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604A -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 Google Patents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604A
KR20200090604A KR1020190134172A KR20190134172A KR20200090604A KR 20200090604 A KR20200090604 A KR 20200090604A KR 1020190134172 A KR1020190134172 A KR 1020190134172A KR 20190134172 A KR20190134172 A KR 20190134172A KR 20200090604 A KR20200090604 A KR 20200090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
container
lid
thermal power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4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222B1 (ko
Inventor
윤근수
Original Assignee
윤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filed Critical 윤근수
Publication of KR2020009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47J37/072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with gas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용기본체(100)의 중앙부에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가 방사형으로 천공된 직화구면(103)과, 상기 직화구면(103)의 외주면에 기름골(102)이 형성되고, 상기 직화구면(103) 상단에 얹어 사용하는 직화구면(103) 형상을 본뜬 구이불판(120) 내지는 별도의 찜용 조리용기(140)와 열손실을 막아주는 뚜껑(160)이 겸비되는 것으로, 상기 직화구면(103)상에는 화력조절틈새(171)를 조절하는 저화력조절핀(106)과 고화력조절핀(107)이 구비되어 2단계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Direct heating vessel with thermal control layer}
본 발명은 가스렌지에서 직화구에 유입되는 화력으로 직화용기를 이용하는 각종 육류나 어패류 및 야채 등을 굽거나 찌거나 삼는 등의 일반적인 조리시 효과적으로 화력을 사용하되 과열되지 않도록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화를 사용하는 이유는 가스렌지와 같은 열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찌거나 구워서 익혀야 하는 각종 육류나, 각종 어패류나, 각종 농산물 등을 조리할 때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조리대상물의 상하좌우 전체를 골고루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찜요리와 같이 수분이 충분하지 않은 직화구이는 조리대상물이 직접 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분히 익기 전에 구이면에 직접 닿는 조리대상물이 과열되어 타게 되는 문제점으로 알맞게 익는 시기를 알 수 없거나, 알맞게 익는 짧은 시간대를 놓쳐 맛없게 타버리는 일들이 종종 발생 되고 있다.
그리고, 직화요리는 크게 두 분야로 조리를 할 수 있다. 육류, 어패류, 채소류를 국물과 함께 끓여서 익히거나 증기로 쪄서 익히는 직화찜요리와, 열원의 열이 직접 고기를 가열하는 방식의 직하구이로 조리함에 있어, 찜전용 직화용기 따로 구이전용 직화용기 따로 제조되어 직화용도별로 구입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직화찜요리 내지는 직화구이를 겸하여 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를 수용하는 높이의 직화용기본체는 상단에 뚜껑이 개폐될 수 있고 하단에 일체로 구비된 직화구면상에 조리용기 내지 구이불판을 얹어 직화찜요리와 직화구이가 통합되고, 다수개의 직화구가 천공된 직화구면 위에 얹어 사용되는 구이불판과의 틈새를 좁히거나 넓혀주는 저화력조절핀과 고화력조절핀을 직화구면상에 구비하여 직화구로 유입되는 화력으로 과열되지 않게 하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직화용기본체(100) 하단의 중심부에 일정용량의 물통(104)이 일정높이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물통(104) 상부 외주면에 연하여 형태가 다른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가 방사형으로 천공된 직화구면(103)이 완만한 만곡면 형태로 펼쳐지게 하며, 상기 직화구면(103)과 상하로 접하는 구이불판(120)과의 간극을 벌려주는 저화력조절핀(106)을 직화구면(103)의 내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고, 이와 같이 고화력조절핀(107)을 직화구면(103)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직화구면(103) 외주면에 연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기름골(102)의 높이가 상기에 형성된 물통(104) 높이에 맞추어 일정 폭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름골(102)의 외주면을 이루는 직화용기외벽(110)은 조리용기(140)를 수용하는 높이로 올리되 덮는 뚜껑(160)의 안치를 위한 뚜껑받침턱(108)과, 상기 뚜껑받침턱(108) 외주면에 연하여 좌우대칭으로 소정높이의 손잡이(101)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화용기본체(100) 상단에 형성되는 뚜껑받침턱(108)에 90°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4개의 볼록요철(181)이 일정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요철면(181)과 배열이 같고 방향이 다른 4개의 오목요철면(182)이 뚜껑테두리면(183)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테두리면(183) 내측에 일정높이의 뚜껑지지링(184)은 뚜껑(160)이 직화용기본체(100)를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화구면(103) 상단에 일정간극을 두고 얹어지는 구이불판(120)은 직화구면(103)에 천공된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 형태와 같은 불판요철부(122)가 형성된 구이면(121)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5개의 화력조절핀홈(123)이 천공되고, 상기 구이불판(120)의 저면 중심부에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불판지지링(125)은 구이불판(120)이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140)는 용기테두리면(144)에 좌우 대칭의 용기손잡이홈(14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테두리면(144)에 내접하여 일정높이의 용기측벽(143)이 하향 돌출되어 조리용기(140)를 이룸에 있어, 조리용기(140) 저면의 외측에 구비된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5개의 용기지지대(141)와, 상기 조리용기(140)의 저면 중심부에 구비된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용기지지링(142)은 조리용기(140)가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직화찜요리 내지는 직화구이를 하나의 직화용기로 할 수 있고, 직화구면에 외측에 구비된 고화력조절핀과 내측에 구비된 저화력조절핀을 구비함으로써, 직화구면과 구이불판 사이에 공급되는 화력이 안정적으로 유입되므로 과열이 예방되는 가운데 알맞게 익혀진 구이류를 여유롭게 시식할 수 있고, 구이류가 타들어 갈 때 발생되는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저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이불판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에 얹어진 구이불판이 저화력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에 얹어진 구이불판이 고화력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화용기본체에 수용된 조리용기를 보인 절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을 개방해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의 틈새가 닫힌 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를 덮는 뚜껑의 틈새가 열린 상태를 보인 절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가 한정 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인 저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직화용기본체를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의 도면들을 참조하면, 직화용기본체(100)의 중앙부에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가 방사형으로 천공된 직화구면(103)과, 상기 직화구면(103)의 외주면에 기름골(102)이 형성되고, 상기 직화구면(103) 상단에 얹어 사용하는 직화구면(103) 형상을 본뜬 구이불판(120) 내지는 별도의 찜용 조리용기(140)와 열손실을 막아주는 뚜껑(160)이 겸비되는 것으로, 상기 직화구면(103)상에는 화력조절틈새(171)를 조절하는 저화력조절핀(106)과 고화력조절핀(107)이 구비되어 2단계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과열방지 안전장치가 의무적으로 설치된 가스렌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직화구면(103) 중앙부에 과열방지 센서를 눌러주는 기능을 겸하는 물통(104)이 일정높이로 하향 형성되고, 상기 물통(104)의 상부 외주면에 연하여 형태가 다른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가 방사형으로 천공된 직화구면(103)이 만곡면 형태로 펼쳐지게 하며, 상기 직화구면(103) 상단에 얹어지는 구이불판(120)과의 화력조절틈새(171)를 벌려 2단의 화력조절틈새(171)를 형성되게 하는 저화력조절핀(106)을 직화구면(103)의 내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고, 이와 같이 고화력조절핀(107)을 직화구면(103)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직화구면(103) 외주면에 연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기름골(102)의 높이는 상기에 형성된 물통(104) 높이에 맞추어 일정 폭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름골(102)의 외주면을 이루는 직화용기외벽(110)은 찜용 요리재료가 담긴 조리용기(140)를 수용하는 높이로 올리되 열기가 손실되지 않도록 덮는 뚜껑(160)의 안치를 위한 뚜껑받침턱(108)과, 상기 뚜껑받침턱(108) 외주면에 연하여 좌우대칭으로 소정높이의 손잡이(101)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받침턱(108)에 형성되는 4개의 볼록요철면(181)과 맞닿는 뚜껑테두리면(183)에 4개의 오목요철면(182)이 형성되어 뚜껑틈새(180)를 여닫는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직화용기본체(100)에 연계되어 사용되는 구이불판(120)은 직화구면(103)의 내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저화력조절핀(106) 내지는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고화력조절핀(107)에 얹어 사용되는 것으로, 제공되는 화력(170)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구이불판(120) 중심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불판직화구(126)가 천공되며, 직화용기본체(100)에 구비된 직화구면(103)의 형상을 본뜬 구이불판(120)은 직화구면(103)에 천공된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 형태와 같은 불판요철부(122)가 형성되어 구이류가 눌어붙는 것은 예방한다.
도 3 내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화구면(103)의 내측에 구비된 저화력조절핀(106)에 의한 저화력모드나 외측에 구비된 고화력조절핀(107)에 의한 고화력모드로 구이불판(120)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저화력모드에서는 직화구면(103)의 형상을 본뜬 불판요철부(122)를 갖는 구이불판(120)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화력조절핀홈(123)이 직하방의 직화구면(103)에 구비된 5개의 고화력조절핀(107)이 삽입되면, 직화구면(103)상의 내측에 화력조절틈새(171)를 좁게 하는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저화력조절핀(106)에 구이불판(120)이 안정되게 안착 되므로, 직화구면(103)과 구이불판(120)간에 화력조절틈새(171)가 낮아져 직화구면(103)상에 방사형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를 통하여 유입되는 화력(170)이 제한되고, 좁아진 화력조절틈새(171)를 인하여 구이불판(120)에 미치는 화력(170)도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구이불판(120)의 빠른 과열이 예방되는 슬로우 조리상태이고, 고화력모드에서는 구이불판(120)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화력조절핀홈(123)에 삽입된 직하방의 직화구면(103)에 구비된 5개의 고화력조절핀(107)과 어긋나게 구이불판(120)을 돌려놓으면, 직화구면(103) 위에 화력조절틈새(171)를 높이는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고화력조절핀(107)에 구이불판(120)이 안정되게 안착 되므로, 직화구면(103)과 구이불판간(120)에 화력조절틈새(171)가 높아져 직화구면(103)상에 방사형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를 통하여 유입되는 화력(170)이 커지므로 구이불판(120)에 미치는 화력도 커져 결과적으로 구이불판(120)이 적당한 속도로 가열되면서 지나친 과열은 예방되는 조리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이불판(120)의 과열을 예방하는 또 다른 방법은 구이불판(120)이 안착되는 직화구면(103) 내측 중심부에 소정의 용량으로 형성된 물통(104)에 물을 담아 두면 물의 증발되면서 구이불판(120)이 과열되지 않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이불판(120)에 올려지는 구이용 조리물에서 배어 나오는 기름은 구이불판(120)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만곡면 즉 구이면(121)의 끝자락에 90°정도의 간격으로 천공된 4개의 기름배출구(124) 직하방에 위치한 직화용기본체(100)에 형성된 기름골(102)에 낙하 된다.
상기 구이면(121) 끝자락에 90°정도의 간격으로 천공된 4개의 기름배출구(124)는 화력조절 모드를 바꿀 때 기름배출구(124)에 들어가는 적당한 도구를 끼워 들 수 있으므로, 직화구면(103)에 올려 사용되는 구이불판(120)을 저화력조절핀(106) 내지는 고화력조절핀(107)에 올려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이불판(120)의 저면 중심부에 하향 돌출되는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불판지지링(125)에는 72°정도의 간격으로 5개의 불판직화구(126)가 형성되어 화력이 불판직화구(126)로 지나가는 통로가 되면서 직화구면(103) 중심부에 형성된 물통(104)을 이루는 물통측벽(111)의 지지를 받아 구이불판(120)이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뚜껑(160)을 덮어 조리용기(140)를 사용하는 직화용기본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조리용기(140)는 용기테두리면(144)에 좌우 대칭의 용기손잡이홈(14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테두리면(144)에 내접하여 일정높이의 용기측벽(143)이 하향 돌출되어 조리용기(140)를 이룸에 있어, 조리용기(140) 저면의 외측에 구비된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5개의 용기지지대(141)는 적당한 화력조절틈새(171)를 갖게하여 직화구면(103)에 안착되게 하며, 상기 조리용기(140) 저면의 중심부에 하향돌출된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용기지지링(142)은 직화구면(103) 중심부에 형성된 물통(104)을 이루는 물통측벽(111)의 지지를 받아 조리용기(140)가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직화용기본체(100) 내측 중앙부에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물통측벽(111)으로 하향형성되는 물통(104)과, 외측에 직화용기내벽(109)과 직화용기외벽(110) 사이에 형성되는 기름골(102)이 상기 물통(104) 높이와 같게 이루어지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가스렌지 화력(170)의 유출이 최소화되어 직화용기내벽(109) 안쪽의 직화구면(103)에 다수개로 천공된 본체직화구(105)에 유입될 때에, 다양한 조리물에 맞게 화력조절틈새(171)는 외측의 고화력조절핀(107)과 내측의 저화력조절핀(106)이 구비된 직화구면(103)에 얹어지는 구이불판(120)으로 잡아줄 수 있고, 조리대상물이 국물이 수반되는 것이거나 찜류일 때를 위한 조리용기(140)는 직화구면(103)에 천공된 본체직화구(105)에 유입되는 화력(170)이 조리용기(140) 안쪽으로 유도되어야 하기 때문에 직화용기본체(100) 상단에 형성된 뚜껑받침턱(108)에 뚜껑(160)을 닫아서 가스렌지 화력(170)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각종 육류나 어패류 및 야채 등의 조리대상물을 직화구이 외에도 찌거나 삼는 등의 일반적인 조리로도 가능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만곡면으로 이루어진 직화구면(103) 상단에 위치하는 구이불판(120)이 중심을 잡아 안착할 수 있도록 직화구면(103) 상단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5개씩의 화력조절틈새(171)를 제어하는 저화력조절핀(106) 내지 고화력조절핀(107)에 얹어질 때에, 구이불판(120)의 저면 중심부에 형성되는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불판지지링(125)은 내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불판직화구(126)가 형성되면서도 구이불판(120)이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중심부의 물통측벽(111)에 지지되고, 이와 같이 찜요리시 직화구면(103)에 얹어지는 조리용기(140)의 경우 저면 외측에 5개의 용기지지대(141)로 균형을 잡고 저면 중심부에 일정폭과 일정높이로 하향형성된 용기지지링(142)으로 직화구면(103) 중심부의 물통측벽(111)에 지지되어 중심을 잡아주므로, 다양한 종류의 조리대상물에 따른 맞춤 화력조절틈새(171)를 선택하여 안정적으로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렌지 등에서 제공되는 화력(170)의 원만한 순환을 위하여 뚜껑(160)이 덮이는 뚜껑받침턱(108)에 90°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4개의 볼록요철면(181)을 일정높이로 형성하고, 이에 접하여 덮이는 뚜껑(160)과의 사이에 뚜껑틈새(180)를 조성하기 위해 뚜껑받침턱(108)의 볼록요철면(181)과 배열수가 같은 상반된 방향의 오목요철면(182)을 뚜껑테두리면(183)에 형성하여 뚜껑받침턱(108)의 볼록요철면(181)과 뚜껑테두리면(183)의 오목요철면(182)이 겹쳐지게 하면, 뚜껑받침턱(180)과 뚜껑테두리면(183)이 밀착되고 볼록요철면(181)과 오목요철면(182)이 밀착되어 직화용기본체(100)에 유입된 열기가 내부에 갇혀 보존되고, 뚜껑받침턱(108)의 볼록요철면(181)에 접하는 뚜껑테두리면(183)의 오목요철면(182)의 방향을 돌려 어긋나게 하면, 뚜껑테두리면(183)이 뚜껑받침턱(108)의 볼록요철면(181) 위에 얹어지므로 직화용기본체(100)와 뚜껑(160)간에 뚜껑틈새(180)가 벌어져 직화용기본체(100)에 유입되는 열기로 인한 내부 압력이 뚜껑틈새(180)를 통하여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지속적인 열기유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뚜껑(160)은 뚜껑테두리면(183) 내측에 일정높이의 뚜껑지지링(184)을 형성하여 직화용기본체(100)에 지지되어 중심을 잡아주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를 바탕으로 균등한 범위까지 당 업자가 변형 및 추가하는 범위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직화용기본체 101 : 손잡이
102 : 기름골 103 : 직화구면
104 : 물통 105 : 본체직화구
106 : 저화력조절핀 107 : 고화력조절핀
108 : 뚜껑받침턱 109 : 직화용기내벽
110 : 직화용기외벽 111 : 물통측벽
120 : 구이불판 121 : 구이면
122 : 불판요철부 123 : 화력조절핀홈
124 : 기름배출구 125 : 불판지지링
126 : 불판직화구
140 : 조리용기 141 : 용기지지대
142 : 용기지지링 143 : 용기측벽
144 : 용기테두리면 145 : 용기손잡이홈
160 : 뚜껑 170 : 화력
171 : 화력조절틈새 180 : 뚜껑틈새
181 : 볼록요철면 182 : 오목요철면
183 : 뚜껑테두리면 184 : 뚜껑지지링

Claims (4)

  1. 직화용기본체(100) 하단의 중심부에 일정용량의 물통(104)이 일정높이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물통(104) 상부 외주면에 연하여 형태가 다른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가 방사형으로 천공된 직화구면(103)이 만곡면 형태로 펼쳐지게 하며, 상기 직화구면(103) 상단에 얹어지는 구이불판(120)과의 화력조절틈새(171)를 벌려 2단의 화력조절틈새(171)를 형성되게 하는 저화력조절핀(106)을 직화구면(103)의 내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고, 이와 같이 고화력조절핀(107)을 직화구면(103) 외측에 72°정도의 간격으로 5핀을 원형으로 구비하며, 상기 직화구면(103) 외주면에 연하여 하향으로 형성되는 기름골(102)의 높이가 상기에 형성된 물통(104) 높이에 맞추어 일정 폭으로 구비되고, 상기 기름골(102)의 외주면을 이루는 직화용기외벽(110)은 조리용기(140)를 수용하는 높이로 올리되 덮는 뚜껑(160)의 안치를 위한 뚜껑받침턱(108)과, 상기 뚜껑받침턱(108) 외주면에 연하여 좌우대칭으로 소정높이의 손잡이(101)를 구비하며, 상기 뚜껑받침턱(108)에 형성되는 4개의 볼록요철면(181)과 맞닿는 뚜껑테두리면(183)에 형성되는 4개의 오목요철면(18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불판(120)은 직화구면(103)에 천공된 다수개의 본체직화구(105) 형태와 같은 불판요철부(122)가 형성된 구이면(121) 외측에 2단의 화력조절틈새(171)를 결정하는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화력조절핀홈(123)이 천공되고, 상기 구이면(121)의 끝자락에 90°정도의 간격으로 4개의 기름배출구(124)가 천공되며, 상기 구이면(121)의 내측 중심부에는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불판직화구(126)가 천공되어 구이불판(120)이 형성됨에 있어, 상기 구이불판(120)의 저면 중심부에 하향 돌출되는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불판지지링(125)은 구이불판(120)이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140)는 용기테두리면(144)에 좌우 대칭의 용기손잡이홈(145)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테두리면(144)에 내접하여 일정높이의 용기측벽(143)이 하향 돌출되어 조리용기(140)를 이룸에 있어, 조리용기(140) 저면의 외측에 구비된 72°정도의 간격으로 원형 배열된 5개의 용기지지대(141)와, 상기 조리용기(140)의 저면 중심부에 하향형성되는 일정폭과 일정높이의 용기지지링(142)은 조리용기(140)가 직화구면(103)을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받침턱(108)에 90°정도의 간격으로 원형배열된 4개의 볼록요철면(181)이 일정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요철면(181)과 배열이 같고 방향이 다른 4개의 오목요철면(182)이 뚜껑테두리면(183)에 형성되며, 상기 뚜껑테두리면(183) 내측에 하향 돌출된 일정높이의 뚜껑지지링(184)은 뚜껑(160)이 직화용기본체(100)를 이탈하지 않게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20190134172A 2019-01-19 2019-10-27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229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07207 2019-01-19
KR1020190007207 2019-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604A true KR20200090604A (ko) 2020-07-29
KR102292222B1 KR102292222B1 (ko) 2021-08-23

Family

ID=71893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4172A KR102292222B1 (ko) 2019-01-19 2019-10-27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5159A1 (fr) * 2022-04-20 2023-10-25 Seb S.A. Appareil de cuisson a controle d'echapp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90U (ko) * 2007-05-24 2007-06-13 윤근수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프라이팬
KR20090000765U (ko) * 2007-07-21 2009-01-28 윤근수 황토조리기구를 이용하는 다용도 익힘용기
KR20130006491U (ko) * 2012-05-02 2013-11-12 윤근수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150003640U (ko) * 2014-03-27 2015-10-07 윤근수 조리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690U (ko) * 2007-05-24 2007-06-13 윤근수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하는 프라이팬
KR20090000765U (ko) * 2007-07-21 2009-01-28 윤근수 황토조리기구를 이용하는 다용도 익힘용기
KR20130006491U (ko) * 2012-05-02 2013-11-12 윤근수 찜겸용 구이팬 직화용기
KR20150003640U (ko) * 2014-03-27 2015-10-07 윤근수 조리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65159A1 (fr) * 2022-04-20 2023-10-25 Seb S.A. Appareil de cuisson a controle d'echappement
FR3134700A1 (fr) * 2022-04-20 2023-10-27 Seb S.A. Appareil de cuisson a contrôle d’echapp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222B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271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KR20080099416A (ko) 간편 조리기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20200090604A (ko) 열조절층이 형성되는 직화용기
KR100896318B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101445747B1 (ko) 다기능 조리기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2389711B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102334355B1 (ko) 불판 조립체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KR102142681B1 (ko) 구이팬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KR100344180B1 (ko) 고기 조리판
KR101935866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196731Y1 (ko) 고기 조리판
KR200156218Y1 (ko) 구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