성되어 받침대에 마련된 이물질 수거함에서 수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행기술들은 회전통의 입구가 뚜껑에 의해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어 가스 레인지의 불꽃이 식재료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이 아닌 가스 레인지의 불꽃이 회전통의 외주면을 가열시켜 회전통의 내부를 승온시키는 간접 가열방식이기 때문에 열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에 불맛을 내기 어려워 사용자의 미각을 맞추는데 한계가 있다.
부연하자면, 선행기술들과 같이 회전통의 내부가 밀폐된 구조를 갖게 되면, 가스 레인지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회전하는 회전통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회전통의 내부를 승온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식재료가 불꽃에 직접 노출되어 식재료의 표면이 적당히 타거나 이로인해 발생하는 연기의 일부가 식재료에 스며들어 식재료에 풍미를 더하는 불맛을 선호하게 되지만, 선행기술들의 회전통은 가스 레인지의 불꽃과 식재료의 접촉을 완전히 차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식재료에 불맛을 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KR 10-1331289 B (2013.11.13) KR 10-1880865 B (2018.07.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재료가 수납되는 회전통의 내부로 가스 레인지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유입되도록 하여 회전통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회전식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회전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화염에 의해 식재료를 직화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미각에 식재료를 조리할 수 있는 회전식 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직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직화홀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에 조립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단에 구동모터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에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거치대에 형성된 결속 홈에 걸림되는 걸림 턱이 형성된 한 쌍의 후크 및 상기 후크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후크 하단이 오므라들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회전통의 바닥 외측면과 마주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판과 회전통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통의 바닥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및 상기 회전통에 형성된 다수의 플러그에 상응하게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크기보다 큰 여유 공차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헐겁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통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 불꽃의 이동을 안내하는 불꽃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직화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높낮이차를 형성하고, 상기 높낮이차를 형성한 불꽃 가이드 홈의 단면은 원호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통의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직화홀을 구획하는 격벽이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통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요철부는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불꽃 가이드 홈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에 의하면, 식재료를 수납한 회전통에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유입되는 직화홀이 마련되어 회전통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통에 마련된 직화홀이 불꽃 가이드 홈에 형성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불꽃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직화홀을 통해 회전통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통의 내부를 더욱 신속하게 승온시키게 되어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통에 직화홀이 마련되어 불꽃이 직화통을 통해 회전통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회전통의 내부로 유입된 불꽃에 의해 식재료가 직화방식으로 조리되기 때문에 식재료에 불맛을 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회전식 조리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회전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회전통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회전통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받침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동력제공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동력제공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받침대와 동력제공부의 결합을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 중 회전통과 동력제공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회전식 조리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회전통(200), 상기 회전통(200)을 받침대(100)의 상부에서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30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는 회전통(200)에 직화홀(400)이 형성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회전통(200)의 수납공간(230)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켜 열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화구의 불꽃이 식재료를 직접 가열하여 식재료에 불맛을 낼 수 있다.
부연하자면, 받침대(100)는 가스 레인지에 마련된 화구에 안착되는 것으로 회전통(200)이 안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회전통(200)에서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트레이(140)가 장착되는 트레이 장착부(120),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300)가 조립되는 거치대(130)로 구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레인지의 화구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 화구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회전통(200)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홀(111)이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홀(111)은 화구의 둘레를 감싸는 원통으로 형성되며 가이드홀(111)의 하단은 가스 레인지의 화구에 형성된 그릴에 안착되는데, 가이드홀(111)의 하단은 단차를 크라운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화구 주변의 공기가 크라운 형상으로 단차를 형성한 가이드홀(111)의 하단을 통해 가이드홀(111)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정면에는 운반핸들(112)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운반핸들(112)을 파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운반을 용이하게 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회전통(200)의 바닥에 형성된 드레인(201)으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수거하는 트레이(140)가 장착되는 슬라이딩 홈(121)이 형성된 트레이 장착부(120)가 형성된다.
그리고, 트레이 장착부(120)의 상부에는 동력제공부(300)의 하단이 조립되는 거치대(130)가 마련되는데, 거치대(130)는 동력제공부(300)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여 트레이 장착부(1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회전통(200)을 지지하는 롤링부(113)가 마련된다. 롤링부(113)는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구름 접촉하여 회전통(200)이 자전하게 될 때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롤링부(113)는 회전통(200)의 입구(210)가 상향되게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돌출되며 롤링부(113)의 상단으로 회전볼(114)의 일부가 노출되어 회전볼(114)이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점 접촉하여 회전통(200)이 동력제공부(300)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회전볼(114)이 함께 회전하게 되어 회전통(20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롤링부(113)에 회전볼(114)이 마련되는 것에 따라 회전볼(114)에 편마모의 발생을 감소시켜 회전통(2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회전통(200)은 내부에 식재료가 수납되는 수납공간(230)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통(200)은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210)를 형성한 원통으로 이루어지며 회전통(200)의 입구(210)와 대향하는 바닥(220)은 드레인(201)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통(200)의 내주면에는 동력제공부(300)에 의해 회전통(200)이 받침대(100)의 상부에서 회전하게 될 때 식재료를 뒤집는 교반 턱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통(200)의 입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90)이 설치된다. 이러한 뚜껑(290)은 회전통(200)의 내부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내열성 강화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290)은 회전통(200)의 입구(210)에 설치되었을 때 회전통(200)의 내부를 기밀하게 차폐할 수 있게 패킹이 뚜껑(290)의 테두리에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통(200)의 입구(210) 외주면에는 회전통(20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손잡이(240)가 형성되며, 이러한 손잡이(240)는 뚜껑(290)이 회전통(200)의 입구(210)에 설치되었을 때 뚜껑(290)을 안정적으로 회전통에 고정시키는 스토퍼(241)가 설치된다.
스토퍼(241)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손잡이(240)에서 슬라이딩되어 스토퍼(241)의 일부가 뚜껑(290)을 향해 돌출되어 뚜껑(290)을 가압하여 뚜껑(290)이 회전통(200)으로부터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회전통(200)은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식재료가 수납된 회전통(200)의 수납공간(230)으로 유입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키며 식재료를 직화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게 직화홀(400)이 형성된다.
직화홀(4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키며 식재료를 직화방식으로 조리하여 식재료에 불맛을 낼 수 있다.
이러한 직화홀(400)은 회전통(200)의 입구(210)에서 바닥(220)을 향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통(2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직화홀(400)이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직화홀(400)은 그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타원형,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직화홀(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내주면을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때 회전통(200)의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감소하는 테이퍼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직화홀(400)이 테이퍼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회전통(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직화홀(400)의 지름보다 회전통(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직화홀(400)의 지름이 크게 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직화홀(400)의 테이퍼에 안내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이와는 반대로 회전통(200) 내부의 열기는 회전통(2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워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어 식재료의 조리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통(200)에 형성되는 직화홀(400)은 불꽃 가이드 홈(250)을 따라 형성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불꽃 가이드 홈(2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더욱 신속하게 승온시키게 된다.
불꽃 가이드 홈(2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0)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요철구조로 이루어지며, 불꽃 가이드 홈(250)을 따라 직화홀(400)이 형성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의 일부가 불꽃 가이드 홈(250)으로 안내되어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더욱 신속하게 승온시키게 된다.
즉, 불꽃 가이드 홈(250)이 회전통(200)에 형성되지 않는 경우 화구의 불꽃은 회전통(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회전통(200)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불꽃이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시간이 짧게 되지만 앞선 설명과 같이 회전통(200)에 불꽃 가이드 홈(250)이 형성되면 회전통(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불꽃의 일부가 불꽃 가이드 홈(250)으로 이동하여 체류하게 되면서 회전통(200)의 외주면과 불꽃의 접촉 시간이 증가하여 직화홀(400)로 불꽃이 용이하게 유입되고 이에 따라 회전통(200) 내부의 승온을 신속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통(200)에 불꽃 가이드 홈(250)이 형성되는 것에 따라 회전통(200)의 내주면에서 불꽃 가이드 홈(250)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회전통(200)이 동력제공부(300)에 의해 회전하게 될 때 회전통(200)의 수납공간(230)에 수납된 식재료가 불꽃 가이드 홈에 걸리지 않고 식재료가 불꽃 가이드 홈을 타고 넘게 된다.
이러한 불꽃 가이드 홈(250)은 회전통(200)의 내주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높낮이차를 형성하고, 높낮이차를 형성한 불꽃 가이드 홈(250)의 단면은 원호를 형성하게 되어 모서리진 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생선과 같은 살이 부서지기 쉬운 식재료가 불꽃 가이드 홈(250)에 걸려 뒤집히며 식재료가 불꽃 가이드 홈(250)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회전통(200)의 내부에 모서리진 부분이 발생하지 않아 때가 끼지않아 회전통의 세척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불꽃 가이드 홈(250)이 회전통(200)의 내주면보다 볼록하게 돌출되고 직화홀(400)이 불꽃 가이드 홈(250)에 형성되면 회전통(200)의 내주면과 불꽃 가이드 홈(250)이 높낮이차를 형성하여 식재료의 조리중에 빠져나오는 기름과 같은 이물질이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불꽃 가이드 홈(250)은 회전통(200)의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형성되는데, 불꽃 가이드 홈(25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0)의 입구(210)에서 바닥(220)을 향하는 연속된 직선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반복되는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불꽃 가이드 홈(2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통(200)의 입구(210)에서 바닥(220)을 향해 형성되고 불꽃 가이드 홈(250)의 내부에 직화홀(400)이 형성될 때 직화홀(400)을 구획하는 격벽(260)이 회전통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회전통(200)의 외주면에 직화홀(400)을 구획하는 격벽(260)은 불꽃 가이드 홈(250)의 내부에만 형성되거나 또는 회전통(2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통(200)이 외주면에 직화홀(400)을 구획하는 격벽(260)이 형성되는 것에 따라 회전통(2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는 불꽃이 격벽(260)에 막히면서 불꽃의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불꽃이 직화홀(400)로 유입되기 유리하다.
그리고, 회전통(200)은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요철부(270)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270)는 불꽃 가이드 홈(250)과 평행하게 회전통(200)의 입구(210)에서 바닥(220)을 향해 형성되며, 이때 회전통(200)의 내주면 요철부(270)는 회전통(200)의 내주면 불꽃 가이드 홈(25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전통(200)에 요철부(270)가 형성되면 회전통(200)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불꽃과 회전통(20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회전통(200)의 외주면 요철부(270)가 불꽃 가이드 홈(250)과 같은 불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여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키게 된다.
한편, 동력제공부(300)는 받침대에 설치되어 회전통(200)이 자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제공부(3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 회전판(350), 커넥터(360), 패스너(370)로 구성된다.
케이스(310)는 하단이 받침대의 거치대(130)에 조립되고 내부에 구동모터(320) 및 배터리(330)가 마련되며 상단에 구동모터(320)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버튼(340)이 설치된다.
회전판(350)은 받침대(100)에 장착된 회전통(200)의 바닥(220) 외측면과 마주하는 케이스(310)의 일측에 마련되는데, 회전판(350)은 구동모터(320)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구동모터(320)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회전판(350)은 회전통(20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게 커넥터(360)가 마련되어 회전판(350)과 회전통(200)을 일체적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착탈구조를 갖는다.
커넥터(3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350)과 회전통(200)의 바닥에 마련되는데, 커넥터(360)는 회전통(200)의 바닥(220)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361) 및 회전통(200)에 형성된 다수의 플러그(361)에 상응하게 회전판(350)에 형성되는 소켓(362)으로 구성된다.
이때, 회전판(350)에 형성된 소켓(362)은 회전통(200)의 바닥(220) 외측면에 형성된 플러그(361)의 크기보다 큰 여유 공차를 형성하여 플러그(361)가 소켓(362)에 헐겁게 삽입되도록 하여 동력제공부(300)와 회전통(2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통(200)에 형성된 플러그(361)와 회전판(350)에 형성된 소켓(362)이 원형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게 되어 플러그(361)와 소켓(362)에 가해지는 회전력에 따른 하중을 분산시켜 회전판(350)의 소켓(362)과 회전통(200)의 플러그(36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통(200)의 바닥 외측면에 플러그(361)가 돌출 형성될 때 받침대(100)로부터 분리된 회전통(200)을 싱크대, 식탁과 같은 평탄한 곳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회전통(200)의 바닥 외측면 둘레로 스커트(280)가 형성된다.
이때 스커트(280)는 플러그(361)보다 질게 회전통(200)의 바닥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회전통(200)을 평탄한 곳에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커트(280)가 플러그(361)의 둘레에 형성되어 스커트(280)가 플러그(361)를 보호하여 외력에 의해 플러그(36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패스너(370)는 케이스(310)를 거치대(130)에 견고하게 고정하고, 동력제공부(300)가 무단으로 거치대(13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 패스너(37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크(371) 및 탄성부재(372)로 구성된다.
한 쌍의 후크(371)는 케이스(310)의 양측면에서 제각기 힌지 결합되는데, 이러한 후크(371)는 상단에 사용자의 의해 누름 조작되는 가압부(371a)가 형성되고 하단에 거치대(130)에 형성된 결속 홈(131)에 걸림되는 걸림 턱(371b)이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재(372)는 후크(371)와 케이스(310)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후크(371) 하단이 오므라들게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어 케이스(310)의 하단이 거치대(130)에 삽입될 때 한 쌍의 후크(37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 턱(371b)이 거치대(130)의 결속 홈(131)에 걸림되어 케이스(310)를 거치대(130)에 견고하게 결속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케이스(310)를 거치대(130)로 분리할 때 사용자가 후크(371)의 상단에 형성된 가압부(371a)를 누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후크(371)의 걸림 턱(371b)이 거치대(130)의 결속 홈(131)에서 이탈되어 케이스(310)를 거치대(13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조리기구에 의하면, 식재료를 수납한 회전통(200)에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유입되는 직화홀(400)이 마련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신속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통(200)에 마련된 직화홀(400)이 불꽃 가이드 홈(250)에 형성되어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불꽃 가이드 홈(2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통(200)의 내부를 더욱 신속하게 승온시키게 되어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회전통(200)에 직화홀(400)이 마련되어 불꽃이 직화홀(400)을 통해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회전통(200)의 내부로 유입된 불꽃에 의해 식재료가 직화방식으로 조리되기 때문에 식재료에 불맛을 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 받침대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11 : 가이드홀 112 : 운반핸들
113 : 롤링부 114 : 회전볼
120 : 트레이 장착부 121 : 슬라이딩 홈
130 : 거치대 131 : 결속 홈
200 : 회전통 210 : 입구
220 : 바닥 230 : 수납공간
240 : 손잡이 241 : 스토퍼
250 : 불꽃 가이드 홈 260 : 격벽
270 : 요철부 280 : 스커트
290 : 뚜껑 300 : 동력제공부
310 : 케이스 320 : 구동모터
330 : 배터리 340 : 누름버튼
350 : 회전판 360 : 커넥터
361 : 플러그 362 : 소켓
370 : 패스너 371 : 후크
371a: 가압부 371b : 걸림 턱
372 : 탄성부재 400 : 직화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에 조립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단에 구동모터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에 사용자에 의해 누름 조작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거치대에 형성된 결속 홈에 걸림되는 걸림 턱이 형성된 한 쌍의 후크; 및
    상기 후크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후크 하단이 오므라들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회전통의 바닥 외측면과 마주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판과 회전통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6.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에 조립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단에 구동모터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회전통의 바닥 외측면과 마주하여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회전통의 바닥면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판과 회전통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통의 바닥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원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플러그; 및
    상기 회전통에 형성된 다수의 플러그에 상응하게 상기 회전판에 형성되는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크기보다 큰 여유 공차를 형성하여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에 헐겁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7. 화구에 안착되는 받침대;
    내부에 식재료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식재료가 출입하는 입구가 상향되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에 의해 가열되어 식재료를 조리하는 회전통; 및
    상기 받침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통이 자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제공부는
    하단이 상기 받침대의 거치대에 조립되고 내부에 구동모터 및 배터리가 마련되며 상단에 구동모터의 작동을 단속하는 누름버튼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를 상기 거치대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통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어 불꽃의 이동을 안내하는 불꽃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화구에서 제공되는 불꽃이 상기 수납공간으로 유입되는 직화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높낮이차를 형성하고, 상기 높낮이차를 형성한 불꽃 가이드 홈의 단면은 원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회전통의 입구에서 바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불꽃 가이드 홈은
    상기 직화홀을 구획하는 격벽이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통은
    상기 회전통의 외주면에서 오목하게 함몰되고 내주면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요철부는 상기 회전통의 내주면 불꽃 가이드 홈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조리기구.
KR1020190009622A 2018-10-18 2019-01-25 회전식 조리기구 KR102259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3787 WO2020080903A1 (ko) 2018-10-18 2019-10-18 회전식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73 2018-10-18
KR20180124473 2018-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82A KR20200043882A (ko) 2020-04-28
KR102259170B1 true KR102259170B1 (ko) 2021-06-01

Family

ID=7045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622A KR102259170B1 (ko) 2018-10-18 2019-01-25 회전식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1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96Y1 (ko) * 2005-01-21 2005-04-27 나도은 구이기
KR101814514B1 (ko) 2016-09-28 2018-01-04 (주)에이스플랜트 튀김가루 코팅장치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7731A (ko) * 2010-10-12 2012-04-20 한윤영 숯불구이장치
KR101331289B1 (ko) 2013-05-29 2013-11-20 김인호 드럼식 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896Y1 (ko) * 2005-01-21 2005-04-27 나도은 구이기
KR101814514B1 (ko) 2016-09-28 2018-01-04 (주)에이스플랜트 튀김가루 코팅장치
KR101880865B1 (ko) * 2017-12-04 2018-07-20 최은성 자동으로 회전하며 요리되는 통돌이 오븐 방식의 가스오븐 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882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101582538B1 (ko) 양방향조리기구
ES2534409T3 (es) Aparato para cocinar productos alimenticios
KR20150000117A (ko) 휴대용 가스 겸용 숯불 바베큐 그릴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547264B1 (ko) 휴대용 오븐
KR101226468B1 (ko) 구이 용기
US6213004B1 (en) Portable broiling device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2259170B1 (ko) 회전식 조리기구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JP2011143232A (ja) オリジナル直火式オーブン用本体
KR101117330B1 (ko) 근적외선 전기 오븐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1038837B1 (ko) 측방향 가열 숯불구이기
KR20130002354U (ko) 캡슐형 조리 기구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US8561527B2 (en) Tortilla toaster
KR200479654Y1 (ko) 로스터
KR100845765B1 (ko) 다기능 직화 조리용기
KR102058246B1 (ko) 직화 구이기용 회전 구이틀
TWM565537U (zh) 烤箱裝置及烤盤組合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KR200377597Y1 (ko) 숯불 화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