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479B1 -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479B1
KR101142479B1 KR1020090102138A KR20090102138A KR101142479B1 KR 101142479 B1 KR101142479 B1 KR 101142479B1 KR 1020090102138 A KR1020090102138 A KR 1020090102138A KR 20090102138 A KR20090102138 A KR 20090102138A KR 101142479 B1 KR101142479 B1 KR 10114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opening
sensor
overheat preventio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527A (ko
Inventor
강승규
최경석
박장식
권정락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안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안전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안전공사
Priority to KR1020090102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4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03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reacting to pressure an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07Regulating fuel supply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로 조리시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경우에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조리용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중앙에 관통개구가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스레인지, 과열 방지, 온도 측정

Description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A GAS RANGE FOR PREVENTING OVERHEATING AND A METHOD FOR PREVENTING OVERHEATING OF A GAS RANGE}
본 발명은 가스레인지로 조리시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경우에 가스 공급을 차단하여 조리용기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레인지에 의한 폭발 사고가 해마다 많은 수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화재로 이어져 소중한 생명을 앗아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폭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많은 안전 장치들이 가스레인지에 설치되고 있다.
가스레인지에 의한 폭발 사고는,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꺼진 상태에서 가스의 계속적인 유출에 의해 발생되는 폭발 사고와 조리용기에 대한 계속적인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조리용기의 과열에 의한 화재 사고로 크게 나누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두가지 사고를 모두 방지할 수 있다면, 가스레인지에 의한 폭발 및 화재 사고는 상당히 감소할 전망이며, 특히 조리중 조리용기의 방치로 인한 화재 발생도 상당히 감소될 것이라 전망되므로, 이러한 방지 장치의 개발이 업계에서는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의 목적은, 가스레인지에 의한 조리시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와 더불어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계속적인 가스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가스 폭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고온모드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여 고온 조리시 불필요한 가스 차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제 1 실시예는,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중앙에 관통개구가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가스 공급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과열방지센서는,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하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센서 몸체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 제 1 종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삽입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센서 지지 바아; 및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상기 제 2 종단과 상기 삽입구의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하강할 때,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센서 지지 바아를 따라 복원력을 가지고 하강하도록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십(十)자 형상이고,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제 2 실시예는,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 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컵부의 상기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과열방지센서는, 상기 컵부의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되며, 하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센서 몸체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 제 1 종단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삽입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센서 지지 바아; 및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상기 제 2 종단과 상기 삽입구의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하강할 때,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센서 지지 바아를 따라 복원력을 가지고 하강하도록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이며, 상기 컵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컵부의 하면까지 관통하는 제 1 신호선 배출로를 포함하며, 상기 버너 헤드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신호선은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 상기 제 1 신호선 배출로 및 상기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버너 헤드의 하면으로 인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상기 제 1 종단 측의 측면에 상기 신호선이 인출되는 인출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인출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신호선 배출로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컵부의 하면으로 돌출된 신호선 보호관을 포함하되, 상기 컵부가 상기 버너 헤드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 보호관이 상기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통과하고, 상기 신호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신호선이 인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고,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소화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열방지센서와 상기 소화안전장치 모두로부터 개방 신호를 받는 경우에만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상기 소화안전장치를 상기 가스 개폐부와 직접 연결시켜, 상기 소화안전장치의 개방신호 또는 패쇄신호가 상기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가스 개폐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안전장치를 상기 가스 개폐부와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고온모 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고온모드에서는 상기 고온모드 스위치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가스 개폐부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은, (a) 과열방지센서가 조리용기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가 제어부로 폐쇄신호를 보내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가 제어부로 개방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소화안전장치가 상기 가스레인지의 점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소화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레인지가 점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화안전장치가 제어부로 개방신호를 보내는 단계; (f) 상기 소화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레인지가 소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화안전장치가 제어부로 폐쇄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소화안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폐쇄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가스레인지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사용자가 가스레인지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에, 가열 상태의 조리용기를 방치하여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리용기에 의한 발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스레인지의 불꽃의 미점화 또는 소화 상태에서 계속적인 가스의 공 급을 차단하여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며, 고온모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온 조리시 조리용기가 기설정된 과열온도를 넘어서더라도, 가스 공급을 유지하여 고온 조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점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점화부는 컵부(10), 버너 헤드(20), 과열방지센서(30), 소화안전장치(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컵부(10)는 원판형 부재로 조리용기(1)로부터 국물이 떨어지는 경우 국물이 버너 헤드(20)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너 헤드(20)의 가스 공급 개 구(2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컵부(10)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하며, 버너 헤드(20)의 외주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23)들을 통해 점화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중앙에는 관통개구(11)가 형성되어 후술할 센서 몸체부(31)가 삽입된다.
버너 헤드(20)는 원통 형태의 부재로서, 개방된 상부는 컵부(10)에 의해 덮이며, 원주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가스 배출구(23)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정상적인 사용 상태일 때, 가스 배출구(23)들을 통해 점화된 가스가 배출되어 조리용기(1)를 가열하게 된다. 버너 헤드(20)의 중앙에는 가스 공급 개구(2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가스가 유입되며, 가스 공급 개구(21) 내부에는 가스 유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후술할 센서 지지 바아(34)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22)이 형성되며, 십(十)자 형 프레임이 바람직하다.
과열방지센서(30)는 조리용기(1)의 바닥에 접촉하여 조리용기(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로서, 센서 몸체부(31), 센서부(32), 하부 걸림턱(33), 센서 지지 바아(34) 및 스프링부(35)로 이루어진다.
센서 몸체부(31)는 원기둥형의 부재로서 컵부(10)의 관통개구(11)에 삽입되어 컵부(10)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센서 몸체부(31)의 하면 중앙에는 원기둥형 공간인 삽입구(36)가 형성된다. 삽입구(36)는 센서 몸체부(31)를 하면에서 상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면의 삽입구(36)는 센서부(32)에 의해 폐쇄된다.
센서부(32)는 센서 몸체부(31)의 상면에 부착되며, 조리용기(1)의 바닥과 직 접 접촉하여 조리용기(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이다. 접촉식 온도 센서라면 공지의 온도 센서가 모두 이용 가능하다.
하부 걸림턱(33)은 센서 몸체부(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센서 몸체부(31)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하부 걸림턱(33)은 센서 몸체부(31)가 컵부(10)의 관통개구(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컵부(10)의 하면에 걸리게 위치되며, 이로 인해 센서 몸체부(31)는 관통개구(11)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하부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변위가 제한된다.
하부 걸림턱(33)은 센서 몸체부(31)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센서 몸체부(31)의 하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는 관통개구(1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져야만 하며, 이 경우 삽입구(36)가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센서 지지 바아(34)는 하부의 제 1 종단(34a)과 상부의 제 2 종단(34b)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의 부재이며, 센서 몸체부(3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36)에 제 2 종단(34b)이 삽입된다. 제 1 종단(34a)은 가스 공급 개구(21) 내부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22)에 고정된다.
이러한 연결 구성에 의해, 센서 몸체부(31)는, 센서 지지 바아(34)가 센서 몸체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지지 바아(34)를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센서 몸체부(31)의 상승 이동은 하부 걸림턱(33)이 컵부(10)의 하면에 걸리는 위치까지 가능하게 되며, 센서 몸체부(31)의 하강 이동은 삽입구(36)의 종단면(36a)이 센서 지지 바아(34)의 제 2 종단(34b)에 닿을 때까지 하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센서 몸체부(31)의 하강 이동시, 삽입구(36)의 종단면(36a)이 센서 지지 바아(34)의 제 2 종단(34b)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스프링부(35)가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35)는 센서부(32)가 조리용기(1)에 접촉되어 눌리는 경우에 센서부(32)가 조리용기(1)와의 충돌로 손상을 입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조리용기(1)가 제거되면, 센서 몸체부(31)를 하부 걸림턱(33)이 컵부(10)의 하면에 걸릴 때까지 상승시킨다.
소화안전장치(40)는 버너 헤드(20)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버너 헤드(20)에 불꽃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감지 방법은 버너 헤드(20)의 온도를 측정하여 특정온도(예를 들어 650℃)가 되면, 불꽃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전력이 발생되는 구성을 가진다. 소화안전장치(40)는 불꽃없이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세한 작동 조건은 후술한다.
위에서 설명한 과열방지센서(30)와 소화안전장치(40)는 모두 버너 헤드(20)의 가스 공급 개구(21)로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함에 의해 각각 가스 누출이나 조리용기(1) 과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은 과열방지센서(30)와 소화안전장치(40)로부터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를 받은 제어부(50)가 가스 개폐부(70)가 가스 공급관(60)을 각각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고, 이에 의해 가스 공급 개구(21)와 연결된 가스 공급관(60)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는 공급 또는 차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제어 부(50)의 상세한 구성 및 가스 개폐 기능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과열방지센서(30)와 소화안전장치(40)가 가스레인지에 함께 설치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정상 사용시의 개략도이다.
제어부(50)는 과열방지센서(30)에서 신호를 받는 동시에, 소화안전장치(40)에서도 신호를 받아 양 신호값을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하여 양 신호 모두 개방신호인 경우에만 가스 개폐부(70)로 개방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과열방지센서(30)는 조리용기(1)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조리용기(1)의 온도가 과열온도(예를 들어, 300℃) 이상인 경우에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내고,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낸다.
소화안전장치(40)는 소화 상태에서 가스가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수행하며, 버너 헤드(20)의 온도가 특정온도 미만이면, 불꽃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스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내고, 특정온도 이상인 경우에 불꽃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낸다.
정상 사용시의 신호 상태를 살펴보면, 조리용기(1)가 과열되지 않고, 정상적인 점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과열방지센서(30)는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내고, 소화안전장치(40)는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 낸다. 이를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을 하면 개방신호인 신호값 "1"이 도출되어 가스 개폐부(70)는 가스 공급관(60)을 개방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과열 사용시의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과열 사용시의 신호 상태를 살펴보면, 조리용기(1)가 과열되고, 정상적인 점화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 과열방지센서(30)는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내고, 소화안전장치(40)는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낸다. 이를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을 하면 폐쇄신호인 신호값 "0"이 도출되어 가스 개폐부(70)는 가스 공급관(60)을 폐쇄한다.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조리용기(1)가 과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소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살펴보면, 과열방지센서(30)는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로 보내고, 소화안전장치(40)는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낸다. 이를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을 하면 폐쇄신호인 신호값 "0"이 도출되어 가스 개폐부(70)는 가스 공급관(60)을 폐쇄한다.
또한, 조리용기(1)가 과열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인 소화 상태가 발생한 경우를 살펴보면, 과열방지센서(30)는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내고, 소화안전장치(40) 역시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낸다. 이를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을 하면 폐쇄신호인 신호값 "0"이 도출되어 가스 개폐부(70)는 가스 공급관(60)을 폐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고온모드 사 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고온모드란 조리 종류에 따라, 설정된 과열 온도(예를 들어 300℃)를 넘어서 조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모드이며, 이는 고온모드 스위치(52)의 조작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고온모드 스위치(52)는, 소화안전장치(40)를 가스 개폐부(70)와 직접 연결시켜, 소화안전장치(40)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가 AND 연산기(51)를 거치지 않고 가스 개폐부(70)로 전달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53) 상에 설치되어, 소화안전장치(40)를 가스 개폐부(70)와 연결 또는 차단시킨다.
고온모드 스위치(52)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즉 바이패스 라인(53)을 차단 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기능이 이루어지며, 고온모드 스위치(52)가 온(ON) 상태인 경우, 즉 바이패스 라인(53)이 연결된 경우에는, 정상 점화 상태라면, AND 연산자(51)의 출력값에 상관없이 개방신호(즉, 신호값 "1")가 바이패스 라인(53)을 통해 가스 개폐부(70)로 전달되어 가스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정상적인 점화 상태에서 조리용기(1)가 과열된 상태에서는 과열방지센서(30)는 폐쇄신호(신호값 "0")를 제어부(50)로 보내고, 소화안전장치(40)는 개방신호(신호값 "1")를 제어부(50) 및 바이패스 라인(53)으로 보낸다. AND 연산기(51)에서 AND 연산을 하면 폐쇄신호인 신호값 "0"이 도출되지만, 바이패스 라인(53)을 통해 개방신호(신호값 "1")가 가스 개폐부(70)로 전달되어 가스 공급이 차단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예시는 과열방지센서(30)와 소화안전장치(40)가 모두 설치된 경 우를 예시하였으나, 과열방지센서(30)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50)의 AND 연산기(51)가 필요하지 않게 되어, 직접적으로 가스 개폐부(70)로 과열방지센서(30)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상기 예시에서는 과열방지센서(30)가 조리용기(1)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신호값 "0"을 제어부(50)로 보내고,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신호값 "1"을 제어부(50)로 보내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부(32)의 종류에 따라 조리용기(1) 과열시 신호값 "1"을 제어부(50)로 보내고, 정상사용시 신호값 "0"을 제어부(50)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AND 연산기(51) 이전에 NOT 연산기를 구성하여 이를 통과하게 한다면, 신호값 "1"이 신호값 "0"으로 바뀌고, 신호값 "0"이 신호값 "1"로 바뀌게 되어, 결국 상기 예시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 레인지에 대하여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에서 사용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동일한 기능에 대하여는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 레인지의 점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스레인지의 점화부는 컵부(110), 버너 헤드(120), 과열방지센서(130), 소화안전장치(40)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컵부(110)는 원판형 부재로 조리용기(1)로부터 국물이 떨어지는 경우 국물이 버너 헤드(120)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버너 헤드(120)의 가스 공급 개구(121)로부터 공급되는 가스가 컵부(110)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유도하며, 버너 헤드(120)의 외주부에 형성된 가스 배출구(123)들을 통해 점화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컵부(110)의 중앙에는 오목부(111)가 형성되어 후술할 센서 몸체부(131)가 그 위에 위치된다. 컵부(110)에는 오목부(111)의 내면(113)으로부터 컵부(110)의 하면까지 관통되는 제 1 신호선 배출로가 형성되며, 도 7에는 제 1 신호선 배출로에 신호선 보호관(114)이 끼워진 상태를 도시한다. 센서부(132)에 연결된 신호선이 제 1 신호선 보호관(114)을 통해 인출되는 경로는 후술하도록 한다.
버너 헤드(120)는 원통 형태의 부재로서, 개방된 상부는 컵부(110)에 의해 덮이며, 원주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된 가스 배출구(123)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정상적인 사용 상태일 때, 가스 배출구(123)들을 통해 점화된 가스가 배출되어 조리용기(1)를 가열하게 된다. 버너 헤드(120)의 중앙에는 가스 공급 개구(121)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가스가 유입된다. 또한, 버너 헤드(120)에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 2 신호선 배출로(124)가 형성되며, 이는 신호선의 인출에 이용된다.
과열방지센서(130)는 조리용기(1)의 바닥에 접촉하여 조리용기(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로서, 센서 몸체부(131), 센서부(132), 하부 걸림턱(133), 센서 지지 바아(134) 및 스프링부(135)로 이루어진다.
센서 몸체부(131)는 원기둥형의 부재로서 컵부(110)의 오목부(111) 위에 위치되어 컵부(110)로부터 위쪽을 향해 돌출되도록 위치된다. 센서 몸체부(131)는, 센서 몸체부(131)의 하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하부 걸림턱(133)이 컵부(110)의 상면에 걸치게 됨으로써, 오목부(111) 안으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센서 몸체부(131)의 하면 중앙에는 원기둥형 공간인 삽입구(136)가 형성된다. 삽입구(136)는 센서 몸체부(131)를 하면에서 상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면의 삽입구(136)는 센서부(132)에 의해 폐쇄된다.
센서부(132)는 센서 몸체부(131)의 상면에 부착되며, 조리용기(1)의 바닥과 직접 접촉하여 조리용기(1)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이다. 접촉식 온도 센서라면 공지의 온도 센서가 모두 이용 가능하다.
하부 걸림턱(133)은 센서 몸체부(131)의 하부에 위치되며, 센서 몸체부(131)의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하부 걸림턱(133)은 센서 몸체부(131)가 조리용기(1)에 의해 눌리더라도 컵부(110)의 오목부(111)에 센서 몸체부(131)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부 걸림턱(133)은 센서 몸체부(131)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센서 몸체부(131)의 하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는 오목부(111)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져야만 하며, 이 경우 삽입구(136)가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연장된다.
센서 지지 바아(134)는 하부의 제 1 종단(134a)과 상부의 제 2 종단(미도시)을 가지는 중공형 원기둥 형태의 부재이며, 센서 몸체부(131)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구(136)에 제 2 종단이 삽입된다. 제 1 종단(134a)은 오목부(111)의 바닥면(112)에 고정되어 센서 몸체부(131)를 지지한다.
이러한 연결 구성에 의해, 센서 몸체부(131)는, 센서 지지 바아(134)가 센서 몸체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지지 바아(134)를 따라 상하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며, 센서 몸체부(131)의 하강 이동은 하부 걸림턱(133)이 컵부(110)의 상면에 걸리는 위치까지 가능하게 된다. 센서 몸체부(131)의 상승 이동은 삽입구(136) 내주면과 센서 지지 바아(34)의 외주면 사이에 요철부 등을 형성하여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센서 몸체부(131)의 하강 이동시, 삽입구(136)의 종단면이 센서 지지 바아(134)의 제 2 종단과 충돌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스프링부(135)가 위치될 수 있다. 스프링부(135)는 센서부(132)가 조리용기(1)에 접촉되어 눌리는 경우에 센서부(132)가 조리용기(1)와의 충돌로 손상을 입지 않고,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며, 조리용기(1)가 제거되면, 센서 몸체부(131)를 탄성력에 의해 상승시킨다.
센서 지지 바아(13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이며, 제 1 종단(134a) 쪽의 측면에 신호선이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개구가 형성된다. 센서 지지 바아(134)가 오목부(111)의 바닥면(112)에 고정되면, 오목부(111)의 내면(113)에서 돌출된 신호선 보호관(114)과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센서 지지 바아(134) 의 내부 공간은, 인출개구와 신호선 보호관(114)을 통해 신호선 보호관(114)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또한, 컵부(110)가 버너 헤드(120) 위에 덮일 때, 신호선 보호관(114)은 제 2 신호선 배출로(124)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센서부(132)에 연결된 신호선은 삽입구(136), 센서 지지 바아(134)의 내부 공간, 신호선 보호관(114) (여기서, 신호선 보호관(114)는 제 1 신호선 배출로 및 제 2 신호선 배출로(124)에 삽입된다)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이 된다. 또한, 신호선 보호관(114)이 없이, 신호선을 제 1 신호선 배출로 및 제 2 신호선 배출로(124)을 통해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제어부(50)의 구성 및 가스 개폐 기능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점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과열방지센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정상 사용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과열 사용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의 고온모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열 방지 가스 레인지의 점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Claims (11)

  1. 삭제
  2.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중앙에 관통개구가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가스 공급 개구의 내주면에 고정된 지지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과열방지센서는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하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센서 몸체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관통개구를 관통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
    제 1 종단이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삽입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센서 지지 바아; 및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상기 제 2 종단과 상기 삽입구의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하강할 때,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센서 지지 바아를 따라 복원력을 가지고 하강하도록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십(十)자 형상이고,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4. 삭제
  5.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컵부의 상기 상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과열방지센서는
    상기 컵부의 상기 오목부의 위쪽에 위치되며, 하면에 삽입구가 형성된 센서 몸체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센서부;
    상기 센서 몸체부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하부 걸림턱;
    제 1 종단이 상기 오목부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제 2 종단이 상기 삽입구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센서 지지 바아; 및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상기 제 2 종단과 상기 삽입구의 종단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센서부가 상기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하강할 때, 상기 센서 몸체부가 상기 센서 지지 바아를 따라 복원력을 가지고 하강하도록 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 부재이며,
    상기 컵부는 상기 오목부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컵부의 하면까지 관통하는 제 1 신호선 배출로를 포함하며,
    상기 버너 헤드는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에 연결된 신호선은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내부 공간, 상기 제 1 신호선 배출로 및 상기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버너 헤드의 하면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 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지지 바아는, 상기 제 1 종단 측의 측면에 상기 신호선이 인출되는 인출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버너 헤드는, 상기 인출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센서 지지 바아의 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신호선 배출로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컵부의 하면으로 돌출된 신호선 보호관을 포함하되,
    상기 컵부가 상기 버너 헤드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선 보호관이 상기 제 2 신호선 배출로를 통과하고, 상기 신호선 보호관의 내부를 통해 상기 신호선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 레인지.
  8.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중앙에 관통개구가 형성된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기 관통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고,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소화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열방지센서와 상기 소화안전장치 모두로부터 개방 신호를 받는 경우에만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9.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에 있어서,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 공급관;
    상기 가스 공급관을 개폐시키는 가스 개폐부;
    컵부;
    상기 컵부에 의해 덮이며, 중앙에 위치된 가스 공급 개구는 상기 가스 공급관과 연결되고, 상기 가스 공급 개구를 통해 유입된 가스가 상기 컵부의 하면에 의해 외부로 유도되도록 하는 버너 헤드;
    상기 컵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컵부로부터 돌출되며, 조리시 상기 컵부의 위쪽에 위치되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폐쇄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고, 상기 과열방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가 상기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로부터 개방신호를 받아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개방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고, 상기 버너 헤드에서 불꽃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에 상기 가스 개폐부를 폐쇄시키는 폐쇄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보내는 소화안전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열방지센서와 상기 소화안전장치 모두로부터 개방 신호를 받는 경우에만 상기 가스 개폐부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는
    상기 소화안전장치를 상기 가스 개폐부와 직접 연결시켜, 상기 소화안전장치의 개방신호 또는 폐쇄신호가 상기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상기 가스 개폐부로 전달되도록 하는 바이패스 라인; 및
    상기 바이패스 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안전장치를 상기 가스 개폐부와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고온모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고온모드에서는 상기 고온모드 스위치가 연결상태로 되어 상기 가스 개폐부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11. 조리용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에 있어서,
    (a) 과열방지센서가 조리용기에 접촉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이상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가 제어부로 폐쇄신호를 보내는 단계;
    (c) 상기 측정된 조리용기의 온도가 과열온도 미만인 경우에 상기 과열방지센서가 제어부로 개방신호를 보내는 단계;
    (d) 소화안전장치가 상기 가스레인지의 점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소화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레인지가 점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화안전장치가 제어부로 개방신호를 보내는 단계;
    (f) 상기 소화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가스레인지가 소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소화안전장치가 제어부로 폐쇄신호를 보내는 단계; 및
    (g)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과열방지센서 및 상기 소화안전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신호 중 어느 하나라도 폐쇄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가스레인지로의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KR1020090102138A 2009-10-27 2009-10-27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KR10114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138A KR101142479B1 (ko) 2009-10-27 2009-10-27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138A KR101142479B1 (ko) 2009-10-27 2009-10-27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527A KR20110045527A (ko) 2011-05-04
KR101142479B1 true KR101142479B1 (ko) 2012-05-08

Family

ID=44240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138A KR101142479B1 (ko) 2009-10-27 2009-10-27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74B1 (ko) * 2000-07-22 2003-09-19 이원교 후민물질계 김 양식용 영양 산 처리제
KR20040049152A (ko) * 2002-12-05 2004-06-11 이기선 김양식장용 산처리제
KR101544367B1 (ko) * 2014-04-30 2015-08-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13427B (zh) * 2020-08-14 2023-01-06 中裕智慧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防爆型燃气炉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131A (ko) * 1991-04-09 1992-11-20 최창선 온도센서가 부착된 가열조리기
KR920021936A (ko) * 1991-05-17 1992-12-19 다니이 아끼오 남비의 가열제어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가열 조리기
KR930004698A (ko) * 1991-08-09 1993-03-23 최창선 곤로의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0131A (ko) * 1991-04-09 1992-11-20 최창선 온도센서가 부착된 가열조리기
KR920021936A (ko) * 1991-05-17 1992-12-19 다니이 아끼오 남비의 가열제어 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가열 조리기
KR930004698A (ko) * 1991-08-09 1993-03-23 최창선 곤로의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474B1 (ko) * 2000-07-22 2003-09-19 이원교 후민물질계 김 양식용 영양 산 처리제
KR20040049152A (ko) * 2002-12-05 2004-06-11 이기선 김양식장용 산처리제
KR101544367B1 (ko) * 2014-04-30 2015-08-1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527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3230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oktop fire mitigation
KR101142479B1 (ko) 과열 방지 가스레인지 및 가스레인지의 과열 방지 방법
JP6010069B2 (ja) ガスコンロ
KR101442207B1 (ko) 가스 누설 자동 감지 및 차단장치
JP3751358B2 (ja) コンロにおける炎漏出防止装置及び鍋径検出装置
US6345571B2 (en) Fryer
KR101433657B1 (ko) 자동 화력 조절 기능을 가지는 가스 레인지
US20150198336A1 (en) Gas orifice holder
KR101611503B1 (ko) 주방용 화재 방재장치
CN206504362U (zh) 燃气灶智能安全控制装置
JP6274693B2 (ja) ガスコンロ
JP5089746B2 (ja) ガス調理器
JP6434250B2 (ja) ガスバーナー
RU27436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KR101360077B1 (ko) 과열방지장치를 구비한 가스렌지
KR20040078775A (ko) 지능형 가스밸브 제어장치
KR101459055B1 (ko) 이산화탄소 소화기가 구비된 가스레인지 및 그 동작방법
JPH08303785A (ja) 炎漏出防止型コンロ
KR20130038591A (ko) 컵 타입 버너
KR20220027608A (ko)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 시스템 및 작동방법
KR102133311B1 (ko) 이중 가스안전장치
CN212930096U (zh) 一种灶具
KR20130000995U (ko) 멀티-가스레인지의 자동 가스 차단 장치
CN116293826A (zh) 燃气灶
KR101130328B1 (ko) 가스레인지의 자동 가스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