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367B1 -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 Google Patents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367B1
KR101544367B1 KR1020140052083A KR20140052083A KR101544367B1 KR 101544367 B1 KR101544367 B1 KR 101544367B1 KR 1020140052083 A KR1020140052083 A KR 1020140052083A KR 20140052083 A KR20140052083 A KR 20140052083A KR 101544367 B1 KR101544367 B1 KR 101544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fluid passage
passage hole
cooking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삼
설경수
이원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2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0Funnel-like inserts; Grooved plates to be placed on the bottom of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열방지 센서봉이 장착된 가스레인지에 놓여진 조리용기에 내장되어 고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수육 또는 찜 요리에도 조리용기의 온도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레인지의 과열 및 고체형 재료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과열방지장치(11)가 장착된 가스레인지(10)에 놓여져 음식재료를 조리하는 조리용기(20) 내부에 수납되는 내장 받침대(30)와;
상기 내장 받침대(30)는, 판 형상의 하부 받침면(41)을 갖고, 이 하부 받침면(4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하부 지지대(42)가 성형되며, 상기 하부 받침면(41)의 중앙부에 삽입홀(43)이 더 형성되고, 이 삽입홀(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을 형성한 하단 받침대(40)와;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상부에 위치되어, 판 형상의 상부 받침면(51)을 갖고, 이 상부 받침면(5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상부 지지대(52)를 성형시켜 하단 받침대(40)를 감싸도록 하며, 상기 상부 받침면(51)의 저면 중앙부에 끼움후크(53)가 더 형성되어 삽입홀(4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받침면(51)에 상부 유체통과홀(54)이 형성된 상단 받침대(50)와;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과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의 형성 위치는, 상호 통과홀이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이 내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부 유체통과홀(54)은 외측 방향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Built-in gas oven for the cooking container stand}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열방지 센서봉이 장착된 가스레인지에 놓여진 조리용기에 내장되어 고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수육 또는 찜 요리에도 조리용기의 온도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레인지의 과열 및 고체형 재료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대한민국 국내에서는 2013년부터 가정용 가스레인지에 법적으로 과열방지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의무화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장치는 가스레인지의 용기받침대 상에 놓여져 있는 조리용기의 저면에 과열방지 센서봉이 밀착되어, 이 센서봉에 열전도 된 열을 센서가 감지한 후, 콘트롤러로 보내면 콘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의 과열기준온도와 대비하여, 이 과열온도보다 높으면 가스레인지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조리용기의 과열에 의한 위험 요소를 미연에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과열방지장치가 장착된 가스레인지를 사용하면, 조리용기의 온도 검지에 따라 가스를 차단하여 화재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리물의 온도를 설정된 콘트롤러의 기준온도에 따라 제어하여 자동 요리와 같이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조리 과정에서는 유동성이 풍부한 액체 조리는 열전달이 용이해 온도 검지의 신뢰성이 높지만 야채, 고기 등의 고체형 조리물은 과열방지센서의 주변에 위치하게 되면 센서의 온도검지에 신뢰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오작동의 가능성이 높아지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야채, 고기 등의 고체형 조리물은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863249호 에서와 같이 조리용기 내부에 받침대를 포함시켜, 수육 또는 찜 요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용기(1) 내부에 구멍(2a)과 돌기(2b)가 형성된 받침대(2)를 수납시켜, 상기 돌기(2b)에 의해 용기(1) 바닥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받침대(2)가 위치되게 하여 받침대(2)를 기준으로 하부에 물을 수용하고 상부에 조리물을 안착시켜, 가열된 증기를 이용해 수육 또는 찜 요리를 수행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가스레인지를 통해 직접 가열되는 용기에 받침대가 수납되기 위해서는 금속재질로 받침대가 성형되어야 했으며, 상기와 같은 종래 받침대는 다수의 돌기에 의해 용기 바닥면과 받침대가 간격을 두게 위치시킨 것으로, 금속 재질을 갖는 받침대의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청소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863249호 - 전자렌지용 조리용기(공고일자 2008년 10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조리용기에 수납되는 받침대의 제작 및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 받침대가 하단 커버와 상단 커버로 구분되고, 이를 상호 결합시켜 유체의 흐름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내장 받침대를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과열방지장치(11)가 장착된 가스레인지(10)에 놓여져 음식재료를 조리하는 조리용기(20) 내부에 수납되는 내장 받침대(30)와;
상기 내장 받침대(30)는, 판 형상의 하부 받침면(41)을 갖고, 이 하부 받침면(4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하부 지지대(42)가 성형되며, 상기 하부 받침면(41)의 중앙부에 삽입홀(43)이 더 형성되고, 이 삽입홀(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을 형성한 하단 받침대(40)와;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상부에 위치되어, 판 형상의 상부 받침면(51)을 갖고, 이 상부 받침면(5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상부 지지대(52)를 성형시켜 하단 받침대(40)를 감싸도록 하며, 상기 상부 받침면(51)의 저면 중앙부에 끼움후크(53)가 더 형성되어 삽입홀(4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받침면(51)에 상부 유체통과홀(54)이 형성된 상단 받침대(50)에 있어서,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과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의 형성 위치는, 상호 통과홀이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이 내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부 유체통과홀(54)은 외측 방향에 형성된 구성으로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과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의 형성 위치는, 상호 통과홀이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이 내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부 유체통과홀(54)은 외측 방향에 형성된다.
또,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은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성형되고,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지지대(5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굴곡진 손잡이홈(52a)을 더 형성한다.
또한,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지지대(42)는, 조리용기(20) 바닥면에 놓여지는 하단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침투홈(42a)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 성형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과열방지장치가 장착된 가스레인지에 내장 받침대가 포함된 조리용기가 놓여져, 상기 조리용기에 고체형 조리물을 가열하면 조리용기의 유체에 의해 고체형 조리물의 수육 및 찜 요리가 가능해지면서, 상기 액체에 의해 열전달이 용이해 온도 검지의 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즉, 상기 고체형 조리물을 요리하기 위해 내장 받침대가 포함된 조리용기를 사용하면, 내부 유체의 가열온도가 과열방지장치의 센서를 통해 콘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조리용기의 과열기준온도와 대비하고, 이 과열온도보다 높으면 가스레인지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해 조리용기의 과열에 의한 위험 요소를 미연에 차단하면서 자동 요리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내장 받침대를 하단 받침대와 상단 받침대로 구분하고 이를 결합해 사용함으로써, 제작공정이 간편하고 부품의 단순화로 생산성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내장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내장 받침대의 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내장 받침대의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는, 과열방지 센서봉이 장착된 가스레인지에 놓여진 조리용기에 내장되어 고체형 재료를 사용하는 수육 또는 찜 요리에도 조리용기의 온도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스레인지의 과열 및 고체형 재료의 고착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대략적인 방향기준을 설명하면, 도 2에서와 같이 과열방지장치(11)가 가스버너 중앙에 위치하고, 이 과열방지장치(11)가 장착된 가스레인지(10)의 상부 용기 받침대에 음식재료를 조리하는 조리용기(20)가 놓여진다.
본 발명인 내장 받침대(3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20) 내부에 수납되어 내장 받침대(30)하부에 유체가 위치하고, 상부에 고체형 조리물이 위치되어 가스레인지(10)의 작동으로 조리용기(20)를 가열하면 유체가 가열되면서 증기에 의해 고체형 조리물이 요리되게 한다.
상기 내장 받침대(30)는, 크게 조리용기(20) 바닥면에 놓여지는 하단 받침대(40)와, 이 하단 받침대(40) 상부에 위치되어 고체형 조리물을 지지하는 상단 받침대(50)로 구분된다.
상기 하단 받침대(40)는, 판 형상의 하부 받침면(41)을 갖고, 이 하부 받침면(4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하부 지지대(42)가 성형되며, 상기 하부 받침면(41)의 중앙부에 삽입홀(43)이 더 형성하고, 이 삽입홀(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을 형성한다.
또, 상단 받침대(50)는,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상부에 위치되어, 판 형상의 상부 받침면(51)을 갖고, 이 상부 받침면(5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상부 지지대(52)를 성형시켜 하단 받침대(40)를 감싸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받침면(51)의 저면 중앙부에 끼움후크(53)가 더 형성되어 삽입홀(4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받침면(51)에 상부 유체통과홀(54)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 받침면(51)의 끼움후크(53)는 다른 실시예로서 끼움돌기로 성형해 삽입홀(43)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삽입홀과 끼움돌기에 나사산을 형성해 체결 결합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과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의 형성 위치는, 각각의 통과홀이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이 내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부 유체통과홀(54)은 외측 방향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로,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외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이 중앙부를 기준으로 내측방향에 형성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따라서, 조리용기 가열에 따라 유체의 증기가 상기 상,하부 유체통과홀(54)(44)을 통과해 고체형 조리물을 가열하면서도, 고체형 조리물의 일부가 상부 유체통과홀(54)을 통과해 유실되는 것과 유체가 끓어 넘치면서 고체형 조리물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은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성형되어, 조리용기(20) 가열 중에 증기 배출로 인해 부족해진 유체를 상기 상부 유체통과홀(54)을 통해 고체형 조리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도 쉽게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상단 받침대(50)의 외경 측면에 형성된 상부 지지대(52)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굴곡진 손잡이홈(52a)을 더 형성시켜, 이 손잡이홈(52a)으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 하단 받침대(50)(40)가 결합된 내장받침대(30)를 조리용기(20)에 간편하게 수납, 탈거 시킬 수 있다.
또한,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지지대(42)는, 조리용기(20) 바닥면에 놓여지는 하단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침투홈(42a)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 성형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리용기(20)의 바닥에 위치한 유체는 가열 되는 과정에서도 하단 받침대(40)의 유체 침투홈(42a)을 통해 유체 순환이 용이해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용기(20) 바닥 저면과 접촉된 과열방지장치(11)의 센서봉을 통해 열감지의 신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가스레인지 11 - 과열방지장치
20 - 조리용기 30 - 내장 받침대
40 - 하단 받침대 41 - 하부 받침면
42 - 하부 지지대 42a - 유체 침투홈
43 - 삽입홀 44 - 하부 유체통과홀
50 - 상단 받침대 51 - 상부 받침면
52 - 상부 지지대 52a - 손잡이홈
53 - 끼움후크 54 - 상부 유체통과홀

Claims (5)

  1. 과열방지장치(11)가 장착된 가스레인지(10)에 놓여져 음식재료를 조리하는 조리용기(20) 내부에 수납되는 내장 받침대(30)와;
    상기 내장 받침대(30)는, 판 형상의 하부 받침면(41)을 갖고, 이 하부 받침면(4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하부 지지대(42)가 성형되며, 상기 하부 받침면(41)의 중앙부에 삽입홀(43)이 더 형성되고, 이 삽입홀(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을 형성한 하단 받침대(40)와;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상부에 위치되어, 판 형상의 상부 받침면(51)을 갖고, 이 상부 받침면(51)의 외주연을 하향 절곡시켜 상부 지지대(52)를 성형시켜 하단 받침대(40)를 감싸도록 하며, 상기 상부 받침면(51)의 저면 중앙부에 끼움후크(53)가 더 형성되어 삽입홀(43)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 받침면(51)에 상부 유체통과홀(54)이 형성된 상단 받침대(50)와;
    상기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과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의 형성 위치는, 상호 통과홀이 직접 연결되지 않도록 중앙부를 기준으로 하부 유체통과홀(44)이 내측 방향에 형성되고, 상부 유체통과홀(54)은 외측 방향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유체통과홀(54)은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유체통과홀(44) 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단 받침대(50)의 상부 지지대(52)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내측으로 굴곡진 손잡이홈(52a)을 더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단 받침대(40)의 하부 지지대(42)는, 조리용기(20) 바닥면에 놓여지는 하단부에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침투홈(42a)이 일정간격으로 연속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KR1020140052083A 2014-04-30 2014-04-30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KR101544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83A KR101544367B1 (ko) 2014-04-30 2014-04-30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083A KR101544367B1 (ko) 2014-04-30 2014-04-30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67B1 true KR101544367B1 (ko) 2015-08-17

Family

ID=5406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083A KR101544367B1 (ko) 2014-04-30 2014-04-30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112B1 (ko) * 2017-02-23 2018-11-19 오진훈 과열방지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거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79B1 (ko) * 2009-10-27 2012-05-08 한국가스안전공사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479B1 (ko) * 2009-10-27 2012-05-08 한국가스안전공사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112B1 (ko) * 2017-02-23 2018-11-19 오진훈 과열방지센서를 구비한 가스레인지용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7511A1 (en) Gas Cooktop and Grate for the Gas Cooktop
US20180058699A1 (en) Cooking applian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cooking vessel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US20080264926A1 (en) Cooking range
US7997188B2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KR200475796Y1 (ko) 직열구이냄비
KR20130138540A (ko) 직화 가열식 꼬치구이기
KR101285707B1 (ko)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85379Y1 (ko) 내열 강화유리로 이루어진 열판을 구비한 전기 주전자
KR200422604Y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주방용기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200422603Y1 (ko) 인덕션 렌지 겸용 주방용기
CN110604463A (zh) 用于运行烹饪设备的方法和烹饪设备
KR200424658Y1 (ko) 신선로 겸용 취사기
KR101774144B1 (ko)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센서의 온도보정용 캡
US2601850A (en) Apparatus for use in cooking food
KR20200098022A (ko) 개선된 에어 프라이어
US2576313A (en) Food steam cooker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KR200464310Y1 (ko) 조리 용기
KR101131780B1 (ko) 다기능 조리기구
KR101844456B1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TWM493953U (zh) 蒸煮電鍋
JP2022123897A (ja) 調理用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