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4728A -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 Google Patents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728A
KR20140114728A KR1020130126365A KR20130126365A KR20140114728A KR 20140114728 A KR20140114728 A KR 20140114728A KR 1020130126365 A KR1020130126365 A KR 1020130126365A KR 20130126365 A KR20130126365 A KR 20130126365A KR 20140114728 A KR20140114728 A KR 20140114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charcoal
support
main bod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재
Original Assignee
김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재 filed Critical 김인재
Publication of KR2014011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2037/077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foldable construction for storage or transport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구를 이용한 조리 과정에서 생긴 기름이 케이스 내측 경사면에 형성한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기름수집부에 떨어져 수집되는 본체와,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숯불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기구를 탈부착할 수 있으며 조리기구를 분리하여 본체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철거 및 운반작업이 용이한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Assembly-Type Fire Box For Roasting With Chacoal}
본 발명은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캠핑장과 같이 야외에서 간단한 캠프파이어를 하거나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 생선 등 음식을 조리할 때 기름이 숯불에 떨어지지 않고 다양한 조리기구들을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탈부착 가능하며 화로대의 휴대가 용이하고 청소, 철거 및 운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가족 혹은 지인들과 모닥불 주위에 둘러 앉아 고기를 구워 먹거나 캠프파이어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는 맨바닥에 바로 불을 피우기도 했지만 심각한 자연훼손은 물론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화로대를 준비하여 챙겨가고 있는 실정이다.
화로대는 불놀이 용도 외에 석쇠나 부속 장비를 활용해 직화구이를 하는 조리기구로도 사용된다. 직화구이는 육류, 생선, 고구마 등과 같은 음식을 조리할 때 이들 음식에 불을 직접 가하여 굽는 것으로, 숯불을 이용하면 숯불 냄새가 베어 풍미를 좋게 할 수 있어 숯불구이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사각형 함체 안에 숯불을 담아 두고 상부에 구이용 석쇠를 올려 놓을 수 있는 설치 구조를 적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문헌1]은 숯판 위에 설치된 석쇠에 고기를 올려놓고 숯불구이를 하는데, 기름받이부가 동체 측판에 형성되어 있어 동체 가장자리로 흐르는 기름만을 받아 줄 수 있기 때문에 숯불 구이시 기름이 석쇠 바로 아래쪽 숯불에 떨어질 경우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다른 종래의 숯불 구이기로서 [문헌2]에서는 본체 공간부에 숯케이스가 수납되고 본체 전면과 후면에 겹석쇠를 수직으로 수납되도록 안내하는 수직가이드홈과 수직가이드편을 각각 형성하고 본체 공간부 하측으로 기름트레이를 구비하여 숯불에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문헌1]에서는 화로를 운반하기 위하여 받침대와 결속봉으로 이루어져 동체 전체를 감싸서 지지하는 이송부재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이송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한다.
상기 [문헌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상부에 함체 형상의 구이판과 구이함이 설치되는데 일측에 설치된 구이판을 이용하여 양파, 마늘, 김치, 전 등을 굽거나 부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에 설치한 구이함을 이용하여 조개, 밤, 견과류, 감자, 고구마 등을 조리한다.
그러나 [문헌2]에 따른 숯불 구이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양측면과 바닥면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숯케이스에 숯을 집어 넣고, 이 숯케이스를 본체 공간부에 수납하므로 숯케이스에 내장된 숯불을 교체하기 위한 작업이 번거롭다.
둘째, 겹석쇠를 본체 공간부에 수직으로 수납하고 겹석쇠의 손잡이만 본체 외부로 노출되므로 겹석쇠 안에 위치한 구이재료의 구이상태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험에 의존하여 구이하거나 자주 겹석쇠를 꺼내 보아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수직으로 수납되는 겹석쇠 일측이 수직가이드편에 끼워져 고정되지만 겹석쇠 타측 손잡이가 벌어질 수 있어 구이재료가 누출될 수 있다.
셋째, 본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이판과 구이함이 본체 상부를 덮는 구조이므로 겹석쇠를 수납하거나 조리된 구이재료를 꺼내려고 하면 구이판과 구이함을 한쪽으로 회동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겹석쇠를 이용하여 숯불구이하면서 구이판과 구이함을 이용하여 동시에 조리하는 경우 구이판과 구이함 안에 내장된 식재료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 공간에 옮겨 놓아야 한다. 공보에는 본체 전면 수직가이드홈을 통해 수평으로 겹석쇠를 출입하게 할 수도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이 경우 겹석쇠를 넣거나 빼내기에 충분히 넓은 크기로 수직가이드홈을 형성해 주어야 하므로 숯불의 화력 손실이 커지는 다른 결점을 초래한다.
넷째, 본체 외측에 구이판과 구이함을 포함한 구이 소품들이 부착되어 있어 구이기 전체 부피가 커짐에 따라 운반과 청소 작업이 어렵다.
다섯째, 숯케이스와 겹석쇠를 수직으로 수납하여 숯불구이 하는 것을 주된 구성으로 하는데, 공보에는 본체 개구부를 개방하여 본체 상단에 겹석쇠와 꼬치 구이를 위치시켜 직화구이를 할 수도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상단에 위치한 겹석쇠와 꼬치 구이를 고정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구이 도중 사용자 부주의로 겹석쇠와 꼬치 구이가 낙하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숯케이스 위에 위치하므로 기름이나 양념이 떨어지지 않는 구이재료만을 요리해야 하는 제약이 따른다.
여섯째, 본체 안에 장작을 넣고 불을 지피면 고온의 열에 의해 본체 내부에 설치된 수직가이드편과 지지부재가 고온의 열에 의해 손상되거나 휨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캠프파이어를 하기에 부적절하다.
앞서 설명한 선행문헌들을 포함한 종래 기술과 연결하여 이들 및 기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숯불구이를 위한 석쇠를 포함한 조리 기구들을 화로대 본체에 설치 및 분리가 쉽게 제작하고 구이기에 부착할 수 있도록 결합 구조를 개선할 필요가 존재한다.
[문헌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94357호(2005.08.31) [문헌2] 한국등록특허 제10-1006018호(2011.01.06)
없음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케이스 내측 경사면에 숯을 적재하는 숯적재부를 형성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을 기름 수집부에 낙하시킴으로써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숯불을 이용하여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 가열하는 다양한 조리기구를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본체에서 분리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고 화로대의 청소와 운반 및 철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접이식으로 형성하여 본체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함으로써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는,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한 숯적재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를 출입할 수 있게 설치한 기름 수집부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한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상기 기름 수집부에 떨어지도록 구성품의 배치와 내부 구조를 설계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결합 위치를 바꾸어 운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지지프레임을 굴곡하여 ㄷ자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돌출 걸이구와 스토퍼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받침대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를 펼쳐 일정 각도 벌어지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본체 외측에 걸려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경사면에 다수의 통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상단에는 상기 조리기구를 거치하기 위한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평탄한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조리기구의 크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제작되며, 상기 조리기구는 숯불을 열원으로 하여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는 석쇠와 바비큐 조리대와 다용도 선반 및 구이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석쇠와 상기 바비큐 조리대는 상기 기름 수집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용도 선반과 상기 구이망은 상기 숯적재부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쇠는 사각 프레임 양측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본체 상부에 지지되는 걸림봉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이 고정된 복수개 지지봉을 평행하게 배열하고, 상기 석쇠 가운데 부분에 모여진 기름을 상기 기름 수집부에 떨어지도록 상기 복수개 지지봉의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석쇠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상기 지지봉이 고정된 보강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비큐 조리대는 움푹한 적어도 하나의 그물 포켓과 상기 그물 포켓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구는 상기 케이스 상부에 걸쳐지며, 상기 그물 포켓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숯적재부에 인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이구는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용도 선반은 움푹 패인 함몰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거치대, 및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양단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상부에 걸쳐지고, 상기 함몰부에 담은 조리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상기 상판 표면에 테프론 코팅이나 세라믹 코팅을 하며, 상기 손잡이에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거치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지지봉을 촘촘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이망은 단면이 J자 형태로 구부러진 면상에 복수 구멍이 천공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외향 굴곡된 걸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숯적재부에 설치하는 재받이와 숯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수집부의 상부에 설치한 받침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망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하고, 그 단면이 오르막 경사면과 내리막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수집부의 상부에 설치한 받침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망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측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하고, 프레임 가운데를 빈 공간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망의 빈 공간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 받침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받침망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된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 외측에 고정 설치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한 인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 손잡이가 탈부착하는 경우, 상기 인출 손잡이의 양단에 외향 굴곡된 걸림구가 상기 기름받이 외측에 형성된 끼움구에 끼워져 회동함으로써 접거나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선반들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일정 간격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 삽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테이블은 일정 길이의 고정형 선반과 일측을 접거나 펼쳐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선반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선반은 가운데 프레임과 양측의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는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을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기름 수집부에 낙하시킴으로써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직접 가열 또는 간접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조리기구를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러한 조리기구들을 분리하여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어 화로대의 휴대가 용이하고 청소와 운반 및 철거 작업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를 접이식으로 제작하여 접거나 펼쳐 본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대의 결합 위치를 바꿈으로써 운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석쇠를 이용한 조리뿐 아니라 본체 내부에 바비큐 조리대가 위치할 수 있어 바비큐 조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숯불 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체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5a는 석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석쇠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6a는 다용도 선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b는 다용도 선반의 실사이미지이다.
도 7a는 구이망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b는 구이망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를 운반하기 위해 받침대를 본체에 결합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받침대를 운반 손잡이로 사용하는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를 철거하기 위해 부속품들을 본체 안에 수납하여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체 안에 받침망을 위치시키고 본체 위에 다용도 선반을 위치시킨 경우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14는 도 13의 회전 거치대를 펼친 경우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15는 다용도 선반 사이에 석쇠를 위치시킨 경우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16은 도 15의 회전 거치대를 펼친 경우의 실사 이미지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망과 기름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실사 이미지이다.
도 22a는 다른 실시예의 다용도 선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b와 도 22c는 다른 실시예의 석쇠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도 23은 도 22a의 다용도 선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조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b와 도 24e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비큐 조리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과 이미지이다.
도 2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바비큐 조리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의 구조와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와 도 27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을 구성하는 선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본체와 조리기구들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캠핑장과 같은 야외에서 설치와 운반 및 철거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체 케이스 내측 경사면에 숯을 적재하기 위한 숯적재부를 마련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기름 수집부에 떨어지고, 본체 상부와 내부에 간단한 조리기구를 설치한 상태로 숯불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하면서 조리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는 본체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대를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본체를 위치시킬 수 있고, 받침대를 분리하여 결합 위치를 바꾸면 운반용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를 접이식으로 제작하여 접거나 펼침으로써 본체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10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의 본체(110)와, 본체(110) 양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 받침대(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체(110)에 숯적재부를 이용하여 숯을 적재하는 숯 적재공간과 기름을 수집하는 기름 수집공간이 구분되도록 본체(110) 하부에 기름 수집부를 마련하고, 본체(110) 내측 양측에 숯을 적재하는 숯적재부를 마련한다. 이는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이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기름 수집부에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숯불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기구(140)(150)(160)를 포함한다. 본체(110) 상부에 판 형태의 석쇠(140)와 다용도 선반(150)이 위치할 수 있고, 본체(110) 내부에 구이망(160)이 위치할 수 있다.
받침대(130)는 수직으로 세워진 두 개의 다리를 구비하도록 지지프레임을 굴곡시켜 그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그 다리의 일측에 돌출 걸이구(131)을 형성한다. 받침대(130)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본체(110)를 위치하도록 받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도 9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받침대(130)를 운반 손잡이로 사용할 수도 있다.
받침망(17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제작하는데, 위에 올려지는 장작이나 숯이 본체(110) 바닥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이 오르막 경사면과 내리막 경사면이 연속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본체(110)는 하부가 상부보다 좁아지게 경사면(112)이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케이스(111)를 포함한다. 경사면(112) 일측이 바닥까지 연장되고 경사면(112) 타측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 상단부에 연결된다.
경사면(112) 하단에 복수 통기구(114)를 형성하며, 이 통기구(114)를 통하여 바닥면(117)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본체(110) 상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케이스(111) 상단에 조리기구를 거치하기 위한 테두리(115)를 형성한다. 테두리(115)에는 상면이 평탄하고 케이스(111) 외측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한다.
테두리(115) 아래에 삽입구(116)를 형성하고, 이 삽입구(116)에 형성된 삽입홈에는 받침대(130)의 돌출 걸이구(131)가 끼워져 결합된다.
케이스(111) 양측 경사면(112) 내측에 숯적재부가 마련된다. 숯적재부는 경사면(112) 내부에 돌설된 걸림편(113)을 포함한다. 걸림편(113) 윗쪽이 조금 벌어져 경사면(112) 내측면에 위치하는 숯을 한데 모아 가둘 수 있다.
기름 수집부는 케이스(111) 하단에 위치하고 상부가 개방된 기름받이(120)를 포함한다. 기름받이(120) 외측에 인출 손잡이(121)를 설치하고, 인출 손잡이(121)를 잡고 기름받이(12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케이스(111) 내부로 출입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석쇠(140)는 테두리를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한 사각 프레임(141)에 길이 방향으로 일측과 타측이 고정된 복수개 지지봉(143)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육류 등 음식물을 올려놓을 수 있다. 복수개 지지봉(143)은 그 단면이 V자로 형성되어 조리시 발생되어 가운데 부분에 모여지는 기름이 바닥면(117) 중심 아래에 위치한 기름받이(120)로 낙하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이 눌러 붙지 않도록 석쇠(140) 표면에 스테인레스 재질 표면에 테프론 코팅이나 세라믹 코팅을 할 수 있다.
운반 손잡이(142)가 사각 프레임(141)에 수직으로 세어져 외향 굴곡시켜 형성한다. 또한, 사각 프레임(141) 양단에 본체(110)의 테두리(115) 내측에 걸려지는 걸림봉(144)을 형성한다. 걸림봉(144) 일측과 타측이 사각 프레임(141) 양측에 고정되도록 하향 돌출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고하여, 다용도 선반(150)은 바닥이 막히고 일정 깊이 움푹 패인 함몰부(152)를 갖는 상판(151)과, 상판(151)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거치대(154), 및 운반 손잡이(153)를 포함한다. 상판(151)의 양측 하면은 테두리(115)에 걸쳐 지지된다.
함몰부(152)는 상판(151)으로부터 연장되어 하향 굴곡됨으로써 음식을 데우거나 계란 후라이 등 간단한 요리를 할 수 있는 구이판 역할을 하며, 음식이 눌러붙지 않도록 알루미늄 표면에 테프론 코팅 또는 세라믹 코팅을 할 수 있다.
회전 거치대(154)는 사각 프레임에 양측이 고정된 철사를 촘촘하게 배열하여 만드는데, 가운데 부분을 제외시켜 회전 거치대(154)를 회전시 운반 손잡이(153)에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사각 프레임의 일부는 양측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봉(155)을 형성하며, 이 지지봉(155) 양단이 고정 브라켓(156)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구이망(160)은 단면이 J자 형태로 구부러진 면상에 복수 구멍(163)이 천공된 지지판(161)과, 지지판(161) 상단에 외향 굴곡된 걸이구(162)를 형성한다. 걸이구(162)가 테두리(115)에 걸려져 지지판(161)이 본체(100) 내부에 수납되는데, 지지판(161)은 다용도 선반(150)의 함몰부(152)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구부러진 지지판(161) 안에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감자나 고구마 등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걸림편(113)에 의해 가두어진 숯의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단면도이다.
경사면(112) 내측으로 돌설된 걸림편(113) 위에 받침망(170)이 얹혀진다. 받침망(170)은 오르막 경사면과 내리막 경사면이 반복되는 굴곡면을 가지고 있으며, 내리막 경사면이 걸림편(113)에 걸쳐지고 그 받침망(170) 위에 숯을 적재하면 본체(110)의 경사면(112)을 따라 비스듬히 숯을 쌓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받침망(170)을 이용하여 경사면(112) 내측에 숯을 쌓았으나, 받침망(170)을 분리하더라도 걸림편(113) 위에 숯을 쌓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110) 상부를 횡단하여 석쇠(140)가 위치하는데, 석쇠(140) 양측이 테두리(115)에 걸쳐진다. 이때 석쇠(140)의 지지봉(143)에 올려진 음식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기름은 수직으로 낙하함에 따라 기름받이(120)에 수집되므로 기름이 숯에 떨어져 연기를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이망(160)의 걸이구(162)가 테두리(115)에 걸쳐 지지된다. 구부러진 지지판(161) 저면은 숫불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지지판(161) 일측이 너무 벌어지면 석쇠(140)에 전달되는 숯불의 열기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판(161)의 폭을 조금 좁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단시간에 석쇠(140)를 이용하여 조리시 구이망(160)을 분리한 채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테두리(115)에 다용도 선반(150)이 거치된다.
다용도 선반(150)의 상판(151)이 테두리(115)에 걸쳐 지지되고, 함몰부(152)는 본체(110) 내부에 위치한다. 구이망(160)이 위치하는 경우 지지판(161)에 의해 숯불 열기가 차단되므로 함몰부(152)에 전달되는 숯불 열기는 약하다. 따라서 음식물을 데우거나 계란후라이 등 간단한 조리시 다용도 선반(150)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판(161)를 분리하여 보다 강한 숯불 열기를 이용하여 조리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115)에 설치된 석쇠(140) 양측에 다용도 선반(150)이 설치되는데, 석쇠(140)의 사각 프레임(141)과 다용도 선반(150)의 상판(151)이 서로 밀착됨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안정된 상태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체(100) 상부에 석쇠(140) 등 조리기구를 거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편(113) 위에 받침망(170)을 올려놓고 간소하게 캠프파이어를 할 수 있다. 즉, 받침망(170)에 장작을 쌓아 올린 후 착화하면 케이스(111) 사방에 형성된 통기구(114)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불을 피울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숯에 불을 붙이기 위한 토치 등 숯불 착화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대(130)는 일측에 돌출 걸이구(1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걸이구(131)가 삽입구(116)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 받침대(130)를 분리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30)를 돌려세워서 돌출 걸이구(131)를 삽입구(116)에 끼우면 이 받침대(130)를 운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1) 양측에 받침대(130)가 수직으로 세워지고 양손으로 잡거나 두 명이 하나의 받침대(130)를 잡고 운반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받침대(130)의 형상과 결합구조가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30a)는 삽입구(116a)에 다각형 홈을 형성하고 대응하는 돌출 걸이구(131a) 역시 다각형 돌기로 형성한다. 돌출 걸이구(131a)와 삽입구(116a)는 끼움 구조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으로 세워진 두 개의 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외측으로 굴곡된 절곡부(132)를 형성할 수 있고, 받침대(130a)를 운반 손잡이로 사용하는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30a)를 돌려세우고 일정 각도 기울인 상태에서 다각형 돌출 걸이구(131a)를 삽입구(116a)에 끼워 결합시키면 양측의 절곡부(132)가 맞대어져 운반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화로대를 휴대하여 철거 또는 운반 작업 시, 석쇠(140)와 다용도 선반(150) 및 구이망(160) 등 부속 장비들을 케이스(111) 안에 수납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망(170)과 구이망(160)과 석쇠(140), 그리고 기름받이(120)를 케이스(111) 내부에 적층하여 담은 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대(130)(130a)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을 참고하여, 받침망(170)을 걸림편(113)에 걸쳐 올려놓고 장작을 쌓아서 간단한 캠프파이어를 할 수 있는데, 이때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용도 선반(150)의 회전 거치대(154)를 양쪽으로 펼친 상태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다용도 선반(150)을 분리시켜 별도 공간에 옮겨 놓을 수도 있다.
숯불구이시 걸림편(113)에 받침망(170)을 걸쳐놓고, 경사면(112) 내측에 비스듬히 숯을 적재한 후 구이망(160)과 다용도 선반(150) 및 석쇠(140) 중 하나이상을 테두리(115)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다.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115)에 거치된 석쇠(140) 양측에 다용도 선반(150)이 안정적으로 위치된다. 석쇠(140)의 지지봉(143) 위에 올려진 육류 등 음식물이 숯불 열기에 의해 구워지고, 이때 생기는 기름은 아래에 위치한 받침망(170)을 통과하여 기름받이(120)에 수집된다. 또한, 감자, 고구마 등을 굽기 위해 구이망(160)을 다용도 선반(150) 아래에 설치한 경우 그 구이망(160)에 알루미늄 호일로 감싼 감자, 고구마 등을 담아 숯불 열기로 조리할 수도 있다.
도 1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회전 거치대(154)를 펼친 상태에서 조리할 수 있다. 즉, 석쇠(140)에서 구워진 음식은 다용도 선반(150)에 옮겨 놓고 데울 수 있다. 다용도 선반(150)의 함몰부(152)는 테프론 코팅이나 세라믹 코팅하여 계란 후라이 등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를 구성하는 받침대와 기름받이 등을 변형하거나 일부 구성을 추가한 경우로서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이고 기능 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도 17과 도 18을 참고하면, 화로대(200)는 본체(110)와, 기름받이(120a)와, 받침대(130b)와, 조리기구들(140)(150a)(1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체(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기능상 유사하며,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스테인레스 재질의 케이스(111)를 구비한다.
기름받이(120a)는 상부가 개방되고,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인출 손잡이(121a)를 구비한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 손잡이(121a)는 프레임 몸체를 U자 형태로 굴곡시켜 형성하고 양단에 외향 돌출된 걸림구(122a)를 형성한다. 인출 손잡이(121a)를 잡고 간격을 좁힌 상태에서 걸림구(122a)를 기름받이(120a) 외측에 형성된 끼움구(123a)에 결합하는데, 이 상태에서 걸림구(122a)는 간격이 벌어져 끼움구(123a)에서 이탈 방지됨과 아울러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인출 손잡이(121a)를 분리시 간격을 좁혀 끼움구(123a)에서 걸림구(122a)를 빼낼 수 있다.
케이스(111) 하단에 접이식 받침대(130b)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받침대(130b)는 지지프레임을 굴곡시켜 ㄷ자 형태로 형성하고, 지지프레임 양단에 내측 방향으로 굴곡된 돌출 걸이구(131b)와 스토퍼(132b)를 각각 형성한다.
도 20과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걸이구(131b)는 케이스(111) 하단에 형성된 삽입구(118)에 끼워져 회동할 수 있고, 스토퍼(132b)는 회동하는 지지프레임이 일정 각도 벌어지면 케이스(111) 외측에 걸려 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받침대(130b)는 접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접으면 본체(110) 하단이 지면에 가깝게 위치하고, 펼치면 본체(110) 하단이 지면에서 상승한다. 즉, 받침대(130b)를 이용하여 본체(110)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8을 참고하여, 화로대(200)는 케이스(111) 내부에 위치하는 그물 형태로 제작한 받침망(170a)을 구비한다. 받침망(170a)은 평탄한 가운데 양측에 경사면을 형성하며, 양측 경사면이 걸림편(113)에 걸쳐진다. 경사면(112)을 따라 일정 높이로 쌓인 숯은 그 하부에 위치한 받침망(170a)에 의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도 22a를 참고하여, 다용도 선반(150a)은 손잡이(153a)의 형태가 바뀐 부분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다용도 선반(150)과 기능상 유사한 구성을 구비한다.
도 22b와 도 22c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쇠(140a)는 길이방향으로 보강대(145)를 추가하고 걸림봉(144)이 배제된 구성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석쇠(140)와 기능상 유사한 구성을 구비한다. 석쇠(140a)는 보강대(145)를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개 지지봉(143)이 나란하게 형성되는데, 그 단면이 V자로 형성하여 조리시 발생된 기름이 중심부에 위치한 보강대(145)로 모여져 아래쪽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석쇠(140a)가 테두리(115)에 거치시 보강대(145) 일측과 타측은 테두리(115) 내측에 걸려지므로 밖으로 이탈되지 않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걸림봉(144) 역할을 대신하기 위함이다.
도 23은 테두리(115)에 다용도 선반(150a)을 거치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지금까지 조리기구로서 석쇠와 다용도 선반과 구이망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이외 여러 조리기구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조리기구로서 도 24a 내지 도 24e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4a는 바비큐 조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비큐 조리대(18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되어 일측이 외향 돌출된 걸이구(181)와, 움푹하게 형성하여 조리물이 걸쳐질 수 있는 그물 포켓(182)을 구비한다. 2개의 그물 포켓(182)을 형성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그물 포켓(182)의 외형과 개수 및 크기가 특정하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24b에 도시한 바비큐 조리대(180a)는 1개의 그물 포켓(182)을 구비한 경우로서, 걸이구(181) 상단의 형상을 변형할 것을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바비큐 조리대(180)와 기능상 유사하다.
도 24c는 다른 실시예의 바비큐 조리대(180b)를 나타낸다. 바비큐 조리대(180b)는 걸이구(181)를 접철 가능하게 구현한 경우로서 앞서 설명한 바비큐 조리대(180a)를 변형한 것이다. 이를 설명하면, 도 24d와 도 24e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이구(181) 일측이 연결고리(18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적용한 것으로, 화로대를 철거 또는 운반시 걸이구(181)를 접어서 본체 내부에 수납이 용이하다.
도 24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받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4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숯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4h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받침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f에 예시한 숯통(210)은 상부가 개방되고 테두리를 형성하는 몸체(211)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한다. 몸체(2111) 외측에 집게 삽입구(212)가 형성되는데, 운반용 집게를 집게 삽입구(152)에 끼워 숯통(210)을 옮길 수 있으므로 운반이 용이하다.
도 24g에 예시한 재받이(2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평탄한 바닥면(222)을 둘러싸서 재를 수용하기 위한 몸체(221)를 구비한다. 몸체(221)는 본체(110)의 경사면(112) 내측에 위치하며 걸림턱(113)에 지지되어 안착될 수 있다.
도 24h에 예시한 받침망(170b)은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171)의 가운데 부분이 뚫려 있고 그 양측에 경사면(172)을 형성하는데, 양측 경사면(172)이 걸림편(113) 위에 걸쳐질 수 있다. 받침망(170b) 가운데 부분을 막고자 하면 탈부착 가능한 보조 받침망(170c)을 얹혀 놓는다. 보조 받침망(170c)은 평판형 그물 형상의 몸체 하면 양측에 걸림대(173)를 형성한다.
도 25는 바비큐 조리대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바비큐 조리대(180)는 본체(110) 상부에 걸쳐지고, 그물 포켓(182) 양측에 적재된 숯과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물 포켓(182)에 담긴 조리물이 적재된 숯과 비스듬히 대면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그물 포켓(182)이 숯불에 너무 가까워져 타지 않도록 하면서 조리 과정에서 생기는 기름을 수직으로 낙하시켜 기름받이(120a)에 수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로대(200)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 외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테이블(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190)은 본체(110)의 테두리(115)와 거의 같은 높이로 평탄한 울타리를 형성하는데, 길이가 짧은 고정형 선반(191)과, 결합 브라켓(193)을 이용하여 결합된 양측 부분을 접거나 펼칠 수 있는 접이식으로 제작하여 양측으로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가변형 선반(192)을 포함한다.
고정형 선반(191)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일측에 하향 절곡된 걸이구(191b)를 형성한다. 가변형 선반(192) 역시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 일측에 하향 절곡된 걸이구(191b)를 형성한다. 고정형 선반(191)과 가변형 선반(192) 각각은 걸이구(191b)를 케이스(111) 외측에 설치된 테이블 삽입구(119)에 끼워 결합한다. 테이블(190)를 분리시 고정형 선반(191)과 가변형 선반(192)의 걸이구(191b)를 삽입구(119)에서 빼낼 수 있다.
고정형 선반(191)의 양측에는 가변형 선반(192)이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편(191a)이 형성되는데, 이 지지편(191a)은 가변형 선반(192)의 양측 부분이 펼쳐질 때 수평 아래로 과도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체(110) 둘레에 설치한 복수개 선반(191)(192)를 이용하여 평탄한 울타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선반 위에 조리 음식과 조리기구 등 부속물을 놓아 둘 수 있다.
도 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형 선반(192)은 연결 고리(193a)를 이용하여 양측 부분을 회전시켜 접는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고정형 선반(194)은 가변형 선반(192)이 걸려지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지지편(194a)과 삽입구(119)에 끼워지도록 하향 절곡된 걸이구(194b)를 형성하며,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고정형 선반(191)과 기능상 동일하다. 고정형 선반(194)은 중심 위치에 보강대(194c)를 형성하는 차이가 있고, 보강대(194c)에 의해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200 : 화로대
110 : 본체
120, 120a : 기름받이
130, 130a, 130b : 받침대
140 : 석쇠
150, 150a : 다용도 선반
160 : 구이망
170,170a : 받침망
180 : 바비큐 조리대

Claims (21)

  1. 일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형성한 숯적재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를 출입할 수 있게 설치한 기름 수집부를 구비한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한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기름이 상기 숯적재부를 회피하여 상기 기름 수집부에 떨어지도록 구성품의 배치와 내부 구조를 설계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결합 위치를 바꾸어 운반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지지프레임을 굴곡하여 ㄷ자 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에 돌출 걸이구와 스토퍼를 각각 형성하며,
    상기 받침대를 접거나 펼침으로써 상기 본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를 펼쳐 일정 각도 벌어지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본체 외측에 걸려 상기 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경사면에 다수의 통기구를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 상단에는 상기 조리기구를 거치하기 위한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기 테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평탄한 단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상기 케이스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조리기구의 크기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납할 수 있게 제작되며, 상기 조리기구는 숯불을 열원으로 하여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 가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는 석쇠와 바비큐 조리대와 다용도 선반 및 구이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석쇠와 상기 바비큐 조리대는 상기 기름 수집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다용도 선반과 상기 구이망은 상기 숯적재부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는 사각 프레임 양측에 하향 돌출되어 상기 본체 상부에 지지되는 걸림봉을 형성하고, 상기 사각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양측이 고정된 복수개 지지봉을 평행하게 배열하고, 상기 석쇠 가운데 부분에 모여진 기름을 상기 기름 수집부에 떨어지도록 상기 복수개 지지봉의 단면이 V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석쇠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으로 상기 지지봉이 고정된 보강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비큐 조리대는 움푹한 적어도 하나의 그물 포켓과 상기 그물 포켓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구를 포함하되,
    상기 걸이구는 상기 케이스 상부에 걸쳐지며,
    상기 그물 포켓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숯적재부에 인접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구는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선반은 움푹 패인 함몰부를 갖는 상판과, 상기 상판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 거치대, 및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상판 양단이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 상부에 걸쳐지고,
    상기 함몰부에 담은 조리물이 눌러 붙지 않도록 알루미늄 합금 소재의 상기 상판 표면에 테프론 코팅이나 세라믹 코팅을 하며,
    상기 손잡이에 걸려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거치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지지봉을 촘촘하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망은 단면이 J자 형태로 구부러진 면상에 복수 구멍이 천공된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서 연장되어 일측이 외향 굴곡된 걸이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숯적재부에 설치하는 재받이와 숯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수집부의 상부에 설치한 받침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망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하고, 그 단면이 오르막 경사면과 내리막 경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수집부의 상부에 설치한 받침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받침망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양측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하고, 프레임 가운데를 빈 공간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망의 빈 공간에 탈부착 가능한 보조 받침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받침망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얽어매어 그물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수집부는 상부가 개방된 기름받이와, 상기 기름받이 외측에 고정 설치하거나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한 인출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인출 손잡이가 탈부착하는 경우, 상기 인출 손잡이의 양단에 외향 굴곡된 걸림구가 상기 기름받이 외측에 형성된 끼움구에 끼워져 회동함으로써 접거나 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선반들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선반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에 철사를 일정 간격 배열하여 형성하고,
    상기 선반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테이블 삽입구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일정 길이의 고정형 선반과 일측을 접거나 펼쳐 길이를 가변할 수 있는 가변형 선반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선반은 가운데 프레임과 양측의 프레임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KR1020130126365A 2013-03-19 2013-10-23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KR20140114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970 2013-03-19
KR20130028970 2013-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728A true KR20140114728A (ko) 2014-09-29

Family

ID=51758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365A KR20140114728A (ko) 2013-03-19 2013-10-23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4728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72A (ko)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KR20160059673A (ko)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절첩식 화로대
KR101664976B1 (ko) * 2016-06-21 2016-10-24 강영길 숯불 구이기
WO2018042260A1 (en) 2016-09-05 2018-03-08 Khachatrian Araik Barbecue grill
CN108567346A (zh) * 2017-03-10 2018-09-25 Seb公司 户外烹饪设备
CN111084556A (zh) * 2019-12-25 2020-05-01 蔡梦璇 一种可调节高度的烧烤架
KR20200115928A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스캠 캠핑용 수납박스
KR102239775B1 (ko) * 2019-10-28 2021-04-12 은인수 야외용 조립식 구이기
KR20220101031A (ko) * 2021-01-10 2022-07-19 노인숙 다용도 조립식 석쇠
KR102648540B1 (ko) * 2023-09-11 2024-03-15 김종열 다용도 화로대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672A (ko)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조립식 화로대
KR20160059673A (ko) 2014-11-19 2016-05-27 제드코리아 주식회사 절첩식 화로대
KR101664976B1 (ko) * 2016-06-21 2016-10-24 강영길 숯불 구이기
WO2018042260A1 (en) 2016-09-05 2018-03-08 Khachatrian Araik Barbecue grill
CN108567346A (zh) * 2017-03-10 2018-09-25 Seb公司 户外烹饪设备
KR20200115928A (ko) * 2019-03-29 2020-10-08 주식회사 한스캠 캠핑용 수납박스
KR102239775B1 (ko) * 2019-10-28 2021-04-12 은인수 야외용 조립식 구이기
CN111084556A (zh) * 2019-12-25 2020-05-01 蔡梦璇 一种可调节高度的烧烤架
KR20220101031A (ko) * 2021-01-10 2022-07-19 노인숙 다용도 조립식 석쇠
KR102648540B1 (ko) * 2023-09-11 2024-03-15 김종열 다용도 화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US3140651A (en) Charcoal cooker
KR101155617B1 (ko) 훈제 겸용 바비큐 구이기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WO2010111728A1 (en) Portable campfire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200464129Y1 (ko) 접이식 구이기
KR200440870Y1 (ko) 다용도 숯불구이기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US20150020697A1 (en) Barbecue Support Assembly
KR100936895B1 (ko) 전기식 로스터
KR200466341Y1 (ko) 가스렌지-숯불 겸용 직화 구이기
US6883512B2 (en) Portable grilling apparatus
EP2803304B1 (en) Barbecue support assembly
AU2018220066B2 (en)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food preparation
KR102012239B1 (ko) 다기능 무연 직화 숯불구이기
JP2006029622A (ja) 加熱調理用受け皿セット及び加熱調理器
KR200494611Y1 (ko) 조립식 야외용 구이기
CN217723279U (zh) 多功能无烟炉灶
KR102475613B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KR20130135807A (ko) 휴대용 오븐
CN210871137U (zh) 一种燃生物质多功能烧烤炉
RU217829U1 (ru) Узел вращения гриля
KR200155315Y1 (ko) 휴대용 고기구이기
US20230304668A1 (en) H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