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6731Y1 - 고기 조리판 - Google Patents

고기 조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6731Y1
KR200196731Y1 KR2020000009295U KR20000009295U KR200196731Y1 KR 200196731 Y1 KR200196731 Y1 KR 200196731Y1 KR 2020000009295 U KR2020000009295 U KR 2020000009295U KR 20000009295 U KR20000009295 U KR 20000009295U KR 200196731 Y1 KR200196731 Y1 KR 200196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eat
plate
cen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명
Original Assignee
이원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명 filed Critical 이원명
Priority to KR2020000009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67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6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6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조리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리판의 상면부가 중앙을 향해 하향되게 만곡되는 조리판의 중앙에 육수나 기름 또는 증숙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하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별도의 로스구이용 보조판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조리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고기에 직접열이 가해지지않고 간접적인 가열효과가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과도한 익힘으로 인한 풍미의 저하나 조리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리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름의 비산이 조리판의 내측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조리판{THE COOKING PLATE}
본 고안은 고기 조리판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조리판의 상면부가 중앙을 향해 하향되게 만곡되는 조리판의 중앙에 육수나 기름 또는 증숙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하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별도의 로스구이용 보조판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조리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고기에 직접열이 가해지지않고 간접적인 가열효과가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과도한 익힘으로 인한 풍미의 저하나 조리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리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름의 비산이 조리판의 내측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 알려지고 있는 고기 조리판(예를 들어 로스용 구이판 또는 불고기용 조리판 등)의 구조는 대개 고기를 재치시기는 기능과 기름을 배출하는 기능 또는 육수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보유하는 것으로 사용상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하게되는 것이다.
⊙ 조리판의 형태적 특성상 불고기 또는 로스용 구이 이외의 타용도로의 전환이 어려워 사용범위가 한정되고 협소하게 되는 것이며,
⊙ 고기를 굽기 위한 상면부가 중앙을 향해 만곡되게 융출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조리 시 기름이 외향으로 비산되는 것이므로 주변을 오염시키거나 피부를 손상시키는 취급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 고기를 조리하기 위한 열이 직접적으로 고기가 놓여진 부위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고기의 표면만이 급속하게 익어 익힘이 고르지 않게 되어 풍미를 저해하게 되고 고기가 쉽사리 타거나 건조하게 되어 연기의 발생과 잦은 조리판의 교체가 요구되었던 것이며,
⊙ 불고기용 조리판의 경우 가장자리에 육수를 수용하기 위한 요입홈이 마련되는 것으로 단순히 육수를 가열시키기 위해 저장하는 단순 기능만을 갖는 것이므로 용도가 한정되는 것이며,
⊙ 육수가 가열효과가 적은 조리판의 가장자리로 저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고기에 비해 조리시간이 늦게되어 고기와 동시에 취식이 어려운 불편한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조리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고기에 직접열이 가해지지않고 간접적인 가열효과가 부여되도록 함으로써 고기의 과도한 익힘으로 인한 풍미의 저하나 조리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리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함과 아울러 수용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며, 기름의 비산이 조리판의 내측을 향하여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조리판을 제공함에 있느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판의 상면부가 중앙을 향해 하향되게 만곡되는 조리판의 중앙에 육수나 기름 또는 증숙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하향으로 돌출되게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별도의 로스구이용 보조판이 구비되도록 한 것으로써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릉 구성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조리부
1':열 유입공
1':방열 차단부
2:수용부
2':받침턱
3:보조 구이판
3':기름 배출공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열 유입공(1')과 가장자리에 하향으로의 방열 차단부(1')를 구비하는 상태로 중앙을 향해 하향되게 만곡되는 조리부(1)와;
상기 조리부(1)의 중앙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구성되며 육수나 기름 또는 증숙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상연부에 형성되는 받침턱(2')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중앙에 기름 배출공(3')을 형성하는 로스구이용 보조판(3)을 각각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예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조리부(1)와 수용부(2)를 별개체로 구성시켜 조리부(1)의 표면이 이물질의 탄착으로 오염되는 경우 조리부(1)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조리부(1)의 중앙에 천공되는 원형의 공간부(1A) 연부에 환형의 받침턱(1B)을 일체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부(1)와 별개체로 구성되는 수용부(2)의 상연부에는 조리부(1)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환형의 지지 플랜지(2A)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중 미설명 부호 ※
(4)는 손잡이 이며, (5)는 조리판을 덮어주는 덮개이고,
(6)는 가열기구의 삼발이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수용부(2)의 크기는 가열기구의 화염을 충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되며 만일 수용부(2)의 크기가 버너의 직경보다 작아 수용부(2)의 외부로 화염이 공급되면 조리부(1)에 직접열이 가해지게 되어 본 고안이 목적하는 바를 제대로 이루기 어렵게 된다.
먼저 본 고안을 불고기용으로의 목적에 사용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용부(2)의 받침턱(2')에서 로스구이용 보조판(3)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가열기구의 삼발이(6)상에 수용부(2)를 재치시키고 조리부(1)상에 불고기를 얹어 놓게 되면 불고기의 육수는 수용부(2)내로 수용되어 가열되는 것이며 고기는 조리부(1)상에서 익게되는 것으로 화염은 수용부(2)에 직접열 가함과 동시에 수용부(2) 밑면의 가장자리 밖에서 거의 소멸되어 조리부(1)에는 간접열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수용부(2)내의 육수는 상대적으로 고기보다 보다 신속하게 가열되고 조리부(1)의 고기는 간접열에 의해 타지 않고 골고루 익게 되어 풍미가 뛰어나고 탄착으로 인한 조리부(1)의 오염이 최소화되어 잦은 교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수용부(2)가 용기 형상을 하고 있어 수용된 육수에 별도의 국수나 밥, 또는 기타 김치나 야채 등을 넣어 조리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것이며,
한편 본 고안을 로스 구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리시켰던 로스구이용 보조판(3)을 받침턱(2')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조리부(1)와 로스구이용 보조판(3)상에 고기를 올려 놓고 조리하게 되는 것으로써 조리 시에 발생되는 기름 중 조리부(1)의 기름은 받침턱(2')의 가장자리 또는 로스구이용 보조판(3) 중앙의 기름 배출공(31)을 통해 수용부(2)내로 모여지게 되는 것이며,
조리부(1)상의 고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간접열을 받음으로써 타지 않고 풍미있게 구어짐은 물론 로스구이용 보조판(3)상의 고기도 수용부(2)의 공간에 의해 간접열을 받게 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게됨은 물론이다.
또한 조리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리부(1)의 형상이 중앙을 향해 오목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므로 기름이나 물 등의 비산 시에 조리판의 내측으로 튀는 것이므로 취식자의 신체나 옷 또는 주변을 오염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조리판상에 덮개(5)를 덮어주고 수용부(2)에 물을 넣어 가열시키면 수용부(2)내의 물이 끓음으로서 발생되는 수증기의 온도와 습도를 이용하여 각종 찜이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는 가온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
도 2와 같이 조리부(1)와 수용부(2)를 별개체로 구성시키면 조리부(1)의 표면이 이물질의 탄착으로 오염되는 경우 수용부(2)를 그대로 두고 조리부(1)만을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조리부(1)의 저면을 타고 외향으로 흐르는 열의 일부는 방열 차단부(1')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므로 열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리자로의 열이동을 감소시켜 조리의 편의성을 부여하며 손잡이(4)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중앙에 구성되는 용기형태의 수용부와 보조 구이판에 의해 다양한 조리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고기에 직접열이 가해지지 않고 간접적인 가열효과가 부여될 수 있어 고기의 과도한 익힘으로 인한 풍미의 저하나 조리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리판의 잦은 교체를 방지함과 기름의 비산이 조리판의 내측을 향하여 이루어 질 수 있어 취급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열 유입공(1')과 가장자리에 하향으로의 방열 차단부(1')를 구비하는 상태로 중앙을 향해 하향되게 만곡되는 조리부(1)와;
    상기 조리부(1)의 중앙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구성되며 육수나 기름 또는 증숙용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와;
    상기 수용부(2)의 상연부에 형성되는 받침턱(21)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며 중앙에 기름 배출공(3')을 형성하는 로스구이용 보조판(3)을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조리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1)의 중앙에 천공되는 원형의 공간부(1A) 연부에 환형의 받침턱(1B)을 일체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조리부(1)와 별개체로 수용부(2)를 구성하되 수용부(2)의 상연부에는 조리부(1)의 저면을 받쳐 지지하기 위한 환형의 지지 플랜지(2A)를 일체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조리판.
KR2020000009295U 2000-03-31 2000-03-31 고기 조리판 KR200196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95U KR200196731Y1 (ko) 2000-03-31 2000-03-31 고기 조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295U KR200196731Y1 (ko) 2000-03-31 2000-03-31 고기 조리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198A Division KR100344180B1 (ko) 2000-04-01 2000-04-01 고기 조리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6731Y1 true KR200196731Y1 (ko) 2000-09-15

Family

ID=1964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295U KR200196731Y1 (ko) 2000-03-31 2000-03-31 고기 조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67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74A (ko) * 2005-04-06 2006-10-13 이종철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6974A (ko) * 2005-04-06 2006-10-13 이종철 기름튀김 차단층을 구비한 고기구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US20080060529A1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KR200196731Y1 (ko) 고기 조리판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377300Y1 (ko) 구이용 기구
KR100520912B1 (ko) 솥뚜껑 구이 장치
KR20200090604A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200412774Y1 (ko) 전기 구이기
KR200196660Y1 (ko) 구이팬
JP2005125061A (ja) 間接加熱式調理板
KR100580564B1 (ko) 구이장치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0156218Y1 (ko) 구이팬
KR100679537B1 (ko) 구이기
KR100330623B1 (ko) 가열식 남비뚜껑
KR200222818Y1 (ko) 바베큐 용기
KR20240037541A (ko) 맥반석구슬 불판
KR200355849Y1 (ko) 구이장치
KR200427285Y1 (ko) 구이기용 간접가열커버
KR200366225Y1 (ko) 다용도 조리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