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26041A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26041A1
WO2018026041A1 PCT/KR2016/008735 KR2016008735W WO2018026041A1 WO 2018026041 A1 WO2018026041 A1 WO 2018026041A1 KR 2016008735 W KR2016008735 W KR 2016008735W WO 2018026041 A1 WO2018026041 A1 WO 20180260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plate
crater
opening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87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든듀플러스
Publication of WO20180260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260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lling plate for gril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lling grill for improving thermal efficiency and hav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structure.
  • a heat dissipator 3 is mounted on a crater 2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 so as to efficiently remove heat from the crater 2. It was intended to be utiliz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the invention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563550, 'Bullet use using meatware' (registration date: October 21, 2015). That is,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torsion plate 14 is mount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rater 11a to form a plurality of long holes 14b extending radially on the surface and for each long hole.
  • the inclined cover 14c is formed in a constant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lift plate 11 is provided with a lift plate 15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5b formed therein. .
  • fever raised from the crater 11a forms the airflow which rises simultaneously with the inclination cover 14c while passing through the long hole 14b of the torsion board 14, and the lift control plate 15 of the upper part Since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air flow rising in th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ncrease the heat reaching the upper roasting plate (13).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ll for use of barbecue which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smoke due to the combustion of oil and is conveni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sump contain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ill for use of meat, comprising: a trough having a circular crater with an inner opening at a bottom center protruding upward; An oil sump barrel stacked on the drip tray and protruding upward at a center of the bottom to form a circular opening hole with an inner side opening;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crater is formed on the inside as a disc-shaped plate mounted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crater, and protrudes downwardly through a border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 a torsion fan mounted horizontally on the support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blades are formed radially, each blade having a torsion fan having one side downwardly incli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upwardly inclined;
  • a disc-shaped lift control plate mounted horizontally on the torsion fan;
  • a roasting plat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drip tray and including a roasting plate on which the torsion fan and the lift control plate ar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 the pedestal plat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tting pieces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im wall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it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im of the crater.
  • the drip tray is formed to extend inwardly downward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bottom surface portion adjacent to the crater on the inside, and horizontally proximal end portion and vertical rim wall portion extend in sequence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on the outside.
  • the oil sump container is formed such that the opening hole is disposed close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inward, and the upward curved surface portion and the downward curved surface portion are adjacent to the opening hole and are sequentially extended to the outside.
  • the horizontal protruding end portion and the lower edge inclined surface portion whi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portion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end of the edge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 of the drip container.
  • the bleeding bulge plat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member fitted to the end of the rim inclined surface portion, the rim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ase end via the sealing member.
  • the drip tray may be formed so that the support surface portion is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downward curved surface portion, the support surfac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 each blade constituting the torsion fan is formed so that one side forms a downward inclined pla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forms an upward inclined plane, so that the heat rising from the lower crater is lowered from the downward slope.
  • a portion of the heat is flowed to the upper side of the downward slope by riding on the bottom of the lift control panel of the upper side and flowing upward to the upward slope along the bottom slope.
  • the heat rising from the crater through the rim wall of the pedestal plate is radially transmitted to block the heating of the oil sump at a high temperature so that the upside of the inner opening of the oil sump is adjacent Only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disposed close to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portion adjacent to the crater of the water reservoir,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vapor rises and flows into the torsion pan side with the fireball side heat, thereby improving the effect of grilling the meat deliciously. That is, due to the inflow of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can prevent the excessive grilling of the meat and at the same time can maintain the juice.
  • the amount of evaporation of the water stored in the drip tray can be reduced, the amount or frequency of water replenishment can be greatly reduc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ll for use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using a gri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grill for use of meat of FIG.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using a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rill using the grill of Figure 4,
  • FIG. 6 is an imagin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ill plate for grilling of FIG. 4 taken along line AA;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oasting plate is separated from the roasting plate of FIG. 4;
  • FIG.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pedestal plate, the torsion fan and the lift control plate in FIG.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plate removed from the assembly of FIG. 8.
  • the drip tray 110 is formed with a crater 111 protruding upward in the center, the drip tray 110
  • the oil sump container 120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mp, the oil sump pad 180 which is loa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il sump container 120, and the central opening hole 121 of the oil sump container 120.
  • the drip container 110 is formed to sequentially extend downward inclined surface portion 112 and bottom surface portion 113 adjacent to the inner crater 111. Outside the bottom surface 113, a horizontal base end 114 is formed at a vertically raised position and is closed by a vertical edge wall 115 formed outward. Water is drawn from the bottom surface 113.
  • the oil sump container 120 is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12 of the inner opening hole 121. Accordingly, the water in the drip tray 110 is evaporated and discharged into a narrow gap between the opening hole 121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12 to rise along the edge of the crater 111.
  • the horizontal support surface portion 124 which is a drip tray, extends adjacent to the outer side of the downward curved surface portion 123, and the horizontal protruding end 125 is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ly raised position. It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roximal end 114, and the outer side edge inclined surface portion 126 is formed to extend to the outside.
  • the distal end of the sloping surface portion 126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sealing member 180 of the silicon material and the base end portion 114 through it, so that the oil sump container 120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portion 114 over its entire rim. Closely supported to take the structure to cover the drip container (110). As a result, the water of the drip tray 110 is discharged by passing only between the inner opening hole 121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12 at the time of evaporation.
  • the drip tank 110 is bent outward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crater 111, the ring 111a is formed, the drip tank 120 is bent downward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opening hole 121. Since the ring 121a is formed,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water in the drip tray 110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fireball 111 to a certain extent in the process of carrying a person carrying the fire plate 10 is carried out.
  • the torsion fan 140 and the lift control plate 150 is the upper and lower bolts (172 in FIG. 7) in the state where the spacing between the coil spring 171 interposed therebetween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ils; Is coupled and fixed by a nut 173. If you want to increase the thermal power to increase the number of coil springs of the coil spring 171 to increase the spacing between the torsion fan 140 and the lift control plate 150, if you want to lower the thermal power conversely of the coil spring 171 By reducing the number of coils to narrow the interval between the torsion fan 140 and the lift control plate 150.
  • the torsion fan 140 is a disk-shaped fan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141 are formed radially. Each blade 141 is inclined at one side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 And the other side forms an upward slope 141c and forms a horizontal plane 141b therebetween.
  • the heat that rises from the lower crater 111 through the pedestal plate 160 to the torsion fan 140 passes through the bottom of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 141a along the arrow and upwardly inclined surface. After moving to the side (141c), some heat ris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blade 141 is pushed back to the left between the lift plate 150 and the upper slope (141c) down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141c) 141a).
  • the pedestal plate 160 is a disc shaped plate (opening, 16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to correspond to the crater (111 in Fig. 6) (see Fig. 6), the lower portion along the edge of the opening 161 It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along the rim of the crater 111 through the rim wall 162 is form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width (see Fig. 6).
  • the heat rising from the crater 111 is blocked by the rim wall 162 so that it does not flow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mostly raised, and as a result, the neighboring upward curved surface portion 122 and downward curved surface portion ( 123 and the support surface 124 may be prevented from excessive heating.
  •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rater 111 is 300 [° C.]
  • the temperature of the curved surface parts 122 and 123 and the support surface part 124 is maintained at 110 [° C.] or less through the edge wall 162.
  • the edge wall 162 was not present, the temperature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s 122 and 123 was about 200 [° C.], and the temperature of the support surface 124 was maintained at about 170 [° C.]. This occurred.
  • a plurality of fitting pieces 163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edge wall 162 and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fitting pieces 163 may be fitted to the outer edge of the frame 111. It is provided. As a result, the pedestal plate 160 and the torsion fan 140 and the lift control plate 150 fixed to the upper portion thereof may be stably mounted on the crater 111. In FIG. 8, the ends of each of the downward inclined surfaces 141a of the torsion fan 140 are contacted and welded to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plate 16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불판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효율을 향상시키고 친환경적인 구조를 갖는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기구이용 불판은 화력이 제공되는 화구 위로 단순히 고기구이용 구이판만을 탑재시킨 구조인 관계로 열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 중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통(1) 중앙의 화구(火口, 2) 상에 불배분기(3)를 탑재함으로써 상기 화구(2)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불배분기(3)의 관통공(4)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열기는 그 상부를 덮고 있는 덮개(5)에 의해 측면으로 분산되어 상승하는 과정에서 반경방향으로 흩어짐으로 인해 상부의 구이판(도면 미도시)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특허등록 제10-1563550호 '고기구이용 불판'(등록일자: 2015.10.21.)에 개시된 발명을 제안한 바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11a)의 상부에 토션판(14)을 수평으로 탑재하여 표면에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장공(14b)을 관통 형성하고 각 장공마다 일정한 원주방향으로 경사덮개(14c)를 형성하였으며, 토션판(14)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아래로 볼록한 원반형 판으로서 내측에 다수의 관통공(15b)이 형성된 양력조절판(15)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해, 화구(11a)에서 상승된 열기가 토션판(14)의 장공(14b)을 통과하면서 경사덮개(14c)에 의해 회전함과 동시에 상승하는 기류를 형성하고, 그 상부의 양력조절판(15)을 타고 상승하는 기류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상부의 구이판(13)까지 도달하는 열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의해서도 토션판(14)의 장공(14b)을 통과한 열기의 일부가 경사덮개(14c)에 의해 방사상으로 흩어져 소실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었다. 또한, 본체통(11)에 담겨지는 물이 화구(11a)의 하측에 놓이게 되는 가스버너 등에 가열되는 경우 기름받이통(12)과의 틈새로 쉽게 증발되는 관계로 보충수 주입구(11c)를 통해 수시로 보충해주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고기를 굽는 도중에 구이판(13)으로부터 떨어진 기름이 기름받이통(12)의 가열로 인해 연소됨에 따라 연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름받이통(12)의 청소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선적으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보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름의 연소로 인한 연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기름받이통의 관리가 편리한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벽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편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구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화구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와 바닥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경사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와 수직의 테두리벽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개방공이 상기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와 하향의 굴곡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수평의 기단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평의 돌출단부와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고기구이용 불판은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경사면부는 상기 실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통은 상기 하향의 굴곡면부의 외측에 이웃하여 받침면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받침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에 의하면 토션팬을 이루는 각 블레이드가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아래의 화구로부터 올라오는 열기가 상기 하향 경사면의 저면을 타고 상향 경사면으로 흘러 상측으로 전달됨과 함께 상기 열기의 일부는 상부의 양력조절판의 저면을 타고 다시 상향 경사면의 상면을 타고 하향 경사면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흐름을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화구를 통해 상승하는 열기가 토션팬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금방 흩어지지 않고 비교적 오래 머물게 됨으로써 종래기술과 달리 방사상으로 흩어지는 열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대 플레이트의 테두리벽을 통해 화구로부터 상승되는 열기가 반경방향으로 전달됨으로써 기름받이통이 고온으로 가열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름받이통의 내측 개방공에 이웃한 상향의 굴곡면부가 물받이통의 화구에 이웃한 하향의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틈을 통해서만 적정량의 수증기가 상승하여 화구측 열기와 함께 토션팬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고기가 맛있게 구워지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적정량의 수분이 유입됨으로 인해 고기가 과도하게 구워지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육즙을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물받이통에 저장된 물의 증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물보충의 양 내지 빈도를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 대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기술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가상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고기구이용 불판에서 구이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5에서 받침대 플레이트, 토션팬 및 양력조절판의 결합품을 저면에서 바라본 확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품에서 받침대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화구(111)가 형성된 물받이통(110), 이 물받이통(110)의 상부에 포개어져 덮이는 기름받이통(120), 이 기름받이통(120) 상에 원주방향으로 적재되는 기름받이 패드(180), 기름받이통(120)의 중앙 개방공(121)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화구(111) 상에 탑재되는 받침대 플레이트(160), 토션팬(torsion fan, 140) 및 양력조절판(150)의 결합, 기름받이통(120)의 상부에 덮이는 구이판(130), 기름받이통(120)의 테두리 하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180)를 포함한다.
물받이통(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중앙의 화구(111)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112)와 바닥면부(113)가 순차로 연장 형성된다. 바닥면부(113)의 외측으로는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114)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형성되는 수직의 테두리벽부(115)에 의해 마감된다. 물은 상기 바닥면부(113)로부터 차오르게 된다.
기름받이통(120)은 내측의 개방공(121)이 상기한 경사면부(112)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물받이통(110) 내의 물은 증발하여 상기 개방공(121)과 경사면부(112)의 좁은 틈새로 배출되어 화구(111)의 테두리를 타고 상승하게 된다.
개방공(121)의 외측으로는 이와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122)와 하향의 굴곡면부(123)가 순차로 연장 형성된다.
하향의 굴곡면부(123)의 외측으로는 기름받이면이 되는 수평의 받침면부(124)가 이웃하여 연장 형성되며, 그 외측으로는 수직으로 상승된 위치에 수평의 돌출단부(125)가 상기한 수평의 기단부(114) 상부에 대응되게 배치하며, 그 외측으로는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126)가 이웃하여 연장 형성된다.
이때, 테두리경사면부(126)의 말단은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재(180)가 끼워져 이를 통해 기단부(114)에 접촉 지지됨으로써, 기름받이통(120)은 그 전체 테두리에 걸쳐 상기 기단부(114)에 밀착 지지되어 물받이통(110)을 덮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물받이통(110)의 물은 증발 시 내측의 개방공(121)과 경사면부(112)의 사이로만 통과하여 배출된다.
이 경우, 물받이통(110)의 경사면부(112)를 타고 상승하는 수증기는 개방공(121)과의 좁은 틈새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 상향의 굴곡면부(122)와 하향의 굴곡면부(123)를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물방울로 응집되어 다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물받이통(110)은 화구(111)의 테두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굴곡을 이루어 링(111a)이 형성되고, 기름받이통(120)은 개방공(121)의 테두리 부분에서 하측으로 굴곡을 이루어 링(121a)이 형성됨으로써, 사람이 불판(10)을 들고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받이통(110) 내의 물이 화구(111)의 내측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아주도록 기능한다.
도 6 및 도 9에서,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은 그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에 따라 사이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상하 볼트(도 7의 172) 및 너트(173)에 의해 결합 및 고정된다. 화력을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를 늘려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의 사이 간격을 넓히고, 반대로 화력을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코일스프링(171)의 코일 갯수를 줄여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의 사이 간격을 좁힌다.
토션팬(14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41)가 형성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각 블레이드(141)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141a)을 이루고 타측이 상항 경사면(141c)을 이루며 그 사이의 수평면(141b)을 이룬다.
이러한 블레이드(141)의 형상에 따라, 하부의 화구(111)로부터 받침대 플레이트(160)를 통과하여 토션팬(140)으로 상승하는 열기는, 화살표를 따라 하향 경사면(141a)의 저면을 지나 상향 경사면(141c) 측으로 이동한 다음, 이웃하는 블레이드(141)와의 사이 간격을 통해 상승한 일부 열기가 상부의 양력조절판(150)과의 사이에서 다시 좌측으로 밀려나 상향 경사면(141c)의 상면을 따라 하향 경사면(141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형상의 토션팬(140)에 의해 상승하는 열기를 오래도록 가두어두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받침대 플레이트(160)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개구(開口, 161)가 형성되어 화구(도 6의 111)에 대응하고(도 6 참조), 개구(161)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162)을 통해 상기 화구(11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화구(111)로부터 올라오는 열기는 상기 테두리벽(162)에 의해 차단되어 반경방향으로 흘러나오지 못하고 대부분 상승하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웃하는 상향의 굴곡면부(122), 하향의 굴곡면부(123) 및 받침면부(124)의 과도한 가열을 막아줄 수 있다. 일 실험에 따르면 화구(111)의 내부온도가 300[℃]일 때 상기 테두리벽(162)을 통해 상기 굴곡면부(122, 123)와 받침면부(124)의 온도를 110[℃] 이하로 유지할 수 있었다. 결국,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방지하고 적정량의 수분만을 배출시킬 수 있었다. 상기 실험에서 테두리벽(162)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골곡면부(122, 123)의 온도는 약 200[℃]로 상기 받침면부(124)의 온도는 약 170[℃] 수준으로 유지되었으며 과도한 수분증발이 발생하였다.
테두리벽(162)의 하단으로는 다수의 끼움편(163)이 돌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111)의 테두리 외측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에 의해, 받침대 플레이트(160) 및 그 상부에 고정되는 토션팬(140)과 양력조절판(150)이 안정적으로 화구(11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8에서, 받침대 플레이트(160)의 상면으로는 토션팬(140)의 각 하향 경사면(141a)의 말단이 접촉하여 서로 용접됨으로써 일체화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고기구이용 불판(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Claims (5)

  1. 고기구이용 불판에 있어서,
    바닥 중앙에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화구(火口)가 상부로 돌출 형성된 물받이통과;
    상기 물받이통 상에 적층되어, 바닥 중앙에 상부로 돌출되어 내측이 개구된 원형의 개방공이 형성되어 상기 화구가 상기 개방공 내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기름받이통과;
    상기 화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플레이트(plate)로서 내측에 상기 화구에 대응하는 개구(開口)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로 소정 폭으로 돌출 형성되는 테두리벽을 통해 상기 화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 팬(fan)으로서, 방사상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각 블레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일측이 하향 경사면을 이루고 타측이 상향 경사면을 이루는 토션팬(torsion fan)과;
    상기 토션팬 상부에 수평으로 탑재되는 원반형의 양력조절판; 및
    상기 물받이통 상부에 탑재되어 내측 하부의 중앙에 상기 토션팬과 상기 양력조절판이 위치되는 구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플레이트는 상기 테두리벽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다수의 끼움편이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화구의 테두리의 외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화구에 이웃하여 하향의 경사면부와 바닥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경사면부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의 기단부와 수직의 테두리벽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기름받이통은,
    내측으로는 상기 개방공이 상기 경사면부에 근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개방공에 이웃하여 상향의 굴곡면부와 하향의 굴곡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상기 수평의 기단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수평의 돌출단부와 하향의 테두리경사면부가 순차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은 상기 물받이통의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경사면부의 말단에 끼워지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테두리경사면부는 상기 실링부재를 매개로 상기 기단부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통은,
    상기 하향의 굴곡면부의 외측에 이웃하여 받침면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받침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의 상부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PCT/KR2016/008735 2016-08-03 2016-08-09 고기구이용 불판 WO201802604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760 2016-08-03
KR1020160098760A KR101690962B1 (ko) 2016-08-03 2016-08-03 고기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6041A1 true WO2018026041A1 (ko) 2018-02-08

Family

ID=5773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8735 WO2018026041A1 (ko) 2016-08-03 2016-08-09 고기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90962B1 (ko)
CN (1) CN107684353A (ko)
WO (1) WO2018026041A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0656B2 (en) 2017-08-09 2019-08-2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PL425080A1 (pl) * 2018-03-29 2019-10-07 Nadolski Piotr P.P.H.U. Zyga Ognisko mobline
USD873602S1 (en) 2018-08-09 2020-01-28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part of a food preparation device
USD874211S1 (en) 2018-08-09 2020-02-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22126S1 (en) 2019-06-06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a food preparation device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32833S1 (en) 2018-08-09 2021-10-12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11612168B1 (en) * 2018-05-15 2023-03-28 Hearth Products Controls Co. Drum smoking assembly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96B1 (ko) * 2017-08-25 2018-02-13 허영학 고기구이용 불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24U (ko) * 1999-02-23 2000-09-25 신순희 고기 구이기용 가열판
KR20130034742A (ko) * 2011-09-29 2013-04-08 이진솔 계단식으로 형성된 가열고기구이판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910B1 (ko) * 2014-12-31 2017-04-03 안상철 직화구이 스팀 불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324U (ko) * 1999-02-23 2000-09-25 신순희 고기 구이기용 가열판
KR20130034742A (ko) * 2011-09-29 2013-04-08 이진솔 계단식으로 형성된 가열고기구이판
KR101379764B1 (ko) * 2012-10-24 2014-04-01 전인구 가스 직화 복합 오븐구이기
KR101522716B1 (ko) * 2014-10-16 2015-05-26 김진성 열기 및 스팀 혼합 가열식 구이용 불판
KR101563550B1 (ko) * 2014-10-28 2015-10-28 김광호 고기구이용 불판

Cited B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99657B2 (en) 2017-08-09 2022-08-0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445856B2 (en) 2017-08-09 2022-09-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405698B2 (en) 2017-08-09 2019-09-1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413122B2 (en) 2017-08-09 2019-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413121B2 (en) 2017-08-09 2019-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889950B2 (en) 2017-08-09 2024-02-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485378B2 (en) 2017-08-09 2019-11-2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109710B2 (en) 2017-08-09 2021-09-0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9048B2 (en) 2017-08-09 2023-09-1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9049B2 (en) 2017-08-09 2023-09-1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627834B2 (en) 2017-08-09 2023-04-1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for cooking food
US11547242B2 (en) 2017-08-09 2023-01-1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547243B2 (en) 2017-08-09 2023-01-1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405697B2 (en) 2017-08-09 2019-09-1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646070B2 (en) 2017-08-09 2020-05-1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653270B2 (en) 2017-08-09 2020-05-1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660472B2 (en) 2017-08-09 2020-05-2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674868B2 (en) 2017-08-09 2020-06-0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682011B2 (en) 2017-08-09 2020-06-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0390656B2 (en) 2017-08-09 2019-08-2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363910B2 (en) 2017-08-09 2022-06-2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304561B2 (en) 2017-08-09 2022-04-1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278151B2 (en) 2017-08-09 2022-03-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266268B2 (en) 2017-08-09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266267B2 (en) 2017-08-09 2022-03-0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089902B2 (en) 2017-08-09 2021-08-1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089903B2 (en) 2017-08-09 2021-08-17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PL425080A1 (pl) * 2018-03-29 2019-10-07 Nadolski Piotr P.P.H.U. Zyga Ognisko mobline
US11612168B1 (en) * 2018-05-15 2023-03-28 Hearth Products Controls Co. Drum smoking assembly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914436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with food preparation pot
USD948938S1 (en) 2018-06-19 2022-04-19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6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1680S1 (en) 2018-08-09 2021-09-2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29793S1 (en) 2018-08-09 2021-09-07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76874S1 (en) 2018-08-09 2020-03-03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a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2833S1 (en) 2018-08-09 2021-10-12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73602S1 (en) 2018-08-09 2020-01-28 Sharkninja Operating Llc Lid part of a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USD874211S1 (en) 2018-08-09 2020-02-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29173S1 (en) 2018-08-09 2021-08-31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40503S1 (en) 2018-08-09 2022-01-1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41090S1 (en) 2018-08-09 2022-01-18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03415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20732S1 (en) 2018-08-09 2021-06-01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83017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5259S1 (en) 2018-08-09 2021-11-09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903414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29794S1 (en) 2018-08-09 2021-09-07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1766152B2 (en) 2019-02-25 2023-09-2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147415B2 (en) 2019-02-25 2021-10-1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10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Guard for cooking system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751722B2 (en) 2019-02-25 2023-09-1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033146B2 (en) 2019-02-25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832761B2 (en) 2019-02-25 2023-12-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363911B2 (en) 2019-02-25 2022-06-2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1015798S1 (en) 2019-06-06 2024-02-27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34631S1 (en) 2019-06-06 2021-11-02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22126S1 (en) 2019-06-06 2021-06-15 Sharkninja Operating Llc User interface for a food preparation device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11678765B2 (en) 2020-03-30 2023-06-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134808B2 (en) 2020-03-30 2021-10-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11969118B2 (en) 2020-03-30 2024-04-3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962B1 (ko) 2016-12-29
CN107684353A (zh)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6041A1 (ko) 고기구이용 불판
US20160220066A1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KR100931277B1 (ko) 직화 오븐기
US9532680B2 (en) Accessories for barbeque grill
CN104853658A (zh) 烧烤装置
US20180153347A1 (en) Side-surface direct-flame roasting device
KR200477614Y1 (ko) 구이용 불판
CN105078279A (zh) 一种节能燃气烧烤炉
KR200459644Y1 (ko) 육류 구이기
US6786139B2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101669920B1 (ko) 수랭식 다기능 불판
US20170251875A1 (en) Convection barbeque cooking apparatus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101281088B1 (ko) 이중 구이판
KR101819377B1 (ko) 석쇠받침 보조불판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CN111281163A (zh) 一种烤盘及烤炉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102667776B1 (ko) 불판 구조체
KR100447249B1 (ko) 연기가 나지 않는 석쇠 구이장치
CN220588113U (zh) 烹饪装置及热源保护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11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9.06.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11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