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526B1 -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 Google Patents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526B1
KR101816526B1 KR1020170049770A KR20170049770A KR101816526B1 KR 101816526 B1 KR101816526 B1 KR 101816526B1 KR 1020170049770 A KR1020170049770 A KR 1020170049770A KR 20170049770 A KR20170049770 A KR 20170049770A KR 101816526 B1 KR101816526 B1 KR 10181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grill
oil
plate
g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재철
Original Assignee
공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재철 filed Critical 공재철
Priority to KR102017004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생선 등의 고기류 또는 야채 등을 전도방식과 직화방식으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기를 보다 맛있게 구워먹을 수 있도록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고, 버너부의 화염의 일부가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전도방식과 직화방식으로 구워 먹도록 이루어진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형의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은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판으로 음식을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판으로 음식을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은 중앙부분으로 기름이 모이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여진 기름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기름배출수단의 기름배출용 홀을 중심으로 하며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버너부의 화염을 직접 전달하는 직화수단을 포함하여, 하부는 가열된 구이판에 의하여 전열방식으로 구워지고 상부는 직화수단에 의하여 직화방식으로 구워지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Protpropen with direct fire}
본 발명은 육류, 생선 등의 고기류 또는 야채 등을 전도방식과 직화방식으로 구워 먹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기를 보다 맛있게 구워먹을 수 있도록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고, 버너부의 화염의 일부가 직접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전도방식과 직화방식으로 구워 먹도록 이루어진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판이라 함은, 하측에 열을 공급하는 가스레인지와 같은 열원으로 가열함으로써 온도를 상승시켜 고기를 굽는 판을 총칭한다.
이러한 구이판은 보통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사용이 된다.
가스레인지의 사용시 기름이 버너부에 유입될 경우에는 기름이 공급된 가스의 연소를 방해하거나, 기름이 연소함으로써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 가스레인지 버너부에 떨어질 경우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써 가스레인지에 사용되는 구이판은 화염을 이용한 직화방식으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종래기술 문헌 중 실용신안공보 실1994-0005358인 조리용기를 갖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와, 등록실용신안 20-0297251인 휴대용 가스레인지에서는 중앙부에 기름을 배출할 수 있는 기름배출구가 구비된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 기름배출구가 버너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고, 배출되는 기름을 저장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서랍형의 기름받이가 구비된 가스레인지의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KR) 실용신안공보 실1994-0005358 (KR) 등록실용신안 20-029725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가스레인지를 이용한 구이판에서 전도와 화염을 이용한 직화방식으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기를 굽는 한편,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을 구비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이시 기름의 튀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빠른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다기능을 구비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가지기 위한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은,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판으로 음식을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구이판은 중앙부분으로 기름이 모이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여진 기름이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기름배출수단의 기름배출용 홀을 중심으로 하며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버너부의 화염을 직접 전달하는 직화수단을 포함하여, 하부는 가열된 구이판에 의하여 전열방식으로 구워지고 상부는 직화수단에 의하여 직화방식으로 구워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배출수단은 구이판 중앙부에 형성된 기름배출용 홀과, 상기 기름배출용 홀과 연통하는 하측면에 형성된 기름배출용 안내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화수단은 구이판 하측면에 형성되어 화염이 유입되는 화염 유입홀과, 상기 화염 유입홀로 유입된 화염이 구이판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화염 배출홀을 가지는 기름배출수단을 중심으로 형성된 다수의 화염안내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이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은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가스레인지 버너부의 화염이 음식에 전달됨으로써 전도방식과 함께 직화방식으로 구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음식을 하측은 가열된 구이판의 전도열로 구워지고, 상측은 직화방식으로 구워짐으로써 열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빠른 구이가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이판은 가스레인지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름배출수단의 기름배출용 안내관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쉽게 반대측의 고기를 앞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직화열 안내판의 상면에는 형성된 오목형태의 보조 조리용 홈에는 조리용 용기가 안착되거나 또는 마늘, 버섯 등의 야채류가 올려질 수 있어, 구이판에 음식를 굽는 동시에 된장찌개류를 데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과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사용상태에 대한 사시 개략도로, 도 1은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이 가스레인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이 가스레인지에 사용하고자 설치하기 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대한 사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요부와 보조화염 안내수단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요부와 보조화염 안내수단에 대한 단면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사용상태와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요부와 보조화염 안내수단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과 보조화염 안내수단에 대한 사시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요부와 보조화염 안내수단에 대한 단면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인 제2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의 사용상태와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인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구이판을 덮는 뚜껑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인 실시 예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에 구이판을 덮는 뚜껑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개략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육류, 어류와 같은 고기 또는 야채를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여 구워먹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이판으로, 가스레인지 화염에 의하여 가열되는 구이판에 의하여 전열(도)방식으로 하부가 구워지도록 하고 상부는 가스레인지 화염이 전달되어 직화방식으로 구워지도록 이루어진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은 받침다리(110)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버너부(120)에 기름배출용 삽입홀(130)이 형성되고, 일측에 서랍형의 기름받이(140)가 구비된 가스레인지(100)에 설치되어 사용되며, 받침다리(110)에 안착된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0) 안정된 상태로 기름배출수단(2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인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은, 중앙부분으로 구이시 발생하는 기름이 모일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구이판(10)과, 상기 구이판(10) 중앙부분에 형성되어 모여진 기름을 하측에 위치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 버너부 중앙을 관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깔데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기름배출수단(20)과, 상기 기름배출수단(20)을 중심으로 하며, 구이시 직화방식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화염을 안내하도록 하는 직화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구이판(10)의 상부면(10a)에는 구이시 발생한 기름이 중앙부분으로 잘 모일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배출수단(20)은 구이판(10) 중앙부에 형성된 기름배출용 홀(21)과, 상기 기름배출용 홀(21)과 연통하는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깔데기 형의 기름배출용 안내관(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름배출용 안내관(22)은 수직형태로 설치되어 버너부(120)를 관통하여 기름배출용 삽입홀(13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버너부(120)를 관통하여 기름배출용 삽입홀(130)에 삽입되는 기름배출용 안내관(22)은 구이판(10)의 회전시 회전축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안정된 상태로 회전을 시킬 수 있다.
상기 직화수단(30)는 구이시 직화방식으로 구워질 수 있도록 버너부(120)의 화염을 구이판(10)의 상부로 안내하는 수단으로써 기름배출수단(20)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화염유입홀(31a)과 화염배출홀(31b)를 가지는 다수의 화염안내관(31)을 포함한다.
상기 화염유입홀(31a)은 버너부(120)의 화염이 유입되는 곳으로 구이판(10) 하부면(10b)에 위치되고, 화염배출홀(31b)은 화염유입홀(31a)로 유입된 화염이 배출되는 곳으로 구이판(10) 상부면(10a)에 위치하며, 구이시 발생한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있다.
이러한 화염안내관(31)의 외주연에는 보조화염안내수단(50)을 지지하도록 하는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구이시 발생한 기름이 기름배출수단(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름이동부(33)를 가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은 버너부(120)의 화염에 의하여 구이판(10)이 가열되어 올려진 음식을 전열(도)의 방식으로 구워지고, 버너부(120)의 일부 화염이 화염안내관(31)을 통해 음식에 전달되어 직화방식으로 구워지게 된다.
즉, 구이판(10)에 올려진 음식의 아래부는 전도의 방식으로 구워지고, 상부는 직화방식으로 구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직화수단(30)의 화염안내관(31)을 통해 안내되는 화염이 효율적으로 음식에 전달되어 직화방식의 구이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보조화염안내수단(5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보조화염안내수단(50)은 직화수단(30)의 다수의 화염안내관(31)에 의하여 지지되어 설치되어, 도 5와 같이 화염안내관(31)을 통해 전달되는 화염을 구이판(10)의 상부면(10a)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보조화염안내수단(50)은 지지대 역할을 하는 관형태로 이루어진 지주관(51)과, 상기 지주관(51) 상측에 형성되는 화염 안내판(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화염 안내판(52)의 중앙부분에는 보조조리용기(7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보조조리용 홈(53)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관(51)은 화염안내관(31)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32)에 걸려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지주관(51)은 도 5와 같이 다수의 화염안내관(31)이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6은 이러한 보조화염안내수단(50)을 포함한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은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화염안내관(31)의 화염배출홀(31b)에서 배출되는 화염을 구이판(10)의 상부면(10a)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보조조리용 홈(53)에 보조조리용기(70)를 안착을 시킨 후 찌깨류 또는 탕류등을 조리하여 함께 먹을 수 있다.
상기 보조조리용 홈(53)에는 보조조리용기(70)를 대신하여 마늘 등과 같은 다른 음식물을 올려 놓고 구워먹을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 4에 나타나 있는 직화수단(30)을 이루는 화염안내관(31)과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 7에 나타나 있는 직화수단(30')을 이루는 화염안내관(31')의 형태는 상이하나 버너부(120)의 화염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형태는 상관이 없다.
보조화염안내수단(50')의 지주관(51) 내측에 다수의 화염안내관(31')이 위치하도록 한 것으로, 지주관(51)의 내부공간(51a)에 화염이 배출되고, 내부공간(51a)에 배출된 화염은 다시 다수의 화염배출구(51b)로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주관(51)의 내부공간(51a)에 화염안내관(31)의 화염배출홀(31b)가 위치할 경우는 화염 안내판(52)을 가열능력이 상승되어 보조조리용 홈(53)을 이용한 보조요리가 쉬워진다.
도 10과 도 11은 구이판(10) 상부를 덮는 뚜껑(60)을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고등어, 조기, 갈치 등과 같은 생선류를 구워 먹을 때 뚜껑(60)을 사용 할 경우 냄새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름 등의 튀김현상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전도와 직화방식으로 구을 수 있어 부담없이 맛있게 생선류를 구워먹을 수 있다.
종래에는 고등어, 조기, 갈치 등과 같은 생선류 구이시 발생하는 냄새와 기름의 튀김현상과, 직화방식에 비하여 맛이 떨어져 집에서 잘 구워먹는 않았다.
그러나 뚜껑(60)을 구비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1)에 의하여 고등어, 조기, 갈치 등과 같은 생선류의 구이시 발생하는 냄새와 기름의 튀김현상의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으며, 직화방식으로 맛있게 구울 수 있게 되었다.
1 :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10 : 구이판
20 : 기름배출수단 21 : 기름배출홀
22 : 기름배출용 안내관
30 : 직화수단 31 : 화염안내관
50 : 보조화염 안내수단

Claims (8)

  1. 가스레인지에 설치되어 가열되는 판으로 음식을 구워먹을 수 있도록 하는 구이판에 있어서,
    중앙부분으로 기름이 모이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여진 기름이 휴대용 가스레인지 버너부 중앙을 관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회전축 역할을 하도록 기름배출용 홀과 기름배출용 안내관으로 이루어지는 깔데기 형상의 기름배출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기름배출수단의 기름배출용 홀을 중심으로 하며 모이는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끝단이 상측으로 돌출되고 관통되어 화염유입홀과 화염배출홀을 가지는 다수의 화염안내관으로 이루어지는 직화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직화수단인 다수의 화염안내관으로 고정되고 직화수단의 화염안내관으로 전달되는 화염을 구이판 상측면으로 안내하는 지주관과, 상기 지주관 상측에 설치되어 화염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화염을 구이판의 상부로 안내하는 화염 안내판으로 이루어지는 보조화염 안내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주관이 구이판의 상부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중앙부분으로 모이는 기름이 기름배출용 홀로 안내될 수 있도록 지주관의 하단을 지지하는 화염안내관의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하부는 가열된 구이판에 의하여 전열방식으로 구워지고 상부는 직화수단에 의하여 직화방식으로 구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안내판의 중앙부분에는 보조조리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 보조조리용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관은 화염 배출홀이 지주관 내부공간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부에는 화염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화염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다수의 화염배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뚜껑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49770A 2017-04-18 2017-04-18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10181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70A KR101816526B1 (ko) 2017-04-18 2017-04-18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770A KR101816526B1 (ko) 2017-04-18 2017-04-18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526B1 true KR101816526B1 (ko) 2018-01-09

Family

ID=61000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770A KR101816526B1 (ko) 2017-04-18 2017-04-18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5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31B1 (ko) 2018-09-13 2019-01-14 임재경 구이판
CN110772121A (zh) * 2019-11-28 2020-02-11 徐州果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烤炉用回转挂肉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72Y1 (ko) 1998-04-17 2000-06-15 유상근 육류 구이판의 기름배출 구조
KR200311020Y1 (ko) * 2003-01-21 2003-04-21 채수연 고기 구이기
KR200417908Y1 (ko) 2006-03-17 2006-06-02 이신근 기름배출구를 갖춘 다목적 조리기기
KR101135662B1 (ko) * 2009-10-28 2012-04-13 (주)밴엔지니어링 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672Y1 (ko) 1998-04-17 2000-06-15 유상근 육류 구이판의 기름배출 구조
KR200311020Y1 (ko) * 2003-01-21 2003-04-21 채수연 고기 구이기
KR200417908Y1 (ko) 2006-03-17 2006-06-02 이신근 기름배출구를 갖춘 다목적 조리기기
KR101135662B1 (ko) * 2009-10-28 2012-04-13 (주)밴엔지니어링 구이용 불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31B1 (ko) 2018-09-13 2019-01-14 임재경 구이판
CN110772121A (zh) * 2019-11-28 2020-02-11 徐州果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烤炉用回转挂肉架
CN110772121B (zh) * 2019-11-28 2022-07-12 徐州果姿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烤炉用回转挂肉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3581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aking foods in a barbeque grill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816526B1 (ko)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KR200444305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KR101756006B1 (ko) 숯불구이기
US3938495A (en) Grilling apparatus with supporting surface
KR101218026B1 (ko) 구이전골판 및 이를 사용하는 구이전골기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160122404A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JP3168997U (ja) 焼物調理器具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1819384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101819377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20210060775A (ko) 난로형 구이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102347762B1 (ko) 직화구이 및 간접구이 겸용 구이용 불판
CN21407298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