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404A -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404A
KR20160122404A KR1020150052205A KR20150052205A KR20160122404A KR 20160122404 A KR20160122404 A KR 20160122404A KR 1020150052205 A KR1020150052205 A KR 1020150052205A KR 20150052205 A KR20150052205 A KR 20150052205A KR 20160122404 A KR20160122404 A KR 2016012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meat
oil
furnac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2562B1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150052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2562B1/ko
Publication of KR2016012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 위한 숯불용 화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화로베이스와, 상기 화로베이스에 구비되어 숯이 놓이는 숯통본체, 숯통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받이수단 및 고기를 직접 굽기 위한 불판을 구비하되, 숯통본체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받이수단에 복수개의 연통공을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화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름이 숯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력이 강화되어 불길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불판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경사부를 구비하여 기름이 석쇠봉을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숯에는 일부만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숯과 융화되어 피어오르면서 고기기름열로 고기를 구어 내기 때문에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고 육즙이 많고 숯향이 함유되어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BRAZIER DEVICE}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고기를 굽기 위한 숯불용 화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화로베이스와, 상기 화로베이스에 구비되어 숯이 놓이는 숯통본체, 숯통본체 상부에 구비되는 받이수단 및 고기를 직접 굽기 위한 불판을 구비하되, 숯통본체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받이수단에 복수개의 연통공을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공기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하여 화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기름이 숯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화력이 강화되어 불길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불판에 상부로 돌출된 돌출경사부를 구비하여 기름이 석쇠봉을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 할 수 있도록 하고, 숯에는 일부만이 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숯과 융화되어 피어오르면서 고기기름열로 고기를 구어 내기 때문에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고 육즙이 많고 숯향이 함유되어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구울 때 고기의 맛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스보다 숯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숯불용 화로에 대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94400호 『기름받이부가 구비된 숯불구이용 화덕』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불판이 얹혀지도록 몸체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불판 안착면에 숯불구이 시 상부에 얹혀진 불판을 타고 흘러내리는 육류로부터 발생된 기름이나 양념국물들이 모일 수 있도록, 상기 불판안착면의 전구간에 걸쳐 환형의 기름받이용 홈부가 형성되어, 숯불구이시 불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나 양념국물들이 상기 홈부에 모두 모이게 되므로 외부케이스가 오염되지 않으며 특히, 내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기름이나 양념국물들이 숯불의 열에 의해 타면서 연기와 냄새를 유발시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름받이부가 구비된 숯불구이용 화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54476호 『휴대형 숯불구이 화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상단부에 불판을 배치할 있도록 개구된 화구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연료용 숯을 담을 수 있도록 투구형 구조로 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저면부에 구비된 지지 다리와, 상기 본체의 저면부로부터 측면 하부까지 세로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제1흡기구와, 상기 본체의 측면 하부에 가로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된 제2흡기구와, 상기 본체의 측면 상부에 가로방향을 따라 절개된 복수 개의 일렬로 배열된 연기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 요소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휴대하기 용이하고, 연료인 숯의 연소를 위한 공기 공급과 연소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야외에서 숯불구이를 즐기는 데에 유익한 고안으로서 일반인들의 여가 생활에 크게 기여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휴대형 숯불구이 화로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31147호 『숯불구이용 화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선단부에 다수의 송충구가 형성되고, 바닥면에 물이 저장되도록 수장부가 구비되는 동체와, 상기 동체의 선단부를 마감하도록 설치되어 석쇠가 안착되고,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통공상에 삽입 설치되어 숯이 저장되고, 상부가 개방된 메쉬 구조의 통형태로 구비되는 숯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숯불구이용 화로를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463697호 『숯불구이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개의 공기출입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개방된 본체와, 숯을 수용하고 복수개의 통풍홀이 형성된 수납통과,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에 관통되어 상기 수납통의 바닥면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방열판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판의 하측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숯통과 상기 숯통의 상측에 위치되고 음식용기가 거치되는 내부림과, 상기 내부림을 둘러싸는 외부림과, 상기 내부림과 외부림을 연결하고 상측에 피조리물이 놓이는 석쇠살로 이루어진 석쇠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고 상기 숯통에 수납된 숯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를 상기 석쇠의 석쇠살 쪽으로 유도하는 열기유도수단이 구비된 덮개로 구성되는 숯불구이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숯의 화력을 유지 또는 높이기 위해서 공기의 순환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상기 종래기술들은 숯이 놓이는 통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는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기름기가 많은 돼지고기 부위의 경우, 기름이 숯에 떨어져 불이 올라와 구이가 어려우며, 숯의 위치에 따라 화력이 달라 고기가 고르게 익지 않으며, 불이 올라옴에 따라 고기를 굽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에 구비되는 화로베이스에 숯통본체가 결합되되 상기 숯통본체에는 별도의 공기가 순환되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고, 숯통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받이수단에 복수개의 연통공을 통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된 받이수단을 통하여 고기에서 떨어지는 기름이 직접적으로 숯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불이 올라오지 못하도록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화로베이스에는 내측단턱을 형성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연통공을 통해 숯을 관통하고, 관통된 공기는 또 다른 연통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순환 통로를 형성하여 숯의 화력을 유지할 수 있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불판에는 돌출경사부를 구비하여 고기 기름이 석쇠봉을 따라 기름이 한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숯통본체 가장자리로 떨어지며 일부는 석쇠봉을 따라 이동하여 연통공을 통하여 고기기름이 숯에 적당한 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는
테이블에 구비되는 화로 베이스;
상기 화로베이스에 결합되되, 숯이 놓이는 숯안착부를 형성하는 숯통본체;
상기 숯통본체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받이수단; 및
상기 받이수단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화로 베이스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석쇠봉으로 이루어지는 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숯통본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는 화로 베이스에 구비되는 숯통본체에 별도의 공기가 순환되기 위한 공기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숯통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받이수단에 복수개의 연통공을 구비하여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서 기름기가 많은 어떤 부위의 고기(특히 삼겹살)도 굽는 경우에도 기름기가 숯불로 떨어져도 불길이 불판위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로 베이스에 내측단턱을 형성하여 공기가 회전하여 숯과 숯 사이로 지나 다시 고기를 거쳐 흡입될 수 있는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함에 따라 숯불이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강한 숯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불판은 고기의 기름이 숯불위에 바로 떨어지지 않고 불판의 석쇠봉을 따라 흐르면서 가장자리로 떨어져 숯불의 화력을 지속시키고 고기 맛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불판의 중앙의 높이가 조금 높은 돌출경사부를 통하여, 기름이 한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숯통본체 가장자리로 떨어지며 일부는 석쇠봉을 따라 이동하여 연통공을 통하여 고기기름이 숯에 적당한 양으로 떨어짐으로서, 숯과 융화되어 피어오르면서 숯열과 고기 기름열로 고기를 구어내기 때문에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고 육즙이 많고 숯향이 탁월해서 고기 맛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A1)에 구비되는 화로베이스(10)와, 상기 화로베이스(10)에 안착되어 숯을 놓을 수 있는 숯통본체(20) 및 상기 수통본체에 구비되어 구워지는 고기의 기름을 받을 수 있는 받이수단(30), 상기 화로베이스(10) 상부에 구비되어 구이를 위한 고기를 올려놓아 숯의 화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화로베이스(10)는 테이블(A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숯통본체(2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재(1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재(11)는 숯통본체(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화로베이스(10) 중앙에 돌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화로베이스(10)의 양측 또는 각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단턱(13)이 형성되어 상기 불판이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화로베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는 테이블(A1)에 결합되기 위한 지지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수용부(17)가 형성되어 숯통본체(20), 받이수단(30), 불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내측단턱(13)은 상기 화로베이스(10) 내의 수용부(17)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화로베이스(10)의 지지부(15)보다 1~3센티미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2센티미터 낮게 제작되어 공기가 회전하여, 숯과 숯 사이를 지나고, 받이수단(30)을 관통하여 고기를 거칠 수 있도록 공기순환통로를 형성함으로서 숯불이 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강한 숯불을 유지함과 동시에 열기가 옆으로 미치는 것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다시, 상기 안착부재(11)에는 숯통본체(20)가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숯통본체(20)는 원통형의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되(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짐),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말리는 말림부(21)가 형성되고, 숯통본체(20)의 바닥면을 따라 숯을 놓을 수 있는 숯안착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숯 안착부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평탄부(25)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평탄부(25)에 대응하여 상기 안착부재(11)에는 상부로 돌출된 돌출결합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탄부(25)의 하면을 돌출결합부(111)가 지지하여 숯통본체(20)가 안착부재(11)에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숯통본체(20)의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말림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숯통본체(20)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말림부(21)가 상기 안착부재(11)의 외각에 걸려 안착부재(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숯통본체(2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걸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숯이 담긴 숯통본체(20)를 별도의 집게 또는 지지대를 걸어 사용자가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숯의 화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기의 순환이 필요하고,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해서 숯이 놓이는 숯통에는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기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구멍에 의하여 화력이 높아지는 경우에 고기의 기름이 떨어지면 불이 발생하여 고기가 타거나 고기를 굽는 사람이 화상을 입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숯통본체(20)에는 공기 순환을 위한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숯통본체(20)의 상부에는 고기의 기름을 받음과 동시에 숯에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받이수단(30)이 더 구비되게 된다.
상기 받이수단(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이수단(30)은 숯통본체(20)와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으로서, 원형의 형상을 이루되 그 직경이 상기 숯통본체(20)의 상부보단 작고 하부보단 크게 형성되어 숯통본체(20)에 끼워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받이수단(30)에는 복수개의 연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통공(33)은 받이수단(3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순환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있는데, 단일의 연통공(33)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받이수단(30)에는 하부로 함몰되는 함몰돌기(31)가 형성되되, 상기 함몰돌기(31)는 받이수단(30)의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일부의 기름이 떨어지는 경우 자연스럽게 숯으로 기름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상부의 공기 또한 숯으로 유입이 용이하게 하여 숯의 화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몰돌기(31)(연통공(33))는 상기 받이수단(30)에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 해서는 안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이수단(30)을 구비함에 따라 기름기가 많은 고기를 굽는 경우에도 기름이 숯에 떨어져 불이 직접 올라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르게 열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숯통본체(20)와 받이수단(30)을 분리형으로 구비함에 따라 열이 과열되어 고기기름이 고기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세척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받이수단(30)의 상부에는 고기를 직접 올려놓기 위한 불판이 구비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불판은 사각 형상의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석쇠봉(43)이 일방향으로 나열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가 앞서 설명한 화로베이스(10)의 내측단턱(13)에 걸려 놓이게 됨으로서, 숯통본체(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숯의 열기를 전달 받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불판의 중앙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굴절부(431)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굴절부(431)의 크기 및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굴절부(431)로 인하여 고기의 기름이 한곳으로 떨어지지 않고, 석쇠봉(43)을 따라서 불판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떨어지되, 일부만 받이수단(30)에 구비되는 연통공(33)을 통하여 숯에 떨어짐으로서, 숯과 융화되어 피어오르면서 숯열과 고기기름열로 고기를 구울 수 있어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고 육즙이 많으며 숯향이 탁월하여 고기의 맛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불판의 양측에는 사용자가 손쉽게 불판을 이동, 교체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4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45)의 재질은 열 전도성이 약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나아가 상기 숯통본체(20), 받이수단(30)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A1 : 테이블
10 : 화로베이스 11 : 안착부재
111 : 돌출결합부 13 : 내측단턱
15 : 지지부 17 : 수용부
20 : 숯통본체 21 : 말림부
23 : 숯안착부 25 : 평탄부
30 : 받이수단 31 : 함몰돌기
33 : 연통공 40 : 불판
41 : 외각프레임 43 : 석쇠봉
431 : 굴절부 45 : 손잡이부

Claims (4)

  1. 테이블에 구비되는 화로 베이스;
    상기 화로베이스에 결합되되, 숯이 놓이는 숯안착부를 형성하는 숯통본체;
    상기 숯통본체 상부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연통공이 형성되는 받이수단; 및
    상기 받이수단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화로 베이스에 결합되어 복수개의 석쇠봉으로 이루어지는 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본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수단의 연통공은
    상기 받이수단의 외측방향으로 함몰경사지게 구비된 함몰돌기에 의해 공기가 받이수단의 중심방향에서 외측방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베이스에는 내측단턱이 구비되되, 상기 내측단턱은 화로베이스의 지지부로부터 1 ~ 3cm 낮게 형성되어, 공기의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20150052205A 2015-04-14 2015-04-14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72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05A KR101722562B1 (ko) 2015-04-14 2015-04-14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205A KR101722562B1 (ko) 2015-04-14 2015-04-14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04A true KR20160122404A (ko) 2016-10-24
KR101722562B1 KR101722562B1 (ko) 2017-04-03

Family

ID=5725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205A KR101722562B1 (ko) 2015-04-14 2015-04-14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2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7304A1 (zh) * 2019-01-14 2020-07-23 江门市丰品五金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供氧系统的碳式烧烤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826Y1 (ko) 2020-06-24 2020-12-16 진청쇄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20230070675A (ko) 2021-11-15 2023-05-23 이채환 훈연구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05Y1 (ko) * 2003-02-06 2003-05-09 박성희 숯불구이기
JP2012223272A (ja) * 2011-04-18 2012-11-15 Santa Kk ロースター用熱板
KR20140000916A (ko) * 2012-06-26 2014-01-06 김종인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JP3189881U (ja) * 2014-01-23 2014-04-03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調理器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881B2 (ja) * 1997-08-15 2001-07-16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305Y1 (ko) * 2003-02-06 2003-05-09 박성희 숯불구이기
JP2012223272A (ja) * 2011-04-18 2012-11-15 Santa Kk ロースター用熱板
KR20140000916A (ko) * 2012-06-26 2014-01-06 김종인 중간플레이트를 구비하는 화로
JP3189881U (ja) * 2014-01-23 2014-04-03 株式会社グリーンライフ 調理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7304A1 (zh) * 2019-01-14 2020-07-23 江门市丰品五金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智能供氧系统的碳式烧烤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2562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60123035A (ko) 바베큐용 오븐 조리기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NO338045B1 (no) Røkgenererende anordning for en utegrill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US9839224B2 (en) Food smoker adapter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200470529Y1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101731702B1 (ko) 직화 훈제 겸용 조리기구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1890418B1 (ko) 바비큐 그릴장치
KR20130138540A (ko) 직화 가열식 꼬치구이기
KR101816526B1 (ko)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200486112Y1 (ko) 바비큐 그릴
KR20110080059A (ko) 다용도 조리용기
CN210989811U (zh) 一种多功能烧烤炉
KR200425826Y1 (ko) 신선로 겸용 고기구이판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200471351Y1 (ko) 연기 발생방지 기능이 구비된 구이장치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