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08B1 -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08B1
KR101908008B1 KR1020150059258A KR20150059258A KR101908008B1 KR 101908008 B1 KR101908008 B1 KR 101908008B1 KR 1020150059258 A KR1020150059258 A KR 1020150059258A KR 20150059258 A KR20150059258 A KR 20150059258A KR 101908008 B1 KR101908008 B1 KR 101908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food
wall
plate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374A (ko
Inventor
박종복
Original Assignee
정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진 filed Critical 정영진
Publication of KR2016007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버너나 가스 렌즈 등에 간편히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링형상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이격되도록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기름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기름 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 열기 분출구가 형성되는 기름 받이대;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내벽의 상기 열기 분출구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출구에서 상방 중앙으로 분출되는 열기를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전체적으로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기 분산홀이 형성되는 열기 분산판; 및 상기 열기 분산판과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외벽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Food cooker, roasting plate and its assembly}
본 발명은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버너나 가스 렌즈 등에 간편히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육류나 생선 등을 비롯하여 가열하여 섭취하는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기를 이용하거나, 가스불 또는 숯불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이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이기는 사용되는 연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료의 특성과 구이 구조의 상이함으로 인해 가열 조리되는 음식의 맛과 향이 달라진다.
한편, 대중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삽겹살 등을 굽기 위한 불판이 널리 사용되는 데, 이러한 불판은 하면이 가열되고, 상면은 삽겹상이나, 갈비상 등의 음식과 접촉되어 전도열로만 음식을 조리하는 매우 간단한 플레이트 형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불판은 열기가 한 곳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중앙부 등 열기가 집중되는 부분의 코팅이 쉽게 벗겨져서 음식이 쉽게 들러붙고, 세척하기가 매우 어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은, 전도열로만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서 훈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음식의 맛이 떨어지고, 음식에서 흘러나오는 기름이나 육즙 등이 달라붙어서 연기를 많이 발생시키기 때문에 가정이나 밀폐된 곳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불판은, 주로 주물이나 다이캐스팅으로 용융된 금속 재료를 몰딩 제작하기 때문에 재료비나 생산 시간이나 생산 비용이나 가공비가 많이 소모되어 제품의 단가가 크게 놓아지고, 주물용이나 다이캐스팅용도로 용융된 금속 재료는 중금속이나 각종 불순물 함량이 높아서 인체에 해를 줄 수 있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가정에서 또는 캠핑을 가서 숯불 구이나 캠프 파이어를 쉽게 즐길 수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기 분산판을 이용하여 불판에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서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음식물이 타거나 늘어붙지 않게 하여 음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연기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서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나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프레스 방식으로 제작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불판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숯불이나 화로는 물론이고 일반적인 가스 버너나 가스 렌즈를 열원으로 할 수 있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전도열은 물론, 열기를 직화열 대류방식으로 음식에 전달하여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조리시 유해물질의 생성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훈연재를 사용하여 음식의 훈재 조리를 가능하게 하며, 가정에서 또는 캠핑을 가서 숯불 구이나 캠프 파이어를 쉽게 즐길 수 있게 하는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는, 링형상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이격되도록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기름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기름 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 열기 분출구가 형성되는 기름 받이대;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내벽의 상기 열기 분출구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출구에서 상방 중앙으로 분출되는 열기를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전체적으로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기 분산홀이 형성되는 열기 분산판; 및 상기 열기 분산판과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외벽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조리 기구는 음식을 구울 수 있는 불판이고, 상기 불판은,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 접촉된 상기 음식을 열전도 방식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불판 몸체; 및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가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식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기 공급틈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불판 몸체는, 음식에서 배출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기름 받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기름 받이부의 상방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름 낙하홀이 형성되는 압연된 알루미늄 금속 재질이고, 상기 기름 낙하홀 방향으로 이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테두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이중 경사 구조이며, 음식의 조리시,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의 상방에 그 끝단이 아래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열기 분산판은, 스텐레스 재질을 프레스 방식으로 성형하고, 상기 열기 분산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훈연재를 상기 조리 기구와 5 mm 내지 20 mm로 이격되게 수용할 수 있는 훈연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훈연재 수용부의 중심에는 상기 열기 분산판의 뒤틀림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내벽의 상기 열기 분출구에 거치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거치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기름 받이대는, 스텐레스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고, 가스 버너의 지지대에 걸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면에 지지대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의 외측면에 접철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기름 받이대와 상기 열기 분산판은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는, 상기 조리 기구에 상방에 설치되는 뚜껑; 및 상기 열기 분산판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숯 또는 연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숯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숯통부는,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재받이; 및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가 형성되는 숯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숯통부는,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 폭 보다 넓은 제 1 폭을 갖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 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는 분화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은, 뒤집어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이고,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접철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된 음식을 상기 불판과 이격되게 지지하여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에 거치되는 음식 거치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불판은,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 접촉된 상기 음식을 열전도 방식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불판 몸체; 및 상기 열기가 직화열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식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기 공급틈새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판 몸체는, 음식에서 배출된 기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름 낙하홀이 형성되는 압연된 알루미늄 금속 재질이고, 상기 기름 낙하홀 방향으로 이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테두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이중 경사 구조이며, 음식의 조리시,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의 상방에 그 끝단이 아래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는,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재받이;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숯통; 및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 폭 보다 넓은 제 1 폭을 갖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 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는 분화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숯통은, 상기 접철식 다리와 접촉되는 외벽체; 상기 숯 수용부가 형성되는 내벽체; 및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를 연결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와 내벽체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벽체의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기 유입구에는 상기 숯 또는 상기 연료가 낙하되지 않으면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화기 유입구의 상방에 걸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 공급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재받이는, 상기 착화제 수용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식 다리는, 경첩에 의해 바닥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숯통과 접촉되는 숯통지지부가 형성되며, 중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숯통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서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음식물이 타거나 늘어붙지 않게 하여 음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나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하며, 일반적인 가스 버너나 가스 렌즈를 열원으로 할 수 있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전도열은 물론, 열기를 직화열 대류방식으로 음식에 전달하여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조리시 유해물질의 생성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훈연재를 사용하여 음식의 훈재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가정에서 또는 캠핑을 가서 숯불 구이나 캠프 파이어를 쉽게 즐길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의 기름 받이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의 열기 분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의 불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분화통의 역방향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분화통의 정방향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음식 조리 장치의 기름 받이대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음식 조리 장치의 뚜껑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보관 상태를 나타내는 보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분화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숯통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음식 조리 장치의 숯통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재받이의 접철식 다리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다른 일례에 따른 재받이의 접철식 다리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뚜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음식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는, 크게 기름 받이대(10)와, 열기 분산판(20) 및 조리 기구(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 받이대(10)는, 링형상의 높이가 높은 외벽(11) 및 상기 외벽(11)과 이격되도록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벽(11)에 비해 그 높이가 낮은 내벽(12)을 포함하고, 기름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12)과 외벽(11)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기름 받이부(13)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12)에 열기 분출구(H1)가 형성되는 전체적으로 링형상인 절곡된 플레이트 구조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름 받이대(10)는 가스 버너(1)나 가스 렌지의 열기나 불꽃이 가운데에 형성된 열기 분출구(H1)를 통과시키고, 상기 기름 받이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구(30)에서 흘러 내리는 기름이나 육즙이나 물 등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름 받이부(13)는 음식의 조리를 시작하기 전에, 기름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고 고온의 기름이 심하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리 물을 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기름 받이대(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 받이대(10)는, 스텐레스 304 재질의 원판을 프레스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버너(1)의 지지대(2)에 걸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면에 지지대 수용홈부(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외벽(11)의 외측면에 이동이나 취급이 용이하도록 접철식 손잡이(1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 분산판(20)은,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내벽(12)의 상기 열기 분출구(H1)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출구(H1)에서 상방 중앙으로 분출되는 열기를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전체적으로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기 분산홀(H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구조체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기 분산판(20)을 이용하여 상기 조리 기구(30)인 불판(31)에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서 상기 불판(31)의 코팅이 벗겨지지 않게 하고 음식물이 타거나 늘어붙지 않게 하여 음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연기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서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열기 분산판(2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 분산판(20)은, 스텐레스 430 재질을 프레스 방식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제작 시간과 제작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 분산판(20)은, 상기 열기 분산판(20)의 가운데 부분에는 훈연재(3)를 상기 조리 기구(30)와 5 mm 내지 20 mm로 이격되게 수용할 수 있는 훈연재 수용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훈연재 수용부(21)에 수용된 상기 훈연재(3)는 상기 조리 기구(30)와 5 mm 내지 20 mm로 매우 가깝게 근접되게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불꽃이 발생될 수 있는 거리를 주지 않아서 상기 훈연재(3)가 발화되지 않고, 오랫동안 나무 연기를 발생시켜서 마치 훈재 요리처럼 음식의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훈연재(3)는 직경이 1 mm 내지 5 mm인 매우 작은 조각만으로 훈재 효과를 낼 수 있고, 참나무를 비롯하여 장미목이나 각종 훈연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훈연재 수용부(21)의 중심에는 상기 열기 분산판(20)의 뒤틀림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홀(C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기 분산판(20)이 고열에 의해 달아오르더라도 상기 중심홀(CH)이 변형을 흡수하여 그 형체를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기 분산판(20)은,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내벽(12)의 상기 열기 분출구(H1)에 거치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거치 날개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 날개부(22)를 이용하여 상기 열기 분산판(20)을 상기 열기 분출구(H1)에 거치시킬 수 있고, 세척이나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열기 분산판(20)을 상기 열기 분출구(H1)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기구(30)는, 상기 열기 분산판(20)과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외벽(11)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산판(20)에 의해 분산된 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된 음식을 조리, 즉 음식을 구울 수 있는 불판(31)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불판(31)은 상기 기름 받이대(10)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P)를 삽입하여 사용자가 뜨겁지 않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막대 삽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조리 기구(30)는 도면에 도시된 불판(31)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각종 냄비나 후라이팬이나 주전자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불판(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31)은, 상기 열기 분산판(20)에 의해 분산된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 접촉된 상기 음식을 열전도 방식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압연된 열전도성 알루미늄 금속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불판 몸체(31-1) 및 상기 열기 분산판(20)에 의해 분산된 열기가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식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 몸체(3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기 공급틈새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 몸체(31-1)는, 음식에서 배출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기름 받이부(13)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기름 받이부(13)의 상방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름 낙하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31)은, 상기 기름 낙하홀(H3) 방향으로 이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H3)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F1) 및 테두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H3)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F2)이 형성되는 이중 경사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31)은, 음식의 조리시,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31-2)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31-2)의 상방에 그 끝단이 아래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 날개부(W)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의 설치 과정 및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스 버너(1)의 지지대(2) 위에 상기 기름 받이대(10)를 거치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지지대 수용홈부(14)를 상기 지지대(2)에 맞추어 상기 기름 받이대(10)를 움직이지 않게 정렬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내벽(12)의 상기 열기 분출구(H1)에 상기 거치 날개부(22)를 이용하여 상기 열기 분산판(20)을 거치시켜서 조립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열기 분산판(20)의 상기 훈연재 수용부(21)에 3 내지 4 조각의 훈연재(3)를 올려 놓고, 상기 조리 기구(30)인 상기 불판(31)을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외벽(11)에 거치시켜서 조립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버너(1)를 점화하면 그 열기가 상기 열기 분출구(H1)를 통해서 상방으로 분출될 수 있고, 이 때, 상기 열기 분산판(20)은 상기 가스 버너(1)의 불꽃 또는 뜨거운 열기를 차가운 공기와 혼합시키면서 완전 연소를 돕는 동시에, 상기 열기가 상기 불판(31)의 중심부에 집중되지 않도록 가장자리 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산된 열기를 직화열 대류 방식으로 상기 불판(31)에 올려진 음식에 직접 접촉되면서 동시에 상기 불판(31)의 전도열에 의해 가열되어 조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음식에서 흘러나온 기름이나 육즙이나 물 등은 상기 불판(31)의 상기 제 1 경사면(F1) 및 상기 제 2 경사면(F2)을 따라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상기 기름 받이부(13)의 물 위로 유도되어 낙하되면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연기의 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열기 분산판(20)을 이용하여 불판에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켜서 코팅이 벗겨지지 않고 음식물이 타거나 늘어붙지 않게 하여 음식의 맛과 향을 향상시키고, 연기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서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이나 세척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프레스 방식으로 제작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불판 또는 스테인레스 구조물을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며, 숯불이나 화로는 물론이고 일반적인 가스 버너나 가스 렌즈를 열원으로 할 수 있어서,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전도열은 물론, 열기를 직화열 대류방식으로 음식에 전달하여 음식의 맛을 좋게 하며, 조리시 유해물질의 생성과 유해가스의 발생을 억제하고, 훈연재를 사용하여 음식의 훈재 조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200)의 기름 받이대(10)와 열기 분산판(20)은 프레스를 이용하여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일체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기름 받이대(10)와 상기 열기 분산판(20) 및 상기 조리 기구(30)의 형상이나 재질이나 모양은 도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200)들은, 상기 조리 기구(30)에 상방에 설치되는 뚜껑(40) 및 상기 열기 분산판(20)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숯 또는 연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숯통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40)을 이용하여 음식 조리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하거나, 훈연시 훈연 연기를 보다 오래 보존할 수 있고, 상기 숯통부(50)를 이용하여 상술된 가스 버너(1) 이외에도 숯이나 기타 연료를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것도 모두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불판(31)은,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 접촉된 상기 음식을 열전도 방식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불판 몸체(31-1) 및 상기 열기가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식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 몸체(31-1)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기 공급틈새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불판 몸체(31-1)는, 음식에서 배출된 기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기름 낙하홀(H3)이 형성되는 압연된 알루미늄 금속 재질이고, 상기 기름 낙하홀(H3) 방향으로 이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H3)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F1) 및 테두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H3)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F2)이 형성되는 이중 경사 구조이며, 음식의 조리시,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31-2)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31-2)의 상방에 그 끝단이 아래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 날개부(W)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불판(31)의 구성 요소들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의 상기 불판(31)의 구성 요소들과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의 숯통부(50)는 재받이(51)와, 숯통(52) 및 분화통(5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재받이(51)는,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5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512)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구조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7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재받이(51)의 접철식 다리(512)의 펼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다른 일례에 따른 재받이(51)의 접철식 다리(512)의 접철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즉, 도 8,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다리(512)는, 경첩(G)에 의해 바닥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부(512a)가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숯통(52)과 접촉되는 숯통지지부(512b)가 형성되며, 중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부(512c) 및 상기 수평부(512c)로부터 상기 숯통지지부(512b)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12d)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다리(512)를 펼치면 상기 수직부(512d)가 세워지고, 아울러, 상기 수평부(512c)가 바닥에 길게 접촉되어 상기 숯통(52)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철식 다리(512)를 바닥에 접철하면 상기 힌지부(512a)가 회동되면서 상기 수직부(512d)가 누워져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받이(51)는, 상기 착화제 수용부(511)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닥 돌기(T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받이(51)는 운반이 용이하도록 테두리에 핸들부(HD)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핸들부(HD)를 손으로 잡고, 상술된 본 발명의 음식 조리 장치(100) 또는 상기 재받이(51) 위에 거치된 부품들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통부(50)는 상기 숯통(52)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숯통(52)은,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512)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521)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511)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H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T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에서는 상기 상면 돌기(T1)가 4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상면 돌기(T1)는 2개, 3개, 5개 등 다수개가 적용될 수 있어서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5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숯통(52)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숯통(52)을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숯통(52)은, 상기 접철식 다리(512)와 접촉되는 외벽체(52-1)와, 상기 숯 수용부(521)가 형성되는 내벽체(52-2) 및 상기 외벽체(52-1)와 상기 내벽체(52-2)를 연결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T1)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52-1)와 내벽체(52-2)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체(52-2)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벽체(52-1)의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52-3)에는 막대 삽입부(P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기 유입구(H4)에는 상기 숯 또는 상기 연료가 낙하되지 않으면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화기 유입구(H4)의 상방에 걸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 공급판(B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받이(51)의 상기 착화제 수용부(511)에 젤 타입 또는 고체 타입의 착화제를 연소시키면, 상기 화기 유입구(H4)를 통해서 착화제의 화기가 상기 숯통(52)의 내부에 수용된 숯 또는 연료를 착화시킬 수 있고, 상기 화기 유입구(H4)를 통해서 하방으로 지속적인 공기가 유입되어 화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분화통(53)의 역방향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분화통(53)의 정방향 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분화통(53)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화통(53)은,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5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 폭 보다 넓은 제 1 폭(W1)을 갖는 제 1 단부(53-1)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521)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W1) 보다 작은 제 2 폭(W2)을 갖는 제 2 단부(53-2)가 형성되는 짧은 파이프 형태의 구조체일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화통(53)의 측면에는 상기 막대(P)가 삽입될 수 있도록 막대 삽입부(Pa)가 형성되어 상기 막대(P)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화통(53)은,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일반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보관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상기 분화통(5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거치되어 그 안에 장작 등의 연료를 넣고, 캠프 파이어와 같이 일종의 화로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은 도 10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기름 받이대(10)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뚜껑(40)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부품 조립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보관 상태를 나타내는 보관 사시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 받이대(10)를 조립하여 음식 조리에 사용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을 덮어서 훈제 요리에 사용하거나,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을 하방으로 조립하여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도 19는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의 뚜껑(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은, 뒤집어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이고, 내부에 코팅면(41)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접철식 손잡이(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뚜껑(40)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형태의 뚜껑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도 8의 음식 조리 장치(100)의 음식 거치대(6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는, 조리된 음식을 상기 불판(30)과 이격되게 지지하여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30)에 거치되는 음식 거치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불판(30)에서 충분히 익은 음식을 상기 음식 거치대(60)에 거치시켜서 더 이상 익히지 않고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취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는,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511)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512)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재받이(51)와,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512)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521)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511)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H4)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1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T1)가 형성되는 숯통(52) 및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52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521)의 입구(52a) 폭 보다 넓은 제 1 폭(W1)을 갖는 제 1 단부(53-1)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521)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W1) 보다 작은 제 2 폭(W2)을 갖는 제 2 단부(53-2)가 형성되는 분화통(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받이(51)와, 상기 숯통(52) 및 상기 분화통(53)은, 도 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의 그것들과 그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 조리 장치(100)와, 불판(30)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를 이용하면, 가정에서 또는 캠핑을 가서 숯불 구이나 캠프 파이어를 쉽게 즐길 수 있고, 사용 및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취사 환경에 맞추어 범용적으로 모든 요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가스 버너
2: 지지대
3: 훈연재
10: 기름 받이대
11: 외벽
12: 내벽
13: 기름 받이부
14: 지지대 수용홈부
15: 접철식 손잡이
20: 열기 분산판
21: 훈연재 수용부
22: 거치 날개부
CH: 중심홀
H1: 열기 분출구
H2: 열기 분산홀
30: 조리 기구
31: 불판
31-1: 불판 몸체
31-2: 열기 공급틈새부
H3: 기름 낙하홀
F1: 제 1 경사면
F2: 제 2 경사면
W: 절곡 날개부
P: 막대
40: 뚜껑
41: 코팅면
42: 접철식 손잡이
50: 숯통부
51: 재받이
511: 착화제 수용부
512: 접철식 다리
52: 숯통
521: 숯 수용부
52-1: 외벽체
52-2: 내벽체
52-3: 연결부
T1: 상면 돌기
53: 분화통
53-1: 제 1 단부
53-2: 제 2 단부
Pa: 막대 삽입부
60: 음식물 거치대
100, 200: 음식 조리 장치

Claims (15)

  1. 링형상의 외벽 및 상기 외벽과 이격되도록 내측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기름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벽과 외벽 사이에 오목한 형상의 기름 받이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 열기 분출구가 형성되는 기름 받이대;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내벽의 상기 열기 분출구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출구에서 상방 중앙으로 분출되는 열기를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전체적으로 열기를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기 분산홀이 형성되는 열기 분산판;
    상기 열기 분산판과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외벽에 거치되고,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를 이용하여 접촉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 기구;
    상기 조리 기구에 상방에 설치되는 뚜껑; 및
    상기 열기 분산판 내부 또는 하방에 설치되고, 숯 또는 연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숯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숯통부는,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재받이; 및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기름 받이대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가 형성되는 숯통;
    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기구는 음식을 구울 수 있는 불판이고,
    상기 불판은,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에 의해 가열되면, 접촉된 상기 음식을 열전도 방식으로 간접 가열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되는 불판 몸체; 및
    상기 열기 분산판에 의해 분산된 열기가 직화열 대류 방식으로 상기 음식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 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열기 공급틈새부;
    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 몸체는, 음식에서 배출된 기름을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기름 받이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기름 받이부의 상방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기름 낙하홀이 형성되는 압연된 알루미늄 금속 재질이고,
    상기 기름 낙하홀 방향으로 이중 경사지게 형성되어 그 높이를 줄일 수 있도록 중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경사면 및 테두리부에서 상기 기름 낙하홀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 경사면이 형성되는 이중 경사 구조이며,
    음식의 조리시,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로 기름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열기 공급틈새부의 상방에 그 끝단이 아래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 날개부가 형성되는, 음식 조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분산판은, 스텐레스 재질을 프레스 방식으로 성형하고,
    상기 열기 분산판의 가운데 부분에는 훈연재를 상기 조리 기구와 5 mm 내지 20 mm로 이격되게 수용할 수 있는 훈연재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훈연재 수용부의 중심에는 상기 열기 분산판의 뒤틀림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중심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름 받이대의 상기 내벽의 상기 열기 분출구에 거치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거치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인, 음식 조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받이대는, 스텐레스 재질을 프레스 성형하고,
    가스 버너의 지지대에 걸림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그 하면에 지지대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벽의 외측면에 접철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인, 음식 조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받이대와 상기 열기 분산판은 일체를 이루는 것인, 음식 조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부는,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 폭 보다 넓은 제 1 폭을 갖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 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는 분화통;
    을 더 포함하는, 음식 조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뒤집어서 후라이팬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이고, 내부에 코팅면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접철식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인, 음식 조리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조리된 음식을 상기 불판과 이격되게 지지하여, 상기 음식을 더 이상 익지않고 취식이 용이할 수 있는 적절한 온도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불판에 거치되는 음식 거치대;
    를 더 포함하는, 음식 조리 장치.
  12. 삭제
  13. 가운데에 착화제 수용부가 형성되고, 테두리에 접철이 가능한 접철식 다리가 설치되며, 낙하되는 불씨나 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접시형태의 재받이;
    펼쳐진 상기 접철식 다리에 거치될 수 있도록 테두리가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운데에 숯 또는 연료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숯 수용부가 형성되며, 하면에 상기 착화제 수용부에 수용된 착화제의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화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숯통; 및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거치되어 상기 착화제의 상기 화기를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숯 수용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정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단에 상기 숯 수용부의 입구 폭 보다 넓은 제 1 폭을 갖는 제 1 단부가 형성되고, 역방향 거치시 상기 숯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단에 상기 제 1 폭 보다 작은 제 2 폭을 갖는 제 2 단부가 형성되는 분화통;
    을 포함하는,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숯통은,
    상기 접철식 다리와 접촉되는 외벽체;
    상기 숯 수용부가 형성되는 내벽체; 및
    상기 외벽체와 상기 내벽체를 연결하고, 상면에 기름 받이대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면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와 내벽체 사이에 단열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벽체의 상부로부터 상기 외벽체의 상부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기 유입구에는 상기 숯 또는 상기 연료가 낙하되지 않으면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화기 유입구의 상방에 걸쳐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 공급판이 형성되는,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받이는, 상기 착화제 수용부의 열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바닥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닥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접철식 다리는, 경첩에 의해 바닥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단에 힌지부가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숯통과 접촉되는 숯통지지부가 형성되며, 중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숯통지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가 형성되는,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KR1020150059258A 2014-12-18 2015-04-27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KR101908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9364 2014-12-18
KR2020140009364 2014-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74A KR20160074374A (ko) 2016-06-28
KR101908008B1 true KR101908008B1 (ko) 2018-10-15

Family

ID=5636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258A KR101908008B1 (ko) 2014-12-18 2015-04-27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9474A1 (en) * 2020-08-07 2022-02-10 2446043 Ontario Inc. Heat distribution in a barbe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55Y1 (ko) * 2002-05-07 2002-08-13 박무교 원형불판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55Y1 (ko) * 2002-05-07 2002-08-13 박무교 원형불판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374A (ko) 201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7201A1 (en) Modular barbecue system and kits therefore
US10426291B2 (en) Food cooker
US20150265099A1 (en) Combination Gas and Charcoal Grill
KR101826787B1 (ko) 다용도 복합 조리기
US20120266760A1 (en) Outdoor grill with integrated griddle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KR101908008B1 (ko) 음식 조리 장치와, 불판 및 음식 조리 장치용 조립체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US6786139B2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KR200473713Y1 (ko) 휴대용 그릴
JP2011005175A (ja) 調理手段付テーブル、及び、該調理手段付テーブルに用いる焼き調理用プレート
US20120064216A1 (en) Cooking grill
KR200361110Y1 (ko) 다용도 조리기
CN107319908B (zh) 一种多功能炊具
KR102416459B1 (ko) 다기능 화덕그릴 오븐
CN212698598U (zh) 具有集灰抽屉的万用灰炉结构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JP6856839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20230092215A (ko) 복합구이기
KR200409535Y1 (ko) 이동식 고기 구이 장치
KR200222818Y1 (ko) 바베큐 용기
KR200471303Y1 (ko) 석쇠가 포함되는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