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0059A - 다용도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0059A
KR20110080059A KR1020100000217A KR20100000217A KR20110080059A KR 20110080059 A KR20110080059 A KR 20110080059A KR 1020100000217 A KR1020100000217 A KR 1020100000217A KR 20100000217 A KR20100000217 A KR 20100000217A KR 20110080059 A KR20110080059 A KR 2011008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ire inlet
body portion
inlet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 현 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전테크
Priority to KR102010000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0059A/ko
Publication of KR2011008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0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에 열분배기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화기유입구의 상부에는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을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분배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리용기 {Cooking vessel for multipurpose}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에 열분배기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식품조리기들은 식품을 쪄서 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되거나, 식품을 구워먹을 수 있는 기능만을 가지도록 제조된 제품들이 대부분이어서 식품을 찌거나 굽고자 하는 조리방법의 선택에 따라 여러 개의 조리기를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 들어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나의 조리기구를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기구들이 안출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439호에는 다기능 식품조리기가 게재되어 있다.
상기 다기능 식품조리기는 저면에 외부화염유도공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된 숯통결합부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며 외주면 상측에는 한쌍의 이동손잡이를 형성하여서된 조리통몸체와,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의 숯통결합부 상단에 결합설치되며 저면에 구멍이 형성된 숯통몸체 외연으로 찜판을 일체로 형성하여서된 숯통과, 상기 조리통몸체 내부에 삽입시 내주면 상측에 형성된 안착돌기에 안착설치되어지며 외측에는 기름 낙하공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골요리부가 형성된 구이판과, 상기 조리통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하며 온도표시기능과 수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된 개폐손잡이를 형성한 투명강화유리로된 뚜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은 하나의 조리용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전체적인 용기의 부피가 커 사용 및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리시 숯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숯이 없을 경우에는 조리통몸체의 부피가 커 열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조리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566호에는 간편 조리기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기술적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름을 수용하는 낮은 홈(12)을 구비한 기름받이(10)와, 상기 기름받이(10) 위에 세팅되며 중앙에 뚫려진 열유입구(21)를 가지며 상기 낮은 홈(12)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균등하게 뚫려진 배출구(22)들을 구비한 구이판(20)과, 상기 구이판(20)을 씌우는 반구형 뚜껑(30)을 포함하는 간편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10)는 중앙의 상측방향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면서 일체 연장 상승되어 상기 구이판(20)의 열유입구(21)에 맞닿아 합치되는 상승관(11)을 구비하고, 그 외곽 측면에 뚫려진 통풍구(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열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화기가 직접 구이판(20)에 닿게 되어 간접열 보다는 직접열로 가열되어 구이판이 달궈짐으로 인해 구이판이 타거나 매캐한 연기가 발행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름받이(10)의 외곽 측면에 뚫려진 통풍구(13)를 통해 배출되는 간접열이 많게 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사용되는 열효율성이 떨어지고,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이 구이 요리에 한정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에 열분배기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가장자리까지 고르게 열을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열효율성이 뛰어나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화 또는 간접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의 목적에 따라 구이류, 전골류, 찜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는,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화기유입구의 상부에는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을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분배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열분배기는 제1화기유입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배기는 제1화기유입구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열분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분배부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는 원판 디스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열분배부는 회오리 형상의 나선이 형성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팬의 중앙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의 다른 실시예는,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는 몸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팬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저면 일부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팬의 돌출부가 안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상단 외측에는 덮개부가 안치되는 덮개 안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팬과 몸체부에 각각 형성되는 덮개 안치부 및 단턱부의 외측에는 덮개부 또는 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팬의 중앙에는 상기 제1화기유입구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에 의하면, 용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에 열분배기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가장자리까지 고르게 열을 분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열효율성이 뛰어나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화 또는 간접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의 목적에 따라 구이류, 전골류, 찜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간편 조리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열분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을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를 나타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열분배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팬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몸체부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용기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110)에 열분배기(400)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200)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1)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1)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몸체부(100)와 팬(200) 및 덮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내부에 조리하기 위한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120)의 중앙에는 가스렌지와 같은 열원(熱源)으로부터 화기가 유입되는 제1화기유입구(110)가 상향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화기유입구(110)는 몸체부(100)의 상부 테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높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겠지만, 상기 몸체부(100)에서는 탕, 전골, 튀김 등의 조리를 할 수 있게 되고, 몸체부(100)의 상부에 팬(200)을 안치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용부(120) 내에 물을 어느 정도 투입시킨 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수용부(120)에 투입되는 물의 양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눈금선(미도시)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부, 즉 상단 개구부(112)에는 열분배기(400)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상기 열분배기(400)는 몸체부(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화기)을 몸체부(100)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분배시킴과 동시에 수용부(120)에서의 열의 대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고, 수용부(120) 내에서의 활발한 대류 현상으로 인해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전체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열분배기(400)는 결합부(410)와 열분배부(420)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합부(410)는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단부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열분배기(400)가 제1화기유입구(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단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410)의 내측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제1화기유입구(110)와 결합부가 나사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화기에 의해 열분배기(400)가 제1화기유입구(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열분배부(420)는 결합부(41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화기를 가장자리로 분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중심부에는 유입된 화기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관통홀(42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22)을 중심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는 원판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화기 중 일부는 상기 관통홀(422)을 통해 그대로 유입되어 열분배기(400)의 상부에 안치되는 팬(200)에 전달되고, 나머지 화기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원판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열분배부(420)에 의해 팬(200)의 가장자리로 전달되어 몸체부(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200)에 전체적으로 고른 열을 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수용부(120)에서의 열의 대류 현상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열분배부(420)를 회오리 형상의 나선이 형성된 물결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써 열의 분배 효과 및 수용부(120)에서의 대류 현상이 보다 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그 내측으로부터 단턱부(130) 및 가이드부(140)가 각각 형성되는데, 후술하겠지만, 상기 단턱부(130)는 팬(200) 또는 덮개부(300)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부(140)는 단턱부(130)에 안치된 팬(200) 또는 덮개부(3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단턱부(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절곡부(150)는 팬(200)과 몸체부(100)의 사이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팬(200)은 몸체부(100)의 상부에 안치되어 그 상부에서 고기구이나 생선구이 같은 구이요리나 찜요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팬(200)의 중앙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110)의 개구부(112)와 동일한 개구부(212)의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210)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와 팬(200)의 사이 즉,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와 팬(200)의 저면 테두리부의 사이에는 몸체부(100)의 내측, 즉 수용부(120)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공간부를 통해 수용부(120)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0) 내부에서의 수증기의 대류 현상을 원활하게 하여 팬(200)의 상부에서 음식물이 고르게 익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팬(20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향 경사를 갖는 경사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220)의 저면 일부에는 돌출부(222)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222)는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의 수평면에 안치되어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와 팬(200)에 형성된 경사부(220)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공간부를 통해 몸체부(100)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 및 잔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2)는 팬(200)에 형성된 경사부(220)의 저면에 약 3개 정도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130)의 수평면에 안치되는데, 이때, 돌출부(220)가 형성되지 않은 경사부(220)의 저면과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의 사이에는 수증기 및 잔열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돌출부(222)의 형성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특성상 팬(200)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턱부(130)의 수평면에 덮개부(300)를 얹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의 외측에는 가이드부(140)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부(140)는 단턱부(130)에 안치되는 팬(200) 또는 덮개부(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팬(200)에 형성된 경사부(220)의 상단 외측에는 덮개부(300)가 안치되는 덮개 안치부(224)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 안치부(224)의 외측으로는 덮개부(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22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팬(200)의 외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부(220)와, 상기 경사부(220)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2) 및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의 구성에 의해 몸체부(100)와 팬(200)의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을 조리용기(1)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팬(200)에는 다수의 기름배출공(230)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름배출공(230)은 음식물 조리시 팬(200)의 상면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몸체부(100) 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몸체부(1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가 대류 현상에 의해 기름배출공(230)을 통해 팬(200)의 상부로 유입되어 음식물이 간접열에 의해 고르게 익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0)와 팬(200)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21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마개(500)는 개구부(112,212)의 형상이 동일한 제1화기유입구(110) 또는 제2화기유입구(21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제1화기유입구(110) 또는 제2화기유입구(210)를 통한 화기의 직접적인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작동관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와 팬(200)의 상면에는 덮개부(300)가 구비되는데, 상기 덮개부(300)는 조리용기(1)의 뚜껑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팬(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단턱부(130)에 안치되고, 팬(20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팬(200)의 경사부(220) 상면에 형성된 덮개 안치부(224) 상에 안치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300)의 상부에는 덮개부(300)를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310)가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310)는 덮개부(300)를 개폐한 후 용이하게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덮개부(300)의 상부 일측면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300)의 상부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투시부(32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투시부(320)는 사용자가 조리도중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덮개부(300)의 상단부 중앙 내측에는 반사판(3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반사판(330)은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0)(210)를 통해 올라오는 화기의 직화열을 아래쪽 즉, 팬(200)의 상부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반사판(33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삿갓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화기유입구(110)(210)를 통해 팬(200)의 상부로 유입되는 직화열을 반사시키게 되는데, 상기 반사판(330)은 삿갓 형상으로 제조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반사판(330)에 의해 반사되는 직화열은 팬(200)의 구석구석까지 고르게 반사되어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킴과 동시에 음식물이 고르게 익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의 사용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를 이용하여 튀김이나 탕 또는 전골류의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0)에 형성된 수용부(120)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하면 된다. 이때,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0)의 개구부(112)를 마개(500)로 막아 열원으로부터의 직화열이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공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탕이나 전골류의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몸체부(100)의 상부에 덮개부(300)를 결합시킨 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 덮개부(300)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부(320)를 통해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고, 덮개부(300)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반사판(330)에 의해 몸체부(100)가 가열되면서 상승하는 열기가 다시 아래쪽으로 고르게 반사되므로 전체적인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를 이용하여 찜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0)의 개구부(112)를 마개(500)로 막은 상태에서 몸체부(100)에 형성된 수용부(120)에 물을 적당히 채워 넣고, 팬(200)을 몸체부(100)의 상부에 안치시킨 다음, 팬(200)의 상부에 음식물을 놓고 덮개부(300)를 덮은 후 조리하게 된다.
이때, 팬(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경사부(220)와, 몸체부(100)의 상단 테두리부에 형성된 단턱부(130)에 안치되도록 하여 상기 경사부(220)의 하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2)에 의해 형성되는 팬(200)과 몸체부(100) 사이의 공간부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12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및 잔열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조리용기(1)의 내부에서 수증기의 대류가 원활히 일어나게 되고, 팬(200)에 형성된 장공 형상의 기름배출공(230)을 통해 수증기가 팬(200)의 상면까지 상승 유입된 후, 덮개부(300)에 형성된 반사판(330)에 의해 반사되어 음식물의 상부를 익혀주므로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를 이용하여 삼겹살과 같은 육류의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몸체부(100)의 내측면에 표시된 눈금선(미도시)까지 물을 채워 넣고(선택사항 임), 몸체부(100)에 형성된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단부 즉 개구부(112)에 열분배기(400)를 결합시킨 후, 몸체부(100)의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단턱부(130)에 팬(200)을 안치시킨 다음, 팬(2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화기유입구(210)의 개구부(212)를 마개(500)로 막은 후, 음식물을 팬(200)의 상부에 놓고 덮개부(300)를 제거한 상태에서 조리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과, 몸체부(100)의 수용부(120)에 채워진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간접열을 동시에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데,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부에 결합된 열분배기(400)에 의해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이 팬(200)의 구석구석까지 고르게 분배되므로 팬(200)의 상면에 놓여지는 고기 등의 음식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일정한 속도로 구워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다용도 조리용기의 경우 화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을 통해 음식물을 굽게 되므로 열원에서 발생되는 불의 세기를 세게 할 경우 팬의 온도가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게 되고, 팬에서 매캐한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던 것임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에 의하면 열원에서 발생되는 직화열을 열분배기(400)에 의해 고르게 분배시킴과 동시에, 직화열 보다는 수용부(120)에 채워지는 물이 끓으면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간접열에 의해 음식물이 구워지게 되므로 불의 세기를 세게 하여도 팬(20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게 되어 음식물이 타거나 팬(200)에서 연기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센 불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팬(200)에 형성된 기름배출공(230)을 통해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하부, 즉 몸체부(100)로 배출된다.
한편, 생선구이 등의 구이요리와 같이 덮개부(300)를 팬(200)의 상면에 안치시킨 상태에서 조리하는 경우에는 마개(500)를 사용하지 않고 제1화기유입구(110)와 제2화기유입구(210)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제1화기유입구(110) 및 제2화기유입구(210)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과, 몸체부(100)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한 간접열이 모두 조리에 이용된다.
위와 같은 생선구이류의 조리시에 작용하는 제1화기유입구(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열분배기(400)와 몸체부(100)와 팬(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 등의 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조리용기(1)에 의하면, 용기 몸체부(100)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110)에 열분배기(400)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110)를 통해 몸체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200)의 가장자리까지 고르게 열을 분포시킬 수 있고, 몸체부(100)와 몸체부(100)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200)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1)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열효율성이 뛰어나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직화 또는 간접열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의 목적에 따라 구이류, 전골류, 찜류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에 열분배기를 설치하여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몸체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화기가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 미세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조리용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열기가 원활한 대류 현상을 일으키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골고루 익으면서도 전체적인 음식물 조리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는 다용도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1 : 다용도 조리용기 100 : 몸체부
110 : 제1화기유입구 112 : 개구부
120 : 수용부 130 : 단턱부
140 : 가이드부 150 : 절곡부
200 : 팬 210 : 제2화기유입구
212 : 개구부 220 : 경사부
222 : 돌출부 224 : 덮개 안치부
226 : 가이드부 230 : 기름배출공
300 : 덮개부 310 : 손잡이
320 : 투시부 330 : 반사판
400 : 열분배기 410 : 결합부
420 : 열분배부 422 : 관통홀
500 : 마개

Claims (11)

  1.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화기유입구의 상부에는 제1화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직화열을 분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분배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기는 제1화기유입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기는 제1화기유입구의 상단 외주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열분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부는 그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기준으로 하여 외측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는 원판 디스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배부는 회오리 형상의 나선이 형성된 물결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중앙에는 몸체부에 형성되는 제1화기유입구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7. 몸체부, 팬 및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용도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에 얹혀지는 팬의 사이에는 몸체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 및 잔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팬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상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의 저면 일부에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 테두리부에는 상기 팬의 돌출부가 안치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상단 외측에는 덮개부가 안치되는 덮개 안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팬과 몸체부에 각각 형성되는 덮개 안치부 및 단턱부의 외측에는 덮개부 또는 팬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11. 제 7항 내지 제 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저면 중앙에는 제1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고,
    상기 팬의 중앙에는 상기 제1화기유입구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화기유입구가 상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화기유입구에는 제1 및 제2화기유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용기.
KR1020100000217A 2010-01-04 2010-01-04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080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17A KR20110080059A (ko) 2010-01-04 2010-01-04 다용도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217A KR20110080059A (ko) 2010-01-04 2010-01-04 다용도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0059A true KR20110080059A (ko) 2011-07-12

Family

ID=4491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217A KR20110080059A (ko) 2010-01-04 2010-01-04 다용도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005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03B1 (ko) * 2011-12-22 2013-08-16 주식회사 홈스타 직화구이기
KR20160014156A (ko) * 2014-07-28 2016-02-11 임경모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US10213048B2 (en) 2014-07-28 2019-02-26 Moru Co., Ltd. Heat-retaining tra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203B1 (ko) * 2011-12-22 2013-08-16 주식회사 홈스타 직화구이기
KR20160014156A (ko) * 2014-07-28 2016-02-11 임경모 수분 제거 및 보온용 트레이
US10213048B2 (en) 2014-07-28 2019-02-26 Moru Co., Ltd. Heat-retaining tray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1015465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조리기구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110080059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021541A (ko) 다용도 조리용기
KR20110120546A (ko) 숯불 구이 장치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0923422B1 (ko) 직화 조리기용 기름받이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0937958B1 (ko) 간편 조리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177025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KR101254132B1 (ko) 간편 조리기용 기름받이 세트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KR101131541B1 (ko) 직화 조리기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CN211022175U (zh) 一种多功能炊具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