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07B1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07B1
KR102432107B1 KR1020210042750A KR20210042750A KR102432107B1 KR 102432107 B1 KR102432107 B1 KR 102432107B1 KR 1020210042750 A KR1020210042750 A KR 1020210042750A KR 20210042750 A KR20210042750 A KR 20210042750A KR 102432107 B1 KR102432107 B1 KR 102432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re
foods
lower plate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은 filed Critical 정재은
Priority to KR1020210042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1) 등을 불(2)에 구워 조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하부의 불(2)로부터 가열되고, 불(2)의 직접적인 유입과 열(3)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공(11)을 구비하는 하판(10);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음식물(1) 등의 안착이 가능하고, 유입공(11)으로부터 유입되는 불(2)과 열(3)이 음식물(1) 등을 가열하게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상판(20); 및 상기 하판(10)과 상판(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가열된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1)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기름 성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 등을 안착시켜 높은 열전도율 통해 골고루 익혀 조리가 가능하고, 익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킨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 건강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면서 세척의 용이함과 음식물로 인해 탄 부위를 교체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Grilling plate}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 등을 안착시켜 높은 열전도율 통해 골고루 익혀 조리가 가능하고, 익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킨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 건강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면서 세척의 용이함과 음식물로 인해 탄 부위를 교체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식은 다양한 조리법이 전해지고 있는데 그 중에 육류, 어류 등 다양한 음식물을 불에 구워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법이 있다. 특히 육류와 어류를 불에 구워 조리할 경우 육류와 어류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 때문에 음식물의 맛이 기름져 담백한 맛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기름 성분을 함께 섭취하게 됨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함으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켜 섭취하는 것이 관건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699209호에 따르면, '고기를 굽는 고기 구이면을 구비하는 불판 몸체와, 상기 고기 구이면의 일측에 직선형태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기름 배출구를 구비하는 교체식 불판; 및 상기 교체식 불판을 지지하되 상기 교체식 불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기름 배출구의 하부 영역에 배출되는 기름이 저장되는 기름 저장부가 형성되는 불판 서포팅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불판 서포팅 유닛은, 상기 기름 배출구에 대응되도록 일측에 상기 기름 저장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화기가 중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교체식 불판에 직접 불이 닿을 수 있도록 구성된 유닛 바디; 및 상기 유닛 바디의 하단부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유닛 바디를 지면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는 제1 및 제2브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기름 저장부가 위치되는 상기 제1 브리지의 길이가 반대편인 상기 제2 브리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불판 몸체의 상단부에는 상기 유닛 바디의 상단부에 걸려 지지되는 플랜지부가 상기 교체식 불판과 불판 서포팅 유닛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자형상이 아닌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불판 몸체의 양측에는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손잡이가 마련되며, 상기 불판 서포팅 유닛을 향한 상기 불판 몸체의 바닥에는 불판 몸체가 휘어지지않도록 상기 불판 몸체를 보강하는 보강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불판.'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기불판은 기름 배출구로 기름을 배출 시 하나의 기름 배출구를 통해 음식물이 많을 경우 막혀 기름을 배출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배출된 기름을 보관하는 공간이 좁아 많은 양의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 시 발생되는 기름을 순차적으로 배출하기 어려워 고기의 기름과 불이 맞닿아 불이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고기는 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예로, 한국 등록 특허 제1570035호에 따르면,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화구 둘레의 수용공간으로는 물이 수용되는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 상에 포개어져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개방공 둘레의 기름받이면으로는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이 담기도록 한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탑재되는 불배분 수단; 및 상기 기름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불배분 수단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통은 상기 기름받이통을 지지하는 테두리 림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보충수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고기구이용 불판은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을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모아주는 역할만을 수행함으로 고기를 가열하여 조리 시 발생되는 기름과 불이 맞닿아 불이 커지게 되고 그로 인해 음식물은 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699209호 "고기불판" 한국 등록 특허 제1570035호 "고기구이용 불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 등을 안착시켜 높은 열전도율 통해 골고루 익혀 조리가 가능하고, 익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킨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 건강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면서 세척의 용이함과 음식물로 인해 탄 부위를 교체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 등을 불에 구워 조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하부의 불로부터 가열되고, 불의 직접적인 유입과 열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공을 구비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부에 위치하여 음식물 등의 안착이 가능하고,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불과 열이 음식물 등을 가열하게 관통공을 구비하는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에 가열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기름 성분을 배출하게 하판과 상판에 가열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게 절곡된 형태의 다수개에 유동홈이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어 하판과 상판은 전체적인 형상이 요철 형태로 형성되고, 유동홈은 기름 성분이 일방향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기름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판과 상판은 일체형과 분리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분리형은 하판과 상판 상에 관통되는 고정공과, 하판의 고정공 상에 삽설되는 고정볼트와, 고정볼트 상에 체결되어 고정하면서 상판의 고정공 상에 안착되게 돌부를 갖는 고정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 등을 안착시켜 높은 열전도율 통해 골고루 익혀 조리가 가능하고, 익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킨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 건강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면서 세척의 용이함과 음식물로 인해 탄 부위를 교체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불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1) 등을 불(2)에 구워 조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이용 불판에 관련되며 하판(10), 상판(20), 기름배출수단(3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판(10)은 하부의 불(2)로부터 가열되고, 불(2)의 직접적인 유입과 열(3)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공(11)을 구비한다. 하판(10)은 하부에 형성되어 불(2)에 직접적으로 하부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면서 불(2)과 함께 열(3)이 유입되어 빠른 시간에 전체적으로 골고루 열전달이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다수개의 유입공(11)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상판(20)은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음식물(1) 등의 안착이 가능하고, 유입공(11)으로부터 유입되는 불(2)과 열(3)이 음식물(1) 등을 가열하게 관통공(21)을 구비한다. 상판(20)은 상면에 육류, 어류 등의 음식물(1)을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술한 하판(1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하판(10)으로부터 유입되는 불(2)과 함께 열(3)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되면서 불(2)과 함께 열(3)이 음식물(1)에 직접적으로 맞닿아 조리 가능하도록 관통공(21)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하판(10)과 상판(20)은 일체형(50a)과 분리형(50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하판(10)과 상판(20)은 일체형(50a)과 분리형(50b)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일체형(50a)에 경우 하판(10) 상에 상판(20)이 별도의 용접 등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분리형(50b)에 경우 하판(10)과 상판(20)은 각각 개별적으로 형성하여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1)을 구울 시 상판(20)의 상면이 타게 되면 상판(20) 만을 교체하여 연속적으로 음식물(1)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50b)은 하판(10)과 상판(20) 상에 관통되는 고정공(51)과, 하판(10)의 고정공(51) 상에 삽설되는 고정볼트(52)와, 고정볼트(52) 상에 체결되어 고정하면서 상판(20)의 고정공(51) 상에 안착되게 돌부(54)를 갖는 고정너트(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분리형(50b)은 하판(10)과 상판(20)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고, 하판(10)과 상판(20)에 각각 고정공(51)이 서로 일치되도록 관통 형성되어 하판(10)에 형성된 고정공(51)에 고정볼트(52)가 삽설된 상태에서 고정너트(53)를 통해 체결하게 되면, 하판(10) 상에 고정볼트(52)가 고정너트(53)를 체결한 상태로 고정너트(53)에 형성된 돌부(54)가 상판(20)의 고정공(51)에 삽설되어 지지하게 된다. 이로써, 상판(20)의 교체가 원활하도록 하면서 서로 면밀한 고정이 가능함으로 사용의 용이함이 발생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기름배출수단(30)은 상기 하판(10)과 상판(20)에 가열된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1)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기름 성분을 배출한다. 기름배출수단(30)은 하판(10)과 상판(20) 상에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육류, 어류 등의 음식물(1)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름배출수단(30)은 하판(10)과 상판(20)에 가열된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1)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게 절곡된 형태의 다수개에 유동홈(31)이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어 하판(10)과 상판(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름배출수단(30)은 하판(10)과 상판(20)의 전체적인 형상이 요철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수개의 유동홈(31)이 서로 평행되도록 형성되어 상판(20)에 안착되는 음식물(1)에서 흘러내리는 기름 성분이 상판(20)의 유동홈(31)을 따라 흐르게 되고, 상판(20)의 유동홈(31)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을 통해 하부로 낙하하면서 하판(10)의 유동홈(31)으로 흘러내리게 되고, 하판(10)의 유동홈(31)을 통해 상판(20)과 하판(10)으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름배출수단(30)의 유동홈(31)은 기름 성분이 일방향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름배출수단(30)의 유동홈(31)은 상판(20)과 하판(10) 상에 형성되어 육류, 어류 등의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되는데 이러한 기름 성분의 배출이 더욱 면밀하게 실행되게 일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기름 성분이 기울어진 유동홈(31)을 따라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유동홈(31)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기름 성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지만, 상판(20)과 하판(10)의 전체적인 형상이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하여 기름 성분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육류, 어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 등을 안착시켜 높은 열전도율 통해 골고루 익혀 조리가 가능하고, 익힌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과 분리시킨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깔끔하면서 건강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일체형과 분리형으로 나뉘어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면서 세척의 용이함과 음식물로 인해 탄 부위를 교체하여 안전한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음식물 2: 불
3: 열 10: 하판
11: 유입공 20: 상판
21: 관통공 30: 기름배출수단
31: 유동홈 50a: 일체형
50b: 분리형 51: 고정공
52: 고정볼트 53: 고정너트
54: 돌부

Claims (5)

  1. 다양한 음식물(1)을 불(2)에 구워 조리가 가능하게 형성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하부의 불(2)로부터 가열되고, 불(2)의 직접적인 유입과 열(3)의 유입이 가능하게 유입공(11)을 구비하는 하판(10);
    상기 하판(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음식물(1)의 안착이 가능하고, 유입공(11)으로부터 유입되는 불(2)과 열(3)이 음식물(1)을 가열하게 관통공(21)을 구비하는 상판(20); 및
    상기 하판(10)과 상판(20)에 가열된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1)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기름 성분을 배출하게 하판(10)과 상판(20)에 가열된 음식물(1)로부터 발생되는 기름 성분을 음식물(1)과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동시키게 절곡된 형태의 다수개에 유동홈(31)이 서로 평행되게 형성되어 하판(10)과 상판(20)은 전체적인 형상이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되고, 유동홈(31)은 기름 성분이 일방향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게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기름배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판(10)과 상판(20)은 일체형(50a)과 분리형(50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분리형(50b)은 하판(10)과 상판(20) 상에 관통되는 고정공(51)과, 하판(10)의 고정공(51) 상에 삽설되는 고정볼트(52)와, 고정볼트(52) 상에 체결되어 고정하면서 상판(20)의 고정공(51) 상에 안착되게 돌부(54)를 갖는 고정너트(5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42750A 2021-04-01 2021-04-01 구이용 불판 KR102432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50A KR102432107B1 (ko) 2021-04-01 2021-04-01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750A KR102432107B1 (ko) 2021-04-01 2021-04-01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2107B1 true KR102432107B1 (ko) 2022-08-11

Family

ID=8280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750A KR102432107B1 (ko) 2021-04-01 2021-04-01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0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260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시작차 조립용 로케이션 지그
JP2003265327A (ja) * 2002-03-14 2003-09-24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200433479Y1 (ko) * 2006-09-30 2006-12-11 신명철 직화 구이 석쇠
KR101299119B1 (ko) * 2013-01-25 2013-08-21 최은성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0733Y1 (ko) * 2013-10-18 2014-01-07 이승철 석쇠
KR101570035B1 (ko) 2015-10-01 2015-11-1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101699209B1 (ko) 2016-10-06 2017-01-24 하태경 고기불판
KR20180105543A (ko) * 2017-03-15 2018-09-28 김나영 구이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260A (ko) * 1996-12-30 1998-09-25 박병재 시작차 조립용 로케이션 지그
JP2003265327A (ja) * 2002-03-14 2003-09-24 Hitachi Hometec Ltd 加熱調理器
KR200433479Y1 (ko) * 2006-09-30 2006-12-11 신명철 직화 구이 석쇠
KR101299119B1 (ko) * 2013-01-25 2013-08-21 최은성 기름유도용 구이판을 갖는 훈제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70733Y1 (ko) * 2013-10-18 2014-01-07 이승철 석쇠
KR101570035B1 (ko) 2015-10-01 2015-11-1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101699209B1 (ko) 2016-10-06 2017-01-24 하태경 고기불판
KR20180105543A (ko) * 2017-03-15 2018-09-28 김나영 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343B1 (en) Barbecue grill grate
US3443510A (en) Gravy saver barbecue devic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JP2009291622A (ja) 簡便調理器
KR200433024Y1 (ko) 기름 배출 수단이 구비된 숯불구이판
KR20100108874A (ko) 화염이 직접 고기에 닿지 않는 이중 직화식 구이판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421281Y1 (ko) 분리형 숯불구이 불판
KR101479097B1 (ko) 기름 배출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20110006479U (ko) 직화열 유도식 오븐기
KR200465936Y1 (ko)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KR100937955B1 (ko) 간편 조리기
KR100956115B1 (ko) 간편 조리기
KR20030091080A (ko) 직화구이기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20190113168A (ko) 구이팬
KR20120041387A (ko) 고기구이판
KR101814933B1 (ko) 바비큐 구이기용 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바비큐 구이기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496732Y1 (ko) 이동식 구이판이 포함된 구이장치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