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079B1 - 숯불 고기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 고기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079B1
KR101042079B1 KR1020090072348A KR20090072348A KR101042079B1 KR 101042079 B1 KR101042079 B1 KR 101042079B1 KR 1020090072348 A KR1020090072348 A KR 1020090072348A KR 20090072348 A KR20090072348 A KR 20090072348A KR 101042079 B1 KR101042079 B1 KR 101042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drawer
charcoal
typ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807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바돔
김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바돔, 김현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바돔
Priority to KR1020090072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0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18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vertic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고기 등을 익혀 음식물로 제공할 때 육고기에서 배출되는 고기기름이 숯불 위에 직접 낙하하여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육고기 등의 수분 즉 육즙을 유지한 채 기름기를 제거하는 숯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숯불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전체의 형상이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서랍형고기거치통 입구 및 서랍형숯통 입구와,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 입구와 서랍형숯통 입구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각각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서랍형고기거치통 및 서랍형숯통과,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연통으로 구성된다.
서랍형고기거치통, 서랍형숯통, 연통, 석쇠손잡이거치홈

Description

숯불 고기구이기{Roaster of a charcoal fire}
본 발명은 숯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고기 등을 익혀 음식물로 제공할 때 육고기에서 배출되는 고기기름이 숯불 위에 직접 낙하하여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육고기 등의 수분 즉 육즙을 유지한 채 기름기를 제거하는 숯불 고기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고기와 고등어, 갈치, 조개 등 어폐류와 해산물 등을 익혀 제공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는, 화로 내부 하단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에 숯통을 안착시킨 후, 화로의 상단에 석쇠나 불판을 장착시켜 육고기 등을 석쇠나 불판에 올린 후 숯불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상기 숯불 고기구이기 중 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육고기 등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별도로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도 있으나 숯불의 직화에 의한 요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숯불고기의 독특한 맛이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숯불 고기구이기 중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숯불의 직화에 의한 요리가 이루어져 숯불고기의 독특한 맛을 유지하기는 하나 육고기 등의 기름이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 여 연소되어 연기와 그을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숯불 고기구이기를 이용하여 숯불고기를 익히게 되면, 석쇠나 불판에 올려진 육고기 등을 뒤집어 익혀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로 인하여 뒤집는 과정에서 육고기 등이 말라버려 육고기 등의 육즙을 보존하지 못하여 숯불고기의 맛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기구이기에 횡으로 바베큐 장치를 하여 육고기 등이 익는 동안 고기가 바베큐 장치에 의해 회전하면서 요리를 하게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었지만, 숯불고기가 익어 요리되는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육고기 등의 기름이 하부에 위치한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숯불고기가 익는 동안 발생하는 연기와 그을음을 가변형 갓이나 임펠러 등을 이용하여 강제순환 방식 등으로 옥외로 뽑아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장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고 더 나아가 육고기 등의 육즙을 그대로 유지하는 목적으로는 적합치 않은 장치들이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개선된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고자 2009년 06월 08일자로 발명의 명칭을 "숯불 고기구이기"로 하여 특허출원 제10-2009-0050546호를 출원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 특허출원된 발명을 기초로 하여 개량발전된 기술개발에 매진한 결과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게 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고기 등을 익힐 때 육고기 등의 기름이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하게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고기 등을 익힐 때 육고기 등의 기름이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하면서, 숯불고기가 익는 동안 육고기 등의 육즙이 그대로 유지되고 숯불의 연기가 육고기 등에는 은근히 베여 숯불고기의 탁월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숯을 담는 숯통이나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을 본체에 넣거나 뺄 때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손쉽게 넣고 뺄 수 있게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체 내부에 숯통을 넣어 육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숯불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하여 작업하는 실내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숯통에 담긴 숯을 교체하고자 숯통을 본체로부터 빼내거나,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에 거치된 육고기 등이 다 익어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을 본체로부터 빼내어 작업할 때 안전하고 청결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숯불 고기구이기는, 전체의 형상이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와,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와 서랍형숯통입구(31)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각각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서랍형고기거치통(20) 및 서랍형숯통(3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연통(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열의 외부발산을 막기 위하여 좌측, 우측, 상측, 배측의 각각 외부면에 내화벽돌(70)로 둘러 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면이 금속이고 고온에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에 가로 세로로 배치한 금속재 프레임을 형성한 것을 기본틀로 하는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안전하게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삽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화용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와, 석쇠(2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석쇠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 손잡이를 석쇠손잡이거치홈(26)에 고정시킨 후 석쇠 손잡이 반대편의 접철되는 부분을 거치시켜 석쇠(24)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석쇠거치대(2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 구(31)로부터 배면 끝부분까지 서랍형고기거치통(20) 및 서랍형숯통(30)이 원활하게 삽탈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하단에 숯불이 연소되어 떨어지는 재를 받을 수 있는 재받이(40)와, 상기 재받이(40) 위쪽으로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구멍(50)과, 상기 공기구멍(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구멍개폐도어(5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구멍(50)과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 사이에서,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거치된 석쇠의 육고기 등에서 떨어지는 기름이나 서랍형숯통(30)에서 떨어지는 재 등 이물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80)과, 상기 테이블(80)의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는 꼭지점 부분에 상기 이물질을 한 곳으로 모아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홀(82)과, 상기 테이블홀(82)로 모아진 이물질을 바닥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홀파이프(8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는 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안전하게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삽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화용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와, 고기꽂이(20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걸 수 있게 형성된 고기꽂이홈(206)과,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는 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구비한 것으로 형성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숯불 고기구이기는, 숯불을 이용하여 육고기 등을 익힐 때 육고기 등의 기름이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하는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하면서, 숯불고기가 익는 동안 육고기 등의 육즙이 그대로 유지되고 숯불의 연기가 육고기 등에는 은근히 베여 숯불고기의 탁월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을 담는 숯통이나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을 본체에 넣거나 뺄 때 화상의 위험을 방지하고 손쉽게 넣고 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 숯통을 넣어 육고기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숯불의 열기가 외부로 발산하여 작업하는 실내 온도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숯통에 담긴 숯을 교체하고자 숯통을 본체로부터 빼내거나,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에 거치된 육고기 등이 다 익어 육고기 등을 거치하는 통을 본체로부터 빼내어 작업할 때 안전하고 청결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 고기구이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 고기구이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서랍형고기거치통을 삽탈하는 상태를 표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서랍형고기거치통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음식점의 주방이나 야외에서 초벌구이를 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체의 형상이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10)는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와, 본체(10) 내부의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통(60)과,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로부터 배면 끝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0)과, 재받이(40)와,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공기구멍(50)과, 공기구멍개폐도어(52) 및 기름이나 재 등 이물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테이블(8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의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를 통하여 본체(10)의 배면 끝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0)를 이용하여 본체의 내부에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과 서랍형숯통(3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와,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8) 및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 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구비되며, 상기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9)에 석쇠를 고정시킴으로써 숯불갈비를 익힐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8)를 대신하여 고기꽂이(20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걸 수 있게 형성된 고기꽂이홈(206)을 형성하여, 고기꽂이홈(206)에 고기꽂이(204)를 걸쳐 놓음으로써 숯불갈비를 익힐 수도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숯불 고기구이기의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전면이 금속이고 고온에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에 가로 세로로 배치한 금속재 프레임을 기본틀로 하고 있다. 본체(10) 내부에서 숯불이 연소하게 되면 고온이 발생하게 되는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전체적으로 철판으로 한다든지 외곽 프레임만으로 형성하면 고온에 의해 변형이 생길 가능성이 크며, 따라서 전면을 제외한 부분을 금속재 프레임으로 십자 형태로 형성하게 되면 고온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형성된 석쇠손잡이거치홈(26)에 육고기 등을 사이에 끼운 석쇠(24)의 손잡이를 끼워 고정시킨 후, 석쇠(24) 손잡이 반대편의 접철되는 부분을 석쇠거치대(28)에 올려 놓아 석쇠(24)를 안착시킨다.
이 경우 석쇠(24)의 손잡이가 석쇠손잡이거치홈(26)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석쇠(24) 사이에 놓여져 있는 육고기 등이 석쇠(24)가 벌어져 석쇠(24)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숯불 고기구이기에서 육고기 등을 끼운 석쇠를 화로에 가로로 놓는 경우와 달리, 본 발명인 숯불 고기구이기는 육고기 등이 끼워진 석쇠가 세로로 놓여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석쇠손잡이거치홈(26)에 석쇠(24)의 손잡이를 끼워 고정시킨 후, 석쇠(24) 자체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쇠(24) 손잡이 반대편의 접철되는 부분을 석쇠거치대(28)에 올려 놓게 된다. 이 경우 석쇠거치대(28)는 석쇠 자체가 안정되게 올려질 수 있도록 접철되는 부분보다 넓이가 넓고 편평한 것이 좋으며, 접철되는 부분이 가볍게 끼워지고 빠질 수 있게 두개의 막대가 적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되어 있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육고기 등을 끼운 석쇠(24)를 안착시킨 후, 손잡이(22)를 잡고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본체(10)에 형성된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로 살며시 밀어 넣는다. 이 때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로부터 배면 끝부분까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0)에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하단부를 걸쳐 놓고 손잡이(22)가 있는 전면부가 본체(10)의 전면부와 일치될 때까지 밀어 넣으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원활하게 본체(1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안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레일(90)은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하단부를 받치게 되어 숯불고기가 완성될 때까지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본체(10)에 끼운 다음, 서랍형숯통(30)에 숯을 담아 발화를 시킨 후 손잡이(32)를 잡고 상기 서랍형숯통(30)을 본체(10)에 형성된 서랍형숯통입구(31)로 살며시 밀어 넣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옆에 나란히 위치시킨다. 이 때 서랍형숯통입구(31)로부터 배면 끝부분까지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레일(90)에 서랍형숯통(30)의 하단부를 걸쳐 놓고 손잡이(32)가 있는 전면부가 본체(10)의 전면부와 일치될 때까지 밀어 넣으면 서랍형숯통(30)은 원활하게 본체(1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안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레일(90)은 서랍형숯통(30)의 하단부를 받치게 되어 숯불고기가 완성될 때까지 서랍형숯통(30)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에는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손잡이는 본체(10) 내부의 숯불이 발화된 후 온도가 1,300℃ 정도 되는 것을 감안하여 그 재질을 목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숯불이 발화된 후 온도가 1,300℃ 정도 되는 것을 감안하여 본체(10) 내부의 열기가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는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열재는 화산재를 섞은 화산재스티로폼을 사용하게 되며, 고온의 숯불에서 견딜 수 있는 단열재인 경우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8)를 대신하여 고기꽂이(20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걸 수 있게 형성된 고기꽂이홈(206)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육고기 등은 일반적인 삼지창 형태로 되어 있는 고기꽂이(204)에 육고기 등을 꽂은 후 고기꽂이홈(206)에 고기꽂이(204) 손잡이를 걸게 되고, 그 후로의 작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본체(10)에 삽입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형숯통(30)도 서랍형고기거치통(20)과 마찬가지로 전면이 금속이고 고온에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에 가로 세로로 배치한 금속재 프레임을 형성한 것을 기본틀로 하고 있다. 다만 서랍형숯통(30)에는 숯을 넣게 되므로 숯이 서랍형숯통(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면을 제외한 부분을 가로 세로 십자 형태로 형성하는 금속재 프레임을 서랍형고기거치통(20)보다 좀 더 촘촘히 형성하게 되며, 이를 제외한 서랍형숯통손잡이(32)와 단열재(29)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그것과 동일하며, 용도상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8)은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서랍형고기거치통(20)과 서랍형숯통(30)을 옆으로 나란히 형성시킴으로써 육고기가 숯불에 의하여 익게 될 때 배출되는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연기와 그을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종전의 숯불 고기구이기는 화로 내부 하단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에 숯통을 안착시킨 후, 화로의 상단에 석쇠를 장착시켜 육고기를 석쇠에 횡으로 올린 후 숯불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하여 조리를 하게 됨으로써 육고기의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연기나 그을음이 발생하게 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석쇠(24)에 끼워진 육고기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거치대(28)에 의하여 종으로 걸쳐지게 되고, 육고기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양 옆에 형성된 서랍형숯통(30)속의 숯불의 발화열에 의하여 익혀지게 됨으로써, 육고기는 숯불에 의하여 익혀지되 육고기의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지 않게 되어 연기나 그을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전의 숯불 고기구이기 보다 육고기가 빨리 익혀지게 되어, 숯불고기가 익는 동안 육고기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육즙이 그대로 유지되고 숯불의 연기가 육고기에는 은근히 베여 숯불고기의 탁월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의하여 고정되는 석쇠(24)에 끼워진 육고기가 양쪽의 서랍형숯통(30)의 숯불에 의하여 익혀지게 되기 때문에 단시간내에 숯불고기를 완성시킬 수 있어, 장시간 열에 노출될 때 보존할 수 없는 육즙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서랍형고기거치통(20)과 서랍형숯통(30)은 본체(10) 내부의 고온으로 인하여 그 구조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철골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숯불로 육고기를 익힐 때 숯불고기의 맛을 배가시켜 주는 숯불 연소시 발생하는 고유의 연기가 육고기에 은근히 베여 숯불고기의 탁월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서랍형숯통(20)에 있는 숯이 연소할 때 숯의 고유한 연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연기가 육고기에 스며들게 되며, 스며든 숯불의 연기는 고기기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여 발생시키는 연기와 그을음과는 달리 숯불고기의 맛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숯불고기의 탁월한 맛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10)는 연통(60)을 통하여 외부로 일정량 배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숯불 연소시 발생하는 고유의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일정시간 머물게 되기 때문에 숯불고기에 연기가 더욱 원활히 베게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훈제의 효과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하단에 재받이(40)가 형성되어 숯불이 연소되어 떨 어지는 재를 받을 수 있는 구조이며, 상기 재받이(40)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있는 숯불고기의 고기기름도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는 재받이(40) 위쪽으로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공기구멍(50)과, 상기 공기구멍(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구멍개폐도어(52)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공기구멍개폐도어(52)를 완전 개방하거나 조금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본체(10) 내부의 서랍형숯통(30)에 있는 숯불의 화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 3개, 서랍형숯통(30)이 4개로 구성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 2개, 서랍형숯통(30)이 3개 또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 1개, 서랍형숯통(30)이 2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서랍형고기거치통(20)과 서랍형숯통(30)을 더 늘릴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적은 양의 숯불고기를 원할 때에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 1개, 서랍형숯통(30) 2개만 활용할 수 있고, 좀 더 많은 양의 숯불고기를 원할 때에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 2개, 서랍형숯통(30) 3개를 활용할 수도 있고, 더 많은 숯불고기를 원할 때에는 전체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열의 외부발산을 막기 위하여 좌측, 우측, 상측, 배측의 각각 외부면에 내화벽돌(70)로 둘러 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숯불이 발열되게 되면 본체(10)의 내부 온도는 1,300℃ 까지 올라가게 되고 그 열기가 금속재인 본체(10)로 전도되어, 본 발명인 숯불 고기구이기로 작업하는 작업자는 고온의 열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때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는 전면과 본 발명이 지면과 접하게 되는 저면을 제외한 좌측, 우측, 상측, 배측의 각각 외부면에 내화벽돌(70)로 둘러 싸게 되면 본체(10) 내부의 고온의 열기가 외부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작업자들이 작업하기에 적합한 숯불 고기구이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을 수월하게 할 목적으로 또는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기름이나 서랍형숯통(30)의 재 등 이물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80)이 더 구비된다. 즉 본 발명은 도 1,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공기구멍(50)과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 사이에 전면으로 연장 형성된 테이블(80)이 더 구비된다.
상기 테이블(80)은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에 각각 육고기 등이 끼워진 석쇠(24)나 숯을 넣기 위하여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다. 또한 숯불고기가 완성된 후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빼낸 후 석쇠(24)에 있는 숯불고기를 접시 등에 담을 때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걸쳐 놓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랍형숯통(30)의 숯이 모두 연소된 후 서랍형숯통(30)의 숯을 갈아 넣기 위하여 서랍형숯통(30) 빼낸 후 작업을 할 수 있게 걸쳐 놓을 수 있는 테이블이다.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테이블(80)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부 끝부분에 턱을 두 어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의 전면부 하부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을 빼내어 테이블(80) 전면부 끝부분의 턱에 걸리게 한 경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의 반대편 하단부가 가이드레일(90) 끝부분에 걸릴 정도의 길이가 적당하다.
또한 상기 테이블(80)에는 이물질을 한 곳으로 모아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홀(82)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테이블(80)은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는 꼭지점 부분에 테이블홀(8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랍형고기거치통(20)이나 서랍형숯통(30)을 본체(10)에 삽입하고 또는 빼내어 작업할 때 고기기름이나 재가 테이블(80)로 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고기기름이나 재 등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테이블(80)은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고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는 꼭지점 부분에 테이블홀(8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테이블(80) 위의 이물질을 물로 청소한 후 이를 테이블홀(82)을 통하여 작업장 바닥에 별도로 준비한 물통 등에 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테이블(80) 위를 물로 청소한 이물질을 경사를 통하여 상기 테이블홀(82)로 모으고, 테이블홀(82)을 통하여 버려지는 이물질이 작업장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지 않고 별도로 준비한 물통 등에 청결하고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테이블홀파이프(8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숯불고기는 육고기를 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육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폐류나 해산물의 경우에도 숯 불로 익힐 수 있는 것이면 모두 조리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1의 일실시예에 따른 숯불고기구이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랍형고기거치통을 삽탈하는 상태를 표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서랍형고기거치통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서랍형고기거치통
21 :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 22 :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
24 : 석쇠 26 : 석쇠손잡이거치홈
28 : 석쇠거치대 29 : 단열재
30 : 서랍형숯통 31 : 서랍형숯통입구
32 : 서랍형숯통손잡이 40 : 재받이
50 : 공기구멍 52 : 공기구멍개폐도어
60 : 연통 70 : 내화벽돌
80 : 테이블 82 : 테이블홀
84 : 테이블홀파이프 90 : 가이드레일
204 : 고기꽂이 206 : 고기꽂이거치홈

Claims (8)

  1. 숯불 고기구이기에 있어서,
    전체의 형상이 내부가 비어있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와;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와 서랍형숯통입구(31)를 통하여 상기 본체에 각각 삽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서랍형고기거치통(20) 및 서랍형숯통(3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상단에 연통(60)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열의 외부발산을 막기 위하여 좌측, 우측, 상측, 배측의 각각 외부면에 내화벽돌(70)로 둘러 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면이 금속이고 고온에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머지 부분에 가로 세로로 배치한 금속재 프레임을 형성한 것을 기본틀로 하는 상기 서랍형고기거 치통(20)은,
    안전하게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삽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화용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와;
    석쇠(2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석쇠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석쇠손잡이거치홈(26)과;
    석쇠 손잡이를 석쇠손잡이거치홈(26)에 고정시킨 후 석쇠 손잡이 반대편의 접철되는 부분을 거치시켜 석쇠(24)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석쇠거치대(28)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로부터 배면 끝부분까지 서랍형고기거치통(20) 및 서랍형숯통(30)이 원활하게 삽탈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하단에 숯불이 연소되어 떨어지는 재를 받을 수 있는 재받이(40)와;
    상기 재받이(40) 위쪽으로 본체(1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기구멍(50)과;
    상기 공기구멍(5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구멍개폐도어(5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6. 제5항 있어서,
    상기 본체(10)에는 공기구멍(50)과 서랍형고기거치통입구(21) 및 서랍형숯통입구(31) 사이에서, 전면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어 서랍형고기거치통(20)에 거치된 석쇠의 육고기 등에서 떨어지는 기름이나 서랍형숯통(30)에서 떨어지는 재 등 이물질을 받아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80)과;
    상기 테이블(80)의 평면이 내측으로 조금 경사지게 형성되는 꼭지점 부분에 상기 이물질을 한 곳으로 모아 바닥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홀(82)과;
    상기 테이블홀(82)로 모아진 이물질을 바닥으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테이블홀파이프(8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는 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은 안전하게 서랍형고기거치통(20)을 삽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화용 서랍형고기거치통손잡이(22)와;
    고기꽂이(204)의 손잡이를 고정시켜 걸 수 있게 형성된 고기꽂이홈(206)과;
    상기 서랍형고기거치통(20)의 전면부는 손잡이(22)가 형성된 반대쪽으로 단열재(2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 고기구이기.
KR1020090072348A 2009-08-06 2009-08-06 숯불 고기구이기 KR101042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48A KR101042079B1 (ko) 2009-08-06 2009-08-06 숯불 고기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348A KR101042079B1 (ko) 2009-08-06 2009-08-06 숯불 고기구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07A KR20110014807A (ko) 2011-02-14
KR101042079B1 true KR101042079B1 (ko) 2011-06-16

Family

ID=4377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348A KR101042079B1 (ko) 2009-08-06 2009-08-06 숯불 고기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068A (zh) * 2015-03-24 2015-06-10 吴希祥 一种烧烤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990B1 (ko) * 2015-04-07 2016-04-01 박재범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968249B1 (ko) * 2016-08-17 2019-05-14 윤종길 직립형 숯불구이 장치
KR102333171B1 (ko) * 2020-01-08 2021-11-29 양정선 모듈화된 탈착식 화로
KR102261110B1 (ko) * 2020-09-29 2021-06-04 박용래 휴대용 화로조립체
KR102335948B1 (ko) * 2021-05-10 2021-12-03 허민석 초벌구이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366A (ko) * 2002-11-18 2004-05-24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속정밀 성형기의 개선된 재료공급장치
KR20080003452U (ko) * 2007-02-16 2008-08-20 장순명 고기 구이기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3366A (ko) * 2002-11-18 2004-05-24 효동기계공업 주식회사 고속정밀 성형기의 개선된 재료공급장치
KR20080003452U (ko) * 2007-02-16 2008-08-20 장순명 고기 구이기
KR200443366Y1 (ko) 2007-02-16 2009-02-09 장순명 고기 구이기
KR100870582B1 (ko) 2007-12-04 2008-11-27 박용호 참나무 장작 만능 구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8068A (zh) * 2015-03-24 2015-06-10 吴希祥 一种烧烤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07A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079B1 (ko) 숯불 고기구이기
US20060042475A1 (en) Removable Radiant Heat Baffle for Barbeque Grills
KR20140114728A (ko) 조립식 숯불구이용 화로대
WO2010063992A1 (en) Outdoor barbecues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KR200492826Y1 (ko) 간접 및 훈열 구이를 겸하는 무연 숯불 화로
KR200463877Y1 (ko) 숯불을 이용한 훈제기
KR101173000B1 (ko) 고기훈제기
KR200485954Y1 (ko) 숯불구이조리장치 및 숯불구이조리장치용 숯통
KR101349683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101042138B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0644973B1 (ko) 이중도어를 갖는 구이장치
KR101088251B1 (ko) 숯불 고기구이기
AU2018220066B2 (en) Improvements in or in relation to food preparation
KR200207275Y1 (ko) 훈제 구이기
KR200448258Y1 (ko) 숯불용 육류구이장치
KR20110019115A (ko) 숯불 고기구이기
KR20160144724A (ko) 고기구이용 화덕
CN217723279U (zh) 多功能无烟炉灶
KR20080002970U (ko) 터널형 황토 가마로 된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102505906B1 (ko) 육류 초벌구이기
AU2011101631A4 (en) Combined Barbecue and Heater
KR101444887B1 (ko) 구이장치
KR101363449B1 (ko) 초벌구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9