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6002A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6002A
KR20110046002A KR1020090102799A KR20090102799A KR20110046002A KR 20110046002 A KR20110046002 A KR 20110046002A KR 1020090102799 A KR1020090102799 A KR 1020090102799A KR 20090102799 A KR20090102799 A KR 20090102799A KR 20110046002 A KR20110046002 A KR 20110046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asting
fire
auxiliary
roa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5662B1 (ko
Inventor
최윤찬
Original Assignee
(주)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밴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0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56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름유출공이 구비된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용되는 받침판을 구비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취식자가 하나의 불판에서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하며, 불판에서 구이대상물을 굽거나, 구이대상물의 온기가 유지되게 거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보조 구이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불판, 구이용 불판, 구이판, 받침판, 보조 구이판, 이중 불판

Description

구이용 불판{Grill for roast}
본 발명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육류등을 굽는 불판의 상부로 보조 불판을 더 구비하게 하여 하나의 불판에서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넓게 제공되는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불판은 중앙이 볼록하게 만곡되고 기름이 유출되게 통공이 형성된 원판형태의 불판 또는 다수의 살이 엇갈리게 배치된 석쇠형태의 불판 및 하부에 물 또는 기름등이 수용되는 받침대가 구비되는 불판 등의 다양한 형태의 불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불판은 하나의 불판에 구울 수 있는 구이대상물의 양이 한정되어 있어, 다수의 취식자가 동시에 육류등을 취식하는 경우 다수의 불판이 구비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다수의 불판이 구비됨에 따라 다수의 열원도 구비되어 불판을 가열하여야 함으로 열원의 사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불판이 단일 판상의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화기의 조절이 어렵고 과열이 되는 경우 육류가 타버리거나 눌어붙는 상황이 발생되어 불판을 수시로 바꿔주어야 하는 문제점과, 다 구워진 육류 등이 타지 않게 별도의 접시에 올려두 거나 반찬접시 등에 모아 두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때, 육류등과 함께 마늘, 양파, 채소 등을 육류 등에 곁들여 구워 먹는 경우 불판의 틈으로 채소류가 빠져버려 취식이 곤란하게 되거나, 고열에 의해 겉표면만 타버리는 상황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식당 등에서 비교적 많이 사용되는 불판으로 육류 등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수용되는 받침대가 구비된 불판의 경우 하부의 열원에 의해 육류에서 유출된 기름이 가열되어 연기를 발생시키거나,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을 앉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통상적인 종래의 불판이 특정한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은 아니나 육류 등을 굽는 중에는 불판을 회전시키지 못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불판의 상부를 가로질러 육류 등을 뒤집거나 잘라야 함에 따라 옷의 소매부분에 기름등이 튀거나 묻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불판의 상부에 보조 불판이 더 형성된 이중 구조의 불판이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의 이중 불판의 경우 대개 상부의 보조 불판의 화기를 조절하지 못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한번 가열이 되어버린 경우에는 화기의 조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던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취식자가 하나의 불판에서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하며, 불판에서 구이대상물을 굽거나, 구이대상물의 온기가 유지되게 거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구이대상물이 구워지게 보조 불판이 구비되고, 열원의 화기가 통과되는 통로가 구비되어 열원의 화기가 보조 불판을 직접적으로 가열되게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불판이 가열되는 온도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판의 하부를 가열하는 열원의 화기가 불판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대상물을 굽는 중에 발생된 기름이 열원에 접촉되거나 열원에 의해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식자가 불판을 회전시켜 원하는 위치의 구이대상물을 취식할 수 있게 되는 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름유출공이 구비된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용되는 받침판을 구비하는 구이용 불판 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상부에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보조 구이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조 구이판은, 상기 구이판 하부의 열원에서 발생된 화기가 상기 구이판에 상하가 관통되게 형성된 끼움부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구이판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조 구이판은, 하부의 고정돌기가 상기 끼움부의 걸림홈에 결합되며, 열원의 화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통로가 형성된 연로와, 상기 연로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보조 구이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연로에는, 상기 연로를 통과하는 화기를 조절하는 열량조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량조절부는, 상기 연로의 내측 벽에 양 단이 삽입되는 축부재와, 상기 축부재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부를 회동되게 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판은, 내부 중앙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돌출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연로에 열원의 화기가 전달되게 하는 화기 배출구와, 상기 화기 배출구의 단차진 면에 형성되어 열원에서 발생된 화기가 상기 구이판의 하단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하는 화기 배출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받침판은, 상기 받침판의 저부에 고인 기름이 상기 화기 배출공에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름방지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름방지벽에는, 하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통과공이 더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불판에서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편안하게 구워 먹을 수 있게 불판의 상부에 보조 불판을 구비함으로써, 취식자가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취식하기 위해 다수의 불판과 다수의 열원을 구비하지 않고도 하나의 불판에서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취식하게 되어 불판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함께 열원이 적게 구비됨에 따라 에너지가 절약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불판이 열원의 화기에 의해 직접적으로 가열되게 함으로써, 열원의 화기가 소실되지 않고 보조 불판에 효율적으로 전달되는 효과와, 다수의 취식자가 구이대상물을 신속하게 구워서 취식할 수 있게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조 불판이 가열되는 온도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보조 불판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에 따라서 온도를 조절하여 구이대상물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도록 하며, 또한 취식자의 필요에 따라서 구이대상물을 원하는 상태로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판의 하부를 가열하는 열원의 화기가 불판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함으로써, 불판의 특정 부분만 급속도로 가열되지 않게 하고, 불판에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게 하여 구이대상물이 타거나 눌어붙지 않게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이대상물에서 발생된 기름이 열원에 접촉되거나 열원에 의해 가열되지 않게 함으로써, 기름이 열원에 의해 연기가 발생되거나, 화재가 발생되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판을 회전되어 취식자가 원하는 위치의 구이대상물을 취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먼 거리의 취식자가 구워진 육류를 취식하기 위해 불판을 가로질러 손을 뻗어 육류를 집거나, 육류 등을 굽는 중에 옷의 소매 등으로 육류의 기름이 튀는 상황이 방지되는 효과와 함께 앉은 자세에서 비교적 근거리의 육류를 편안하게 취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조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구이판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름유출공(51)이 구비된 구이판(50)과, 상기 구이판(50)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용되는 받침판(60)을 구비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하나의 불판에서 다량의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하며, 불판에서 구이대상물을 굽거나, 구이대상물의 온기가 유지되게 거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판(50)의 상부에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보조 구이판(10)이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전술된 구이대상물은 육류, 생선류, 마늘, 양파, 버섯류 등의 불판이 나 그릴등에 구워 먹을 수 있는 음식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구이판(50)은 원판 또는 다각판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이대상물의 기름이 테두리로 흘러 넘치지 않게 상기 구이판(50)의 중앙에서 테두리의 사이가 소정각도 낮아지게 함몰된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이판은 만곡된 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기름유출공(51)을 통해 구이대상물의 기름이 빠져나가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이판(50)은 상부에 상기 보조 구이판(10)이 결합되게 끼움부(5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52)는 상기 구이판(50)을 상하로 관통되게 통기공이 형성되고, 통기공의 테두리가 상부로 소정높이 연장되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끼움부(52)의 측면에 통상적인 돌기와 같은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게 걸림홈(53)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판(50)에 구울 수 있는 구이대상물의 양이 한정됨에 따라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는 공간이 더 확보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판(50)의 상부에 결합되어 이중의 불판구조를 가지게 하는 보조 구이판(10)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구이판(10)은, 상기 구이판(50)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이판(50)을 가열하는 열원의 화기가 상기 구이판(50)의 끼움부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가열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열원의 화기가 상기 보조 구이판(10)에 직접 전달되게 하고, 상기 보조 구이판(10)의 상부에서 다양한 구이대상물이 구워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구이판(10)은 상기 구이판(50)에 결합되는 연로(20) 와 상기 연로(20)의 상단에 형성된 판상의 보조 구이부(30)로 형성된다.
상기 연로(20)는 상기 끼움부(52)를 통과하는 열원의 화기가 상기 연로(20)를 따라 상부로 전달되는 통로가 형성된 것으로,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 구이판(10)은 열원의 화기를 직접적으로 전달받아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로(20)의 하부가 상기 구이판(50)의 끼움부(52)에 끼워지면서 상기 보조 구이판(10)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로(2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돌기(21)는 상기 끼움부(52)의 걸림홈(53)에 체결되어, 상기 보조 구이판(10)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로(20)의 고정돌기(21)는 상기 보조 구이판(10)에 외부의 충격이나, 상기 보조 구이판(10)에 잦은 접촉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보조 구이판(10)이 전도되거나 이탈되지 않게 되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로(20)는 상기 보조 구이부(30)에 보다 많은 화기가 전달되게 하기 위하여 화기 대류홈(2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기 대류홈(22)은 상기 연로(20)의 상단에서 화기가 배출되는 통공이 다수 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보조 구이부(30)의 밑면으로 화기가 배출되게 하여 보조 구이부(30)의 넓은 면적에 화기가 전달되게 하여 상기 보조 구이부(30)가 신속하게 가열되게 한다. 이때, 상기 화기 대류홈(22)을 통해 배출된 화기는 상기 구이판(50)의 상단에 구이대상물에도 전달되어 상기 구이판(50)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 또한 신속하게 구워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연로(20)의 상단에 육류 등과 마늘, 양파, 채소류와 같은 구이대상물을 구워서 취식할 수 있게 보조 구이부(3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조 구이부(30)는 상기 연로(20)의 상단에서 상기 보조 구이부(30)의 중앙에 마늘, 양파, 채소류 등을 구울 수 있게 구이홈(31)이 형성되고, 상기 구이홈(31)에서 상기 보조 구이부(30)의 테두리로 연장되게 구이대상물 등을 구울수 있게 판상의 공간이 구비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보조 구이부(30)의 테두리에는 구이대상물의 기름이 상기 보조 구이판(10)의 하부로 흐르지 않게 소정 깊이를 가지는 기름홈(32)이 형성되어, 구이대상물의 기름을 수용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보조 구이부(30)는 육류 등을 구울 수 있는 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되게 하는 조건과 함께 마늘, 양파 등의 구이대상물을 종류에 따라 분리하여 구울 수 있는 조건도 가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량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개폐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7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본 발명은 상기 보조 구이부(30)에 전달되는 열원의 화기를 취식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연로(20)에는, 상기 연로(20)를 통과하는 화기를 조절하는 열량조절부(40)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열량조절부(40)는, 연장된 축의 형태로 양 끝단이 상기 연로의 내측 벽에 삽입되게 형성되는 축부재(41)와, 상기 축부재(4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고 상기 연로(20)의 내측에서 기밀이 유지되게 상기 축부재(41)에서 상기 연로(20)의 내 측벽에 연장되게 형성된 날개부(42)와, 상기 날개부(42)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부(42)를 회동되게 하는 개폐부(4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43)는 상기 축부재(41)의 하부에서 상기 축부재에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로(20)의 내부를 가로지르게 연장된다. 더불어, 상기 개폐부(43)의 일단은 상기 연로(20)의 외부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어 취식자가 개폐부(43)를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43)는 취식자가 개폐부(43)를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날개부(42)의 하단을 밀어내어 상기 날개부(42)가 개방되거나 차폐되게 하는 개폐돌기(44)가 더 형성된다. 상기 개폐돌기(44)는 상기 개폐부(43)의 일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개폐부(43)를 따라 회동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개폐돌기(44)는 각각 다른 길이를 가지고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43)가 회동되어 상기 개폐돌기(44)의 길이만큼 상기 날개부(42)가 개방되거나, 상기 날개부(42)가 차폐되어 상기 보조 구이부(30)로 전달되는 열원의 화기가 조절되어 전달되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열량조절부(40)로 상기 보조 구이부(30)에 전달되는 화기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 구이부(30)를 육류 등을 굽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상기 구이판(50)에서 구워진 육류 등을 상기 보조 구이부(30)에서 온기가 유지되면서 거치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개폐돌기(44)에 의해 개방되거나 차폐되는 날개부(42)의 하단에 상기 개폐돌기(44)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게 날개 고정홈(45)이 형성 되게 하여 상기 날개부(42)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폐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량조절부(40)가 상기 연로(20)의 내측에 형성된 축부재(41)와 상기 축부재(41)에 힌지결합된 날개부(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42)와 상기 축부재(41)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부(42)가 개방되게 하는 굴곡형 개폐부(46)가 단일 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굴곡형 개폐부(46)는 직선으로 형성되지 않고, 굴곡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굴곡형 개폐부(46)가 취식자에 의해 회동되는 경우 상기 굴곡형 개폐부(46)의 굴곡된 축이 상기 날개부(42)의 하단을 지지하여 밀어내게 형성된 것이다. 물론, 상기 굴곡형 개폐부(46)는 상기 날개부(42)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길이만큼 굴곡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굴곡형 개폐부(46)는 별도의 돌기나 연장 축이 형성되지 않고, 단일 축이 굴곡지게 하여 달성되므로, 제조공정이 보다 간소화되게 하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날개 고정홈(45)을 더 형성하여 상기 굴곡형 개폐부(46)의 굴곡된 축이 산입되어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판의 상부에 구이판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받침판(60)은, 상기 구이판(50)에서 유출되는 기름 등이 수용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보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이판(50)의 테두리와 상기 받침판(60)의 테두리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60)에 상기 구이판(50)이 안착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보조 구이판(10)에 화기가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받침판(60)의 내부 중앙에 화기 배출구(61)가 형성된다. 상기 화기 배출구(61)는 상기 받침판(60)의 저부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돌출되며 상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화기 배출구(61)의 개방된 상단은 상기 연로(20) 및 끼움부(52)의 하단에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기 배출구(61)에서 배출되는 열원의 화기가 구이판(50)을 통과하고 상기 연로(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구이부(30)가 가열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이판(50)에 화기가 공급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화기 배출구(61)의 일면에 화기 배출공(6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화기 배출공(62)은 상기 화기 배출구(61)의 단차진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열원의 화기가 상기 구이판(50)의 하단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형성된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받침판(60)의 화기 배출공(62)이 열원에서 배출되는 화기에 의해 가열되므로, 가열된 화기 배출공(62)에 상기 받침판(60)에서 부유하는 기름이 접촉되어 연기가 발생되거나, 화재가 발생되지 않게 기름방지벽(63)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받침판(60)의 저부에 고인 기름이 상기 화기 배출공(62)에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화기 배출공(62)을 둘러싸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판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이 판(50)의 기름유출공(51)에서 떨어진 구이대상물의 기름이 상기 기름방지벽(63)의 외부에 모이도록 형성된다.
이때, 통상적인 불판의 하단에 구비되는 받침수단에는 물 등과 같이 화재의 위험이 없는 액체를 채워두고 사용됨에 따라 상기 받침판(60)의 내부로 상기 기름방지벽(63)의 내,외측에 물을 채워두고 사용함이 더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름방지벽(63)에는, 하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통과공(64)이 더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통과공(64)은 기름과 물이 상기 받침판(60)의 저부에 고인 경우 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중이 적은 기름이 물에 뜨게 되므로, 상기 통과공(64)을 통해 물은 상기 기름방지벽(63)의 내측과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장시간 구이대상물을 굽게되거나, 특히 구이대상물에서 기름의 발생량이 많은 경우에도 취식자는 별도의 조절을 하지 않고도 기름 등이 가열되어 연기가 발생되는 상황이나, 화재의 위험이 방지되는 조건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판(60)은 측면을 따라서 다수 개의 환기공(65)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6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받침판(60)의 밑면에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와 같은 요동 방지부재(66)가 더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60)이 삼발이와 같은 열원의 거치수단 상단에서 움직이거나, 미끄러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구이판(50)이 거치되는 플랜지부(67)의 상단에 다수 개의 돌기부(68)를 구비하여 상기 돌기부(68)가 상기 구이판(50)의 하단을 지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돌기부(68)는 상단이 둥근 형 태로 형성되거나, 뾰족하게 형성되어 상기 구이판(50)과 받침판(60) 간의 마찰이 최소화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68)는 상기 구이판(50)에 작은 힘을 가해져도 상기 구이판(50)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되게 하는 것이다.
도 10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60)의 상부에서 상기 구이판(50)과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모두 덮을 수 있게 덮개부(70)가 더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덮개부(70)는, 상기 받침판(60)의 상부에서 상기 구이판(50)과 상기 보조 구이판(10) 및 상기 받침판(60)을 모두 덮어, 상기 구이판(50) 및 상기 보조 구이판(10)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이 보다 신속하게 구워지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판(6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덮개부(70)가 안착될 수 있게, 통상적인 플랜지의 형태로 상기 덮개부(70)의 하부가 고정되는 홈이 구비된 안착부(69)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덮개부(70)는 상기 받침판(60)에 고정되며, 상,하로 연장된 높이를 가지는 덮개 하부(71)와, 상기 덮개 하부(71)의 상부로 내부의 열이 배출되지 않고 밀폐되게 하는 덮개 상부(72)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덮개 상부(72)의 외측 상단에 사용자가 상기 덮개부(70)를 들어 올리거나, 상기 받침판(60)에 내려 놓을 수 있게 손잡이부(73)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 하부(71)는,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금속 재질의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의 형태로, 상기 받침판(60)의 테두리에 대응되게 하여 상기 안착부(69)에 안 착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 하부(71)는 상기 덮개 상부(72)와 더불어 열원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 하부(71)는, 상기 구이판(50) 또는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가열하는 열원에 의해 뜨거워지게 되어, 상기 구이판(50)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에 복사열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덮개 상부(72)는, 상기 덮개 하부(71)의 상단에서 상기 덮개부(70)가 상기 받침판(60)과 구이판(50) 및 보조 구이판(10)이 밀폐되게 덮어지도록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다각형 또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 상부(72)는, 상기 덮개부(70)로 상기 구이판(50)과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덮은 경우 상기 구이판(50)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이 보일 수 있게 유리재와 같이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물론, 상기 덮개 상부(72)는, 내부의 구이판(50) 및 열원에서 방출된 화기에 의해 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내열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 상부(72)는, 상기 덮개부에 의해 구이판(50)과 받침판(60)이 완전히 밀폐되었을 시 내부의 화기에 의해 내부압력이 급속히 증가하지 않게, 일부의 증기가 배출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통기홈이 하나 또는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덮개 상부(72)와 덮개 하부(71)로 형성된 덮개부(70)에 의해 열원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모두 배출되지 않고 상기 덮개부(70)의 내부에서 대류되게 됨으로써, 상기 구이판(50) 및 상기 보조 구이판(10)에서 구워지는 구이대상물이 보다 많은 열을 전달받아 신속하게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보조 구이판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열량조절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열량조절부의 개폐부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7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열량조절부의 개폐부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받침판의 상부에 구이판만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덮개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조 구이판 20 : 연로
21 : 고정돌기 22 : 화기 대류홈
30 : 보조 구이부 31 : 구이홈
32 : 기름홈 40 : 열량조절부
41 : 축부재 42 : 날개부
43 : 개폐부 44 : 개폐돌기
45 : 날개 고정홈 46 : 굴곡형 개폐부
50 : 구이판 51 : 기름유출공
52 : 끼움부 53 : 걸림홈
60 : 받침판 61 : 화기 배출구
62 : 화기 배출공 63 : 기름방지벽
64 : 통과공 65 : 환기공
66 : 요동 방지부재 67 : 플랜지부
68 : 돌기부 69 : 안착부
70 : 덮개부 71 : 덮개 하부
72 : 덮개 상부 73 : 손잡이부

Claims (9)

  1. 기름유출공(51)이 구비된 구이판(50)과, 상기 구이판(50)에서 떨어진 기름이 수용되는 받침판(60)을 구비하는 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50)의 상부에 구이대상물을 구울 수 있게 보조 구이판(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이판(10)은,
    상기 구이판(50) 하부의 열원에서 발생된 화기가 상기 구이판(50)에 상하가 관통되게 형성된 끼움부(52)를 통과하여,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구이판(10)은,
    하부의 고정돌기(21)가 상기 끼움부(52)의 걸림홈(53)에 결합되며, 열원의 화기가 상부로 전달되는 통로가 형성된 연로(20)와;
    상기 연로(20)의 상단에 결합되는 판상의 보조 구이부(30);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로(20)에는, 상기 연로(20)를 통과하는 화기를 조절하는 열량조절부(4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량조절부(40)는,
    상기 연로(20)의 내측 벽에 양 단이 삽입되는 축부재(41)와;
    상기 축부재(4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는 날개부(42)와;
    상기 날개부(42)의 하단에서 상기 날개부(42)를 회동되게 하는 개폐부(43);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0)은,
    내부 중앙에서 상부로 단차지게 돌출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연로(20)에 열원의 화기가 전달되게 하는 화기 배출구(61)와;
    상기 화기 배출구(61)의 단차진 면에 형성되어 열원에서 발생된 화기가 상기 구이판(50)의 하단에 분산되어 전달되게 하는 화기 배출공(62);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받침판(60)의 상부에서 상기 구이판(50)과 상기 보조 구이판(1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덮개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60)은,
    상기 받침판(60)의 저부에 고인 기름이 상기 화기 배출공(62)에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름방지벽(6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방지벽(63)에는, 하부에서 물이 유동되는 통과공(6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1020090102799A 2009-10-28 2009-10-28 구이용 불판 KR10113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99A KR101135662B1 (ko) 2009-10-28 2009-10-28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99A KR101135662B1 (ko) 2009-10-28 2009-10-28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002A true KR20110046002A (ko) 2011-05-04
KR101135662B1 KR101135662B1 (ko) 2012-04-13

Family

ID=4424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799A KR101135662B1 (ko) 2009-10-28 2009-10-28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5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512A (zh) * 2016-08-15 2016-10-26 薛凯 一种烧烤炉
CN109724077A (zh) * 2017-10-31 2019-05-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火盖及应用该火盖的燃气燃烧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526B1 (ko) * 2017-04-18 2018-01-09 공재철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20240016114A (ko) 2022-07-28 2024-02-06 조영일 맥반석돌판 겸용 고기구이용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270U (ko) * 1997-07-14 1999-02-05 경문수 구이판
KR20060083068A (ko) * 2005-01-15 2006-07-20 조종희 고기구이용 구이판
KR200437859Y1 (ko) * 2007-06-07 2008-01-04 김홍규 구이용 불판
KR20100091388A (ko) * 2009-02-10 2010-08-19 김매사 다층 구이판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7512A (zh) * 2016-08-15 2016-10-26 薛凯 一种烧烤炉
CN106037512B (zh) * 2016-08-15 2018-09-11 薛凯 一种烧烤炉
CN109724077A (zh) * 2017-10-31 2019-05-07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火盖及应用该火盖的燃气燃烧器
CN109724077B (zh) * 2017-10-31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火盖及应用该火盖的燃气燃烧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5662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100813904B1 (ko) 장어로스구이 조리장치
KR101566266B1 (ko) 구이기구
KR101135662B1 (ko) 구이용 불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218026B1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200439439Y1 (ko) 다기능 식품조리기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101337175B1 (ko) 캠핑용 화로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482923Y1 (ko) 기름비산방지구 및 가열판을 구비한 가열장치
KR100482948B1 (ko) 간접가열식 은근이 불판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20190093916A (ko) 구이용 불판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110000683U (ko) 오븐형 직화조리기
KR20030035510A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102050908B1 (ko) 구이팬
KR101251739B1 (ko)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