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55B1 - 불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불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55B1
KR102334355B1 KR1020200100075A KR20200100075A KR102334355B1 KR 102334355 B1 KR102334355 B1 KR 102334355B1 KR 1020200100075 A KR1020200100075 A KR 1020200100075A KR 20200100075 A KR20200100075 A KR 20200100075A KR 102334355 B1 KR102334355 B1 KR 102334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plate
fire
burner
plate assembly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용중
Original Assignee
강용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용중 filed Critical 강용중
Priority to KR102020010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88Broilers with vertically disposed heat sources and food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구조 내부에 황토층이 내장된 불판, 상기 불판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직화구가 형성된 굴뚝 형상의 열분산분배기, 상기 열분산분배기와 연통되는 내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불판이 안착되며, 상기 내통부는 상기 불판 하부와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기를 공급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불판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불판 조립체 {GRILL ASSEMBLY}
본 발명은 불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토가 내장된 이중 구조의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분산분배기를 통해 온도 유지 기능 및 열 분산분배 기능이 향상된 불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불판은 중앙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기름이 유출되게 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불판 또는 다수의 살이 엇갈리게 배치된 석쇠형태의 불판 및 하부에 물 또는 기름 등이 수용되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불판 등의 다양한 형태의 불판이 있다.
종래 납작한 장방형 형태의 주철제 불판은 두께가 얇고 높이가 낮아서 그 바닥면을 버너나 레인지로 가열하면 쉽게 달아올라 고기가 잘 구워지지만, 너무 뜨거운 상태에서 고기가 구워지는 관계로 고기가 다 익기도 전에 불판 바닥에 눌어붙거나 표면이 까맣게 그을리는 일이 많았다.
테프론이 코팅된 불판의 경우에는 표면에 고기가 눌어붙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지만 이 역시 단순히 열만 가하기 때문에 고기 맛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테프론 코팅 불판은 사용기간 경과에 따라 인체에 유해한 코팅이 벗겨져 인체에 해를 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시 코팅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어 세척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고 내구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세라믹 불판의 경우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고기 맛을 좋게 하는 장점이 있기는 반면, 표면 조직이 극도로 치밀하고 매끄러워 구워지는 과정에서 고기에서 배어 나오는 기름이 불판 표면에 그대로 남아 끓거나 연소되기 때문에 기름이 끓어 주변으로 튀어 옷을 버리거나 데이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연소될 때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로 상당한 불쾌감을 초래하였으며 옷에 기름 냄새가 배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이 단일 판상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화기의 조절이 어렵고 과열이 되는 경우 육류가 타버리거나 눌어붙는 상황이 발생되어 불판을 수시로 바꿔주어야 하는 문제점과, 다 구워진 육류 등이 타지 않게 별도의 접시에 올려두거나 반찬접시 등에 모아 두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28896호 (2018.02.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가 내장된 이중 구조의 불판 및 상기 불판의 중앙부에 장착된 열분산분배기를 통해 온도 유지 기능 및 열 분산분배 기능이 향상된 불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구조 내부에 황토층이 내장된 불판, 상기 불판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직화구가 형성된 굴뚝 형상의 열분산분배기, 상기 열분산분배기와 연통되는 내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불판이 안착되며, 상기 내통부는 상기 불판 하부와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기를 공급하는 버너를 포함하는, 불판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판 상부에서 상기 불판과 상기 열분산분배기를 모두 덮을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부의 둘레를 따라 빗살 형상의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내부 공간(S)으로 화기를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상부 둘레는 상기 열분산분배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버너의 하부에 접철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분산분배기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직화구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붕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7mm 내지 10mm 두께로 압축 성형되고, 500℃ 내지 700℃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불판에 황토층이 내장되어 있어 육류의 조리가 최상의 온도로 조절되도록 하고, 불판 상의 구이 대상물이 타지 않아 연기나 미세기름이 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황토층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고기의 육질을 더 부드럽게 하고, 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며, 육즙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불판 상부와 덮개 사이 공간에서 열분산분배기의 직화구를 통해 열이 와류 하면서 구이 대상물이 빨리 조리될 수 있으며, 미세기름 연기가 직화 불의 와류 현상으로 다시 태워지므로 냄새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에 구비된 내통부로 인해 열원의 화기가 굴뚝 효과로 열분산분배기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외부의 바람을 차단하여 불판의 온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내통부와 불판 하부면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S) 및 내통부 둘레를 따라 형성된 빗살 형상의 개구부로 인해, 열원의 화기가 내부 공간(S)을 와류하면서 불판의 온도를 고루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 불판, 열분산분배기 및 덮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및 열분산분배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 및 버너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 불판, 열분산분배기 및 덮개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및 열분산분배기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 및 버너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통의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불판 조립체(1000)는 불판(100), 열분산분배기(200), 외통(300) 및 버너(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불판 조립체(1000)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구조 내부에 황토층(111)이 내장된 불판(100), 상기 불판(100)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직화구(211)가 형성된 굴뚝 형상의 열분산분배기(200), 상기 열분산분배기(200)와 연통되는 내통부(310)가 구비되고, 상기 불판(100)이 안착되며, 상기 내통부(310)는 상기 불판(100) 하부와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S)을 형성하는 외통(300) 및 상기 외통(300)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기를 공급하는 버너(400)를 포함한다.
불판(100)은 상부에 올려진 육류, 마늘, 양파, 버섯류 등의 구이 대상물이 구워지는 역할을 하며, 원판 또는 다각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불판(100)은 구이 대상물이 구워지고 황토층(111)이 내장된 구이부(110) 및 상기 구이부(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외통에 안착되는 안착부(120)를 구비한다.
불판(100)은 다이캐스팅(die casting) 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주조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불판(100)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시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중 구조 사이에 압축 성형된 황토층(111)이 내장되도록 주조될 수 있다. 다만, 불판(100) 재료는 알루미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불판으로 이용될 수 있는 재료는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때, 황토층(111)은 상기 이중 구조 내에서 7mm 내지 10mm 두께로 압축 성형되고, 약 500℃ 내지 700℃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황토층(111)은 가열면인 불판(100) 상부면의 온도를 170℃ 내지 240℃로 유지시켜 육류의 조리가 최상의 온도로 조절되도록 하고, 불판(100) 상의 구이 대상물이 타지 않아 연기나 미세기름이 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황토층(111)은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고기의 육질을 더 부드럽게 하고, 고기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며, 육즙을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열분산분배기(200)는 상기 불판(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열원의 화기가 상기 불판(100) 상부로 전달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의 굴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분산분배기(200)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직화구(211)가 형성된 몸통부(210) 및 상기 몸통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붕(22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붕(220)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2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직화구(211)는 상기 열분산분배기(200)의 상단에서 화기가 배출되는 통공이 복수 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지붕(220)의 밑면을 통해 상기 불판(100)의 넓은 면적으로 화기가 전달되게 한다.
또한, 불판(100) 상부에 후술하는 덮개(500)가 덮어지면, 화기가 상기 불판(100)과 덮개(500) 사이에서 와류하면서 구이 대상물을 직접 불에 구운 것과 같은 효과를 내어 육류 특유의 냄새를 태우고 고기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불판(100) 상부와 덮개(500) 사이 공간에서 열분산분배기(200)의 직화구(211)를 통해 열이 와류 하면서 구이 대상물이 빨리 조리될 수 있으며, 미세기름 연기가 직화불의 와류 현상으로 다시 태워지므로 냄새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외통(3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불판(100)의 테두리와 상기 외통(300)의 테두리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통(300)의 테두리에는 받침부(320)가 형성되며, 불판(100)의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부(320)에 안착되는 안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320)에는 기름 구멍(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름 구멍(321)은 안착부(120)에 형성된 기름 구멍(미도시)과 연통될 수 있다.
한편, 외통(300)은 열분산분배기(200)의 하부와 연통되는 내통부(310)가 구비되고, 내통부(310)의 상부 둘레는 상기 열분산분배기(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내통부(310)는 상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열원의 화기가 굴뚝 효과로 인해 상기 열분산분배기(200)로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외부의 바람을 차단하여 불판(100)의 온도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내통부(310)는 상기 불판(100) 하부면과의 사이에서 내부 공간(S)을 형성한다. 또한, 내통부(310)는 상기 내통부(310)의 둘레를 따라 빗살 형상의 개구부(311)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내통부(310)는 상기 개구부(311)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S)으로 화기를 유입시킨다. 이로써, 열원의 화기가 상기 내부 공간(S)을 와류하면서 상기 불판(100)으로 고루 전달될 수 있다.
버너(400)는 상기 외통(300) 하부에 구비되어 화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너(400)는 상기 외통(300)과 일체형으로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버너(400)는 하부에 접철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410)가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개의 접이식 다리부(410)가 버너(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버너(410)는 다리부(4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41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411)는 상기 다리부(410)에 일렬로 형성된 복수의 조절 구멍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높이 조절부(411)는 상기 다리부(41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특정 조절 구멍에 고정 돌기가 끼움 결합됨에 따라 높이가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일부 다리부(410)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기 불판(100)에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기름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야외에서 지면이 평탄하지 않는 곳에서도 다리부(410) 높이를 조절하여 불판(100)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불판 조립체(1000)는 상기 불판(100) 상부에서 상기 불판(100)과 상기 열분산분배기(200)를 모두 덮을 수 있는 덮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500)는 외통(300)의 상부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통(300)의 상부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덮개(500) 하부는 덮개(500) 상부와 더불어 열원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덮개(500) 하부는 상기 불판(100)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뜨거워지게 되어, 상기 불판(100)에서 구워지는 구이 대상물에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덮개(500) 상부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덮개(500)를 들어 올리거나, 상기 외통(300)에 내려 놓을 수 있게 손잡이부(510)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500)에는 상기 불판(100)을 덮는 경우 상기 불판(100)에서 구워지는 구이 대상물이 보일 수 있게 유리재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52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투명창(520)은 내부의 불판(100) 및 열원에서 방출된 화기에 의해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덮개(500) 상부는 상기 덮개(500)에 의해 불판(100)과 외통(300)이 완전히 밀폐되었을 시 내부압력이 급속히 증가하지 않게, 일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통기공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덮개(500)에 의해 열원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모두 배출되지 않고 상기 덮개(500)의 내부에서 와류함으로써, 상기 불판(100)에서 구워지는 구이 대상물이 보다 많은 열을 전달받아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불판 조립체
100 불판
110 구이부
120 안착부
200 열분산분배기
210 몸통부
220 지붕
300 외통
310 내통부
320 받침부
400 버너
410 다리부
500 덮개
510 손잡이부
520 투명창

Claims (7)

  1. 이중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구조 내부에 황토층이 내장된 불판;
    상기 불판의 중앙부에 구비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직화구가 형성된 굴뚝 형상의 열분산분배기;
    상기 열분산분배기와 연통되는 내통부가 구비되고, 상기 불판이 안착되며, 상기 내통부는 상기 불판 하부와의 사이에서 밀폐된 내부 공간(S)을 형성하는 외통; 및
    상기 외통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기를 공급하는 버너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내통부의 둘레를 따라 빗살 형상의 개구부가 적어도 하나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내부 공간(S)으로 화기를 유입시키고,
    상기 내통부의 상부 둘레는 상기 열분산분배기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불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 상부에서 상기 불판과 상기 열분산분배기를 모두 덮을 수 있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는,
    상기 버너의 하부에 접철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바닥에 지지되는 복수의 다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다리부에는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산분배기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상기 직화구가 형성된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지붕을 구비하고,
    상기 지붕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층은,
    7mm 내지 10mm 두께로 압축 성형되고, 500℃ 내지 700℃에서 구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조립체.
KR1020200100075A 2020-08-10 2020-08-10 불판 조립체 KR102334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75A KR102334355B1 (ko) 2020-08-10 2020-08-10 불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075A KR102334355B1 (ko) 2020-08-10 2020-08-10 불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55B1 true KR102334355B1 (ko) 2021-12-02

Family

ID=78866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075A KR102334355B1 (ko) 2020-08-10 2020-08-10 불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13B1 (ko)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432A (en) * 1966-06-22 1968-06-04 Roy W. Hanson Barbeque grill
JPH04197321A (ja) * 1990-11-29 1992-07-16 Kunio Shibazaki 両面加熱調理器
KR20060083394A (ko) * 2006-06-19 2006-07-20 백봉기 이중구조 불판 및 그 제작방법
KR20110002207A (ko) * 2009-07-01 2011-01-07 (주)재성인더스트리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10003982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조리기
KR20150110111A (ko) * 2014-03-24 2015-10-02 조창우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KR101828896B1 (ko)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6432A (en) * 1966-06-22 1968-06-04 Roy W. Hanson Barbeque grill
JPH04197321A (ja) * 1990-11-29 1992-07-16 Kunio Shibazaki 両面加熱調理器
KR20060083394A (ko) * 2006-06-19 2006-07-20 백봉기 이중구조 불판 및 그 제작방법
KR20110002207A (ko) * 2009-07-01 2011-01-07 (주)재성인더스트리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10003982A (ko) * 2009-07-07 2011-01-13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조리기
KR20150110111A (ko) * 2014-03-24 2015-10-02 조창우 높이조절이 가능한 다리를 구비한 구이기
KR101828896B1 (ko)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213B1 (ko) 2023-09-04 2024-04-12 박지훈 화기 확산 방지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80099416A (ko) 간편 조리기
KR100737354B1 (ko) 오븐
KR102334355B1 (ko) 불판 조립체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101482500B1 (ko)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10002207A (ko) 숯과 가스를 열원으로 사용가능한 고기구이기
KR20110046002A (ko) 구이용 불판
KR102389711B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2292222B1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1146933B1 (ko) 간편 조리기
KR102543463B1 (ko) 구이기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JP2003210332A (ja) 加熱料理用装置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JP6748752B1 (ja) 輻射鍋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90127849A (ko) 간편 조리기
KR100384951B1 (ko) 고기 구이 장치
JPH0719391Y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