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018Y1 - 다목적 조리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018Y1
KR200460018Y1 KR2020110008419U KR20110008419U KR200460018Y1 KR 200460018 Y1 KR200460018 Y1 KR 200460018Y1 KR 2020110008419 U KR2020110008419 U KR 2020110008419U KR 20110008419 U KR20110008419 U KR 20110008419U KR 200460018 Y1 KR200460018 Y1 KR 2004600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haped
food
cook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무
Original Assignee
박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무 filed Critical 박찬무
Priority to KR2020110008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0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0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0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3가지 이상 5가지 요리를 개별 또는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동종류의 요리를 손님의 식성별로, 동종류의 식재로를 기능별로 세분화하여 조리제공이 가능한 다목적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공개된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은 국물과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지만 수육과 고기 및 샤브샤브 등의 요리를 개별 또는 동시에 조리하기에는 별도의 구이팬이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종래 조리기는 단순히 국물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을 뿐 다양한 구이요리를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 없어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던 바, 본 고안은 장착틀에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성된 조리부재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장착하느냐에 다라 그 다양성을 메뉴개발에 응용한다면 수십가지 종류의 코스 메뉴개발이 가능하다. 또한, 조리된 음식의 온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유의 음식맛을 오랫동안 즐길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별도의 개인 접시 없이도 음식을 덜어 데우면서 섭취할 수 있어 여러 사람이 함께 음식을 섭취하는 비위생적인 문제도 해소할 수 있는 다목적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조리기{Multipurpose cooker}
본 고안은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틀에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도록 구성된 용기들을 교체 가능하게 설치시켜 국물을 끓이거나 또는 고기를 굽거나 또는 수증기로 가열되는 수육 등을 각각 또는 3가지 이상 요리를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기능을 달리하는 용기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장착하느냐에 따라 메뉴구성의 다양성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냄비 또는 후라이팬 등의 조리기를 이용하여 화력으로 음식을 끓이거나 굽는 등의 조리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조리기는 대체로 하나의 조리기를 이용해서 하나의 음식을 조리하는 것이 보편적이어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그 음식 수만 큼의 조리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가정보다 다양한 손님을 상대로 음식을 제공하는 음식 음식영업점에서 더 부각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찌개와 국 또는 샤브샤브를 제공하는 음식점에서 음식을 주문한 손님이 다른 종류인 고기류를 함께 주문한 경우 좁은 테이블에 2종 이상의 조리기를 올려놓을 수 없는 문제와, 강한 화력으로 굽거나 온기를 유지하도록 데우는 요리에 사용되는 버너 또한 그 조리 수만큼 필요하게 되는 문제로 손님들은 대체로 하나의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그러함에 따라 음식점은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하지 못하여 손님의 증가가 어려워 매출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하나의 조리기에 2종의 음식을 제공하도록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특허출원 제2010-0002282호)공개되었다.
상기 종래의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을 살펴보면 중심부에 제1화기유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1화기유입구와 이격공간을 이루도록 본체에 설치되며, 중심부에 천공된 제2화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외곽에 화기가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화기 통과공들이 형성되는 구이팬과 상기 구이팬 중앙부에 놓여지되 그 바닥부가 상기 제2화기유입구를 막음으로써 유입되는 화기는 덮개용기 하측부의 이격 공간을 통해 방사상으로 상기 구이팬 외곽의 화기 통과공으로 유도되게 하여 화기가 상승될 수 있게 하는 덮개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구이팬에 의한 구이요리와 덮개용기에 의한 국물요리를 동시에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공개된 종래의 조리기는 국물과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지만 수육과 고기 및 샤브샤브 등의 3가지 이상 5가지 요리를 개별 또는 동시에 조리하기에는 별도의 구이팬이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종래 조리기는 단순히 국물요리와 구이요리를 동시에 즐길 수 있을 뿐, 3가지 이상의 다양한 요리를 개별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 없으므로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였다.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으로 음식물을 개별 접시를 이용하여 덜어서 섭취하게 되는데 이때, 온기를 유지해야 하는 샤브샤브, 수육 또는 국물요리 등을 접시에 덜면 음식이 식어서 고유의 음식맛을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덜어 섭취하는 개인접시를 제공받지 못할 경우 여러 사람이 수저를 이용하여 국물요리를 섭취하게 됨으로써, 바이러스감염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쌈, 찌개, 샤브, 구이, 야채불고기 등 최소 3가지 이상 5가지 이질적인 요리를 동시에 기능별, 용도별로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메뉴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샤브와 보쌈" "보쌈과 구이" "샤브와 보쌈과 구이" "각종 찌개와 각종 어묵과 각종 족발" 등 다양한 조합으로 경우의 수로 말하면 무궁무진한 메뉴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다목적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별도의 개인접시 없이도 국물요리를 개인별 장착용기에 덜어서 위생적으로 섭취가 가능하며 덜어낸 음식을 데우면서 온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따끈한 국물요리 고유의 맛을 오랫동안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바닥 중앙에는 화력이 통과하는 화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구비된 원형그릇과 상기 원형그릇의 돌출부와 이격 고정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리개가 구비된 화력조절받침대와 상기 원형그릇 상단부에 안착되고, 내주연에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홈과 기름받이홈의 바닥을 관통하여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멍이 형성되며, 중앙과 그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에 의해 분할되어 중앙설치공과 복수의 부채꼴설치공이 각각 구비된 장착틀 및 상기 장착틀에 형성된 중앙설치공과 부채꼴설치공에 교체 가능하게 끼움 고정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부재는 장착틀 중앙에 형성된 중앙설치공의 상부에 끼움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의 국물을 끓이거나 데울 수 있도록 원형공간이 형성된 원형가열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리부재는 장착틀의 부채꼴설치공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부채꼴설치공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넓게 형성된 걸림테가 형성되어 부채꼴설치공 상부에 끼움 고정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데우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부채꼴공간이 형성된 부채꼴가열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리부재는 장착틀의 부채꼴설치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켜 부채꼴설치공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는 복수의 슬롯을 형성시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장착틀의 기름받이홈으로 유도하여 배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부채꼴가열구이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조리부재는 부채꼴설치공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부수용부가 하부수용부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걸림단을 형성시켜 그 걸림단의 외측면이 부채꼴설치공에 삽입 고정되는 2단가열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부재를 구성하는 원형가열용기와 부채꼴가열용기 및 부채꼴가열구이판은 다양한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장착틀에 혼용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구이기.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틀에 복수의 가열용기를 용도별로 다양하고,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음식을 개별 또는 동시에 조리 가능하여 좁은 식탁에서도 손님은 먹고 싶은 음식을 종류별로 주문하여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쌈, 찌개, 샤브, 구이, 야채불고기 등 최소 3가지 이상 5가지 이질적인 요리를 동시에 기능별, 용도별로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메뉴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샤브와 보쌈" "보쌈과 구이" "샤브와 보쌈과 구이" "각종 찌개와 각종 어묵과 각종 족발" 등 다양한 조합으로 경우의 수로 말하면 무궁무진한 코스 메뉴개발을 가능하게 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음식을 조리함으로써, 바라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시각적인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먹거리를 제공하는 판매자는 판매 매출이 향상되는 효과와 기존의 여러 조리기를 종류별로 구입하지 않음으로써,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된 샤브샤브 등과 같이 국물이 식으면 식감이 떨어지는 음식물을 열기가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가열용기에 덜어서 섭취할 수 있음으로써, 국물요리 고유의 맛을 유지한 상태로 섭취할 수 있고, 기존에 여러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발생하는 비위생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증기가 통과하는 타공판체의 사용으로 수육 등과 같이 수증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식감이 떨어지지 않는 음식물에 수증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채꼴가열구이판을 복수로 각각 설치함으로써, 기름에 탄 불판 전체를 갈지않고 기름에 탄 부분만을 갈아 줌으로써, 교체가 용이하고 세척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화력조리개로 화력을 중앙으로 집중하거나 또는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리 및 섭취하는 음식물에 따라 적절한 화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조리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에 원형가열용기와 부채꼴가열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에 원형가열용기와 부채꼴가열구이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2단가열용기에 타공판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부채꼴가열용기와 2단가열용기에 타공판체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의 정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화력조절받침대가 돌출부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 화력조절받침대가 돌출부와 고정된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4와 같이 크게, 화력을 수용하는 원형그릇(10)과 그 원형그릇(10) 내부에 설치되어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절받침대(20)와 상기 원형그릇(10) 최상부에 안착되는 장착틀(30)과, 그 장착틀(30)에 교체 용이하게 장착되는 조리부재(40A, 40B, 40C, 40D)를 포함한다.
상기 원형그릇(10)은 내부에 조리기(1)가 버너 등의 화력에 의해 적정온도를 넘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11)을 형성하고, 바닥 중앙에는 돌출부(12)가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2)의 중앙에는 화력이 통과하는 화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2)는 화력이 분산되지 않고 중앙으로 집중되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상부로 올라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그릇(10)의 상부 주연에는 복수의 공기통공(14)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공(14)은 원형그릇(10)의 수용공간(11)으로 찬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수용공간(11)에서 과열된 더운공기가 외부로 배출할 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통공(14)은 수용공간(11) 내부의 상황 즉, 물의 높이 또는 불꽃의 상태에 따른 화력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시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력조절받침대(20)는 돌출부(12)를 통과한 화력이 중앙으로 집중하거나 또는 사방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장착틀(30)에 장착되는 조리부재(40A, 40B, 40C, 40D)에 적절한 열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화력조절받침대(20)의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21)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리개(2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21)는 돌출부(12)의 경사와 같은 경사지게 형성시켜 돌출부(12)에 화력조리개(23)가 일정간격 이격 되도록 경사진 다리(21)가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2)와 고정되는 다리(21)는 조리기(1) 사용중 외부 충격에 수용공간(11)에서 쓰러진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쓰러진 화력조절받침대(20)는 조리부재(40A, 40B, 40C, 40D) 및 장착틀(30)의 간섭에 의해 바로 세우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다리(21)는 돌출부(12)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수단은 용접을 통한 접합할 수도 있고,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리벳(22)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원형그릇(10)과 화력조절받침대(20)의 세척을 고려하여 첨부된 도면 도 9와 같이, 복수의 다리(21)를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한 탄성력을 갖는 판체로 형성하고, 그 다리(21)의 내면에는 걸림요홈(21a)을 형성한다. 그리고 돌출부(12)에는 상기 걸림요홈(21a)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돌기(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다리(21)에 걸림요홈(21a)을 형성한 경우 다리가 오므려 지려는 탄성의 정도에 따라 돌출부(12)와 고정되는 힘이 결정되는 것으로서, 취급자가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고 또한 세척도 비교적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착틀(30)은 원형그릇(10)의 상단부에 하면이 안착되고, 내주연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흘러 모일 수 있도록 기름받이홈(3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기름받이홈(31)에는 모여진 기름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멍(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틀(30)은 중앙과 그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리브(33)에 의해 각각의 공간을 갖도록 분할되어 중앙에는 원형형상의 중앙설치공(34)이 형성되고, 방사상으로는 부채꼴형상의 부채꼴설치공(35)이 복수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틀(30)의 중앙설치공(34)과 부채골설치공(35)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총 5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하나의 예시일뿐 제조자 또는 취급자의 목적에 따라 설치공을 증감할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설치공의 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부채꼴설치공(35)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안착돌부(35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부(35a)는 장착틀(30)의 상면에 조리부재(40B, 40C)가 바로 닿게 되면 가열된 조리부재(40B, 40C)를 쉽게 교체하기 어렵기 때문에 손이나 집게로 조리부재(40B, 40C)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장착틀(30)의 상면과 이격하기 위함이다.
상기 조리부재(40A, 40B, 40C, 40D)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장착틀(30)에 형성된 중앙설치공(34) 및 부채꼴설치공(35)에 교체 용이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으로서, 조리하는 목적에 따라 그 형상이 달리 형성된다.
상기 중앙설치공(34)에 끼움되는 조리부재(40A)는 중앙설치공(34)과 같은 형상인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가열용기(41)가 탈착된다. 상기 원형가열용기(41)는 외측둘레에 걸림턱(41a)이 형성되어 중앙설치공(34)에 삽입시 걸림턱(41a)이 중앙설치공(34)에 걸려지도록 하고, 내부에는 원형공간(41b)을 형성시켜 샤브샤브와 같이 육수에 여러 재료를 넣고 끓이는 요리 또는 뚜껑을 덮어 계란찜 등의 요리를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채꼴설치공(35)에 끼움되는 조리부재(40B)는 부채꼴설치공(35)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는 부채꼴가열용기(42)가 탈착된다. 상기 부채꼴가열용기(42)의 상부는 부채꼴설치공(35)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넓게 형성된 걸림테(4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부채꼴공간(42b)을 형성시켜 음식 재료를 부채꼴공간(42b)에 넣고 조리할 수도 있으며, 또는 가열된 음식을 덜어서 섭취할 수 있는 개인 접시로 대체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화력이 부채꼴가열용기(42)에 전달되면 전달된 열은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하여 음식맛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용도로는 샤브샤브와 같이 육수에 고기 및 채소류를 담궈 살짝 익혀 섭취하는 경우에 개인용으로 육수를 데워가면서 위생적으로 음식물 섭취가 용이하다.
상기 부채꼴설치공(35)의 상부에 안착되는 조리부재(40C)는 부채꼴설치공(3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채꼴가열구이판(43)으로 형성시키되, 상기 부채꼴가열구이판(43)은 부채꼴설치공(35)을 하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부채꼴설치공(35)보다 비교적 크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고기류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장착틀의 기름받이홈(31)으로 흐르게 유도하는 복수의 슬롯(43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틀(30)의 리브(33)는 중앙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채꼴가열구이판(43)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자연스럽게 슬롯(43a)을 통해 장착틀(30)에 형성된 기름받이홈(3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채꼴설치공(35)에 끼움되는 조리부재(40D)는 부채꼴설치공(35)과 같은 외형상을 이루되, 내외주연에 걸림단(44a)(44b)이 형성되어 상하로 크기가 다른 수용부를 갖는 2단가열용기(44)가 탈착된다. 상기 2단가열용기(44)의 내부는 내주연 걸림단(44a)을 중심으로 하부수용부(44d)와 하부수용부(44d)의 넓이보다 큰 상부수용부(44c)로 구분된다.
따라서, 상기 부채꼴가열용기(42)의 부채꼴공간(42b) 깊이보다 비교적 더 깊은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주연의 걸림단(44b)은 2단가열용기(44)가 부채꼴설치공(35)에 삽입시 걸려지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장착틀(30)에 2단가열용기(44)를 장착하면 상부수용부(44c)는 장착틀(30)의 상면보다 높게 장착되고, 그 상부수용부(44c)의 최상부는 원형가열용기(41)에서 조리된 음식을 쉽게 덜어올 수 있도록 원형가열용기(41)의 상부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깊은 깊이를 갖는 2단가열용기(44)는 비교적 많은 양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형가열용기(41)와 2단가열용기(44)의 형상과 같은 외형으로 형성된 타공판체(45)를 원형가열용기(41) 또는 2단가열용기(44)의 내부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타공판체(45)는 상면에 수증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45a)이 형성되어 2단가열용기(44)의 하부수용부(44d)에 물을 저장하고 내주연의 걸림단(44a)에 타공판체(45)를 안착시켜 가열된 물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가 타공(45a)을 통과하여 수육 등의 음식에 식어 건조해지지 않도록 수증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타공판체(45)를 부채꼴가열용기(42)에 장착시에는 부채꼴공간(42b)의 바닥과 이격되도록 하부에 받침다리(45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타공판체(45)를 장착하기 위해서 비위생적으로 취급자가 손으로 조리되는 면을 집어서 옮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면에 손잡이(45c)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45c)는 도면에서와 같이 기둥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젓가락을 이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고리가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화력조절받침대(20)에 구비된 화력조리개(23)는 첨부된 도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상부원판(23a)에 하부원판(23b)이 회전가능하게 동일 중심에 설치되고, 상부원판(23a)과 하부원판(23b)에는 각각의 상부조리개구멍(23c)과 하부조리개구멍(23d)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하부원판(23b)을 회전시켜 하부조리개구멍(23d)이 상부조리개구멍(23c)과 겹치는 정도에 따라 화력이 중앙으로 집중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하부조리개구멍(23c)(23d)이 완전 폐쇄되면 화력은 중앙을 벗어나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중앙에 화력을 집중하는 경우는 원형가열용기(41)의 음식물을 주로 끓이기 위해 사용하고, 화력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경우는 부채꼴가열용기(42) 또는 부채꼴가열구이판(43)에 음식물을 주로 조리할 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비교적 깊은 위치에 고정되는 화력조절받침대(20)의 하부원판(23b)을 용이하게 회전가능하도록 하부원판(23b)의 상면에 회전손잡이(23e)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원형가열용기(41), 부채꼴가열용기(42) 및 부채꼴가열구이판(43)은 손님의 주문에 따라 개별로 장착틀(30)에 장착시켜 국물과 샤브샤브, 수육 또는 고기구이요리를 조리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으로 형성된 조리부재(40A, 40B, 40C, 40D)를 혼용으로 장착시켜 다양한 음식의 조리를 통해 섭취자의 음식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다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조리기(1)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원형그릇: 10 수용공간: 11
돌출부: 12 걸림돌기: 12a
화공:13 공기통공: 14
화력조절받침대: 20 다리: 21
걸림요홈: 21a 리벳: 22
화력조리개: 23 상부원판: 23a
하부원판: 23b 상부조리개구멍: 23c
하부조리개구멍: 23d 회전손잡이: 23e
장착틀: 30 기름받이홈: 31
배출구멍: 32 리브: 33
중앙설치공: 34 부채꼴설치공: 35
안착돌부: 35a 조리부재: 40A, 40B, 40C, 40D
원형가열용기: 41 걸림턱: 41a
원형공간: 41b 부채꼴가열용기: 42
걸림테: 42a 부채꼴공간: 42b
부채꼴가열구이판: 43 슬롯: 43a
2단가열용기: 44 걸림단: 44a,44b
상부수용부: 44c 하부수용부: 44d
타공판체: 45 타공: 45a
받침다리: 45b 손잡이: 45c

Claims (15)

  1.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고, 바닥 중앙에는 화력이 통과하는 화공(13)이 형성된 돌출부(12)가 구비된 원형그릇(10);
    상기 원형그릇(10)의 돌출부(12)와 이격 고정되고, 하부에는 복수의 다리(21)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화력을 조절하는 화력조리개(23)가 구비된 화력조절받침대(20);
    상기 원형그릇(10) 상단부에 안착되고, 내주연에는 기름을 수용하는 기름받이홈(31)과 그 기름받이홈(31)의 바닥을 관통하여 기름을 배출하는 배출구멍(32)이 형성되며, 중앙과 그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리브(33)에 의해 분할되어 중앙설치공(34)과 복수의 부채꼴설치공(35)이 각각 구비된 장착틀(30); 및
    상기 장착틀(30)에 형성된 중앙설치공(34)과 부채꼴설치공(35)에 교체 가능하게 끼움 고정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화력조리개(23)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상부조리개구멍(23c)이 형성된 상부원판(23a)과, 상기 상부원판(23a)과 회전가능하도록 동일 중심에 설치되고, 방사상으로 복수의 하부조리개구멍(23d)이 형성된 하부원판(23b)으로 구성시켜 하부원판(23b)의 회전으로 복수의 하부조리개구멍(23d)이 상부조리개구멍(23c)을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중앙으로 화력이 집중되는 정도를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재(40A)는 장착틀(30) 중앙에 형성된 중앙설치공(34)의 상부에 끼움 고정되도록 외주연에 걸림턱(41a)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의 국물을 끓이거나 데울 수 있도록 원형공간(41b)이 형성된 원형가열용기(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재(40B)는 장착틀(30)의 부채꼴설치공(35)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고, 상부는 부채꼴설치공(35)의 상면에 걸려지도록 넓게 형성된 걸림테(42a)가 형성되어 부채꼴설치공(35) 상부에 끼움 고정되며, 내부에는 음식물을 데우면서 섭취할 수 있도록 부채꼴공간(35)이 형성된 부채꼴가열용기(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재(40C)는 장착틀(30)의 부채꼴설치공(3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시켜 부채꼴설치공(35)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면에는 복수의 슬롯(43a)을 형성시켜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을 장착틀(30)의 기름받이홈(31)으로 유도하여 배출구멍(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부채꼴가열구이판(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재(40D)는 부채꼴설치공(35)과 같은 외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상,하수용부(44c)(44d)로 분할되며, 그 상부수용부(44c)가 하부수용부(44d)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내외주연에 걸림단(44a)(44b)을 형성시켜 그 외주연 걸림단(44b)이 부채꼴설치공(35)에 삽입 고정되는 2단가열용기(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받침대(20)의 다리(21)는 상기 원형그릇(10)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2)와 고정수단인 리벳(22)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력조절받침대(20)의 다리(21)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벌어짐이 가능하도록 자체 탄성력 갖도록 하고, 상기 다리(21)에는 걸림요홈(21a)을 형성하며, 상기 원형그릇(10)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2)에는 상기 걸림요홈(21a)에 대응하는 걸림돌기(12a)를 형성시켜, 화력조절받침대(20)가 돌출부(12)와 용이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그릇(10)의 상부 주연에는 복수의 공기통공(14)을 형성시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과열된 열이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내부의 화력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틀(30)에 형성된 리브(33)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가열용기(42)의 내부에 형성된 부채꼴공간(42b)의 바닥에서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하부에 복수의 받침다리(45b)가 형성되고, 상면은 부채꼴공간(35)과 같은 형상의 판체로 형성시키되, 그 판체에는 수증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45a)이 형성된 타공판체(45)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공간(42b)의 상면에 안착 되도록 상기 부채꼴공간(42b)과 같은 형상의 판체로 형성되고, 그 판체에는 수증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타공(45a)이 형성된 타공판체(45)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체(45)의 상면에는 타공판체(45)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5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채꼴설치공(35)의 상면에는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안착돌부(3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조리기.



  15. 삭제
KR2020110008419U 2011-09-19 2011-09-19 다목적 조리기 KR2004600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19U KR200460018Y1 (ko) 2011-09-19 2011-09-19 다목적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419U KR200460018Y1 (ko) 2011-09-19 2011-09-19 다목적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018Y1 true KR200460018Y1 (ko) 2012-04-26

Family

ID=4660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419U KR200460018Y1 (ko) 2011-09-19 2011-09-19 다목적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01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1493A (zh) * 2013-03-21 2013-07-24 张玉明 节能多用锅
KR20140000624A (ko) * 2012-06-25 2014-01-03 신포 코., 엘티디. 무연 로스터
US9052818B2 (en) 2008-01-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101559429B1 (ko) * 2014-08-21 2015-10-15 구흥규 부분화력차폐가 가능한 육류구이판
CN104990112A (zh) * 2015-08-02 2015-10-21 冼茂忠 火锅烧烤电磁炉
KR20240001978A (ko) 2022-06-28 2024-01-04 곽경수 다용도 조리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331U (ja) * 1993-04-01 1994-10-25 有限会社三和金属 調理器
KR200245632Y1 (ko) 2001-05-17 2001-10-15 고장근 불판 겸용 냄비
KR200399822Y1 (ko) * 2005-08-09 2005-10-28 김경곤 구이용 불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5331U (ja) * 1993-04-01 1994-10-25 有限会社三和金属 調理器
KR200245632Y1 (ko) 2001-05-17 2001-10-15 고장근 불판 겸용 냄비
KR200399822Y1 (ko) * 2005-08-09 2005-10-28 김경곤 구이용 불판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52818B2 (en) 2008-01-29 2015-06-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using divided screen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00624A (ko) * 2012-06-25 2014-01-03 신포 코., 엘티디. 무연 로스터
KR102083681B1 (ko) * 2012-06-25 2020-03-02 신포 코., 엘티디. 무연 로스터
CN103211493A (zh) * 2013-03-21 2013-07-24 张玉明 节能多用锅
KR101559429B1 (ko) * 2014-08-21 2015-10-15 구흥규 부분화력차폐가 가능한 육류구이판
CN104990112A (zh) * 2015-08-02 2015-10-21 冼茂忠 火锅烧烤电磁炉
KR20240001978A (ko) 2022-06-28 2024-01-04 곽경수 다용도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3271B1 (en) Multifunctional cooking pot
EP2433529B1 (en) Improved two-way heating cooker
KR200460018Y1 (ko) 다목적 조리기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US20030037682A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KR20080099416A (ko) 간편 조리기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20130138540A (ko) 직화 가열식 꼬치구이기
US20190069353A1 (en) Dimpled Wok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200127852A (ko) 회전식 오븐용 꼬치고정장치
KR960002976Y1 (ko) 다목적 조리기구
KR20170027039A (ko) 다기능 불판
KR101135123B1 (ko)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CA3091425C (en) A multi-purpose cooking set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KR200365191Y1 (ko) 3가지 이상의 복합메뉴를 제공하는 로스터
KR20030035510A (ko) 다용도 찜 구이용 조리기
KR200369953Y1 (ko) 음식물의 조리용기
KR20110003628U (ko) 구이판 및 이를 이용한 간편 조리기
KR20090003465U (ko) 이종요리가 가능한 쿠킹장치
KR20110082343A (ko) 덮개용기를 구비한 직화오븐
KR20090012992U (ko) 꼬치구이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