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5571B1 - 직화 조리기 - Google Patents

직화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5571B1
KR101045571B1 KR1020090061544A KR20090061544A KR101045571B1 KR 101045571 B1 KR101045571 B1 KR 101045571B1 KR 1020090061544 A KR1020090061544 A KR 1020090061544A KR 20090061544 A KR20090061544 A KR 20090061544A KR 101045571 B1 KR101045571 B1 KR 101045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late
inlet
heat inlet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1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982A (ko
Inventor
이현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피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피콜
Priority to KR1020090061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5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47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 A47J37/0652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gas burners with refl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열통구를 통해 올라오는 화염을 구이판 위로 골고루 안내하면서 비산하는 기름이 열통구 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우산 역할을 하는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염의 안내 높이를 조절 가능한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직화 조리기{direct fire cooker}
본 발명은 열통구를 통해 올라오는 화염을 구이판 위로 골고루 안내하면서 비산하는 기름이 열통구 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우산 역할을 하는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염의 안내 높이를 조절 가능한 직화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종래 직화 조리기로서, 예컨대 한국특허등록(제10-086918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직화 조리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열통구(12)가 관통 형성되며 이 열통구(12)의 둘레에 받침대(11)가 직립 내설되는 낮은 홈(14)을 구비한 기름받이(10)와, 중앙에 부착구멍(32)이 뚫려지며 외측 테두리 영역을 따라 기름배출구(31)가 등간격으로 타공되어 상기 받침대(11) 위에 세팅되는 구이판(30)과, 상기 기름받이(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부착구멍(32)에 결합되어 가열장치의 열기를 유도하면서 상승 통과시키는 열유입관(20)과, 상기 구이판(30)에 씌워지는 반구형 뚜껑(60)으로 구성하여 있다.
그런데, 열유입관(20)을 경유하여 유입된 화염이 보다 적극적으로 조리물(70)에 가해질 수 있도록 순환 대류되어야 하는데 뚜껑(60)의 구조상 미흡함이 있고, 아울러 뚜껑(60)을 사용치 않을 경우 구이판(30)의 부착구멍(32)을 통하여 화염이 불필요하게 상승되어 조리물(70)의 다양한 구이를 실현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직화 조리기로서, 한국등록특허(제10-086918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종래 다른 직화 조리기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통구(12)의 주위로 낮은 홈(14)을 구비한 기름받이(10)와, 상기 기름받이(10) 위에 세팅되어 상기 열통구(12)를 경유한 화염을 유입시키는 열유입구(32)를 구비한 구이판(30)과, 상기 구이판(30)에 씌워지는 반구형 뚜껑(60)과, 상기 뚜껑(60)의 천정에 조립된 반사판(80)과, 상기 열유입구(32)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된 돌출 테두리(32b)에 착탈 가능하게 씌워지는 캡(90)을 포함한다.
열유입구(32)를 경유한 화염을 분수형으로 회절 복사 대류 순환시키는 반사판(80)에 의해 조리물(70)을 입체적으로 고르게 구울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리시간의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름받이(10)의 열통구(12)로부터 유입된 화염이 캡(90)의 상면(91)에 부딪히면서 하향식 화염통로(92a)를 경유하여 샤워형태로 낙하 통과될 수 있도록 하여 구이판(30)의 전도열에 의해 익혀지던 조리물(70)이 샤워식 화염을 함께 받아 구워질 수 있게 되어 기름의 부분적 일소는 물론이거니와 더욱 맛있는 조리를 가능 케 할 수 있다.
그러나, 반사판(80)이 뚜껑(60)에 조립됨으로써, 뚜껑(60) 청소 시 반사판(80)에 의해 방해받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
또한, 반사판(80)이 뚜껑(60)에 조립됨으로써, 열유입관(20)과 반사판(80)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져서 직화열과 복사열의 중간 정도의 열로서 다운되어 에너지 손실을 준다.
또한, 반사판(80)이 뚜껑(60)에 조립됨으로써, 뚜껑(60)에 열이 전도되어 에너지 손실이 더 크게 된다.
한편, 뚜껑(60)의 가장자리 내측이 구이판(30)의 가장지리 외측을 감싸도록 덮여지기 때문에, 뚜껑(60)과 구이판(30) 사이로 비산하는 기름이 누출될 우려가 크고, 기름이 누출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뜨거운 기름받이에 묻어 반응하여 심한 연기가 난다.
다른 한편, 열유입관(20)은 열유입구(32)에 돌기(32a)와 라인홈(21)의 구성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고, 구이판(30) 청소시 열유입관(20)을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반사판(80)이 뚜껑(60)에 고정되어 있어, 조리물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요리가 잘 안 되고, 너무 가까이에 있으면 그 부분을 태우는 경향이 있어 오히려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애물단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화열의 유입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리물의 크기에 따라 맛았게 구울 수 있는 직화 조리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바닥에 열통구가 형성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에 놓이며 열유입구가 형성되는 구이판; 상기 열통구의 열을 상기 열유입구로 안내하는 열안내관; 상기 구이판을 덮는 뚜껑; 상기 열유입구의 상면을 커버링하면서 유입되는 열을 상기 구이판으로 안내하는 안내커버부재; 상기 열유입구에 대해 상기 안내커버부재를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안내커버부재가 열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직화열을 바로 구이판으로 전달할 수 있고,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유입되는 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맛있게 조리 가능하며, 뚜껑에 달려 있지 않아 뚜껑의 청소가 용이하고 뚜껑으로의 열전달이 휠씬 줄어든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상기 안내커버부재는 위쪽이 볼록한 원호판과, 일단은 상기 열유입구에 끼워 지고 타단은 상기 원호판을 지지하는 기둥관과, 상기 기둥관에 형성되는 열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열유입구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기둥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기둥관의 열유입구로의 설치가 쉽고, 기둥관의 높이만큼 열유출구가 구이판의 상면보다 높은데 위치하여 구이물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구이판 전체로의 열분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나사부와 가동 암나사부의 간단한 승강 구조로 인해 성형이 쉽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직화 조리기는,
상기 안내커버부재는 위쪽이 볼록한 원호판과, 상기 원호판을 상기 열유입구에 지지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열유입구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안내커버부재가 열유입구 측에 배치되어 안내커버부재와 구이판 사이의 간극이 좁혀져 유입되는 직화열을 바로 구이판으로 전달할 수 있고, 뚜껑에 달려 있지 않아 뚜껑의 청소가 용이하고 뚜껑으로의 열전달이 휠씬 줄어든다.
또한, 안내커버부재의 승강 조절로 인해,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유입 되는 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조리물을 태우지 않고 맛있는 요리를 한다.
또한, 열유입구에 기둥관을 꼽기만 하면 지지되어 설치가 쉽고, 기둥관의 높이만큼 열유출구가 구이판의 상면(특히 구이물의 위쪽)보다 높은데 위치하여 구이물에 방해받지 않으면서 구이판 전체로의 열분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 수나사부와 가동 암나사부의 간단한 승강 구조로 인해 성형이 쉽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기름받이와 구이판을 결합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안내뚜껑만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직화 조리기(100)는 기름받이(110)와, 기름받이(110)에 놓이는 구이판(130)과, 기름받이(110)와 구이판(130)의 열통로를 구성하는 열안내관(120)과, 구이판(130)을 덮는 뚜껑(160)과, 구이판(130)에 배치 설치되는 안내커버부재(180)로 구성하여 있다.
기름받이(110)는 바닥(111), 바닥(111)에서 위로 연장되는 외측벽(115), 바닥(111)의 중심에 형성되는 열통구(112)가 형성되는 내측벽(113)으로 구성하여 있 다.
내측벽(113)과 외측벽(115) 사이에는 기름을 받는 평탄하거나 오목한 기름받이홈(114)을 구성한다.
내측벽(113)의 높이는 기름받는 양에 따라 정해지지만 외측벽(115)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벽(115)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후술된 기름배출공(131)과 외부와의 순환 통로의 역할을 한다.
구이판(130)의 중심에는 열통구(112)의 열을 유입되는 열유입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구이판(130)의 열유입구(132)와 가장자리 사이에는 기름받이홈(114)으로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공(13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 기름배출공(131)이 있는 위치에 조리물이 올려져 요리된다.
또한, 구이판(130)의 가장자리에는 뚜껑(160)의 하단가장자리(164)가 안착되는 안착턱(134)과, 외측벽(115)의 상단테두리에 걸쳐 지지되는 걸림지지턱(136)이 절곡 형성되는 측벽(133)을 갖는다.
따라서, 뚜껑(160)이 구이판(130)의 측벽(133)에 안착되고, 걸림지지턱(136)이 기름받이(110)의 상부를 커버링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비산하는 기름이 기름받이(110) 쪽으로 누출되지 않아 조리 환경이 매우 좋다. 즉 기름이 뜨거운 기름받이(110)에 묻어 연기 나지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이판(130)의 위쪽으로 열을 안내 분산시키면서 열 유입구(132)로 비산 기름이 빠져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안내커버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즉, 안내커버부재(180)는 원호 형상의 원호판(181)과, 열유입구(132)와 원호판(181) 사이에 개재되는 기둥관(186)으로 구성하여 있다.
원호판(181)은 기둥관(186)에서 유출되는 화염을 조리물(70) 위로 바로 안내하여 구이판(130) 상면 전체에 뿌려주는 기능을 하여 직화효율을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원호판(181)은 기둥관(186)에 형성되거나 기둥관(186)과 원호판(181) 사이에 형성되는 열유출구(187)를 가리는 역할을 하여, 화염은 열유출구(187)를 통해 구이판(130)으로 유동하는 반면에, 비산기름은 우산형태의 원호판(181)에 의해 열유출구(187)에서 열통구(112)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 안내커버부재(180)의 구성에 의해서, 조리물을 향해 바로 화염을 안내 분산시키면서도 비산기름의 열통구(112)로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둥관(186)의 하단 내주면이 열유입구(132)의 외주면에 끼우면 바로 설치되기 때문에 장착이 간편하다.
또한, 원호판(181)이 기둥관(186)에 있어, 뚜껑(160)의 내주면이 간소화되어 청소가 편리하다.
열유출구(187)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관(186)의 상단에 절개홈으로 구현하고 있지만, 관통공으로 구현하여도 좋다.
원호판(181)과 기둥관(186)의 결합구조는 용접, 나사 결합, 브라켓 등을 이 용하여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할 것이다.
또한, 열유입구(132)에 대해 안내커버부재(180)를 승강하는 승강부재(1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부재(190)는 열유입구(132)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91)와, 기둥관(186)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나사부(191)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93)로 구성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기둥관(186) 또는 원호판(181)을 돌리면, 정지한 수나사부(191)에 대해 암나사부(193)가 상하로 이송된다.
따라서,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원호판(181)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어서, 직화열을 조리물에 알맞게 보내어 맛있는 요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틱 형태의 스페이서(286)을 사용한 안내커버부재(280)가 사용되어도 좋다.
즉, 스틱 형태의 스페이서(286) 2개 이상의 상단을 원호판(181)의 내측에 용접이나 체결 등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스페이서(286)의 하단을 열유입구(132)에 끼워서 장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열유입구(132)의 높이가 낮아 비산기름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는 경우 열유입구(132)의 높이를 구이판(130)의 걸림지지턱(136)의 높이 또는 그 이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페이서(286)와 스페이서(286) 사이가 열유출구(287)의 기능을 간단히 행한다.
마찬가지로, 열유입구(132)에 대해 안내커버부재(280)를 승강하는 승강부재(29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승강부재(290)는 열유입구(132)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91)와, 스페이서(286)의 내측에 형성되어 수나사부(191)에 체결되는 암나사부(293)로 구성하여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스페이서(286) 또는 원호판(181)을 돌리면, 정지한 수나사부(191)에 대해 암나사부(293)가 상하로 이송된다.
따라서, 조리물의 크기(높이)에 따라 원호판(181)의 높이도 조절할 수 있어서, 직화열을 조리물에 알맞게 보내어 맛있는 요리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열안내관(120)은 기름받이(110)의 내측벽(113)에서 연장 형성되는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 일체형 열안내관(120)의 구성에 따라서, 체결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불필요하고, 구이판(130)의 형상이 간소화되어 청소가 편리하다.
또한, 열안내관(120)은 수렴되는 형상의 제1열안내관(121) 및 제2열안내관(125)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이판(130)의 열유입구(132)가 좁은 것이 구이물을 놓을 수 있는 면적을 넓히기 때문에, 열유입구(132)의 직경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열안내관(120)을 수렴형태로 하면, 많은 열원이 넓은 열통구로 유입되고, 상대적으로 좁은 열유입구로 들어오기 때문에 열효율 대비 조리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닥(111)의 일정 넓이를 확보해야 하는 측면에서 열통구(112)의 넓이도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열원으로부터 들어오는 화염이 열통구(112)로 수렴한 후 열안내관(120)을 통과하는 화염(도 9의 실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보조열통구(123)을 통과하는 화염(도 9의 점선)을 받아들여 열원의 손실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직화열로 조리하는 조리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뚜껑을 제거한 상태의 또다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직화 조리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기름받이와 구이판을 결합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안내뚜껑만 분리한 사시도.
도 9는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커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주요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직화조리기 110 : 기름받이
111 : 바닥 112 : 열통구
113 : 내측벽 114 : 기름받이홈
115 : 외측벽 116 : 상단테두리
117 : 순환관통공 120 : 열안내관(수렴관)
121 : 제1열안내관 123 : 보조열통구
125 : 제2열안내관 130 : 구이판
131 : 기름배출공 132 : 열유입구
134 : 뚜껑안착턱 136 : 걸림지지턱
160 : 뚜껑 180,280 : 안내커버부재
181 : 원호판 186 : 기둥관
187,287 : 열유출구 190,290 : 승강부재
191 : 수나사부 193,293 : 암나사부
286 : 스페이서

Claims (3)

  1. 바닥에 열통구가 형성되는 기름받이;
    상기 기름받이에 놓이며 열유입구가 형성되는 구이판;
    상기 열통구의 열을 상기 열유입구로 안내하는 열안내관;
    상기 구이판을 덮는 뚜껑;
    상기 열유입구의 상면을 커버링하면서 유입되는 열을 상기 구이판으로 안내하는 안내커버부재;
    상기 열유입구에 대해 상기 안내커버부재를 승강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직화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부재는 위쪽이 볼록한 원호판과, 일단은 상기 열유입구에 끼워지고 타단은 상기 원호판을 지지하는 기둥관과, 상기 기둥관에 형성되는 열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열유입구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기둥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직화 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부재는 위쪽이 볼록한 원호판과, 상기 원호판을 상기 열유입구에 지지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열유입구의 외측에 형성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스페이서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직화 조리기.
KR1020090061544A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KR101045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44A KR101045571B1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1544A KR101045571B1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82A KR20110003982A (ko) 2011-01-13
KR101045571B1 true KR101045571B1 (ko) 2011-06-30

Family

ID=43611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1544A KR101045571B1 (ko) 2009-07-07 2009-07-07 직화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45B1 (ko) * 2012-04-06 2014-04-04 김영식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2334355B1 (ko) * 2020-08-10 2021-12-02 강용중 불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31A (ko) * 1999-09-06 2001-04-06 옥재섭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20080003992U (ko) * 2007-03-16 2008-09-19 김운채 숯불구이기
KR20090065484A (ko) * 2009-04-21 2009-06-22 이연옥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431A (ko) * 1999-09-06 2001-04-06 옥재섭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20080003992U (ko) * 2007-03-16 2008-09-19 김운채 숯불구이기
KR20090065484A (ko) * 2009-04-21 2009-06-22 이연옥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982A (ko) 201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640B2 (en) Portable cooking system
RU2386085C2 (ru) Варочная поверхность с оптимизирован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пламени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20080099416A (ko) 간편 조리기
WO2012087041A2 (ko) 오븐 조리기
JP2014171857A (ja) 電気焼き器
KR101045571B1 (ko) 직화 조리기
US20110168033A1 (en) Body arrangemen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direct-broiling cooker
KR101430340B1 (ko) 냄새 저감형 양면 팬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WO2010131838A2 (ko) 직화 조리기
KR20100123005A (ko) 직화 조리기
KR100937958B1 (ko) 간편 조리기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110092771A (ko) 직화 오븐
KR100973193B1 (ko) 직화 오븐
KR20100123006A (ko) 직화 조리기
KR20100131082A (ko) 직화 조리기
KR20110003984A (ko) 직화 조리기
KR20110015726A (ko) 조리뚜껑 및 이를 이용한 직화 조리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101012038B1 (ko) 기름받이 어셈블리 및 오리지널 직화 오븐
KR101073460B1 (ko) 직화 오븐
ES2906389T3 (es) Dispositivo de parrilla con suministro de aire presuriz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