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262U -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 Google Patents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62U
KR20110010262U KR2020100004317U KR20100004317U KR20110010262U KR 20110010262 U KR20110010262 U KR 20110010262U KR 2020100004317 U KR2020100004317 U KR 2020100004317U KR 20100004317 U KR20100004317 U KR 20100004317U KR 20110010262 U KR20110010262 U KR 201100102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ire
roasting plate
plate suppor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341Y1 (ko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박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일 filed Critical 박용일
Priority to KR2020100004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341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3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3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생선, 등과 같은 구이대상 음식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굽는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원과, 상부에는 구이판(10)을 얹어 지지하고 중앙 구멍(21)안으로는 화원을 배치하여 구이판(10) 위에에 얹혀진 음식물에 화원이 직접 가해지도록 구이판을 지지하는 구이판 지지대(20)를 구비한다. 본 구이판 지지대(20)는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연장된 내측벽(27A)과, 상기 기름받이부(26)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과 일정한 간격의 열차단 공간부(27C)를 형성하고 상단에서 상기 내측벽(27A)의 상단과 서로 연결된 외측벽(27B)으로 구성되어, 숯불통(30)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 구멍(21)을 통하여 삽입된 숯불통(30)의 상단을 상기 내측벽(27A)과 외측벽(27B)의 상단에 걸어서 지지하는 숯불통 걸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direct-fired Roaster for a gas stove and a charcoal fire }
본 고안은 구이 대상 음식물 재료에 직접 불을 직접 가하여 음식물을 굽는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스렌지나 숯불에 겸용으로 사용되는 숯불 및 가스렌지 겸용의 직화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육류, 생선, 고구마 등과 같은 음식물 재료를 조리할 때 이들 재료에 불을 직접 가하여 굽는 소위 직화 구이기가 최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직화 구이기에는 숯불을 화원으로 사용하는 숯불 구이기와, 가스렌지와 같은 가스연소에 의한 불을 화원으로 사용하는 가스 직화 구이기가 있다.
숯불 구이기는 대개 숯불을 담는 숯불통과, 이 숯불통이 지면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와, 숯불통 위에 설치되는 구이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숯불 직화 구이기는 통상 부피가 커서 휴대와 보관이 불편하고, 숯불을 사용하기 불가능한 실내에서 숯불 대용의 가스렌지에 사용할 수 없고, 야외에서도 숯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휴대용 가스렌지에 사용할 수 없는 각각 별개로 준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숯불통의 숯을 착화시키기 위하여는 숯의 위쪽에서 토치로 착화하여야 하거나 외부에서 별도로 숯을 착화하여 착화된 숯을 숯불통 안으로 운반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한편, 가스불에 의한 직화 구이기는 구이판과, 상부에 구이판을 얹어서 지지하고 가스렌지 위에 얹혀지는 구이판 지지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스불 직화 구이기는 숯불에는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숯불 직화구이기나 가스불 직화 구이기에 있어서, 구이판의 고기 등의 재료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두는 기름받이가 구이판 지지대의 가장자리에 구비되기는 하지만 이 기름받이가 화원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화원의 열기에 의해 기름받이의 기름이 눋거나 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직화 구이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여,
첫째, 화원의 직상부에 설치되어 구이판에 직접 화원이 제공되도록 구이판을 지지하고,
둘째, 고정식/휴대용 가스렌지와 숯불에 겸용으로 사용가능하며,
셋째, 숯불 직화구이기로 사용하는 경우, 숯을 숯불통안에 담아놓은 상태에서 하부에서 숯을 곧바로 착화시킬 수 있고,
넷째, 기름받이/물받이의 기름이 타지 않도록 화원의 열기를 기름받이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다섯째, 분해하여 보관하거나 휴대시 전체 부피를 줄여 취급이 편리하도록 된 가스불 및 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원과, 상부에는 구이판을 얹어 지지하고 중앙 하부에는 화원을 배치하여 구이판 위에에 얹혀진 음식물에 화원이 직접 가해지도록 구이판을 지지하는 구이판 지지대를 구비한 가스불 및 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가,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구이판 지지용 단턱부가 구비된 림;
림의 내측 선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벽;
상기 구이판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름이나 과열방지용 물을 담기 위하여 상기 측벽의 내측 하단에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구비되고, 화원이 가스렌지인 경우에 가스렌지의 상면에 얹혀 지지되도록 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름받이부; 및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연장된 내측벽과, 상기 기름받이부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과 일정한 간격의 열차단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단에서 상기 내측벽의 상단과 서로 연결된 외측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 구멍을 통하여 삽입된 숯불통을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의 상단에 걸어서 지지하는 숯불통 걸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직화 구이기가 가스렌지에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기름받이부의 저면은 상기 가스렌지의 상면에 얹혀져 지지되고, 상기 가스렌지의 화력을 골고루 확산시키도록 상기 중앙 구멍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열망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직화 구이기가 화원으로서 숯불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구이판 지지대의 중앙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숯불통 걸이부에 걸쳐져 지지되는 숯불통을 구비하고,
상기 림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구이판 지지대에 지지된 숯불통의 하단이 지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상기 림의 결합구멍에 각각 상단을 끼워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 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다리 부재의 하단을 절첩가능하게 결합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받침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숯불통은 내부에 수용된 숯을 아래쪽으로 토치로써 착화시킬수 있도록 저면이 내열성 숯받침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숯받침망의 아래쪽에는 재받이판이 끼워지도록 된다.
상기 구이판 지지대의 높이는 상기 숯불통의 높이보다 적어도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어 숯불통을 구이판 지지대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때 숯불통이 구이판 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된다.
상기 본 고안에 의하면, 화원의 직상부에 설치되어 구이판에 직접 화원이 제공되어 음식물을 직화로 구울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식/휴대용 가스렌지와 숯불에 겸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숯불 직화구이기로 사용하는 경우, 숯을 숯불통안에 담아놓은 상태에서 하부에서 숯을 곧바로 착화시킬 수 있어 편리하고, 화원과 기름받이/물받이 사이에 열차단 공간부가 구비되어 화원에서 전열되는 열을 기름받이 쪽으로 차단하여 기름받이의 기름이 타거나 눋지 않게 되어 사용후 세척이 간단하다.
또한 숯불통을 분리하여 보관할 때, 숯불통의 높이가 구이판 지지대의 높이보다 낮아서 숯불통을 구이판 지지대 안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휴대시 전체 부피를 줄여 취급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이 숯불을 화원으로 사용한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조립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관할 때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가스렌지를 화원으로 사용한 제2실시예의 조립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직화구이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와 조립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기는, 화원으로서 숯불을 사용하는 경우의 실시예로서, 상면에 구이대상 음식물이 얹혀지는 구이판(10), 구이판(10)을 상측에 얹어 지지하는 구이판 지지대(20)와, 화원으로서 숯이 담긴 숯불통(30)과,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받침대(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숯불통(30)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림(Rim)(22)이 구비되고, 이 림(22)의 둘레를 따라 구이판 지지용 단턱부(24)가 구비된다.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형대, 예를 들면 사각틀 형태로 될 수도 있다. 구이판(10)은 가장자리가 상기 단턱부(24)에 얹혀져 지지된다.
그리고 림(22)의 내측 선단에서 아래쪽으로 측벽(25)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측벽(25)의 내측 하단에는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의 홈으로 형성되어 구이판(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름 또는 과열방지용 물을 수용하고, 저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져 화원이 가스렌지인 경우에 가스렌지의 상면에 얹혀 지지도록 되어 있는 기름받이부(26); 및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와 기름받이부(26)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쪽으로 연장된 숯불통 걸이부(27)가 구비된다.
상기 숯불통 걸이부(27)는 화원으로서 숯불통(30)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 구멍(21)을 통하여 삽입된 숯불통(30)의 상단을 걸어서 숯불통(30)을 지지한다. 이러한 숯불통 걸이부(27)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내측벽(27A)과, 상기 기름받이부(26)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단에서 상기 내측벽(27A)의 상단과 서로 연결된 외측벽(27B)으로 구성된 2중벽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27A)과 외측벽(27B) 사이에는 화원(숯불 또는 가스불)에서 기름받이 홈(26)으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 공간부(27C)가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직화 구이기는 숯불을 화원으로 사용할 경우에, 숯불통(30)과 구이판 지지대(20)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4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구이판 지지대(20)를 상기 받침대(40)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림(22)에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구멍(23)을 구비한다.
상기 받침대(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을 지지하되, 숯불통(30)의 하단이 지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구이판 지지대(20)를 위쪽으로 일정한 높이로 들어 올린 상태로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대(40)는, 상기 림(22)의 결합구멍(23)에 각각 상단(41A)을 끼워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 부재(41)와, 상기 복수개의 다리 부재(41)를 베이스판(42)에 대하여 절첩가능하게 각 다리 부재(41)의 하단을 핀(43)으로 결합한 베이스판(4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불통(30)은 저면이 금속재 숯받침망(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숯받침망의 아래쪽에는 재받이판(32)이 탈착가능하게 끼워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숯불통(30)의 숯을 착화시키고자 할 때, 숯불통(30)의 숯을 꺼내어 외부에서 별도로 착화시키지 않고서도, 숯불통(30)의 재받이판(32)을 제거하고나서 숯받침망(31)의 아래쪽에서 숯불통(30)의 내부에 수용된 숯을 착화토치로써 착화시킬수 있다. 이렇게 숯이 착화되고나면 재받이판(32)을 숯불통(30)의 숯받침망(31) 아래쪽에 끼워넣어 낙하하는 재를 받아 둘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받침대(40)로 구이판 지지대(20)를 지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베이스판(42)을 지면이나 테이블위에 놓고, 다리 부재(41)를 베이스판(42)에서 전개시켜 고정시킨 후, 전개된 각 다리 부재(41)의 상단(41A)을 구이판 지지대(20)의 림(22)에 구비된 각 결합구멍(23)마다 끼워서 구이판 지지대(20)를 받침대(40)로 지지한다.
본 고안의 직화 구이기를 사용한 후 분해하여 보관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 먼저 숯불통(30)이 구이판 지지대(20)에 걸려 있는 상태로 구이판 지지대(20)를 받침대(40)의 다리 부재(41)에서 분리한다. 숯불통(30)은 높이(h)가 구이판 지지대(20)의 측벽 높이(H)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리된 구이판 지지대(20)에 걸려 있는 숯불통(30)을 아래쪽에서 구이판 지지대(20)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 숯불통(30)은 구이판 지지대(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나서 받침대(40)의 다리 부재(41)를 베이스판(42)쪽으로 접은 후, 그 위에 구이판 지지대(20)를 포개어 얹어서 도 4의 상태로 보관한다.
한편,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와 조립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가스렌지(50)위에 얹어서 사용되는 직화구이기로서, 상면에 구이대상 음식물이 얹혀지는 구이판(10), 구이판(10)을 위에 얹어 지지하고 저면이 가스렌지(50)위에 얹혀져 설치되는 구이판 지지대(20)와, 구이판 지지대(20) 하부에 설치되어 가스렌지(50)의 가스불을 골고루 확산시키는 전열망(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의 구성은 숯불통(30)을 사용하는 제1실시예에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구이판 지지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숯불통 걸이부(27)의 상단에, 숯불통(30) 대신에 상기 전열망(33)을 얹어 지지한다.
상기 전열망(33)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그물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자리를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의 숯불통 걸이부(27)의 상단에 얹혀지게 설치된다. 이 전열망(33)은 가스렌지(50)의 가스불이 배치되는 설치구이판 지지대(20)의 중앙 구멍(21)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가스불이 구이판(10) 저면에 부분적으로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확산되게 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이판 지지대(20)의 숯불통 걸이부(27)의 내측벽(27A)과 외측벽(27B) 사이에 형성된 열차단 공간부(27C)가 중앙 구멍(21)쪽에 배치된 가스불의 열이 기름받이부(26)로 전열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10:구이판 20: 구이판 지지대
21: 중앙 구멍 22: 림(rim)
23: 결합구멍 24: 구이판 지지용 단턱부
25: 측벽 26: 기름받이부
27: 숯불통 걸이부 27A: 내측벽
27B: 외측벽 27C: 열차단 공간부
30: 숯불통 31: 숯받침망
32: 재받이판 33: 전열망
40: 받침대 41: 다리 부재
41A: 상단 42: 베이스판
43: 핀 50: 가스렌지

Claims (5)

  1. 화원과, 상부에는 구이판(10)을 얹어 지지하고 중앙 하부에는 화원을 배치하여 구이판(10) 위에에 얹혀진 음식물에 화원이 직접 가해지도록 구이판(10)을 지지하는 구이판 지지대(20)를 구비한 직화 구이기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둘레를 따라 구이판 지지용 단턱부(24)가 구비된 림(22);
    상기 림(22)의 내측 선단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측벽(25);
    상기 구이판(10)을 통하여 배출되는 기름이나 과열방지용 물을 담기 위하여 상기 측벽(25)의 내측 하단에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의 홈으로 구비되고, 화원이 가스렌지(50)인 경우에 가스렌지(50)의 상면에 얹혀 지지되도록 저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는 기름받이부(26); 및
    화원이 배치되는 중앙 구멍(21)의 가장자리를 따라 위쪽으로 연장된 내측벽(27A)과, 상기 기름받이부(26)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과 일정한 간격의 열차단 공간부(27C)를 형성하고 상단에서 상기 내측벽(27A)의 상단과 서로 연결된 외측벽(27B)으로 구성되어, 숯불통(30)의 상단 또는 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중앙 구멍(21)을 통하여 삽입된 숯불통(30)의 상단을 상기 내측벽(27A)과 외측벽(27B)의 상단에 걸어서 지지하는 숯불통 걸이부(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불-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원이 가스렌지(50)로 구성되고,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저면이 상기 가스렌지(50)의 상면에 얹혀져 지지되며,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의 숯불통 걸이부(27)에 가장자리가 얹혀져 상기 중앙 구멍(2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 구멍(21)에 배치되는 상기 가스렌지(50)의 화력을 골고루 확산시키는 전열망(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불-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의 중앙 구멍(21)을 통하여 삽입되어 상단이 상기 숯불통 걸이부(27)에 걸쳐져 지지되는 숯불통(30)이 화원으로 구비되고,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의 상기 림(22)은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결합구멍(23)을 구비하고,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를 지면에서 들어올려 지지하는 받침대(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40)는, 상기 구이판 지지대(20)에 지지된 숯불통(30)의 하단이 지면과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상기 림(22)의 결합구멍(23)에 각각 상단을 끼워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를 지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들어올려 지지하는 복수개의 다리 부재(41)와, 상기 복수개의 다리 부재(41)의 하단을 절첩가능하게 결합한 베이스판(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불-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숯불통(30)은 내부에 숯을 담은 상태에서 숯불통 아래쪽에서 점화토치로써 숯을 점화시킬수 있도록 저면이 내열성 숯받침망(31)으로 구성되고, 상기 숯받침망(31)의 아래쪽에는 재받이판(3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불-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판 지지대(20)는 측벽(25)의 높이(H)가 상기 숯불통(30)의 높이(h)보다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되어 숯불통(30)을 구이판 지지대(20)에서 분리하여 보관할 때 숯불통(30)이 구이판 지지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내측에 수용보관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불-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20100004317U 2010-04-23 2010-04-23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2004663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17U KR200466341Y1 (ko) 2010-04-23 2010-04-23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317U KR200466341Y1 (ko) 2010-04-23 2010-04-23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62U true KR20110010262U (ko) 2011-10-31
KR200466341Y1 KR200466341Y1 (ko) 2013-04-12

Family

ID=5138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317U KR200466341Y1 (ko) 2010-04-23 2010-04-23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3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961B1 (ko) * 2015-08-21 2017-01-02 (주) 씨에이하이테크 스마트 숯불구이기
KR101638318B1 (ko) * 2016-02-26 2016-07-11 정내원 H빔형 스마트 구이장치
KR101664456B1 (ko) 2016-05-18 2016-10-10 윤덕근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
KR101716432B1 (ko) 2016-05-18 2017-03-14 윤덕근 가스를 이용한 직화 구이기용 가스버너 및 이를 이용한 가스버너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867Y1 (ko) 2004-12-17 2005-03-14 최현택 착탈식 2단 고기 구이판
KR200425651Y1 (ko) 2006-06-01 2006-09-19 김종희 이동식 숯불용 고기구이기
KR200444305Y1 (ko) 2008-11-03 2009-05-04 윤석남 가스버너를 이용한, 테이블 착탈식 숯불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341Y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0981B1 (en) Barbecue grill with multifunction
US20120266760A1 (en) Outdoor grill with integrated griddle
US20130112186A1 (en) Solid fuel cook system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KR101703292B1 (ko) 접철식 휴대용 화로대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KR102236131B1 (ko) 휴대용 바비큐 조리기구
KR101244100B1 (ko)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는 그릴
KR20180016806A (ko) 육류 불판 구이기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200179509Y1 (ko) 고기 구이기
KR101715634B1 (ko) 복층형 구이용 팬
KR200480882Y1 (ko) 이동식 부탄연소기용 로스팅 장치
KR101371137B1 (ko) 휴대용 오븐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359428Y1 (ko) 바비큐 구이기
KR101785087B1 (ko) 스토브 겸용 구이기
KR200494611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기
KR200467019Y1 (ko) 이중 열원을 갖는 구이기
KR102427338B1 (ko) 다기능 화로구이 장치
KR102589991B1 (ko) 간접 가열식 로스터 구조를 갖는 캠핑용 가스버너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JP5044322B2 (ja) 炭焼用調理器具
KR101814126B1 (ko) 드럼통 재활용 바비큐장치 및 그 제작방법
KR20230166426A (ko) 취사 겸용 난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