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027B1 -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 Google Patents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027B1
KR101844027B1 KR1020160140947A KR20160140947A KR101844027B1 KR 101844027 B1 KR101844027 B1 KR 101844027B1 KR 1020160140947 A KR1020160140947 A KR 1020160140947A KR 20160140947 A KR20160140947 A KR 20160140947A KR 101844027 B1 KR101844027 B1 KR 101844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unit
heat
charg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16014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0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통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효율성을 강화한 기능성 테이블의 구조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 내부에 일체형으로 숯수용부를 안착할 수 있는 수용유닛을 구비하도록 하며, 내측에 금속메쉬망과 내화파벽돌과 같은 내열블럭부를 배치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로유닛 상의 음식에 집중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열사용효율을 크게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The table have multi-function suttong}
본 발명은 숯통을 내부에 수용하는 구조의 효율성을 강화한 기능성 테이블의 구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에 석쇠를 받쳐 고기를 구워 취식할 수 있는 테이블은 가스를 연소수단으로 사용하던가 또는 숯을 연소수단으로 하여 석쇠 위의 고기를 구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는 숯에 구워지는 고기의 맛이 좋아서 선호하고 있으나, 석쇠의 고기가 구워지는 기름이 숯으로 떨어져 기름이 타서 연기를 발생하게 되어, 실내의 공간을 오염시키게 되고, 또한 기름이 타면서 발생하는 냄새가 옷에 배는 등의 불합리한 점이 있다.
특히,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숯통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부에 석쇠를 놓는 구조의 구이 구조물에서는, 석쇠 상부에 고기를 굽고 난 이후 뚝배기와 같은 구조물을 메쉬형 석쇠 상에 두고 식사를 하는 방식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뚝배기를 충분히 달굴수가 없으며, 고기를 구우는 것과 동시에 뚝배기를 함께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위생상 좋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테이블 내부에 숯통을 수용시키는 경우, 열이 테이블로 전달되거나 외부로 발산되어 효율적인 열이용이 어려우며, 사용자 역시 열기를 직접 테이블이나 테이블 하부로 전달받게되어 이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4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내부에 일체형으로 숯수용부를 안착할 수 있는 수용유닛을 구비하도록 하며, 내측에 금속메쉬망과 내화파벽돌과 같은 내열블럭부를 배치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로유닛 상의 음식에 집중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열사용 효율을 크게 증진할 수 있는 기능성 테이블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이격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12a, 112b, 112c,112d)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16a, 116b)) 및 하부프레임(114a, 114b)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기 하부프레임(114a, 114b)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프레임(118a, 118b) 상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는 수용유닛(120); 상기 수용유닛(120)의 내측벽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금속 메쉬부(130); 상기 금속메쉬부의 내측벽 및 하면 상에 결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내열성 블럭으로 구성되는 내열블럭부(140); 상기 내열블럭부(140)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에 상기 내열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화로유닛(200); 상기 수용유닛(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개구영역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6a, 116b) 상에 안착되는 테이블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경우 상기 화로유닛(200)은, 내부에 숯을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는 숯수용부(210); 상기 숯수용부(210)의 일측과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측면지지부(224); 상기 측면지지부(224)를 상측에서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프레임 패턴(230) 및 제2프레임 패턴(240); 을 포함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제1프레임패턴(230)은 액상의 음식을 담은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A)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패턴(240) 상에는 육류를 굽는 그릴부(B)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블 내부에 일체형으로 숯수용부를 안착할 수 있는 수용유닛을 구비하도록 하며, 내측에 금속메쉬망과 내화파벽돌과 같은 내열블럭부를 배치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로유닛 상의 음식에 집중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열사용효율을 크게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국물을 구비한 음식을 끓이는 가열부와 육류를 굽는 그릴부를 동시에 구비하는 화로유닛을 테이블상에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여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유닛과 내열블럭부의 사이에 금속메쉬망을 통해 이격공간을 구현함으로써, 테이블로 열이 전도되는 것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상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측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분해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에 적용되는 화로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측단면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분해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은 상호 이격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12a, 112b, 112c,112d)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16a, 116b)) 및 하부프레임(114a, 114b)를 포함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기 하부프레임(114a, 114b)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프레임(118a, 118b) 상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는 수용유닛(120), 상기 수용유닛(120)의 내측벽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금속 메쉬부(130), 상기 금속메쉬부의 내측벽 및 하면 상에 결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내열성 블럭으로 구성되는 내열블럭부(140), 상기 내열블럭부(140)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에 상기 내열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화로유닛(200), 상기 수용유닛(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개구영역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6a, 116b) 상에 안착되는 테이블판(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을 구성하는 골조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재질의 파이프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부프레임(116a, 116b)은 사각형으로 외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부 프레임(116a)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6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프레임(116) 사이의 간격은 상술한 수용유닛(120)의 상부 개구부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프레임(114a, 114b)은 상기 상부프레임(116a, 116b)의 하측에 한 쌍이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되며, 하부프레임(114a, 114b)은 수용유닛(120)이 안착되는 장소로 적용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14a, 114b) 사이의 폭은 상기 상부프레임 사이의 폭보다 좁게 설계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유닛(120)은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기 하부프레임(114a, 114b)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프레임(118a, 118b) 상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용유닛(120)은 상부는 개구되며, 상부 이외의 측면부와 하면부는 모두 밀폐된 상자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재질은 AL, SUS 등의 금속재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용유닛(120)의 내측벽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금속 메쉬부(130)와 상기 금속메쉬부의 내측벽 및 하면 상에 결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내열성 블럭으로 구성되는 내열블럭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메쉬부(130)는 메쉬 구조의 금속부재를 상부가 개구된 구조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내열성 블럭은 상기 금속메쉬부의 메쉬망의 표면에 밀착하여 배치된다. 내열성 블럭은 내화 및 단열의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후면에 상기 메쉬망의 구멍에 끼움결합이 가능한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도록 할 수있다. 이러한 결합돌기의 구성은 메쉬망의 구멍에 단순히 끼움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바, 장시간 사용으로 기름이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손쉽게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한 장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돌기는 내열성 블럭의 표면에 일체형 구조로 돌기 구조물로 구현하거나, 내열성 합성수지재의 돌기 구조물을 접착재로 부착한 구조 어느 것이나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내열성 블럭의 배치는 상기 금속메쉬부의 측벽면 및 하부면에 고르게 배치하게 되는바, 숯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로유닛 상의 음식에 집중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열사용효율을 크게 증진할 수 있게 된다. 배치 구조에 따라 선택적으로 내열성 블럭과 블럭 사이에 내열성 실리콘과 같은 점착 부재로 마감처리를 수행하여 고정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하고, 열의 외부 누출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내열블럭부(140)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에 상기 내열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화로유닛(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에 적용되는 화로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로유닛(200)은 내부에 숯을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는 숯수용부(210)와 상기 숯수용부(210)의 일측과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측면지지부(224), 상기 측면지지부(224)를 상측에서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프레임 패턴(230) 및 제2프레임 패턴(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프레임패턴(230)은 액상의 음식을 담은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A)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패턴(240) 상에는 육류를 굽는 그릴부(B)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로유닛(20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숯을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는 숯수용부(210)를 구비한다. 상기 숯수용부(210)은 상부가 개구되는 구조의 구조물의 하단에 4개의 지지풋(112)이 구현되는 구조로 구현되며, 통기공(211)을 다수 마련하여 숯의 효율적인 연소를 도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풋(112)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화로유닛(200)이 내화벽돌과 직접 밀착하지 않고, 일정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상부, 측면부, 하부 모두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숯수용부(210)의 외측면에는 상기 숯수용부(210)의 일측과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측면지지부(224)가 배치되며, 상기 측면지지부(224)를 상측에서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프레임 패턴(230) 및 제2프레임 패턴(240)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지지풋(112)는 상기 측면지지부(224) 하단의 베이스부(222)와 용접결합되어 견고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1프레임패턴(230)은 액상의 음식을 담은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A)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패턴(240) 상에는 육류를 굽는 그릴부(B)가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도 6과 같이, 가열부(A)에는 뚝배기 구조물을 배치하고, 그릴부(B)에는 석시와 같이 구이가 가능한 구조물을 배치하여, 동시에 조리가 위생적이고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을 구비한 음식을 끓이는 가열부와 육류를 굽는 그릴부를 동시에 구비하는 화로유닛을 테이블상에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여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테이블의 작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프레임부
120: 수용유닛
130: 금속 메쉬부
140: 내열 블럭부
150: 테이블판
200: 화로유닛

Claims (3)

  1. 상호 이격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12a, 112b, 112c, 112d)과,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116a, 116b)) 및 하부프레임(114a, 114b)를 포함하며, 금속 재질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프레임부(110);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기 하부프레임(114a, 114b)을 일방향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중간프레임(118a, 118b) 상에 안착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수용홈이 구비되는 수용유닛(120);
    상기 수용유닛(120)의 내측벽 및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금속 메쉬부(130);
    상기 금속메쉬부의 내측벽 및 하면 상에서 상기 금속메쉬부의 메쉬망의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에 의해 결착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내열성 블럭으로 구성되는 내열블럭부(140);
    상기 내열블럭부(140)에 의해 구현되는 공간에 상기 내열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화로유닛(200);
    상기 수용유닛(120)의 상부에 대응되는 개구영역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6a, 116b) 상에 안착되는 테이블판(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로유닛(200)은,
    내부에 숯을 수용하는 상부가 개구되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는 숯수용부(210);
    상기 숯수용부(210)의 일측과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배치되는 측면지지부(224);
    상기 측면지지부(224)를 상측에서 상호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 및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228)을 횡방향으로 구획하는 제1프레임 패턴(230) 및 제2프레임 패턴(240);
    을 포함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패턴(230)은 액상의 음식을 담은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부(A)를 형성하며,
    상기 제2프레임패턴(240) 상에는 육류를 굽는 그릴부(B)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프레임과 상기 수용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유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KR1020160140947A 2016-10-27 2016-10-27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KR101844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47A KR101844027B1 (ko) 2016-10-27 2016-10-27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947A KR101844027B1 (ko) 2016-10-27 2016-10-27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027B1 true KR101844027B1 (ko) 2018-03-30

Family

ID=6190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947A KR101844027B1 (ko) 2016-10-27 2016-10-27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0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650A (ja) * 2000-09-01 2002-03-22 Takao Nakamura 囲炉裏用炉、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囲炉裏型テーブル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KR101135123B1 (ko) 2009-12-18 2012-04-16 박세우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US20130081607A1 (en) * 2011-09-30 2013-04-04 Christopher D. WEYANDT Portable cook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1650A (ja) * 2000-09-01 2002-03-22 Takao Nakamura 囲炉裏用炉、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囲炉裏型テーブル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KR101135123B1 (ko) 2009-12-18 2012-04-16 박세우 구이와 볶음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US20130081607A1 (en) * 2011-09-30 2013-04-04 Christopher D. WEYANDT Portable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US8960083B2 (en) Multifunction barbecue oven
JP6467570B2 (ja) ガスコンロのグリル庫用陶磁器製調理器
KR101844027B1 (ko) 숯수용부를 구비한 기능성테이블
KR101722562B1 (ko) 숯불용 화로구이 장치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1495738B1 (ko) 구이 장치
KR20070099729A (ko) 구이와 부(附)요리의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
KR101346816B1 (ko) 이중 구조의 다용도 조리 용기
KR20110010262U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1713432B1 (ko) 다기능 불판
KR20150108510A (ko) 휴대가능한 아웃도어용 테이블 겸용 버너스탠드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KR200479718Y1 (ko) 다용도 불판 및 이를 이용한 불판 장치
EP0626055A1 (fr) Petit four pour griller des aliments sur les bruleurs des cuisinieres a gaz.
KR200406422Y1 (ko) 조리 기구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EP2149323B1 (en) Barbecue
KR100903732B1 (ko) 내측팬이 장착되어 있는 양면프라이팬
CN213588071U (zh) 多功能烧烤炉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JP3217007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KR101244990B1 (ko) 복합 구이판
KR200396175Y1 (ko) 전기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