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456B1 - 조리 용기용 거치대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용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456B1
KR101844456B1 KR1020170024272A KR20170024272A KR101844456B1 KR 101844456 B1 KR101844456 B1 KR 101844456B1 KR 1020170024272 A KR1020170024272 A KR 1020170024272A KR 20170024272 A KR20170024272 A KR 20170024272A KR 101844456 B1 KR101844456 B1 KR 10184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thermal power
bottom hole
cooking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곤
Original Assignee
이재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곤 filed Critical 이재곤
Priority to KR102017002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7Pan supports or grat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열원에 의해 공급되는 화력을 조리 용기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열기를 전달하여 소위 저수분 요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열원에 의해 공급되는 화력을 조리 용기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여 높은 화력으로 직화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조라 용기에 전달되는 화력 내지 열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조리 용기를 비롯한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1 바닥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 화력 배출을 위한 화력배출로가 형성된 제1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2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제1 바닥구멍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2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 외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물 수용을 위한 제 3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 용기용 거치대{COOKING TRAY FOR POT}
본 발명은 조리 용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열원에 의해 공급되는 화력을 조리 용기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열기를 전달하여 소위 저수분 요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열원에 의해 공급되는 화력을 조리 용기에 직접적으로 닿게 하여 높은 화력으로 직화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조라 용기에 전달되는 화력 내지 열기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고 조리 용기를 비롯한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와 같은 주방용 조리 용기는 내부에 오목하게 조리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본체와, 용기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을 구비하고 있다.
최근 건강 식단이 유행하면서 저수분 요리가 유행이고, 밥맛을 살리기 위해 마치 가마솥에서 밥을 한 것과 같은 맛을 느낄 수 있는 요리 방법 내지 요리 도구들이 선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로, 저수분 요리란 음식 자체에 있는 수분이나 최소한의 수분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방식으로, 식재로 본연의 맛과 영향을 잘 살려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이러한 저수분 요리는 열전도율이 높고 쉽게 식지 않는 냄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유행에 맞추어 냄비의 바닥면을 공간이 있는 이중으로 형성하는 제품들이 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중 바닥 냄비는 오직 저수분 요리 내지 일정 정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밥 짓기에 적합한 구조이기에 직화 요리와 같은 높은 화력이 요구되고 빠른 시간 내의 요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즉, 냄비의 바닥면이 공간이 있는 2중 바닥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화력이 공급되더라도 음식물과 닿는 내측의 바닥면은 일정 온도에 다다르면 더 이상 올라가지 않게 되어 직화 요리와 같은 높은 화력이 요구되는 요리에는 적합하지 않아 사용이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결국 소비자의 필요에 따라 저수분 요리에 적합한 냄비를 선택해서 사용하거나 또는 직화 요리에 적합한 냄비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되어, 항시 각각의 냄비가 구비되어야 한다는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참고로, 이중 냄비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1170007호(2012년 7월 25일 등록) 『이중 가열식 냄비구조』가 소개된 바 있다.
등록특허 제10-1170007호는 내측에 가열통로가 구비된 냄비 본체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 가열통로의 내/외측면에 열기가 회전되면서 공급되도록 하여 냄비 몸체의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조리를 할 수 있는 이중 가열 냄비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170007호의 구조로는 효율적인 직화 방식의 요리 내지 저수분 요리를 기대할 수 없으며,
더욱이 냄비 내측부의 외주면과 외측부의 내주면 사이 공간 즉, 가열통로에 열기가 지속적으로 공급은 되나 공급된 열기가 배출할 수 있는 배출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기에, 일정 시간 요리가 진행된 경우 공급된 열기에 비해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요리하는 주변의 온도가 상승되고 급격히 과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물론 등록특허 제10-1170007호의 구조로는 가열통로로까지의 세척이 힘들다는 문제점 또한 가진다.
본 발명은 가스렌지와 같은 열원에 올려놓고 그 위에 조리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로서, 하나의 냄비 즉 조리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수분 요리 내지 가마솥과 같은 밥짓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높은 화력을 요구하는 직화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거치대 주변으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별도 마련하여 조리용기를 비롯한 주변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고, 저수분 요리 내지 가마솥과 같은 밥짓기 요리시에도 항시 열기가 배출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여 사용상의 안전성이 보장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는,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1 바닥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 화력 배출을 위한 화력배출로가 형성된 제1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2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제1 바닥구멍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2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 외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물 수용을 위한 제 3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는,
상기 제3 트레이는 제1 트레이의 바닥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는,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에는 제1 바닥구멍의 개폐와 무관하게 항시 개방되는 제 3바닥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나아가
상기 제2 트레이는 제2 바닥구명이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외곽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지지고, 상기 측면은 경사진 형태로 제1 바닥구멍 폐쇄 상태에서 제3 바닥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는,
상기 제1 트레이에는 조리용기가 제1 트레이 내부에서 걸쳐지기 위한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를 기준으로 제1 트레이 측면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 측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화력배출로는 상기 턱부를 기준으로 아래의 측면에 형성된 하부 화력배출로와, 위의 측면에 형성된 상부 화력배출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화력배출로는 좌우로 긴 장공타입으로 형성되어, 하부 화력배출로는 제2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우선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저수분 요리 또는 높은 화력이 필요한 요리에 따라 냄비를 별도 선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지고, 제2 트레이를 회전시켜 제1 트레이에 형성된 제1 바닥 구멍의 폐쇄 여부에 따라 요리 방식에 대한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제1 트레이 주변으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제3 트레이가 형성되어 제1 바닥구멍이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화력에 의해 거치대와 조리용기 사이 내부의 열기가 포화상태가 되어 거치대 및 조리 용기를 비롯한 주변이 급격하게 뜨거워지고 달구어져 만에 하나 생길 수 있는 폭발사고의 위험을 없앴다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상기 제3 트레이만이 아니라 제1 바닥구멍이 모두 폐쇄된 상태에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로를 만들고, 특히 배출되는 열기가 특정 방향의 위쪽으로 올려 보내지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하여, 거치대에 안치되는 조리 용기 전체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모든 구조가 오픈되어 있어 사용 후 세척이 용이하고, 제1 트레이의 바닥면에 비해 아래로 위치된 제3 트레이로 인해 바람막이 기능도 기대할 수 있어 캠핑 등 외부 사용에서도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의 사용상태 즉, 제1 바닥구멍이 폐쇄된 상태[A]와 개방된 상태[B]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의 단면도로서 제1 바닥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에 있어서 냄비걸치대와 패킹을 별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 용기용 거치대는, 도 1 내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스렌지와 같은 열원 부근에 위치시키는 제1 트레이(10)와, 상기 제1 트레이 바닥면에 안치되어 회전되면서 제1 트레이에 형성된 제1 바닥구멍(1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트레이(20)와, 그리고 상기 제1 트레이 외곽 주변을 따라 형성되어 물 수용을 위한 물 수용홈(35)을 구비하는 제3 트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1 트레이(10)의 바닥면(10A)에는 열원으로부터의 화력 유입을 위한 제1 바닥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트레이(20) 역시 바닥면(20A)에 화력 유입을 위한 제2 바닥구멍(21)이 형성되어, 제2 트레이(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바닥구멍(11) 형성 위치에 제2 바닥구멍(21)이 위치되어 제1 바닥구멍(11)이 개방되기도 하고(도 2의 [B] 참조), 제1 바닥구성(11)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제2 바닥구멍(21)이 위치되어 제1 바닥구멍(11)이 폐쇄되기도 한다(도 2의 [A] 참조).
이에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레이에 형성된 손잡이(23)를 잡고 사용자가 이를 좌우로 이동시킴에 따라 제2 트레이(20)를 회전시켜 제1 트레이(10)에 형성된 제1 바닥구멍(11)의 개폐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도 2의 [A]에서와 같이 제1 바닥구멍(11)이 폐쇄되면 열원에 의한 화력은 조리 용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화력의 열기만이 전달되고 균일한 온도가 유지되어 밥 짓기 내지 저수분 요리에 적합한 모드가 된다.
이런 구조는 밥짓기 또는 저수분 요리에는 상당히 적합하지만 높은 열을 요구하는 요리(예, 직화구이)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이에 높은 화력을 요구될 때에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제2 트레이(20)를 회전시켜 막혀있던 제1 바닥구멍(11)을 개방시켜서 열원에 의한 화력이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제1 바닥구멍의 오픈 정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통해 열원의 화력을 직접적으로 조절하지 않더라도 조리 용기에 전달되는 열기 내지 화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제3 트레이(30)는 제1 트레이와 별개 부품으로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트레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3 트레이(30)를 도입한 목적은 제3 트레이에 형성된 물 수용홈(35)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이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열기를 수용함으로써 열원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열 공급에 의해서 조리 용기 거치대를 비롯하여 요리하는 주변이 급격하게 달구어지고 뜨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저수분 요리 내지 밥짓기를 위해 제1 트레이(10)의 제1 바닥구멍(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요리가 진행되는 경우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화력에 의한 열기가 조리 용기 거치대의 폐쇄된 공간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거치대 및 거치대 주변이 지나치게 달구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3 트레이(30)의 물 수용홈(35)에 물을 저장시키고 이 물이 데워지는 과정에서 열기 일부를 수용하게 되어 거치대를 비롯한 요리하는 주변의 온도가 급격히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3 트레이의 물 수용홈(35)은 제1 트레이 주변의 외곽을 둘러싸는 도넛 형태로 제1 트레이(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트레이의 바닥면(10A))보다 더 낮은 위치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트레이의 바닥면(10A)은 제3 트레이의 물 수용홈 바닥면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형성시켜 도넛 형태의 제3 트레이 중앙부에는 빈 공간(S)을 마련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캠핑 등 야외에서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빈 공간(S)인 중앙부에 가스렌지 열원이 위치되면서 제3 트레이(30)가 휴대용 가스렌지의 삼발이 역할을 겸하고 또한 이로 인해 바람막이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트레이(10)는 바닥면(10a)에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화력유입을 위한 제1 바닥구멍(11)이 형성되고, 측면(10B)에는 화력 배출을 위한 화력배출로(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트레이의 바닥면(10A)은 후술될 제1 및 제3 바닥구멍(11, 13)이 형성된 내측 바닥(10Aa) 부위보다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외측 바닥(10Ab) 부위를 더 낮게 형성하여 바닥면의 높이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리되는 용기에서 음식물이 넘치는 경우 화력이 공급되는 상기 바닥구멍들로 음식물을 포함한 불필요한 물질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10A)에는 제1 바닥구멍의 개폐와 무관하게 항시 개방되는 제3 바닥구멍(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닥구멍(11)은 제2 트레이의 회전 상태에 따라 개방되기도 하고 폐쇄되기도 하지만, 제2 트레이 회전여부와 무관하게 항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3 바닥구멍(13)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바닥구멍(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열원으로부터 공급된 화력에 의해 뜨겁게 데워진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폐쇄된 공간에 지속적으로 머무르게 되면 지나치게 뜨거워진 열기로 폭발 위험 등 안전상의 문제가 예견되기에, 열기의 일부를 항시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의 도입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 바닥구멍의 개폐여부와는 별개로 항시 개방되어 있는 제3 바닥구멍(13)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제3 바닥구멍(13)은 제1 트레이 측면에 형성된 화력배출로(12)와 연동하여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물론, 제3 바닥구멍은 저수분 요리와 같은 모드에서 열기의 일부만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바닥구멍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제3 트레이의 물 수용홈을 둠과 동시에 제1 트레이에 제3 바닥구멍(13)을 형성하게 되면, 물 수용홈(35) 내 저장된 물이 빨리 끓어 조여지는 시간을 느리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고, 특히 후술하겠으나, 제2 트레이의 들림부(25)로 인해 제3 바닥구멍(13)을 통해 빠져나가는 열기가 측면이 아닌 상부(경사진 상부) 방향이 되도록하여 유입된 열기가 가능하면 측면쪽의 제3 트레이 물 수용홈(35)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물 수용홈(35) 내 저장된 물이 빨리 끓어 증발되는 시간을 늦출 수 있다.
상기 제1 트레이의 측면(10B)에는 제1 트레이 내부에서 조리용기가 걸쳐지기 위한 턱부(10C)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10C)를 기준으로 윗 방향으로 제1 트레이 측면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 측면(10Ba)을 더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화력배출로(12)의 경우 턱부 아래의 측면에도 형성되고, 턱부 위의 측면(즉, 확장 측면)에도 형성되는데, 아래의 측면에 형성된 화력배출로를 하부 화력배출로(12B)라 칭하고, 위의 측면(즉, 확장 측면)에 형성된 화력배출로를 상부 화력배출로(12A)라 칭한다.
제1 트레이(10)의 제1 바닥구멍(11)이 폐쇄된 상태에서 조리용기가 상기 턱부(10C)에 걸쳐지는 경우 거치대 내부로 유입된 화력의 열기는 제3 바닥구멍(13)과 하부 화력배출로(12B)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것이고, 조리용기가 확장 측면 위로 걸쳐지는 크기인 경우에는 제3 바닥구멍(13)을 통해 유입된 열기는 상부 화력배출로(12A) 및 하부 화력배출로(12B) 모두룰 통해 화력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화력배출로(12B)는 제2 트레이의 손잡이(23)가 끼워지고 해당 손잡이(23)가 좌우로 이동되는 경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제2 트레이(20)를 좀 더 살펴보면, 제2 트레이는 제2 바닥구멍(21)이 형성된 바닥면(20A)과 상기 바닥면 외곽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20B)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기보다는 눕혀진 것과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은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의 복수 개의 들림부(25)를 가지는데, 상기 들림부(25)는 제2 트레이가 회전되어 제1 트레이의 제1 바닥구멍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3 바닥구멍(13)과 만나는 즉, 제3 바닥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의 제2 트레이 측면에 형성된다.
이는 제3 바닥구멍(13)을 통해 거치대 내부로 유입되는 열기의 배출방향을 들림부(25)를 통해 특정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함인 것으로, 제3 바닥구멍을 통해 올라오는 열기가 수직으로 올라가기보다는 들림부(25)를 통해 비스듬히 배출되어 화력배출로(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들림부(25) 구조로 인해 제3 바닥구멍을 통해 뜨거운 열기 일부를 유입하여 상부 또는 하부 화력배출로까지 열기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조리용기의 바닥면만이 아닌 측면도 함께 가열시키게 되는 효과를 기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는 별도의 냄비 거치대(40)를 추가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냄비 거치대(40)는 조리 용기의 높이가 높아서 제1 트레이 위에 냄비를 거치시키는 것이 적합하지 않아 거치대의 높이를 높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제1 트레이(10)에 걸쳐지는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냄비 거치대에 있어서도 열기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공(41)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냄비 거치대가 제1 트레이에 걸쳐지는 구체적인 구조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그리고 냄비 거치대에는 조리하는 요리가 국물 요리이고 국물이 끓어 넘칠 위험이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부(4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냄비 거치대(40)의 상단부에는 패킹(50)을 장착하게 되는데, 상기 패킹(50)은 냄비 거치대와의 결합을 위해 냄비 거치대 외주면에 밀착되기 위한 수직형태의 장착부(51)와 상기 장착부 상단에서 연결형성되면서 거치되는 냄비 등의 조리 용기 외주면과의 접촉 내지 밀착을 위한 접촉부(5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52)는 트레이에 거치되는 냄비의 직경에 따라 냄비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달라지는 것으로 일정 폭을 가지는 수평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패킹의 단면은 대략 "ㄱ"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통상 조리 용기 즉, 냄비가 거치대 내측으로 안치되려면 냄비 거치대 직경보다 냄비의 직경이 작아야 한다. 그러나 너무 작은 경우에는 냄비 거치대 내주면과 냄비 외주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거치대 내부의 열기가 해당 틈 사이로 빠져나올 수 있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일정의 넓은 폭을 가지는 접촉부(52)가 있는 패킹(50)을 사용하여 해당 접촉부에서 직경의 차이로 형성되는 공간을 폐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소 직경이 맞지 않는 조리용기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트레이
10A: 바닥면 10B: 측면 10C: 턱부
11: 제1 바닥구멍 12: 화력배출로 13: 제3 바닥구멍
20: 제2 트레이
20A: 바닥면 20B: 측면
21: 제2 바닥구멍 23: 손잡이 25: 들림부
30: 제3 트레이 35: 물 수용홈
40: 냄비거치대
50: 패킹

Claims (5)

  1.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1 바닥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에 화력 배출을 위한 화력배출로가 형성된 제1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화력유입을 위한 제2 바닥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 제1 바닥구멍의 개폐여부를 제어하는 제2 트레이와,
    상기 제1 트레이 외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물 수용을 위한 제 3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레이의 바닥면에는 제1 바닥구멍의 개폐와 무관하게 항시 개방되는 제 3바닥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트레이는 제1 트레이의 바닥면보다 아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레이는 제2 바닥구명이 형성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 외곽에서 돌출 형성된 측면으로 이루어지지고,
    상기 측면은 경사진 형태로 제1 바닥구멍 폐쇄 상태에서 제3 바닥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에는 조리용기가 제1 트레이 내부에서 걸쳐지기 위한 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턱부를 기준으로 제1 트레이 측면은 외측으로 확장된 확장 측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화력배출로는 상기 턱부를 기준으로 아래의 측면에 형성된 하부 화력배출로와, 위의 측면에 형성된 상부 화력배출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화력배출로는 좌우로 긴 장공타입으로 형성되어, 하부 화력배출로는 제2 트레이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20170024272A 2017-02-23 2017-02-23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184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72A KR101844456B1 (ko) 2017-02-23 2017-02-23 조리 용기용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72A KR101844456B1 (ko) 2017-02-23 2017-02-23 조리 용기용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456B1 true KR101844456B1 (ko) 2018-04-02

Family

ID=6197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72A KR101844456B1 (ko) 2017-02-23 2017-02-23 조리 용기용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4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052Y1 (ko) * 2002-10-16 2003-01-24 이관선 가열 조리기의 불판
KR100517216B1 (ko) 2002-05-25 2005-09-28 박종국 가스 및 숯불 겸용 고기 구이기
KR101379764B1 (ko)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7216B1 (ko) 2002-05-25 2005-09-28 박종국 가스 및 숯불 겸용 고기 구이기
KR200302052Y1 (ko) * 2002-10-16 2003-01-24 이관선 가열 조리기의 불판
KR101379764B1 (ko)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0937B (zh) 烹饪系统
JP5831520B2 (ja) 炊飯器
KR101697898B1 (ko) 무선 전기 압력밥솥
KR100928141B1 (ko) 가압식 고온 가열 조리기구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ES295306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alentamiento por microondas con inversión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102393566B1 (ko) 밥솥
TWM559142U (zh) 高安全性之隔熱防燙鍋具
KR102292222B1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JP2008054893A (ja) 陶器製調理具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101717978B1 (ko) 중탕 구이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KR200196731Y1 (ko) 고기 조리판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101844458B1 (ko) 과열방지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조리 용기 거치대
KR20090117682A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JP2008279141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TWM493953U (zh) 蒸煮電鍋
KR200404934Y1 (ko) 가스 레인지 그릴 장치
KR20050120586A (ko) 전기 바베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