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065Y1 - 돌솥 돌구이기 - Google Patents

돌솥 돌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065Y1
KR200302065Y1 KR20-2002-0031433U KR20020031433U KR200302065Y1 KR 200302065 Y1 KR200302065 Y1 KR 200302065Y1 KR 20020031433 U KR20020031433 U KR 20020031433U KR 200302065 Y1 KR200302065 Y1 KR 2003020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ot
plate
hol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4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호
Original Assignee
김길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호 filed Critical 김길호
Priority to KR20-2002-00314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0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0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06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를 굽고 구운 고기를 따뜻하게 보관하여 먹을 수 있는 돌솥 돌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상판(1)을 가지고 상판(1)의 네 모서리에 다리(2)가 형성된 상 모양의 프레임(3)을 가지며 상판(1)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구멍(4)이 형성되고 구멍(4)의 테두리에는 구멍이 뚫린 지지판(5)이 고정되고 지지판(5)의 하부에는 버너(8)와 기름받이 서랍(9)이 수용되는 하우징(6)이 연결되며 지지판(5)의 상부에는 돌구이판(10)이 올려지며 돌구이판(10)의 중앙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돌솥(12)이 안착되고 돌솥(12)의 외부에는 테(14)가 형성되어 돌구이판(10)의 구멍(11)에 안착되면 돌솥(12)을 고정시키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돌솥 돌구이기{Roaster}
본 고안은 고기를 굽고 구운 고기를 따뜻하게 보관하여 먹을 수 있는 돌솥 돌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고기를 굽는 구이기는 여러 가지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석쇠는 석쇠가 닿는 부분부터 고기가 익어 심하게 타는 반면에 기존 돌판은 불판위에 놓인 구운 고기가 시간이 가면 수분이 마르면서 딱딱해져 먹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돌구이판의 중앙에 돌솥을 구비하여 고기가 타지 않고 구워지며 구운 고기는 돌솥에 보관하여 부드럽게 보관되는 돌솥 돌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는 상판을 가지고 상판의 네 모서리에 다리가 형성된 상 모양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판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테두리에는 구멍이 뚫린 지지판이 고정되고 지지판의 하부에는 버너와 기름받이 서랍이 수용되는 하우징이 연결되며 지지판의 상부에는 돌구이판이 올려지며 돌구이판의 중앙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돌솥이 안착되고 돌솥의 외부에는 테가 형성되어 돌구이판의 구멍에 안착되면 돌솥을 고정시키게 형성된다.
도1은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돌솥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상판 2: 다리 3: 프레임
4: 구멍 5: 지지판 6: 하우징
7: 지지대 8: 버너 9: 기름받이 서랍
10: 돌구이판 11: 구멍 12: 돌솥
13: 솥 뚜껑 14: 테 15: 돌출테
16: 망석쇠 17: 작은 구멍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는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의 전체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는데, 돌구이기는 상판(1)을 가지고 상판(1)의 네 모서리에 다리(2)가 형성된 상 모양의 프레임(3)을 가진다.
상판(1)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구멍(4)이 형성되고 구멍(4)의 테두리에는 구멍이 뚫린 지지판(5)이 고정된다.
지지판(5)의 하부에는 버너(8)와 기름받이 서랍(9)이 수용되는 하우징(6)이연결되어 있다. 하우징(6)은 프레임(3)의 다리(2)를 지지하는 지지대(7)위에 놓여진다.
지지판(5)의 상부에는 돌구이판(10)이 올려지며 돌구이판(10)은 상부가 높은 반 원통형이다. 돌구이판(10)의 양측 모서리에는 기름막이 돌출테(15)가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의 돌구이판(10)은 중앙 상부가 높고 앞 뒤 갓부분이 낮아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갓부분을 통하여 하부로 자연스럽게 흘러 사용이 간편하고 연기 냄새도 줄어드는 효과를 제공한다.
돌구이판(10)의 중앙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돌솥(12)이 안착된다. 돌솥(12)의 외부에는 테(14)가 형성되어 돌구이판(10)의 구멍(11)에 안착되면 돌솥(12)을 고정시킨다.
돌솥(12)은 솥 뚜껑(13)이 씌워진다. 돌솥(12)의 내부 구성은 하기에 설명된다.
돌구이판(10)과 돌솥(12) 및 솥 뚜껑(13)은 현무암으로 제조되며 적외선 방사율이 90%에 이르는 천연 자연 돌이다. 이러한 돌은 납은 물론 중금속 검출 염려가 전연 없는 것으로 사용한다.
도2에는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는데, 하우징(6)의 중간 높이에는 격자망(2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버너(8)가 위치된다.
격자망(20)위에는 옥돌(21)이 놓여진다. 옥돌은 옥광산에서 생산되며 적외선을 방사하며 버너의 열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돌구이판(10)은 LPG 또는 LNG 연료를 사용하는 버너(8)의 열이 옥돌(21)을달구어 발생하는 대류열에 의해 가열되어 돌구이판(10)위에 놓여지는 고기는 원적외선이 속속들이 스며들어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고 균둥하게 익어 맛 과 향이 좋으며 영양학적으로 최상이다.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은 지지판(5)의 구멍을 통하여 하우징(6)하부로 떨어져 기름받이 서랍(9)에 고이게 된다.
도3에는 본 고안의 돌솥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는데, 돌솥(12)의 내부 중간 높이에는 망석쇠(16)가 형성되어 망석쇠(16)밑에는 물이 저장되고 망석쇠(16)위에는 옥돌(20)이 놓여진다.
돌솥(12)의 상부 모서리에 솥 뚜껑(13)과 마주 닿은 부분에는 작은 구멍(17)이 다수개 형성되어 돌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된다.
돌구이판에서 구운 고기를 돌솥(12)속의 옥돌(20)위에 놓아두면 돌솥이 80 내지 100도로 가열되어 5분정도 보관하면 부드러운 맛을 유지할 수 있다.
돌솥을 사용할 때는 내부에 식수를 1/5 붓고 망석쇠(16)위에 옥돌을 2/5 정도로 깐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돌솥 돌구이기는 돌구이판이 불판의 직화를 막아 고기가 탈 염려가 없고 구운 고기는 기름이 쑥 빠지고 색깔이 황금색이고 고루 익혀져 맛이 최상이며 식은 구운 고기를 돌솥에 데워 먹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상판(1)을 가지고 상판(1)의 네 모서리에 다리(2)가 형성된 상 모양의 프레임(3)을 가지며 상판(1)의 중앙에는 사각형의 구멍(4)이 형성되고 구멍(4)의 테두리에는 구멍이 뚫린 지지판(5)이 고정되고 지지판(5)의 하부에는 버너(8)와 기름받이 서랍(9)이 수용되는 하우징(6)이 연결되며 지지판(5)의 상부에는 돌구이판(10)이 올려지며 돌구이판(10)의 중앙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돌솥(12)이 안착되고 돌솥(12)의 외부에는 테(14)가 형성되어 돌구이판(10)의 구멍(11)에 안착되면 돌솥(12)을 고정시키게 형성된 돌솥 돌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구이판(10)은 상부가 높은 반 원통형이며 돌구이판(10)의 양측 모서리에는 기름막이 돌출테(15)가 형성되는 돌솥 돌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솥(12)은 솥 뚜껑(13)이 씌워지며 돌솥(12)의 내부 중간 높이에는 망석쇠(16)가 형성되어 망석쇠(16)밑에는 물이 저장되고 망석쇠(16)위에는 옥돌(20)이 놓여지고 돌솥(12)의 상부 모서리에 솥 뚜껑(13)과 마주 닿은 부분에는 작은 구멍(17)이 다수개 형성되어 돌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배출되게 구성된 돌솥 돌구이기.
KR20-2002-0031433U 2002-10-22 2002-10-22 돌솥 돌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3020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33U KR200302065Y1 (ko) 2002-10-22 2002-10-22 돌솥 돌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433U KR200302065Y1 (ko) 2002-10-22 2002-10-22 돌솥 돌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065Y1 true KR200302065Y1 (ko) 2003-01-24

Family

ID=49330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433U Expired - Fee Related KR200302065Y1 (ko) 2002-10-22 2002-10-22 돌솥 돌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0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09A (ko) * 2002-10-23 2004-04-30 조동익 황토 옥돌 돼지 삼굿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209A (ko) * 2002-10-23 2004-04-30 조동익 황토 옥돌 돼지 삼굿 구이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291B2 (en) Food cooker
US4773319A (en) Barbecue grill and cooker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US8365717B1 (en) Barbecue accessory and method of use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163871B1 (ko) 숯불 구이 장치
KR200470529Y1 (ko) 바베큐 육류 구이판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KR102064698B1 (ko) 구이감이 타지 않는 구이장치
KR102375564B1 (ko) 구이용 불판
KR200497835Y1 (ko) 구이용 불판
KR200302065Y1 (ko) 돌솥 돌구이기
KR20090086679A (ko) 직화구이 석쇠 및 이를 이용한 직화구이기
KR20100011057U (ko) 계단식 불판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KR200249198Y1 (ko) 석쇠판 및 고기구이판 겸용 고기구이기
KR200330969Y1 (ko) 원적외선 구이기
KR102826341B1 (ko) 분해조립되는 가마형 구이장치
CN222398071U (zh) 一种可置放香料的烤架和基于其的烧烤炉
KR200214938Y1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을 이용한 가열용기
KR102589991B1 (ko) 간접 가열식 로스터 구조를 갖는 캠핑용 가스버너
JP6856839B1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JP2006087854A (ja) オーブン機能を備えた引き出し付きバーベキュウ用コンロ
KR102377957B1 (ko) 구이용 석쇠
KR101277597B1 (ko) 저탄소 웰빙 바람막이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102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0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102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61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