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764B1 -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 Google Patents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764B1
KR101379764B1 KR1020120118575A KR20120118575A KR101379764B1 KR 101379764 B1 KR101379764 B1 KR 101379764B1 KR 1020120118575 A KR1020120118575 A KR 1020120118575A KR 20120118575 A KR20120118575 A KR 20120118575A KR 101379764 B1 KR101379764 B1 KR 10137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hole
fixing hole
flam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현
Original Assignee
전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구 filed Critical 전인구
Priority to KR102012011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력이 그릴의 중앙 혹은 일부 지역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릴 전체에서 고른 온도를 가지도록 하여 고기 또는 음식을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와, 상기 화염홀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너의 위에 올려지는 하부받침대와;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고, 상단에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그릴안착 단턱부가 형성되며, 저면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안내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몸체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법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편이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1 열조절구와;
중앙은 제1 열조절구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판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1 연결편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원판형의 제1 링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1 열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차단판의 제1 연결편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2 열조절구와;
중앙은 제1 차단판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4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판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2 연결편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제1 링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링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2 열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차단판의 제2 연결편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3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3 열조절구와;
두 개가 상기 제1 링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5 고정홀을 구비하여 상부로부터 볼트가 제 5 고정홀과 추가로 구비되는 간격유지링과 또 다른 하나의 제5 고정홀과, 제4 고정홀, 제3 고정홀, 제2 고정홀, 제1 고정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격판과;
상기 상부몸체의 그릴안착 단턱부에 안착되되 중앙에는 상기 격판 보다 큰 반경으로 수직 관통된 그릴 홈이 형성되지 않는 원판부가 형성되는 그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The complex roaster for a direct fired}
본 발명은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력이 그릴의 중앙 혹은 일부 지역에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릴 전체에서 고른 온도를 가지도록 하여 고기 또는 음식을 구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굽는 방식은 시대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으며 한국의 경우에도 시대에 따라 몇 단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먼저 과거에는 석쇄를 이용한 직화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연탄의 보급에도 직화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석유곤로와 가스렌지의 등장으로 고기에 석유나 가스 특유의 냄새가 배이고 발생하는 기름에 대한 문제점 때문에 무쇠로 만든 판 형상의 불판이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대표적인 방식으로 사용되었으며 아직도 이러한 방식은 일반 가정이나 일부 업소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불판의 경우 빠져나가지 않은 기름이 고기에 스며들어 풍미가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어 숯이나 성형탄 등을 이용한 고기집이 등장하였으나 숯이나 성형탄을 준비하는 과정이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에 불판과 숯이나 성형탄을 이용한 것의 장점만을 도입한 기존의 가스를 사용하면서도 가름은 내부에 형성된 물저장부에 떨어지도록 하는 구이기가 등장하였으나 양측면에서 불꽃이 피워지는 것으로 구이기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초기 시설비에 대한 부담이 상당히 크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상부의 그릴 전체에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가스버너 혹은 가스레인지와 같이 중앙에 화력이 집중되는 형태에 적용할 경우에도 그릴 전체의 온도가 균일하지 못한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517216-0000호 (2005년09월20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696862-0000호 (2007년03월13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35662-0000호 (2012년04월04일) (특허 문헌 4)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166299-0000호 (1999년10월26일) (특허 문헌 5)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02052-0000호 (2003년01월10일) (특허 문헌 6)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10161-0000호 (2003년03월2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불꽃이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릴 전체에 고른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찜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 열에 의하여 인체에 원적외선 등 유익한 성분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와, 상기 화염홀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너의 위에 올려지는 하부받침대와;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고, 상단에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그릴안착 단턱부가 형성되며, 저면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안내 돌출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상부몸체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법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편이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1 열조절구와;
중앙은 제1 열조절구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3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1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판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1 연결편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원판형의 제1 링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1 열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차단판의 제1 연결편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2 열조절구와;
중앙은 제1 차단판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4 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차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판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2 연결편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제1 링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링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2 열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차단판의 제2 연결편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3 간격유지 돌기가 형성되는 제3 열조절구와;
두 개가 상기 제1 링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5 고정홀을 구비하여 상부로부터 볼트가 제 5 고정홀과 추가로 구비되는 간격유지링과 또 다른 하나의 제5 고정홀과, 제4 고정홀, 제3 고정홀, 제2 고정홀, 제1 고정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정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격판과;
상기 상부몸체의 그릴안착 단턱부에 안착되되 중앙에는 상기 격판 보다 큰 반경으로 수직 관통된 그릴 홈이 형성되지 않는 원판부가 형성되는 그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의 하단에는 상면과 저면이 다수의 제1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제6 고정홀이 형성되어 내부에는 다수의 제1 충진물이 충진되는 제1 카트리지용기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의 격판의 상면에는 중앙에는 제7 고정홀이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판의 외연부에서 법선방향과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과 저면 그리고 내경면과 외경면에 다수의 제2 통기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 충진물이 축진되는 제2 카트리지용기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받침대와 상부몸체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그릴안착 단턱부를 구비하고, 저면 중앙에는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를 형성하여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홀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목적은 불꽃이 중앙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릴 전체에 고른 온도 분포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고기를 굽는 과정이 보다 쉽고 고기가 타거나 마르지 않도록 구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뚜껑을 덮도록 하여 온도를 유지 고기가 보다 빠르게 익도록 하거나 찜기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열에 의하여 인체에 원적외선 등 유익한 성분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뚜껑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뚜껑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받침대와 상부몸체가 일체로 되는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받침대와 상부몸체가 일체로 되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표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11)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12)와, 상기 화염홀(11)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13)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11)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너(100)의 위에 올려지는 하부받침대(1)와;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1)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고, 상단에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그릴안착 단턱부(21)가 형성되며, 저면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안내 돌출부(12)가 관통되는 관통홀(23)을 구비하는 상부몸체(2)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2 고정홀(31)이 형성되고, 법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편이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간격유지 돌기(32)가 형성되는 제1 열조절구(3)와;
중앙은 제1 열조절구(3)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3 고정홀(41)이 형성되는 제1 차단판(4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판(42)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1 연결편(43)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원판형의 제1 링(44)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1 열관통홀(4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차단판(42)의 제1 연결편(43)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간격유지 돌기(46)가 형성되는 제2 열조절구(4)와;
중앙은 제1 차단판(42)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4 고정홀(51)이 형성되는 제2 차단판(5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판(52)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2 연결편(53)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제1 링(44)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링(54)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2 열관통홀(55)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차단판(52)의 제2 연결편(53)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3 간격유지 돌기(56)가 형성되는 제3 열조절구(5)와;
두 개가 상기 제1 링(44)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5 고정홀(61)을 구비하여 상부로부터 볼트(62)가 제 5 고정홀(61)과 추가로 구비되는 간격유지링(63)과 또 다른 하나의 제5 고정홀(61)과, 제4 고정홀(51), 제3 고정홀(41), 제2 고정홀(31), 제1 고정홀(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정너트(64)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격판(6)과;
상기 상부몸체(2)의 그릴안착 단턱부(21)에 안착되되 중앙에는 상기 격판(6) 보다 큰 반경으로 수직 관통된 그릴 홈(71)이 형성되지 않는 원판부(72)가 형성되는 그릴(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를 나타내었다.
기존에도 테두리 부분에 본원과 같은 물 저장부(22)를 두어 기름이 화염원이 되는 불꽃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양한 구이기가 있었으나 이러한 구이기의 경우 물 저장부(22)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가 상기 물 저장부(22)와 인접한 상부 그길(7)에는 상대적으로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원은 버너(100)의 불꽃 및 열기가 그릴(7)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내지 제3 열조절구(3, 4, 5)와 격판(6)에 의하여 불꽃과 열기가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한 것이다.
먼저 상기 화염안내 돌출부(12)는 저면에서 보면 상부로 오목한 형상으로 화염이 집중되어 상부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졌으며, 이러한 화염은 적층된 상기 제1 내지 제3 열조절구(3, 4, 5)의 사이에서 제1 및 제2 열관통홀(45, 55)와 제1 내지 제3 간격유지 돌기(32, 46, 56)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 의하여 법선 방향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그릴(7)의 중앙을 제외한 테두리 부분에 특히 화염이 집중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격판(6)은 열전도에 의하여 가열되어 간접적으로 그릴(7)의 원판부(72)를 가열시키며 상기 원판부(72)는 고기(200)에서 생성되는 기름이 물 저장부(22)에만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하로 관통된 그릴홈(7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표로서, 본원인이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는 도 13 및 동일한 표 1과 같았다.
시간(분) 2 3 4 5 6 7 10 15 20 25
온도(℃) 218 250 270 282 285 281 272 278 277 269
상기 표에서는 4분이 경과하게 되면 270 ~ 280℃에서 온도가 미차가 있으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때 본원에서의 화염와 열기의 확산 기능은 물 저장부(22)의 물을 가열하여 버너(100)를 끄더라도 발생하는 수증기에 의하여 온도 지속력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고정브라켓(14)의 하단에는 상면과 저면이 다수의 제1 통기공(81)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제6 고정홀(82)이 형성되어 내부에는 다수의 제1 충진물(83)이 충진되는 제1 카트리지용기(8)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상부의 격판(6)의 상면에는 중앙에는 제7 고정홀(84)이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판(6)의 외연부에서 법선방향과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과 저면 그리고 내경면과 외경면에 다수의 제2 통기공(85)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 충진물(86)이 축진되는 제2 카트리지용기(8b)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은 단순히 고기를 굽는 것에도 보다 맛있고 보다 인체에 유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대한 관심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에 따라 원적외선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발산하거나 고기에 특정 향을 부여하거나 잡내를 줄이도록 하는 각종 재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황토, 세라믹, 맥반석, 거정석, 옥 등이 주로 원적외선의 발산과 함께 잡내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그중 금속류나 석재의 경우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까지 한다.
따라서 본원은 제1 내지 제2 카트리지 용기(8a, 8b)에 봉의 형상으로 가공된 황토볼, 세라믹볼, 무쇠볼, 맥반석볼 등의 다양한 볼 중 하나 이상을 충진하여 화염과 열기가 사이 틈으로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으면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두 가지의 안을 제안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뚜껑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뚜껑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로서, 본원은 화염과 열기의 확산과 열전도에 의하여 상기 물 저장부(22)에 있는 물이 끓을 수 있도록 하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에서는 감자, 고구마, 옥수수 등의 다양한 재료를 찔 수 있는 찜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간단한 구조의 뚜껑(9)을 덮을 경우 찜기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부받침대와 상부몸체가 일체로 되는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하부받침대와 상부몸체가 일체로 되는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상기 하부받침대(1)와 상부몸체(2)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그릴안착 단턱부(21)를 구비하고, 저면 중앙에는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11)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12)를 형성하여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홀(11)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13)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11)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하부받침대(1)와 상부몸체(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없어 화염과 열기가 직접 물 저장부(22)의 하부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열 효율적으로는 보다 우수하며 구성도 간단해지는 실시 예라고 할 수 있다.
1 : 하부받침대
11 : 화염홀 12 : 화염안내 돌출부
13 : 제1 고정홀 14 : 고정브라켓
2 : 상부몸체
21 : 그릴안착 단턱부 22 : 물 저장부
23 : 관통홀
3 : 제1 열조절구
31 : 제2 고정홀 32 : 제1 간격유지 돌기
4 : 제2 열조절구
41 : 제3 고정홀 42 : 제1 차단판
43 : 제1 연결편 44 : 제1 링
45 : 제1 열관통홀 46 : 제2 간격유지 돌기
5 : 제3 열조절구
51 : 제4 고정홀 52 : 제2 차단판
53 : 제2 연결편 54 : 제2 링
55 : 제2 열관통홀 56 : 제3 간격유지 돌기
6 : 격판
61 : 제5 고정홀 62 : 볼트
63 : 간격유지링 64 : 고정너트
7 : 그릴
71 : 그릴홈 72 : 원판부
8a : 제1 카트리지 용기
8b : 제2 카트리지 용기
81 : 제1 통기공 82 : 제6 고정홀
83 : 제1 충진물 84 : 제7 고정홀
85 : 제2 통기공 86 : 제2 충진물
9 : 뚜껑
100 : 버너
200 : 고기
300 : 음식물

Claims (4)

  1.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11)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12)와, 상기 화염홀(11)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13)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11)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버너(100)의 위에 올려지는 하부받침대(1)와;
    상면이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은 상기 하부받침대(1)의 상단에 끼움 고정되고, 상단에는 내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그릴안착 단턱부(21)가 형성되며, 저면 중앙은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안내 돌출부(12)가 관통되는 관통홀(23)을 구비하는 상부몸체(2)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2 고정홀(31)이 형성되고, 법선 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편이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1 간격유지 돌기(32)가 형성되는 제1 열조절구(3)와;
    중앙은 제1 열조절구(3)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3 고정홀(41)이 형성되는 제1 차단판(4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단판(42)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1 연결편(43)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원판형의 제1 링(44)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1 열관통홀(45)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차단판(42)의 제1 연결편(43)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2 간격유지 돌기(46)가 형성되는 제2 열조절구(4)와;
    중앙은 제1 차단판(42) 보다 큰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4 고정홀(51)이 형성되는 제2 차단판(52)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차단판(52)의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제2 연결편(53)으로 연장되어 그 끝단이 제1 링(44)과 동일한 형상의 제2 링(54)의 내경면과 일체로 연결되어 그 사이 공간에 제2 열관통홀(55)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차단판(52)의 제2 연결편(53)이 형성되지 않은 외경면에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후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제3 간격유지 돌기(56)가 형성되는 제3 열조절구(5)와;
    두 개가 상기 제1 링(44)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에는 제5 고정홀(61)을 구비하여 상부로부터 볼트(62)가 제 5 고정홀(61)과 추가로 구비되는 간격유지링(63)과 또 다른 하나의 제5 고정홀(61)과, 제4 고정홀(51), 제3 고정홀(41), 제2 고정홀(31), 제1 고정홀(13)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고정너트(64)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두 개의 격판(6)과;
    상기 상부몸체(2)의 그릴안착 단턱부(21)에 안착되되 중앙에는 상기 격판(6) 보다 큰 반경으로 수직 관통된 그릴 홈(71)이 형성되지 않는 원판부(72)가 형성되는 그릴(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14)의 하단에는 상면과 저면이 다수의 제1 통기공(81)이 형성되고, 상하로 관통되는 제6 고정홀(82)이 형성되어 내부에는 다수의 제1 충진물(83)이 충진되는 제1 카트리지용기(8)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격판(6)의 상면에는 중앙에는 제7 고정홀(84)이 형성되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격판(6)의 외연부에서 법선방향과 하향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과 저면 그리고 내경면과 외경면에 다수의 제2 통기공(85)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2 충진물(86)이 축진되는 제2 카트리지용기(8b)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받침대(1)와 상부몸체(2)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고 상단에는 그릴안착 단턱부(21)를 구비하고, 저면 중앙에는 저면 중앙은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단에 원형의 화염홀(11)이 형성되는 화염안내 돌출부(12)를 형성하여 내측 테두리를 따라 물 저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화염홀(11)의 중앙에는 원판의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 제1 고정홀(13)이 형성된 후 외경을 따라 세 방향 이상으로 편으로 연장되어 상기 화염홀(11)의 외연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브라켓(14)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20120118575A 2012-10-24 2012-10-24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137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575A KR101379764B1 (ko) 2012-10-24 2012-10-24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8575A KR101379764B1 (ko) 2012-10-24 2012-10-24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764B1 true KR101379764B1 (ko) 2014-04-01

Family

ID=5065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8575A KR101379764B1 (ko) 2012-10-24 2012-10-24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76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WO2018026041A1 (ko) * 2016-08-03 2018-02-08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고기구이용 불판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KR101844458B1 (ko) * 2017-02-23 2018-04-02 오진훈 과열방지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 용기 거치대
KR101844456B1 (ko) 2017-02-23 2018-04-02 이재곤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1908008B1 (ko) * 2014-12-18 2018-10-15 정영진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CN113907610A (zh) * 2020-07-10 2022-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食品加工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155A (ko) * 2010-07-22 2012-02-01 김영환 내연기관의 흡기계통의 카본 누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9155A (ko) * 2010-07-22 2012-02-01 김영환 내연기관의 흡기계통의 카본 누적방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KR101908008B1 (ko) * 2014-12-18 2018-10-15 정영진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WO2018026041A1 (ko) * 2016-08-03 2018-02-08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고기구이용 불판
KR101844458B1 (ko) * 2017-02-23 2018-04-02 오진훈 과열방지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 용기 거치대
KR101844456B1 (ko) 2017-02-23 2018-04-02 이재곤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CN113907610A (zh) * 2020-07-10 2022-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食品加工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907610B (zh) * 2020-07-10 2023-09-0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食品加工机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764B1 (ko)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US9433322B2 (en) Portable, smokeless, indoor/outdoor grill
US9119500B2 (en) Griddle plate for a gas grill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KR101401017B1 (ko) 구이판의 높이가 조절되는 가열 조리기
US20030234014A1 (en) Food cooker
US20120258224A1 (en) Cooking assembly
KR20090010615A (ko) 기능성 조리가열장치
KR101721910B1 (ko) 직화구이 스팀 불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US20130213242A1 (en) Infrared charcoal grill
US7997188B2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KR101346816B1 (ko) 이중 구조의 다용도 조리 용기
US6869629B2 (en) Drip pan for an infrared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KR102023759B1 (ko) 전기구이기구
JP3146060U (ja) 肉の網焼き器具用プレート
KR100826854B1 (ko) 구이물에 수분이 공급되게 하는 오븐용 구이판
KR20180043949A (ko) 테이블 화로용 석쇠 높낮이 조절구
KR101040024B1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0714442B1 (ko) 테이블형 구이장치용 열 분산판
JP6748752B1 (ja) 輻射鍋
JP7217529B2 (ja) スチーム調理器
KR101308233B1 (ko) 원적외선 방사형 조리장치
KR200302065Y1 (ko) 돌솥 돌구이기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