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896B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96B1
KR101828896B1 KR1020170107664A KR20170107664A KR101828896B1 KR 101828896 B1 KR101828896 B1 KR 101828896B1 KR 1020170107664 A KR1020170107664 A KR 1020170107664A KR 20170107664 A KR20170107664 A KR 20170107664A KR 101828896 B1 KR101828896 B1 KR 10182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orsion cover
wall
hole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영학
Original Assignee
허영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학 filed Critical 허영학
Priority to KR1020170107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저면 중앙에 토션커버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테두리를 이루는 2차 열차단벽이 형성된 본체통과; 상기 토션커버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의 내측에 배치되는 1차 열차단벽을 가지며 상단을 폐쇄하는 판면으로는 다수의 열통과공이 방사상으로 그리고 회오리 모양으로 배열된 토션커버와; 상기 본체통 내측에 적층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는 3차 열차단벽과, 그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름받이면을 갖는 기름받이대와; 상기 토션커버 상에 탑재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하단 내측이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연통되고 상단은 판면으로 폐쇄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열배출공이 형성되되, 각각의 열배출공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반대되는 원주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열배출 안내면이 형성된 역토션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효율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물공급이 불필요하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불판{MEAT ROASTING GRILL PAN}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구조를 갖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기구이용 불판으로서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특허등록 제10-1563550호 '고기구이용 불판'(등록일자: 2015.10.21.)에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화구에서 상승된 열기가 토션판을 통과하면서 경사덮개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그 상부의 양력조절판을 타고 상승하는 기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부의 구이판까지 도달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에 의하면 토션판을 통과한 열기의 일부가 경사덮개에 의해 방사상으로 흩어져 소실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됨은 물론, 본체통에 담겨지는 물이 가열되어 기름받이통과의 틈새로 쉽게 증발되는 관계로 보충수 주입구를 통해 수시로 보충해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그리고, 물보충에 따른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10-1690962호 '고기구이용 불판'(등록일자: 2016.12.23.)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열기로 인해 기름받이통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증기를 적정량으로 상승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의해, 적정량의 수분이 유입됨으로 인해 고기가 과도하게 구워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육즙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시기술에 의하더라도 적정량의 물과 어느 정도의 물 보충이 필요하다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물의 공급이 필요없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저면 중앙에 토션커버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토션커버 수용공간의 테두리를 이루는 원통형의 2차 열차단벽이 내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외측으로는 통외벽이 이격 형성된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의 저면에서 상기 토션커버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2차 열차단벽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원통형의 1차 열차단벽의 하단이 개방되어 화구(火口)를 이루고 상기 1차 열차단벽의 상단을 폐쇄하는 판면으로는 다수의 열통과공이 방사상으로 그리고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오리 모양으로 배열된 토션커버와; 상기 본체통 내측에 적층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3차 열차단벽과, 상기 3차 열차단벽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름받이면과, 상기 기름받이면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상단을 통해 상기 본체통의 통외벽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벽을 갖는 기름받이대와; 상기 본체통의 2차 열차단벽의 내측에서 상기 토션커버 상에 탑재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원통형의 외주면은 하단이 개방되어 내측이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연통되고 상단은 판면으로 폐쇄되며 상기 외주면에는 다수의 열배출공이 형성되되, 각각의 열배출공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반대되는 원주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열배출 안내면이 형성된 역토션커버; 및 상기 본체통의 개방된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역토션커버가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기름받이면은 상기 본체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3차 열차단벽의 상단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열차단벽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작은 반경의 외주면부와 그 하단에서 외측으로 이어지는 테두리 받침부를 이루고, 상기 작은 반경의 외주면부에는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역토션커버의 외주면 하단이 상기 테두리 받침부에 지지되되, 상기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은 상기 역토션커버의 외주면의 내측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역토션커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통의 통외벽은 상하방향으로 중간에 단차를 이루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름받이대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대는 상기 외측벽의 상단을 통해 상기 기름받이대 받침부에 지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에 의하면, 화구(火口) 상에 탑재되는 토션커버에 의해 상승하는 열기가 회전하다가 다시 그 위에 탑재되는 역토션커버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열기가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여 쉽게 외부로 흩어지는 것을 막고 상측의 구이판에 골고루 분포하게 해줌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열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토션커버 내측의 열기가 토션커버 측의 1차 열차단벽, 본체통 측의 2차 열차단벽 그리고 기름받이대 측의 3차 열차단벽에 의해 측면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3차 열차단벽 외측의 기름받이면이 가열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본체통에 물을 채우지 않더라도 상기 기름받이면으로 떨어지는 기름이 끓거나 타는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으로서 구이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볼 때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일 구성요소인 토션커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일 구성요소인 역토션커버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1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분해된 상태의 정투시도,
도 7은 도 1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조립된 상태의 정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통(110), 본체통(110)의 내측에 적층되는 기름받이대(120), 본체통(110)의 개방된 상부에 탑재되는 구이판(130)을 포함한다.
기름받이대(1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측의 3차 열차단벽(121)과 그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름받이면(122), 그리고 기름받이면(122)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외측벽(123)을 갖는다. 외측벽(123)은 상단이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이를 통해 본체통(110)의 통외벽에 의해 지지된다.
본체통(110)의 내측 중앙에는 역토션커버(150)가 돌출되게 배치되는바, 원통형의 외주면(151) 상단은 판면(152)으로 폐쇄됨에 따라 그 내측 하부로부터 상승하는 열기(熱氣)는 상기 외주면(151)에 형성된 다수의 열배출공(153)을 통해 배출되어 상부의 구이판(130)으로 전달된다.
역토션커버(1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커버(140) 상에 탑재되는바, 이를 위해 본체통(110)의 저면 중앙에는 토션커버를 위한 수용공간(112)이 형성되고, 이 토션커버 수용공간(112)의 테두리를 이루는 원통형의 2차 열차단벽(113)은 상기한 기름받이대(120) 측의 3차 열차단벽(121)의 내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도 7 참조).
토션커버(140)는 원통형의 1차 열차단벽(141)의 하단이 개방되어 화구(火口)를 이루고, 상기 1차 열차단벽(141)은 상기한 본체통(110)의 2차 열차단벽(113)의 내측에 이격하여 배치된다(도 7 참조).
상기한 구성에 따라, 토션커버(140)의 하단에 개방된 화구를 통해 내측으로 유입되는 열기는 상승하여 역토션커버(150)로 유입된 다음 다시 배출되어 상승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1차 열차단벽(141) 내측의 열기(熱氣)는 우선적으로 1차 열차단벽(141)으로 전달되나 2차 열차단벽(11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층이 열전달을 1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2차 열차단벽(113)으로 전달되는 열기(熱氣)는 다시 3차 열차단벽(12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층에 의해 2차적으로 차단됨으로써 3차 열차단벽(121)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외측의 기름받이면(122)으로는 열전달이 대부분 차단된다.
기름받이면(122)은 본체통(110)의 바닥면(114)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1차 열차단벽(141)에 기인한 열이 상기 바닥면(114)을 통해 기름받이면(122)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토션커버(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1차 열차단벽(141)의 상단이 판면(142)으로 폐쇄되어 있으나 상기 판면(142)에는 다수의 열통과공(143) 및 중앙의 개구(144)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열기(熱氣)가 상승한다. 이때, 다수의 열통과공(143)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줄지어 형성되되 외측으로 갈수록 시계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여 줄지어 형성됨으로써 회오리 모양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다수의 열통과공(143)의 배열에 따라 이를 통과하여 상승하는 열기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형성된다.
한편, 1차 열차단벽(141)의 상단부는 내측으로 함입 형성됨으로써 작은 반경의 외주면부(145)와 그 하단에서 외측으로 이어지는 테두리 받침부(146)를 이루는바, 상기 외주면부(145)에는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147)이 형성되어 내측의 열기가 이들 측면 열통과공(147)을 통해서도 배출되도록 한다.
테두리 받침부(146)는 역토션커버(도 2의 150)의 외주면 하단을 지지한다. 이때, 상기한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147)을 통과한 열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역토션커버(150)의 외주면은 내측의 측면 열통과공(147)과 이격하여 배치된다. 이에 따라, 1차 열차단벽(141)의 내측 공간은 측면 열통과공(147)을 통해 역토션커버(15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된다.
역토션커버(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외주면(151) 하단이 개방되고 상단이 판면(152)으로 폐쇠되는 구성이며, 개방된 하단을 통해서는 상기한 토션커버(140)의 열통과공(도 4의 143) 및 측면 열통과공(147)을 통과하는 열기가 유입된다.
상기 외주면(151)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열배출공(153)은 각각 내측에 경사진 열배출 안내면(154)이 형성되는바, 상기 열배출 안내면(154)의 경사진 방향은 앞서 설명한 토션커버(도 4의 140) 측의 다수의 열통과공(143)이 시계방향으로 줄지어 형성된 것과 반대되는 방향, 즉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반시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다수의 열통과공(143)의 구성에 의하면, 토션커버(140) 측 다수의 열통과공(143)을 통과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열기가 역토션커버(150)에 유입되었다가 그 외주면(151)에 형성되는 열배출공(153)을 통해서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열기의 유동을 통해 역토션커버(150) 내에 유입된 열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가두어두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효과로 인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열효율 상승의 효과는 앞서 설명한 3중의 열차단벽(도 7의 141, 113, 121) 구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배열되는 관계에서 조립된다(도 7 참조).
이때, 본체통(110)의 통외벽(111)은 상하방향으로 중간에 단차를 이루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름받이대 받침부(114)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기름받이대(120)의 외측벽 상단(124)을 지지한다.
도 7의 조립된 고기구기용 불판(100)의 구조에서, 토션커버(140) 상에 탑재되는 역토션커버(150)는 본체통(110)의 내측 중앙에 배치되고 구이판(130)의 내측 하부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역토션커버(150)로부터 배출되는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기가 상승되는 성질을 고려하여 상기 역토션커버(150)는 본체통(110)의 2차 열차단벽(113)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기름받이대(120)의 3차 열차단벽(121)은 내측의 2차 열차단벽(113)보다 더 낮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기가 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고기구이용 불판 110: 본체통
111: 통외벽 112: 토션커버 수용공간
113: 2차 열차단벽 114: 바닥면
120: 기름받이대 121: 3차 열차단벽
122: 기름받이면 123: 외측벽
130: 구이판 140: 토션커버
141: 1차 열차단벽 142: 판면
143: 열통과공 144: 개구
145: 외주면부 146: 테두리 받침부
147: 측면 열통과공 150: 역토션커버
151: 외주면 152: 판면
153: 열배출공 154: 열배출 안내면

Claims (4)

  1.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저면 중앙에 토션커버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토션커버 수용공간의 테두리를 이루는 원통형의 2차 열차단벽이 내측 중앙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외측으로는 통외벽이 이격 형성된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의 저면에서 상기 토션커버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2차 열차단벽의 내측에 이격 배치되는 원통형의 1차 열차단벽의 하단이 개방되어 화구(火口)를 이루고 상기 1차 열차단벽의 상단을 폐쇄하는 판면으로는 다수의 열통과공이 방사상으로 그리고 일측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오리 모양으로 배열된 토션커버와;
    상기 본체통 내측에 적층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외측에 이격 배치되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3차 열차단벽과, 상기 3차 열차단벽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름받이면과, 상기 기름받이면의 외측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상단을 통해 상기 본체통의 통외벽에 의해 지지되는 외측벽을 갖는 기름받이대와;
    상기 본체통의 2차 열차단벽의 내측에서 상기 토션커버 상에 탑재되어 상기 2차 열차단벽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원통형의 외주면은 하단이 개방되어 내측이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연통되고 상단은 판면으로 폐쇄되며 상기 외주면에는 다수의 열배출공이 형성되되, 각각의 열배출공의 내측에는 상기 다수의 열통과공과 반대되는 원주방향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열배출 안내면이 형성된 역토션커버; 및
    상기 본체통의 개방된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역토션커버가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열차단벽은 상단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작은 반경의 외주면부와 그 하단에서 외측으로 이어지는 테두리 받침부를 이루고,
    상기 작은 반경의 외주면부에는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역토션커버의 외주면 하단이 상기 테두리 받침부에 지지되되, 상기 다수의 측면 열통과공은 상기 역토션커버의 외주면의 내측에 이격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역토션커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면은 상기 본체통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2차 열차단벽의 상단은 상기 3차 열차단벽의 상단보다 더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통의 통외벽은 상하방향으로 중간에 단차를 이루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름받이대 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대는 상기 외측벽의 상단을 통해 상기 기름받이대 받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KR1020170107664A 2017-08-25 2017-08-25 고기구이용 불판 KR10182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664A KR101828896B1 (ko) 2017-08-25 2017-08-25 고기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7664A KR101828896B1 (ko) 2017-08-25 2017-08-25 고기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896B1 true KR101828896B1 (ko) 2018-02-13

Family

ID=6123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664A KR101828896B1 (ko) 2017-08-25 2017-08-25 고기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355B1 (ko) 2020-08-10 2021-12-02 강용중 불판 조립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059A (ko) * 2010-01-04 2011-07-12 주식회사 서전테크 다용도 조리용기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1482500B1 (ko) * 2014-06-09 2015-01-13 김진성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201600823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101690962B1 (ko) * 2016-08-03 2016-12-29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고기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059A (ko) * 2010-01-04 2011-07-12 주식회사 서전테크 다용도 조리용기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1482500B1 (ko) * 2014-06-09 2015-01-13 김진성 열기 및 스팀 가열 방식의 구이용 불판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20160082349A (ko) * 2014-12-31 2016-07-08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101690962B1 (ko) * 2016-08-03 2016-12-29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고기구이용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355B1 (ko) 2020-08-10 2021-12-02 강용중 불판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0962B1 (ko) 고기구이용 불판
US20140345594A1 (en) Barbeque Apparatus
CN209610879U (zh) 加热烹调器
BRPI0618595A2 (pt) intensificador de fumaça
KR101828896B1 (ko) 고기구이용 불판
TWM520866U (zh) 多層式烤爐
KR101570035B1 (ko) 고기구이용 불판
KR100610055B1 (ko) 구이판
JP7441975B2 (ja) 携帯用直火焼き器
KR20110080059A (ko) 다용도 조리용기
CN107898092A (zh) 一种配送饭盒
TW201701810A (zh) 可攜式焙燒裝置及使用該焙燒裝置的焙燒方法
KR101782594B1 (ko) 우드 펠릿 실내외 겸용 난로
JP2012125542A (ja) 直火加熱用調理器具
KR102175625B1 (ko) 숯불장치
JP3227791U (ja) 食品保温器
KR101017134B1 (ko) 오리지널 직화 오븐
JP2002085261A (ja) オーブン用受け皿
KR101436278B1 (ko) 오븐 조리기 냄비
JP2005312672A (ja) 炭火焼コンロ
RU2762957C1 (ru) От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арений, выделяемых при приготовлении пищи
JP6967771B2 (ja) 加熱調理器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KR200240904Y1 (ko) 구이기
US798010A (en) Vessel for heating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