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538B1 - 양방향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양방향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538B1
KR101582538B1 KR1020140042835A KR20140042835A KR101582538B1 KR 101582538 B1 KR101582538 B1 KR 101582538B1 KR 1020140042835 A KR1020140042835 A KR 1020140042835A KR 20140042835 A KR20140042835 A KR 20140042835A KR 101582538 B1 KR101582538 B1 KR 10158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element
lower heating
plate
upper heating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416A (ko
Inventor
유창호
Original Assignee
유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창호 filed Critical 유창호
Priority to KR102014004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5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4/00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 A47J44/02Multi-purpose machines for preparing food with several driving units with provisions for drive either from top or from bottom, e.g. for separately-driven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판의 상하에 발열등이 구비되는 양방향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발열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먼 거리에 식재료를 올려놓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조리의 편의성과 사용상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양방향조리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양방향조리기구는,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방향조리기구는, 상부발열체가 스텐드형 책상조명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수저의 진입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조리판이 회전하기 때문에 제자리에서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부발열체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분해, 조립, 이동,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양방향조리기구{Two-way Cookware}
본 발명은 조리판의 상하에 발열등이 구비되는 양방향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모두 조리판의 상하에 발열등이 구비되는 양방향조리기구로써, 양방향조리기구는 일방향조리기구와 달리 식재료를 뒤집지 않고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은 공통으로 상부발열체가 원형 또는 사각형태로 구성되고, 지주가 하부발열체의 중심 또는 일 측에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우선 상부발열체가 원형 또는 사각형태로 구성되어 마치 프라이팬을 뒤집어 놓은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부발열체가 차지하는 부피가 상당하여 거추장스러움은 물론 수저의 진입공간이 좁고, 위치한 자리에서 조리판의 먼 거리는 식재료를 올려놓기가 상당히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시 또는 사용 후 일일이 지주와 상부발열체를 조립 또는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지부 및 상부발열체가 차지하는 부피로 인해 이동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915292호, 국내실용신안공보 제20-0469933호,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833966호,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90017682호.
본 발명은 상부발열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먼 거리에 식재료를 올려놓지 않아도 되도록 하며, 조리의 편의성과 사용상 취급이 용이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방향조리기구에 있어, 하부발열체의 일 측에 "ㄱ"형태로 되는 상부발열체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의 표면에 조리판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상부발열체가 스텐드형 책상조명등과 같은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수저의 진입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고, 조리판이 회전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제자리에서 식재료를 올려놓을 수 있으며, 상부발열체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분해, 조립, 이동, 보관, 등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과열방지수단의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높낮이조정수단의 상세도
도 7은 도 6의 작동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접힘수단의 상세도
도 9는 도 8의 작동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조리판의 또 다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 등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도1 내지 도4와 같이, 하부발열체(1)는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롤러(11)와 모터(121)가 구비된 구동기어(12)의 상부를 돌출하고, 그 상면에 저 부의 외주 둘레로 피동기어(131) 형성된 원형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그 조리판(13)의 저 부에 상부가 개방된 반사판(14)의 내부로 히팅용 발열등(15)을 장치하여 조리판(13)이 발열되도록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저 부에 일 측으로 수납되도록 기름받이(16)를 구성하며, 상기 기름받이(16)는 조리판(13)의 중앙에 기름배출공(130)을 형성시켜 그 저 부를 기름받이(16)까지 연통공(17)을 형성하여서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부발열체(2)는 하부발열체(1)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결장착되는 지주부(21)와, 그 지주부(21)의 상부에서 조리판(13)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지주부(21)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헤드부(22)로 구성하여 그 헤드부(22)의 내부에 저 부가 개방된 반사판(23)의 내부로 히팅용 발열등(24)을 구성하며, 상기 반사판(23) 및 발열등(24)은 헤드부(22)의 내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대(25)를 구비하고, 그 지지대(25)의 양측단에 장착판(26)을 장착하며, 상기 지지대(25)의 저 부 및 양측단의 장착판(26) 사이로 반사판(23)과 다수의 결속구(27)를 장착하며, 상기 결속구(27)에 발열등(15)을 장착하고, 그 발열등(15)의 저 부에는 안전그릴(28)이 장치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상부발열체(2)의 외면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는 과열방지수단(3)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 과열방지수단(3)은, 도5와 같이, 하부발열체(1)의 내부 일 측에 송풍팬(31)을 장치하여 출구(32)를 형성하고, 그 출구(32)와 연결되도록 상부발열체(2)의 지주부(21) 일 측에 입구(33)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33)로부터 상부발열체(2)의 반사판(23) 외면이 연통되도록 상부발열체(2)의 내부에 통로(34)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발열체(2)의 반사판(23) 외면에는 반사판(23)으로부터 이격공간(35)을 두고 내화소재로 되는 내열판(36)을 장치하며, 그 내열판(36)에 다수의 급기공(361)을 형성하여서, 상기 송풍팬(31)에 의해 강제공급되는 급기가 통로(34)를 따라 내열판(36)의 급기공(361)을 통해 이격공간(35)의 저 부로 배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은, 내열판(36)의 부가로 반사판(23)으로부터 상부발열체(2)의 외면으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1차적으로 대부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송풍팬(31)에 의한 강제 급기로 과열을 2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배기방향이 저 부를 향하므로 이격공간(35)의 패열을 히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렇게 과열방지수단(3)이 구비되면, 부주의에 의한 상부발열체(2) 외면의 접촉으로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우려를 방지할 수 있음으로 안전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발열체(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정수단(4)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조정수단(4)은 도7과 같이 상부발열체(2)의 지주부(21)를 하부지주(41)와 상부지주(42)로 분기하여 상부지주(42)가 하부지주(41)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지주(41)의 내부에는 양측 주벽에 수직으로 다수의 볼홈(411)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주(42)의 외면에는 양측으로 볼(421)이 돌출되도록 내부에 스프링(422)을 탄설하여서, 상기 볼(421)이 볼홈(411)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은, 볼(421)이 볼홈(411)에 탄설됨으로써, 별개의 조임 레버 또는 걸림 핀 없이 상하로 가해지는 힘만으로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렇게 높낮이조정수단(4)이 구비되면, 도 8과 같이, 상부 발열등(24)을 조리판(13)에 가깝거나 멀어지게 하여 발열등(24)의 세기를 높이지 않고도 강약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섭취시 수저의 접근공간을 더욱 넓힐 수 있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부발열체(2)가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접힘수단(5)이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 접힘수단(5)은 도8과 같이 하부발열체(1)의 일 측과 상부발열체(2)의 일 측의 연결을, 상부발열체(2)의 지주 일 측에 확장턱(510)을 가진 축부(51)를 돌출형성하고, 그 축부(51)의 외면을 씌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요홈(5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52)의 내주면 일 측과 그 90도의 회전각에 각각 볼홈(521)을 형성하며, 상기 축부(51)의 일 측에 볼(511)이 돌출되도록 내부에 스프링(512)을 탄설하여서, 상기 볼(511)이 볼홈(521)에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의 구성은, 볼(511)이 볼홈(521)에 탄설됨으로써, 별개의 조임 레버 또는 걸림 핀 없이 축부(51)의 회전방향으로 가해지는 힘만으로 수직 또는 수평 자세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렇게 접힘수단(5)이 구비되면, 도9와 같이 조립 및 분해가 불필요해지고, 이동 및 보관이 더욱 용이해지며, 전기렌지와 같이 냄비와 같은 조리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하부발열체(1)는 도1, 도2, 도7과 같이, 상부발열체(2)가 세워졌을 때 그 하부의 일 측면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턱(53)을 구성하고, 상부발열체(2)가 눕혀졌을 때 그 일 측면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54)을 구성함을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은, 하부발열체(1)로부터 상부발열체(2)를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수평으로 눕혀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하부발열체(1) 및 상부발열체(2)의 발열등(15,24)은 적외선램프로 구성되고, 조리판(13)은 유리로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 적외선램프는 석영관의 내부에 코일형 필라멘트가 삽입된 채 할로겐가스를 밀봉하여 만든 할로겐램프, 또는 석영관의 내부에 탄소섬유를 필라멘트로 사용하는 카본히터, 또는 발열필라멘트를 세라믹에 둘러쌓거나 세라믹에 에너지를 직접 가하여 세라믹으로부터 흑체방출을 유도케 하는 세라믹히터 중 어느 하나로 하면 되고, 유리는 고온 및 온도변화에 적응이 우수한 내열유리 또는 강화유리로 하면 된다.
이렇게 발열등(15,24)은 적외선램프, 조리판(13)은 유리로 구성되면, 조리판(13)의 열기만으로 식재료를 조리하는 것과는 달리, 유리를 관통하는 적외선램프의 복사열로 식재료에 포함된 수분과 반응하여 발열하면서 겉과 속을 동시에 익힐 수 있음으로, 식재료의 겉이 타거나, 조리판(13)에 들러붙거나, 연기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 도 10과 같이 유리로 되는 조리판(13)의 표면에는 볼록한 렌즈형 돌기(6)가 다수 구성됨을 포함한다.
상기의 볼록렌즈형 돌기(6)는, 적외선램프의 빛을 모아 상부로 집광시킬 수 있음으로 식재료를 더욱 빨리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서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하부발열체(1) 롤러(11)
구동기어(12) 모터(121)
조리판(13) 기름배출공(130)
피동기어(131) 반사판(14)
발열등(15) 기름받이(16)
상부발열체(2) 지주부(21)
헤드부(22) 반사판(23)
발열등(24) 지지대(25)
장착판(26) 결속구(27)
안전그릴(28) 송풍팬(31)
출구(32) 입구(33)
통로(34) 이격공간(35)
내열판(36) 급기공(361)
하부지주(41) 볼홈(411)
상부지주(42) 볼(421)
스프링(422) 축부(51)
확장턱(510) 볼(511)
스프링(512) 요홈(52)
볼홈(521) 돌출턱(53)
받침턱(54) 돌기(6)
조작레버(1a) 결합커버(2a)

Claims (7)

  1.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하부발열체(1)는 표면에 원주방향으로 다수의 롤러(11)와 모터(121)가 구비된 구동기어(12)의 상부를 돌출하고, 그 상면에 저 부의 외주 둘레로 피동기어(131) 형성된 원형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그 조리판(13)의 저 부에 상부가 개방된 반사판(14)의 내부로 히팅용 발열등(15)을 장치하여 조리판(13)이 발열되도록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저 부에 일 측으로 수납되도록 기름받이(16)를 구성하며, 상기 기름받이(16)는 조리판(13)의 중앙에 기름배출공(130)을 형성시켜 그 저 부를 기름받이(16)까지 연통공(17)을 형성하여서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발열체(2)는 하부발열체(1)의 일 측으로부터 수직으로 연결장착되는 지주부(21)와, 그 지주부(21)의 상부에서 조리판(13)의 중심을 가로지르도록 지주부(21)가 수평으로 연결되는 헤드부(22)로 구성하여 그 헤드부(22)의 내부에 저 부가 개방된 반사판(23)의 내부로 히팅용 발열등(24)을 구성하며, 상기 반사판(23) 및 발열등(24)은 헤드부(22)의 내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지대(25)를 구비하고, 그 지지대(25)의 양측단에 장착판(26)을 장착하며, 상기 지지대(25)의 저부 및 양측단의 장착판(26) 사이로 반사판(23)과 다수의 결속구(27)를 장착하며, 상기 결속구(27)에 발열등(15)을 장착하고, 그 발열등(15)의 저 부에는 안전그릴(28)이 장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2.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발열체(2)는 외면이 과열되지 않도록 하는 과열방지수단(3)이 더 구성되며,
    상기 과열방지수단(3)은 하부발열체(1)의 내부 일 측에 송풍팬(31)을 장치하여 출구(32)를 형성하고, 그 출구(32)와 연결되도록 상부발열체(2)의 지주부(21) 일 측에 입구(33)를 형성하며, 상기 입구(33)로부터 상부발열체(2)의 반사판(23) 외면이 연통되도록 상부발열체(2)의 내부에 통로(34)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발열체(2)의 반사판(23) 외면에는 반사판(23)으로부터 이격공간(35)을 두고 내화소재로 되는 내열판(36)을 장치하며, 그 내열판(36)에 다수의 급기공(361)을 형성하여서, 상기 송풍팬(31)에 의해 강제공급되는 급기가 통로(34)를 따라 내열판(36)의 급기공(361)을 통해 이격공간(35)의 저 부로 배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3.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발열체(2)는 하부발열체(1)로부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조정수단(4)이 더 구성되며,
    상기 높낮이조정수단(4)은 상부발열체(2)의 지주부(21)를 하부지주(41)와 상부지주(42)로 분기하여 상부지주(42)가 하부지주(41)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지주(41)의 내부에는 양측 주벽에 수직으로 다수의 볼홈(411)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지주(42)의 외면에는 양측으로 볼(421)이 돌출되도록 내부에 스프링(422)을 탄설하여서, 상기 볼(421)이 볼홈(4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4.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ㄱ"형태가 되도록 상부발열체(2)를 구성하고, 하부발열체(1)의 표면에 조리판(13)을 안착하여 회전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상부발열체(2)는 하부발열체(1)로부터 수평으로 눕혀질 수 있도록 하는 접힘수단(5)이 더 구성되며,
    상기 접힘수단(5)은 하부발열체(1)의 일 측과 상부발열체(2)의 일 측의 연결을, 상부발열체(2)의 지주 일 측에 확장턱(510)을 가진 축부(51)를 돌출형성하고, 그 축부(51)의 외면을 씌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발열체(1)의 일 측에 요홈(52)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52)의 내주면 일 측과 그 90도의 회전각에 각각 볼홈(521)을 형성하며, 상기 축부(51)의 일 측에 볼(521)이 돌출되도록 내부에 스프링(512)을 탄설하여서, 상기 볼(511)이 볼홈(521)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며, 상부발열체(2)가 세워졌을 때 그 하부의 일 측면을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돌출턱(53)을 구성하고, 상부발열체(2)가 눕혀졌을 때 그 일 측면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발열체(1) 및 상부발열체(2)의 발열등(15,24)은 적외선램프로 구성되고, 조리판(13)은 유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리로 되는 조리판(13)의 표면에는 볼록한 렌즈형 돌기(6)가 다수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조리기구.
  7. 삭제
KR1020140042835A 2014-04-10 2014-04-10 양방향조리기구 KR10158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35A KR101582538B1 (ko) 2014-04-10 2014-04-10 양방향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35A KR101582538B1 (ko) 2014-04-10 2014-04-10 양방향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16A KR20150117416A (ko) 2015-10-20
KR101582538B1 true KR101582538B1 (ko) 2016-01-07

Family

ID=5439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835A KR101582538B1 (ko) 2014-04-10 2014-04-10 양방향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5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98B1 (ko) * 2016-05-27 2017-03-29 (주)헤움 구이기의 높이조절장치
KR101829240B1 (ko) 2016-12-27 2018-02-14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다기능 가열 조리기
KR20180080077A (ko) * 2017-01-03 2018-07-11 지앙키 루오 지지 암 방열구조가 개량된 요리기기
KR20180080078A (ko) * 2017-01-03 2018-07-11 지앙키 루오 버너 방열구조를 구비한 요리기기
KR101963544B1 (ko) * 2018-11-26 2019-03-28 이춘근 휴대용 직화 구이기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952A (zh) * 2019-05-08 2019-08-23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锅体支撑结构、锅体装置和炒菜机
KR102199327B1 (ko) 2019-11-11 2021-01-06 이근원 에어커튼식 조리용 가열기구 테이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74Y1 (ko) * 2005-05-25 2005-08-17 조영익 육류구이장치
KR100833966B1 (ko) 2008-01-18 2008-05-30 이진희 적외선 가열 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292B1 (ko) 2009-05-19 2009-09-03 이진희 개량 양방향 가열 조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74Y1 (ko) * 2005-05-25 2005-08-17 조영익 육류구이장치
KR100833966B1 (ko) 2008-01-18 2008-05-30 이진희 적외선 가열 조리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898B1 (ko) * 2016-05-27 2017-03-29 (주)헤움 구이기의 높이조절장치
KR101829240B1 (ko) 2016-12-27 2018-02-14 주식회사 신영트레이딩 다기능 가열 조리기
KR20180080077A (ko) * 2017-01-03 2018-07-11 지앙키 루오 지지 암 방열구조가 개량된 요리기기
KR20180080078A (ko) * 2017-01-03 2018-07-11 지앙키 루오 버너 방열구조를 구비한 요리기기
KR102000918B1 (ko) * 2018-02-13 2019-07-17 주식회사 모닝아트 무연후드 기능을 갖춘 상부가열식 구이기
KR101963544B1 (ko) * 2018-11-26 2019-03-28 이춘근 휴대용 직화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416A (ko)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538B1 (ko) 양방향조리기구
JP5975179B2 (ja) 焼き器
JP5462937B2 (ja) 改良両方向加熱調理器
KR101444863B1 (ko) 전기 구이기
JP6467509B2 (ja) 双方向加熱調理器
JP3200403U (ja) 赤外線加熱調理器
KR101184999B1 (ko) 휴대용 숯불구이 로스터그릴
KR101426439B1 (ko) 가열 조리기
KR101270181B1 (ko) 다목적 전기 구이기
TWM426739U (en) Reflection type heat reservation furnace
WO2015160179A1 (ko) 상부발열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열 조리기
KR101183938B1 (ko) 다목적 전기 직화 구이기
KR100505831B1 (ko) 휴대용 조리기구
KR101530589B1 (ko) 안전 전기로스터
KR101780387B1 (ko) 숯가스 발생 장치
JP4371591B2 (ja) コンロ
JP7441974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102104393B1 (ko) 회전 구이기
KR200478216Y1 (ko) 전선 고정 수단이 구비된 가열 조리기
KR101861601B1 (ko) 다기능 조리용기
KR101303107B1 (ko) 전기 로스터
KR200492414Y1 (ko) 전기 구이용 화로
KR200471446Y1 (ko) 로스터의 상부 열원체 좌우 이동 장치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