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7776B1 - 불판 구조체 - Google Patents

불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7776B1
KR102667776B1 KR1020230154112A KR20230154112A KR102667776B1 KR 102667776 B1 KR102667776 B1 KR 102667776B1 KR 1020230154112 A KR1020230154112 A KR 1020230154112A KR 20230154112 A KR20230154112 A KR 20230154112A KR 102667776 B1 KR102667776 B1 KR 102667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ill
diameter
outer diame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충
Original Assignee
오세충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충 filed Critical 오세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7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7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숯통과 기름받이가 설치되는 화덕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름받이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거치되어 기름받이에 기름이 유입되도록 하는 거치링판; 거치링판의 내주연에 거치링판의 경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안착되고 숯통으로부터 간접열을 전달받아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도록 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거치링판이나 기름받이로 기름이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링판; 및 연기흡입통의 직경 보다 2배 크고 숯통의 직경에 대응된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링판의 내주연에 안착되고 숯통으로부터 직화열을 전달받아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며 연기흡입통을 통해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석쇠판을 포함하는 불판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불판 구조체{Grill structuer}
본 발명은 테이블 설치용 불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흡입통 보다 크고 숯통과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석쇠판에 의해서만 고기가 직화되도록 한 후 석쇠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보온링판을 통해 직화된 고기가 숯불에 의해 타지 않고 보온되도록 하며 보온링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거치링판을 통해 기름이 숯통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름받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불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 등을 숯불에 구워 조리하는 불판은 육류를 굽는 과정에서 추출되는 각종 수분 및 기름이 숯불에 낙하하면서 다량의 화염 및 연기가 발생하거나 육류가 쉽게 타는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일반적인 석쇠판과 차별된 별도의 불판 구조체를 이용하여 조리한다.
종래의 불판 구조체는, 숯통과 기름받이가 구비되는 화덕을 가지는 테이블에 있어서, 테이블의 화덕 상부에 마감 결합되는 외판과, 외판에 내부에 안착되고 숯통으로부터 숯불의 열기가 직접 전달되어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는 석쇠판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종래의 불판 구조체는, 숯불의 열기가 집중되는 석쇠판의 중앙 부분에서 고기가 직화되고 숯불의 열기가 분산되는 석쇠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직화된 고기가 위치되어 보관되며 석쇠판의 중앙 부분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연기배출수단의 연기흡입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불판 구조체는, 석쇠판의 직경이 숯통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숯통의 중앙 부분에 위치된 부위와 숯통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부위는 서로 다른 속도로 로스팅되어 고기의 로스팅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된다.
또한, 석쇠판의 직경이 숯통의 직경보다 크더라도 석쇠판의 가장자리로 숯불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석쇠판의 중앙 부분에서 직화된 고기가 가장자리로 이동되더라도 쉽게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불판 구조체는, 석쇠판의 상부로 발생되는 연기를 흡입하는 연기흡입통의 직경이 숯통의 직경 보다 1/2 정도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연기흡입통의 직경 보다 2배 큰 직경을 가지게 되는 석쇠판의 중앙 부분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쉽게 흡입할 수 있지만, 석쇠판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흡입이 어려워 연기 배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20-0059897
(특허문헌 0002) 등록실용 20-0092046
(특허문헌 0003) 등록특허 10-1030379
(툭허문헌 0004) 등록특허 10-223025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기흡입통 보다 크고 숯통과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석쇠판에 의해서만 고기가 직화되도록 한 후 석쇠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보온링판을 통해 직화된 고기가 숯불에 의해 타지 않고 보온되도록 하며 보온링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거치링판을 통해 기름이 숯통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름받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불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의 숯통과 기름받이가 설치되는 화덕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름받이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거치되어 기름받이에 기름이 유입되도록 하는 거치링판; 거치링판의 내주연에 거치링판의 경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안착되고 숯통으로부터 간접열을 전달받아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도록 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거치링판이나 기름받이로 기름이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링판; 및 연기흡입통의 직경 보다 2배 크고 숯통의 직경에 대응된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링판의 내주연에 안착되고 숯통으로부터 직화열을 전달받아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며 연기흡입통을 통해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석쇠판을 포함하는 불판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거치링판은, 보온링판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화덕의 상면 개구부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거치경사판과; 거치경사판의 외경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각도와 길이로 연장되고 거치경사판의 외경이 내경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게 하여 거치경사판이 기름받이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화덕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온링판은, 석쇠판의 외경 보다 큰 내경과 거치링판의 거치경사판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면서 거치경사판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숯통의 간접열이 전달되어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하향 방향으로 라운드가 형성되어 기름이 거치경사판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라운딩그릴과; 보온라운딩그릴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천공 형성되어 숯통의 직화열이 부분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기름이 기름받이로 낙하되도록 하는 그릴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석쇠판은, 보온링판의 보온라운딩그릴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라운딩그릴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석쇠링; 석쇠링의 내주연을 이등분하는 처짐방지바 및 석쇠링의 내주연에 처짐방지바에 의해 지지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기가 숯통으로 낙하되지 않게 하고 숯통의 직접열을 통해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는 석쇠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기흡입통 보다 크고 숯통과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석쇠판에 의해서만 고기가 직화되도록 한 후 석쇠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보온링판을 통해 직화된 고기가 숯불에 의해 타지 않고 보온되도록 하며 보온링판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거치링판을 통해 기름이 숯통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름받이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쇠판, 보온링판 및 거치링판의 3중 구조를 통하여 숯불의 온도를 선택하고 해당 온도에서 고기가 채소가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불판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불판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불판 구조체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도 5는 도 4의 불판 구조체가 테이블의 화덕에 구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불판 구조체는, 테이블(1)의 숯통(10)과 기름받이(20)가 설치되는 화덕(3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름받이(20)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거치되어 기름받이(20)에 기름이 유입되도록 하는 거치링판(110), 거치링판(110)의 내주연에 거치링판(110)의 경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간접열을 전달받아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도록 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거치링판(110)이나 기름받이(20)로 기름이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링판(120) 및 연기흡입통(40)의 직경 보다 2배 크고 숯통(10)의 직경에 대응된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링판(120)의 내주연에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직화열을 전달받아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며 연기흡입통(40)을 통해 연기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는 석쇠판(13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테이블(1)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판넬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고 상면이 개구된 통체 형상의 화덕(30)과, 화덕(30)의 내부에 위치되고 소정의 직경, 예를 들면, 160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석쇠판(130)에 직화열을 전달시키는 숯통(10)과, 화덕(30)의 내부에 위치되고 숯통(1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소정의 내경과 외경, 예를 들면, 내경 160mm 정도 및 외경 320mm 정도를 가지며 거치링판(110)의 경사를 따라 이동되거나 보온링판(120)으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이 유입되는 기름받이(2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연기흡입통(40)은, 테이블(1)의 상부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되는 연기배출수단의 구성요소로서, 소정의 직경, 예를 들면, 80mm 정도의 직경을 가지며, 석쇠판(130)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를 신속하게 테이블(1)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거치링판(110)은, 테이블(1)의 숯통(10)과 기름받이(20)가 설치되는 화덕(30)의 상면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름받이(20)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거치되어 보온링판(120)으로부터 이동된 기름이 기름받이(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보온링판(120)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지면서 화덕(30)의 상면 개구부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거치경사판(111), 거치경사판(111)의 외경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각도와 길이로 연장되고 거치경사판(111)의 외경이 내경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게 하여 거치경사판(111)이 기름받이(20)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화덕(30)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편(112) 및 거치경사판(111)의 내경 부분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보온링판(120)의 외경 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고 보온링판(120)과의 틈새를 확보하여 기름이 기름받이(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안착편(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거치경사판(111)은, 내경 310mm 내지 330mm 정도 및 외경 440mm 내지 460mm 정도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기름받이(20)의 외경이 320mm 정도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내경을 통하여 기름받이(20) 이외의 화덕(30)으로 기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거치링판(111)은, 상기와 같은 내경과 외경의 크기를 통하여 숯통(10)으로부터 가장 약한 세기의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가 완료된 고기나 채소 등이 보온되도록 하거나 서서히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설치편(112)은, 높이 60mm 정도를 가지면서 화덕(30)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높이 40mm 정도에 거치경사판(111)의 가장자리 부분이 연결되는데, 60mm의 높이를 통하여 화덕(30)의 개구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편(112)의 상단이 위치되고 이때, 20mm의 단차를 통하여 보온링판(120)으로부터 이동되는 기름이 테이블(1)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거치경사판(111)은, 설치편(112) 상단으로부터 105° 내지 115° 정도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을 제공하여, 거치경사판(111)에 직화가 완료된 고기나 채소 등이 흘러내리지 않고 안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름이 기름받이(20)로 흘러내리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거치경사판(111)의 내주연 가장자리는 하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직화가 완료된 고기나 채소 등이 구워지거나 보온되도록 하는 거치경사판(111)이 급경사를 가지지 않아도 거치경사판(111)을 따라 흐르는 기름이 기름받이(20)로 신속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안착편(미도시)은, 보온링판(120)과의 사이에 틈새가 확보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거치링판(11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링판(110)에 의하면, 보온링판(120)으로부터 이동되는 기름이 화덕(30)의 기름받이(20)로 흐르도록 거치경사판(111)이 소정의 경사를 가지면서 구성되고 이때, 거치경사판(111)의 외주연 가장자리(거치경사판(111)과 설치편(112)의 연결 부분)보다 20mm 높은 위치로 설치편(112)이 구성되어 테이블(1)의 화덕(30)에 설치시, 기름이 화덕(30)을 넘쳐 테이블(1)로 흐르는 것을 억제하여 테이블(1)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숯통(10)으로부터 가장 약한 세기의 열이 전달되도록 하여 구이가 완료된 고기나 채소 등이 보온되도록 하거나 서서히 조리되도록 할 수 있다.
보온링판(120)은, 거치링판(110)의 내주연에 거치링판(110)의 경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간접열을 전달받아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도록 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거치링판(110)이나 기름받이(20)로 기름이 이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석쇠판(130)의 외경 보다 큰 내경과 거치링판(110)의 거치경사판(111)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면서 거치경사판(111)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숯통(10)의 간접열이 전달되어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하향 방향으로 라운드가 형성되어 기름이 거치경사판(111)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라운딩그릴(121), 보온라운딩그릴(121)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천공 형성되어 숯통(10)의 직화열이 부분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기름이 기름받이(20)로 낙하되도록 하는 그릴공(122) 및 보온라운딩그릴(121)의 내경 부분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석쇠판(130)의 외경 부분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보온라운딩그릴(121)은, 내경 150mm 내지 170mm 정도 및 외경 310mm 내지 330mm 정도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숯통(10)의 외경의 160mm 정도를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내경을 통하여 숯통(10)의 직화열이 전부분에 고르게 집중되도록 하여 고기의 로스팅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온라운딩그릴(121)은, 내경 150mm 내지 170mm 정도 및 외경 310mm 내지 330mm 정도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연기흡입통(40)의 외경이 80mm 정도를 가지고 2배 정도 큰 직경에서 발생되는 연기까지만 주로 흡입하는 성능을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내경을 통하여, 연기흡입통(40)의 연기 흡입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석쇠판(130) 이외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보온라운딩그릴(121)은, 지름 290mm 내지 310mm 정도의 곡률을 가지면서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해 하향 라운딩 형성되는 것을 통하여, 숯통(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방사되는 간접열이 집중되도록 하고 직화된 고기나 로스팅될 고기의 위치시 고기가 거치경사판(111)을 향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기름이 거치경사판(111)으로 빠르게 흐르지 않도록 하여 고기가 타지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온링판(120)은, 세라믹 등과 같이 열전도성과 보온성이 우수한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온링판(120)에 의하면, 숯통(10)의 직화열이 일부분만 전달되고 간접열이 대부분 전달되도록 하여 직화된 고기의 보온을 가능하게 하고 간접 로스팅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석쇠판(130)은, 연기흡입통(40)의 직경 보다 2배 정도 크고 숯통(10)의 직경에 대응된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링판(120)의 내주연에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직화열을 전달받아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며 연기흡입통(40)을 통해 연기가 신속히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보온링판(120)의 보온라운딩그릴(121)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라운딩그릴(121)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석쇠링(131), 석쇠링(131)의 내주연을 이등분하는 처짐방지바(132) 및 석쇠링(131)의 내주연에 처짐방지바(132)에 의해 지지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기가 숯통(10)으로 낙하되지 않고 안전하게 위치되도록 하고 숯통(10)의 직접열을 통해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는 석쇠바(133) 등을 포함한다.
석쇠링(131)은, 외경 150mm 내지 170mm 정도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연기흡입통(40)의 외경이 80mm 정도를 가지고 2배 정도 큰 직경에서 발생되는 연기까지만 주로 흡입하는 성능을 가지므로, 상기와 같은 외경을 통하여, 연기흡입통(40)의 연기 흡입 가능 범위를 벗어나는 석쇠링(131) 이외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보온라운딩그릴(121)로 열기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온라운딩그릴(121)에서 로스팅되는 고기가 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석쇠판(130)은, 열전도성이 높은 구리 등의 재질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석쇠판(130)에 의하면, 연기흡입통(40)의 최대 성능에 대응되고 숯통(10)의 직화열이 집중되는 면적을 가짐에 따라 직화열에 의한 로스팅이 최적화되고 연기도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판 구조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테이블(1)의 화덕(30) 중앙에 숯통(10)이 위치되고 숯통(10)을 외경을 감싸면서 기름받이(20)가 위치된다.
이후, 테이블(1)의 화덕(30) 개구부 가장자리에 설치편(112)이 끼워지는 것을 통해 기름받이(20)의 외경과 화덕(30)의 내벽 사이에 거치링판(110)의 거치경사판(111)이 위치되고 이때, 거치경사판(111)은 기름받이(20)를 향하는 경사를 가진다.
이후, 거치경사판(111)의 내경 가장자리에 보온링판(120)의 보온라운딩그릴(121)의 가장자리가 안착되고, 이때, 보온라운딩그릴(121)은 거치경사판(111)을 향하는 하향 라운딩 구조를 가진다.
이후, 보온라운딩그릴(121)의 내경 가장자리에 석쇠판(130)의 가장자리가 안착된다.
이후, 석쇠판(130)에 고기가 올려지는 경우 석쇠판(130)의 면적이 숯통(10)의 면적에 대응됨에 따라 직화열이 석쇠판(130)의 전부분에 고르게 전달되어 고기가 고르게 직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쇠판(130)이 면적이 연기흡입통(40)의 흡입 성능이 최대로 작용되는 2배 면적에 대응됨에 따라 연기의 배출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보온라운딩그릴(121)에 직화된 고기나 생고기가 올려지는 경우 숯통(10)의 간접열이 집중됨에 따라 직화된 고기가 타지 않고 생고기도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온라운딩그릴(121)이 거치경사판(111)을 향해 하향 라운딩됨에 따라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이 거치경사판(111)으로 흐른 뒤 기름받이(2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연기흡입통(40) 보다 2배 정도 크고 숯통(10)과 비슷한 직경을 가지는 석쇠판(130)에 의해서만 고기가 직화되도록 한 후 석쇠판(13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보온링판(120)을 통해 직화된 고기가 숯불에 의해 타지 않고 보온되도록 하며 보온링판(12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 거치링판(110)을 통해 기름이 숯통(10) 가장자리에 위치된 기름받이(20)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숯통(10)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석쇠판(130)에서만 고기가 직화되어 고기의 전부위가 고르게 로스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쇠판(130)이 연기흡입통(40)의 영향이 미치는 면적을 가짐에 따라 직화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석쇠판(130), 보온링판(120) 및 거치링판(110)의 3중 구조를 통하여 숯통(10)으로부터 다른 온도의 열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해당 온도에서 고기나 채소가 조리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테이블(1)의 숯통(10)과 기름받이(20)가 설치되는 화덕(30)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기름받이(20)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거치되어 기름받이(20)에 기름이 유입되도록 하는 거치링판(110); 거치링판(110)의 내주연에 거치링판(110)의 경사를 향하여 경사지면서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간접열을 전달받아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도록 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거치링판(110)이나 기름받이(20)로 기름이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링판(120); 및 연기흡입통(40)의 직경 보다 크고 숯통(10)의 직경에 대응된 직경을 가지면서 보온링판(120)의 내주연에 안착되고 숯통(10)으로부터 직화열을 전달받아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며 연기흡입통(40)을 통해 연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석쇠판(130)을 포함하고,
    테이블(1)은,
    상면이 개구된 통체 형상의 화덕(30), 화덕(30)의 내부에 위치되고 160mm의 직경을 가지는 숯통(10) 및 화덕(30)의 내부에 위치되고 내경 160mm 및 외경 320mm의 링 형상을 가지며 내경 부분에 숯통(10)이 수용되고 내경과 외경 사이의 공간에 거치링판(1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기름이 저장되도록 하는 기름받이(20)를 포함하며,
    연기흡입통(40)은,
    테이블(1)의 상부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구조를 가지면서 설치되고 80mm의 직경을 가지며,
    거치링판(110)은,
    화덕(30)의 상면 개구부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거치경사판(111); 거치경사판(111)의 외경 가장자리에 대하여 소정 각도와 길이로 연장되고 거치경사판(111)의 외경이 내경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게 하여 거치경사판(111)이 기름받이(20)를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면서 화덕(30)에 설치되도록 하는 설치편(112); 및 거치경사판(111)의 내경 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보온링판(120)의 외경 부분이 안착되도록 하고 보온링판(120)과의 틈새를 확보하여 기름이 기름받이(20)로 유입되도록 하는 안착편(미도시)을 포함하고,
    거치경사판(111)은 내경 318mm 및 외경 450mm를 가지고 설치편(112)은 높이 60mm를 가지며 높이 40mm에 거치경사판(111)의 가장자리 부분이 연결되며,
    설치편(112)은 60mm의 높이를 가지면서 화덕(30)의 개구부에 설치되고 40mm의 높이에 거치경사판(111)의 가장자리가 연결되며,
    거치경사판(111)의 내주연 가장자리가 설치편(112)의 상단으로부터 100°의 각도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제공하고,
    보온링판(120)은,
    거치경사판(111)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고 숯통(10)의 간접열이 전달되어 직화된 고기가 보온되거나 천천히 로스팅되도록 하며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하여 하향 방향으로 라운드가 형성되어 기름이 거치경사판(111)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보온라운딩그릴(121); 보온라운딩그릴(121)에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천공 형성되어 숯통(10)의 직화열이 부분적으로 전달되도록 하거나 기름이 기름받이(20)로 낙하되도록 하는 그릴공(122); 및 보온라운딩그릴(121)의 내경 부분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되어 석쇠판(130)의 외경 부분이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편(미도시)을 포함하고,
    보온라운딩그릴(121)은 내경 160mm 및 외경 320mm를 가지고 지름 300mm의 곡률을 가지면서 내경으로부터 외경을 향해 하향 라운딩 형성되며,
    석쇠판(130)은,
    보온라운딩그릴(121)의 내경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석쇠링(131); 석쇠링(131)의 내주연을 이등분하는 처짐방지바(132); 및 석쇠링(131)의 내주연에 처짐방지바(132)에 의해 지지되면서 소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고기가 숯통(10)으로 낙하되지 않게 하고 숯통(10)의 직접열을 통해 고기가 직화되도록 하는 석쇠바(133)를 포함하고,
    석쇠링(131)은 외경 162mm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 구조체.
KR1020230154112A 2023-11-09 불판 구조체 KR102667776B1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1845 Division 2023-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7776B1 true KR102667776B1 (ko) 2024-05-21

Family

I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37B1 (ko) * 2012-05-14 2013-11-08 신현만 은 융착 구이판
KR101571499B1 (ko) * 2015-09-11 2015-12-04 사승진 다용도 불판
KR101802472B1 (ko) * 2016-12-23 2017-11-28 임영웅 테이블용 숯불 로스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637B1 (ko) * 2012-05-14 2013-11-08 신현만 은 융착 구이판
KR101571499B1 (ko) * 2015-09-11 2015-12-04 사승진 다용도 불판
KR101802472B1 (ko) * 2016-12-23 2017-11-28 임영웅 테이블용 숯불 로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5179B2 (ja) 焼き器
CA3074071C (en) Fuel efficient grill for direct and indirect cooking
EP2941160B1 (en) High efficiency wind resistant kettle grill
US11058255B2 (en) Grill using flue
US5735260A (en) Tile for use with a cooking grill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102667776B1 (ko) 불판 구조체
KR200461967Y1 (ko) 직화 구이기
US6786139B2 (en) Apparatus for deep fat frying
KR200422827Y1 (ko) 수냉식 석쇠가 구비된 로스터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KR200232658Y1 (ko) 숯불구이기
KR101545437B1 (ko) 구이용 화덕
KR101635004B1 (ko) 캠핑용 구이장치
KR101995568B1 (ko) 기름 튐 방지 구조를 구비한 구이용 기능성 화덕
JP6607299B1 (ja) 焼き器
JP3222406U (ja) 燻煙器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KR101521154B1 (ko) 천연석을 이용한 직화 구이장치
KR101948301B1 (ko) 도자기 불판 및 이를 구비한 조리 기구
KR101737060B1 (ko) 로스터
KR101637899B1 (ko) 구이장치
KR20160134059A (ko) 로스터 어셈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